KR20160028758A -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 Google Patents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58A
KR20160028758A KR1020140117686A KR20140117686A KR20160028758A KR 20160028758 A KR20160028758 A KR 20160028758A KR 1020140117686 A KR1020140117686 A KR 1020140117686A KR 20140117686 A KR20140117686 A KR 20140117686A KR 20160028758 A KR20160028758 A KR 2016002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firmation
information
terminal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915B1 (ko
Inventor
김수형
김석현
김승현
노종혁
조상래
조영섭
조진만
진승헌
최대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915B1/ko
Priority to US14/699,328 priority patent/US20160071342A1/en
Publication of KR2016002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은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확인구역설정장치,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내에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단말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사용자확인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ZONE BASED USER VERIFICATION SER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보안구역과 같이 사용자확인이 필요한 구역으로 진입하면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군사지역, 정부기관과 같은 보안지역뿐 아니라 공장, 사무실, 상점 등에 존재하는 많은 서비스들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확인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사용자확인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만이 소유하고 있는 물리적인 확인매체를 제시하는 방법이거나, 자신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결제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를 이용하거나, 지정된 사용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에 출입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 태그가 부착된 카드를 인식시키거나, 사무실에 있는 개인 PC로 로그인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자확인 방법은 서비스 제공 시마다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며, 심리스(Seamless)한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물건 등을 들고 있어 손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들고 있던 물건을 내려놓거나 하던 일을 멈추고 사용자확인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과 수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도 자동으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확인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는 기술은 사용자에게 RFID 태그를 보급해야 하며, 보급된 RFID 태그의 분실위험에 대한 대비가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모든 종래의 사용자확인 방법들은 사용자확인이 필요한 구역에 여러 명의 정상적인 사용자가 있는 경우 사용자를 구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를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서는 종래의 사용자확인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을 사용한 행위 없이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확인 구역에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때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은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확인구역설정장치,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내에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단말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사용자확인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은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에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사용자확인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는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서비스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모듈,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확인을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사용자확인모듈 및 상기 수행된 사용자확인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로 전송하는 확인결과전송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확인을 위해 별도의 확인수단을 보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손을 사용한 행위 없이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어 확인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확인구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의 확인구역설정장치가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는 구역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시스템이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 확인구역설정장치(100), 서비스단말(110), 사용자확인서버(120) 및 확인결과출력장치(130)를 포함한다.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단말(10)의 진입을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확인구역(20)을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20)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는 사용자확인구역(20)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확인구역(20)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의 장소특성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을 설정하는 다른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배치형태정보,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신호전송특성정보 및 확인구역설정장치들 사이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확인구역(20)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10)로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형태는 블루투스 메시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확인구역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전송세기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동일한 사용자확인구역(20)에 복수 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복수 개의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사용자확인구역(20)을 설정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의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사용자확인구역(20)을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확인구역(21)은 확인구역설정장치(101, 102)의 배치형태, 신호도달거리 등에 따라 복수 개의 확인구역설정장치(101, 102)를 통해 설정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확인구역(22)은 요구되는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3개 이상의 확인구역설정장치(103, 104, 105)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확인구역(21, 22)을 설정한 확인구역설정장치(101, 102, 103, 104, 105)는 사용자확인구역(21, 22)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확인구역(21, 22)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구역(21, 22)의 장소특성정보, 사용자확인구역(21, 22)을 설정하는 다른 확인구역설정장치들(101, 102, 103, 104, 105)의 배치형태정보, 확인구역설정장치들(101, 102, 103, 104, 105)의 신호전송특성정보(신호전송세기정보) 및 확인구역설정장치들(101, 102, 103, 104, 105) 사이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설정될 수 있는 구역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원형 탁자 주위에 배치되어 원형 탁자가 포함된 구역을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배치되어 벽면 앞의 구역을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에 배치되어 게이트 통과 구역을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확인구역(20)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10)로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배치된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원형 탁자, 벽면 및 게이트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단말(10)이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 판단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단말(10)과 연결되어 있는 특정 장치와 통신이 가능할 때,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인구역설정장치(100)는 사용자단말(10)에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확인구역(20) 리스트를 확인하고, 등록된 사용자확인구역(20)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10)과 연결되어 있는 특정 장치와 통신이 가능할 때 또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확인구역(20)에 진입할 때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이 정보 수신을 위해 소모하는 배터리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서비스단말(110)은 확인구역설정장치(100)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사용자단말(10)이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사용자확인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단말(110)은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을 판단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사용자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확인구역설정장치(100)가 전송한 확인구역설정정보에 포함된 사용자확인구역(20)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의 장소특성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을 설정하는 다른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배치형태정보,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신호전송특성정보 및 확인구역설정장치들 사이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단말(10) 내에 포함된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의 가속도, 진동,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확인구역설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구역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을 확인한 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확인구역(20)과 관련하여 랜덤하게 생성한 정보(예컨대, 일회용 사용자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할 때 이용한 정보와 같은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서비스단말(11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은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120)와 공유한 사용자 식별 아이디(ID) 정보,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120)와 공유한 사용자 확인 키(KEY)로 생성된 정보, 사용자확인구역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진입한 시간 및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전송한다.
서비스단말(110)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 정보, 서비스단말(110)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서버(120)에 의해 사전에 서비스단말(110)에 저장된 키 및 사용자가 음성으로 전달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단말(110)이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은 사용자확인서버(120)로부터 사용자단말(10)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거나, 서비스단말(110)과 연결된 장치(예컨대, 버튼,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카메라 등)로부터 사용자단말(10)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명령 받거나,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확인구역(20)이 1차 사용자확인구역과 1차 사용자확인구역 내의 2차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이루어진 경우, 서비스단말(110)은 사용자단말(10)이 1차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서버(120)와 통신하여 사용자단말의 사용자확인결과를 수신 받는다. 그리고, 1차 사용자확인구역에 진입한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2차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사용자단말(10)을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단말을 특정하는 정보 및 사용자확인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결과를 이용하여 구분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예컨대, 핸즈프리)을 소유한 사용자가 상점 입구(1차 사용자확인구역)에서 체크인하면 사용자정보가 상점의 POS(서비스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결제를 위한 결제 존(2차 사용자확인구역)에 서 있거나 지나가면 POS 화면에 해당 고객에 대한 사용자정보가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정보를 사용자확인서버로 송신하고, 사용자확인서버는 간단한 확인절차를 통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패스 결제형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확인서버(120)는 정보수신모듈(121), 사용자확인모듈(122) 및 확인결과전송모듈(123)을 포함한다.
정보수신모듈(121)은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진입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수신모듈(121)은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120)와 공유한 사용자 식별 아이디(ID) 정보,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120)와 공유한 사용자 확인 키(KEY)로 생성된 정보, 사용자확인구역정보,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 진입한 시간 및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수신모듈(121)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 정보, 서비스단말(110)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서버(120)에 의해 사전에 서비스단말(110)에 저장된 키 및 사용자가 음성으로 전달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정보수신모듈(121)을 통해 사용자확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10) 및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와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사용자단말(10) 및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조회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거나,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사용자단말(10)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단말(10)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사용확인요청신호가 수신한 시간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가 생성된 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서비스단말(110)이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일회용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일회용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매핑함으로써 사용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서비스단말(110)의 위치와 사용자단말(10)의 위치가 근접한지를 판단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사용자단말(10)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식별 아이디(ID) 정보, 사용자단말(10)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확인 키(Key)로 생성된 정보, 사용자확인구역정보 및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확인구역(20)으로의 진입 시간 및 서비스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확인모듈(122)은 사용자단말(10)이 서비스단말(110)을 통해 제공한 식별정보, 사용자단말(10)과 사전에 공유한 정보,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와 사전에 공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단말(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단말(110)은 사용자확인모듈(122)로부터 제공된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사용자단말(10)을 구분한다.
확인결과전송모듈(123)은 사용자확인모듈(122)에서 수행된 사용자확인결과를 사용자단말(10) 또는 서비스단말(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인결과전송모듈(123)은 서비스단말(110)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또는 사용자확인구역(20)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확인결과출력장치(130) 또는 사용자단말(10)에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예컨대,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스마트밴드 등)로 사용자확인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시스템이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는 확인결과출력장치(131, 11)는 사용자가 사용자확인구역(20)의 진입여부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그림, 문자, 빛,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그림, 문자, 빛,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되는 정보는 사용자확인서버(120)에 등록된 사용자 관련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이 사용자확인서버(120)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전송한 시점 또는 서비스단말(110)이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사용자가 자신이 특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확인결과출력장치(130, 11)는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기 전에 사용자가 등록하거나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 또는 문자열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그림 또는 문자열을 선택하면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단말의 진입을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고(S500),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한다(S510).
이때 사용자확인구역은 원형 탁자, 벽면, 게이트 등에 배치된 확인구역설정장치의 배치형태, 신호도달거리 등에 따라 복수 개 이상의 확인구역설정장치를 통해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확인구역정보는 사용자확인구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확인구역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구역의 장소특성정보,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는 다른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배치형태정보,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신호전송특성정보 및 확인구역설정장치들 사이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S520),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한다(S530).
이때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사용자단말의 진입 여부 확인은 사용자단말이 확인구역설정장치가 전송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면,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는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와 공유된 사용자 식별 아이디 정보, 사전에 사용자확인서버와 공유된 사용자 확인 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 사용자확인구역과 관련된 정보, 사용자단말이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시간 및 사용자단말이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여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540).
여기서 사용자단말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정보로서, 서비스단말이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서비스단말의 식별정보, 사용자확인서버에 의해 사전에 서비스단말에 저장된 키 및 사용자가 음성으로 전달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약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이 서비스단말을 통해 제공한 식별정보,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정보,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와 사전에 공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단말로 제공한다. 서비스단말은 제공된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을 구분한다.
또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생성된 특정정보를 서비스단말에 전송하고, 서비스단말의 운영자(또는 사용자)가 해당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확인하여 사용자(또는 자신)가 특정되었음을 확인하거나, 이와 반대로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생성된 특정정보를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를 확인하는 과정이 종료되면 수행된 사용자확인의 결과를 사용자단말 또는 서비스단말로 전송한다(S550). 다른 예로 사용자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 및 서비스단말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확인결과출력장치를 통해 이미지, 문자, 빛, 소리 및 진동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사용자단말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별도의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행위 없이 정보의 송수신만으로 수행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확인구역설정장치;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내에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단말;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사용자확인서버
    를 포함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는
    상기 사용확인요청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가 생성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는
    상기 서비스단말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근접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식별 아이디(ID) 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확인 키(Key)로 생성된 정보,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는
    사전에 등록된 웨어러블 기기의 상기 사용자단말과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단말을 통해 제공한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정보,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와 사전에 공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상기 서비스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단말은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을 구분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서비스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확인서버에 의해 사전에 상기 서비스단말에 저장된 키 및 상기 사용자가 음성으로 전달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로 전송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은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과 연결된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명령 받거나,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확인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로 전송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은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이 1차 사용자확인구역과 상기 1차 사용자확인구역 내의 2차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1차 사용자확인구역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확인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확인결과를 수신 받고,
    상기 1차 사용자확인구역에 진입한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 중,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단말을 특정하는 정보 및 상기 사용자확인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사용자확인구역으로 진입한 사용자단말을 특정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구역설정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의 장소특성정보,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는 다른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배치형태정보, 상기 확인구역설정장치들의 신호전송특성정보 및 상기 확인구역설정장치들 사이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단말이 상기 사용자확인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확인결과를 출력하는 확인결과출력장치
    를 더 포함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
  12. 사용자확인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확인구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에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사용자확인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전송세기로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서비스단말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가 근접한지를 판단하게 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에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확인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방법.
  16. 사용자확인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서비스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모듈;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확인을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사용자확인모듈; 및
    상기 수행된 사용자확인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로 전송하는 확인결과전송모듈
    을 포함하는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은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단말을 통해 제공한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정보,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와 사전에 공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사용자단말구분정보를 상기 서비스단말에 제공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은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가 생성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확인을 수행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서비스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확인서버에 의해 사전에 상기 서비스단말에 저장된 키 및 상기 사용자가 음성으로 전달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식별 아이디(ID) 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과 사전에 공유한 사용자 확인 키(Key)로 생성된 정보,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정보,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사용자확인구역으로의 진입 시간 및 상기 서비스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
    인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KR1020140117686A 2014-09-04 2014-09-04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KR10173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86A KR101737915B1 (ko) 2014-09-04 2014-09-04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US14/699,328 US20160071342A1 (en) 2014-09-04 2015-04-29 Zone-based user verification ser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86A KR101737915B1 (ko) 2014-09-04 2014-09-04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58A true KR20160028758A (ko) 2016-03-14
KR101737915B1 KR101737915B1 (ko) 2017-05-19

Family

ID=5543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686A KR101737915B1 (ko) 2014-09-04 2014-09-04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71342A1 (ko)
KR (1) KR101737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86B1 (ko) * 2019-07-22 2020-07-14 (주)바인테크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4902A1 (en) * 2010-12-02 2013-08-22 Visc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s using token based location
US9021565B2 (en) * 2011-10-13 2015-04-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hentication techniques utilizing a computing device
WO2015066191A1 (en) * 2013-10-29 2015-05-07 Cubic Corporation Fare collection using wireless beacons
US9922294B2 (en) * 2014-08-25 2018-03-20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86B1 (ko) * 2019-07-22 2020-07-14 (주)바인테크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1342A1 (en) 2016-03-10
KR101737915B1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768B2 (en) Two-factor authentication
KR101727459B1 (ko)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1581632B1 (ko) 단말기 간의 접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KR20190040021A (ko) 사건 지휘 시스템에서의 제1 대응자에 대한 스마트 커미셔닝
KR20190023274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치 인증 장치 및 방법
JP6544950B2 (ja) 認証支援システム
JP6399549B2 (ja) 電子チケットの誤使用を防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119385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107440A (ja) サーバ装置及び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KR101737915B1 (ko)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JP2017027249A (ja) 電子認証システム及び電子認証方法並びに電子認証プログラム
US20220264276A1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and safety confirmation method
US20160162985A1 (en) Occupancy monitoring for a remote short term housing rental
JP7078740B2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ー認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ユーザー認証方法
KR20170087270A (ko) 숙박 관리 서버, 숙박 관리 방법, 숙박 관리를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JP6714873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512569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682192B1 (ko) 비콘을 활용한 전자 출석부 시스템
KR101527774B1 (ko) 타게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90114851A1 (en) Smart key searching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KR20120128899A (ko)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13129466B (zh) 签到验证方法、签到验证装置及电子设备
KR20190080321A (ko) 버스 탑승정보 알리미 어플리케이션
KR101978175B1 (ko) 휴대 단말 충전 및 보관 시스템
KR101590747B1 (ko)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