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472A -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472A
KR20130118472A KR1020120041355A KR20120041355A KR20130118472A KR 20130118472 A KR20130118472 A KR 20130118472A KR 1020120041355 A KR1020120041355 A KR 1020120041355A KR 20120041355 A KR20120041355 A KR 20120041355A KR 20130118472 A KR20130118472 A KR 20130118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management
control
management device
air volu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천
박현주
하호성
유응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472A/ko
Publication of KR2013011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공조설비에 대한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건물 내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기능별 세분화 및 모듈화로 단계적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또는 기간별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여러 건물에 대한 체계적 통합관리를 통해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웹 기반의 실시간 또는 기간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 상태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 절감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건물 자동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수용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성능, 비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하여 에너지 사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Method for managing energy using outdoor-air volume way, system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조설비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을 조절하여 냉난방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도모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자원 수급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배럴당 100달러를 넘는 초고유가 시기임에도 수입에너지의 소비는 감소되지 않고,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볼 때, 에너지 소비 분야 중 건물분야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기술개발과 적용은 매우 중요한 분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건물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각 건물은 냉난방 및 시설의 운영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량은 국내 전체 사용량 중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건물에서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은 건물주의 경제적 측면과 국가 기간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써, 이에 대한 기술개발 및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합리적이지 못한 에너지 사용은 건물 내 설비들의 비효율적인 운전 및 관리에도 연관성이 있다.
이러한,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 방법으로는 건축 계획적 접근 방법과 에너지 사용기기 및 시스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설비적 접근방법이 있다. 설비분야적 접근 방법에서는 적절한 환경을 창조하는 것과 동시에 에너지 소비량이나 환경보전을 고려한 효율적인 설비 시스템의 운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건물 소유주 입장에서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은 곧 금전적인 지출과 연계되므로 비효율적인 건물의 에너지 소비는 건물 소유주에게 상당한 금전적 부담을 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으로 공조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공조설비 데이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하여 냉난방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는 공조설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제어장치와 통신하고, 공조설비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운전정보 및 운전정보에 대한 허용 기준 값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공조설비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제어의 적용기간을 설정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외기도입량 제어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고, 외기도입량 제어가 필요하면, 외기 도입량에 대한 제어 값을 산정하고, 제어 값을 바탕으로 공조설비가 제어되도록 요청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에 있어서, 운전정보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공조기의 가동 여부, 연료소비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외기풍량, 급기풍량, 급기온도, 전력요금 단가, 월간 소비전력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설비제어장치로 외기도입량의 조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외기도입량 조절 후에, 수집되는 운전정보를 기반으로 냉난방 부하에 대한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하고,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하고, 특정일에 공조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하고, 최종 제어 값으로 공조설비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은 에너지관리장치가 공조설비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에너지관리장치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운전정보를 기반으로 공조설비에 대한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 에너지관리장치가 운전정보와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라 공조설비에 대한 외기도입량의 조절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집하는 단계는 에너지관리장치가 설비제어장치로 건물의 냉난방 시 공조설비의 운전정보와 운영 시작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확인하는 단계는 에너지관리장치가 중간기, 냉방기, 난방기를 구분하고, 일정기간 동안 연간 가동시간, 냉온수 사용량 및 냉동기 연료소비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공조기의 댐퍼 조절상태 및 외기 도입 비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의 조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비교하는 단계는 에너지관리장치가 운전정보 중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에너지관리장치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에너지관리장치가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조정된 수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관리장치가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요일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관리장치가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에너지관리장치가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에너지관리장치가 특정일에 공조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에너지관리장치가 최종 제어 값으로 공조설비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건물 내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기능별 세분화 및 모듈화로 단계적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또는 기간별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여러 건물에 대한 체계적 통합관리를 통해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웹 기반의 실시간 또는 기간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 상태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 절감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건물 자동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수용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성능, 비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최소화하여 냉난방 부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절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공조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공조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공조설비(10)는 실내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외기 도입이 필요하다. 여기서, 과도한 외기 도입은 냉난방 운전 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온도를 고려하여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즉, 공조설비(10)의 공조기(AHU, Air Handling Unit)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 냉각, 감습, 가열, 가습을 하는 장치로, 송풍기와 함께 설치되어 각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며,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에너지관리장치(3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특히, 공조기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 냉각, 감습, 가열, 가습을 하는 장치로, 송풍기와 함께 설치되어 각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FCU, Fan Coil Unit)는 코일에 냉온수를 보내고, 실내공기를 순환시켜서 실내의 부하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온도계는 공조기로 공기가 공급되는 외기(OA, Outdoor Air)의 온도, 실내에서 공조기로 공급되는 급기(Supply Air)의 온도 및 실내의 온도를 측정한다. 또한, 공조기를 거쳐 나온 공기는 실내로 환기(RA, Return Air)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센서는 실내로 환기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공조설비(10), 설비제어장치(20), 에너지관리장치(30) 및 통신망(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도입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건물 내 설비 시스템의 가동 상태 감시와 자동제어를 수행하며, 에너지 사용량 파악 및 시간대별 환경변수(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실내 환경과 에너지 성능의 최적화를 도모하기 위한 건물 관리 시스템으로 장비 혹은 시스템의 가동상태 및 에너지 소비량을 수집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거쳐 최적의 자동제어 구축, 비효율적 운영 장비 파악, 에너지 소비분석을 실시하여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절감을 도모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통신망(40)은 설비제어장치(20) 및 에너지관리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설비제어장치(20)는 통신망(40)에 접속하여, 통신망(40)을 통해 에너지관리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제어장치(20)는 통신망(40)에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설비제어장치(20)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제어장치(20)는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제어장치(2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할 수 있다.
설비제어장치(20)는 건물의 공조설비(10)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설비제어장치(20)는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통신망(40)을 통해 에너지관리장치(30)와 통신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다수의 건물에 대한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율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토대로 관리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에너지관리장치(30)는 각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설비제어장치(20)와 통신망(40)을 통해 통신한다. 특히, 에너지관리장치(30)는 건물의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집한다. 그리고, 에너지관리장치(30)는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건물의 에너지 관리에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설비제어장치(20)로 외기도입량 조절을 요청한다.
설비제어장치(20)는 에너지관리장치(30)의 요청에 따라 해당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을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제공한다. 그리고, 설비제어장치(20)는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건물의 외기도입량에 대한 조절이 요청되면, 공조설비(10)를 제어한다. 이후, 설비제어장치(20)는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해당되는 정보를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건물 내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기능별 세분화 및 모듈화로 단계적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또는 기간별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여러 건물에 대한 체계적 통합관리를 통해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웹 기반의 실시간 또는 기간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 상태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 절감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건물 자동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수용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성능, 비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최소화하여 냉난방 부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절감한다.
도 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제어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및 통신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제어장치(20)는 통신망(40)에 연결되어 에너지관리장치(30)와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통신부(23)는 에너지관리장치(30)와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23)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설비제어장치(2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하여, 에너지관리장치(3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3)는 에너지관리장치(30)와 통신하여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을 전송하고, 외기도입량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저장부(22)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설비제어장치(2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2)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제어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2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설비제어장치(2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외기도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조설비(1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설비제어장치(2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운전정보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공조기의 가동 여부와 연료소비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외기풍량, 급기풍량, 급기온도, 전력요금 단가, 월간 소비전력량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제어부(2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는 에너지관리장치(30)의 요청에 따라 건물의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건물의 외기도입량에 대한 조절이 요청되면, 공조설비(10)를 제어한다.
제어부(21)는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청되면,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해당되는 정보를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제어장치(20)는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설비제어장치(20)는 입력부(미도시)와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력부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설비제어장치(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설비제어장치(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는 설비제어장치(2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제어모듈(31), 저장모듈(32) 및 통신모듈(33)로 구성된다.
통신모듈(33)은 설비제어장치(20)와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모듈(3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모듈(33)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에너지관리장치(3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비제어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하여, 설비제어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모듈(33)은 설비제어장치(20)와 통신하여 건물의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수집하고,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저장모듈(32)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에너지관리장치(3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모듈(32)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모듈(3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에너지관리장치(3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해당 건물의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 값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는 프로그램,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및 외기도입량을 조절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에너지관리장치(3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건물의 실내에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와, 이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값의 허용 기준값을 저장한다.
제어모듈(31)은 운영 체제(OS)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모듈(31)은 중앙처리장치(CPU)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31)는 건물의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집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1)은 설비제어장치(20)로 건물의 냉난방 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해당 건물의 운영 시작시간을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31)은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1)은 중간기, 냉방기, 난방기를 구분하고, 일정 기간에 대한 연간 가동시간, 냉온수 사용량 및 냉동기 연료소비량을 확인하다. 그리고, 제어모듈(31)은 공조기의 댐퍼 조절상태 및 외기 도입 비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의 조절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모듈(31)은 공조설비(10)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제어모듈(31)은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조설비(10)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한다.
제어모듈(31)은 건물의 에너지 관리에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제어모듈(31)은 실내 온도 및 습도, 공조기의 가동 여부와 연료소비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외기풍량, 급기풍량, 급기온도, 전력 요금 단가, 월간 소비전력량 등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확인한다.
제어모듈(31)은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1)은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확인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어모듈(31)은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수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제어모듈(31)은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의 측정 값이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외기도입량을 조절하여 건물의 에너지 관리한다. 한편, 제어모듈(31)은 이산화탄소 농도의 허용 기준값에 비해 측정값이 많이 낮은 경우에는 줄일 수 있는 외기도입량이 많기 때문에 적용 가능하다. 즉, 제어모듈(31)은 특정일에 공조설비(10)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와 현장 상황에 따라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한다.
제어모듈(31)은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설비제어장치(20)로 외기도입량 조절을 요청한다. 즉, 제어모듈(31)은 최종 제어 값으로 공조설비(10)의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모듈(31)은 공조설비(10)에 대한 모니터링을 설비제어장치(30)로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운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모듈(31)은 모니터링된 정보를 확인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분석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1)은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요일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1)은 외기도입량 조절에 따라 냉난방 부하를 줄인 후,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기반으로, 냉난방 부하 개선 후의 에너지 변동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모듈(31)은 설정된 제어 값으로 변경 후, 냉난방 부하량, 이산화탄소 농도, 공조설비 전력소비량, 실내온도 등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이산화탄소 설정 값으로 변경 후, 공조설비(10)의 전체 소비량에 대한 변경 전후의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율을 분석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 관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은, 먼저, 에너지관리장치(30)는 S11 단계에서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설비제어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설비제어장치(20)는 S13 단계에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설비제어장치(20)로 건물의 냉난방 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해당 건물의 운영 시작시간을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운전정보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공조기의 가동 여부와 연료소비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외기풍량, 급기풍량, 급기온도, 전력요금 단가, 월간 소비전력량 등이 해당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15 단계에서 수신된 운전정보를 확인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17 단계에서 공조설비(10)에 대한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중간기, 냉방기, 난방기를 구분하고, 일정 기간에 대한 연간 가동시간, 냉온수 사용량 및 냉동기 연료소비량을 확인하다. 그리고, 에너지관리장치(30)는 공조설비(10)의 댐퍼 조절상태 및 외기 도입 비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의 조절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19 단계에서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확인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수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21 단계에서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설비제어장치(20)로 외기도입량 조절을 요청한다. 이후, 설비제어장치(20)는 S23 단계에서 공조설비(10)를 제어하여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25 단계에서 설비제어장치(20)로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고, S27 단계에서 요청에 상응하여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수신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29 단계에서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확인하여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요일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건물 내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기능별 세분화 및 모듈화로 단계적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또는 기간별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여러 건물에 대한 체계적 통합관리를 통해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고, 웹 기반의 실시간 또는 기간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 상태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 절감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건물 자동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수용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성능, 비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최소화하여 냉난방 부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절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30)는 S41 단계에서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집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설비제어장치(20)로 건물의 냉난방 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해당 건물의 운영 시작시간을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43 단계에서 공조설비(10)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중간기, 냉방기, 난방기를 구분하고, 일정 기간에 대한 연간 가동시간, 냉온수 사용량 및 냉동기 연료소비량을 확인하다. 그리고, 에너지관리장치(30)는 공조설비(10)의 댐퍼 조절상태 및 외기 도입 비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의 조절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즉, 에너지관리장치(30)는 공조설비(10)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에너지관리장치(30)는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조설비(10)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30)는 하기에 도시된 <표 1>과 같이, 건물의 에너지 관리에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공조설비(10)의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한다.
No 항목 측정값(Unit)
1 실내 온도/습도
2 공조기 가동 ON/OFF
3 연료소비량 Toe
4 이산화탄소 농도 ppm
5 외기풍량 ㎥/s
6 급기풍량 ㎥/s
7 급기온도
8 전력요금 단가 원/kwh
9 월간 소비전력량 kwh
<표 1>을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장치(30)는 운전정보 중 실내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산화탄소 농도 설정값에 따른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확인한다. 또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운전정보 중 공조기의 가동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에너지관리장치(30)는 연간 공조기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여 절감효과를 확인한다. 또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운전정보 중 공조기의 연료소비량을 확인한다. 이때, 에너지관리장치(30)는 건물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하기 전 열원기기의 연료소비량을 분석한다. 또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확인한다. 이때, 에너지관리장치(30)는 건물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하기 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시스템 적용 가능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도입되는 외기가 부하로 작용하는지 부하의 감소에 작용이 되는지 판단하고, 부하로 작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의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여 삭감 가능한 외기도입량을 분석한 후,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45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확인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수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즉, 에너지관리장치(30)는 특정일에 공조설비(10)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와 현장 상황에 따라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47 단계에서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설비제어장치(20)로 외기도입량 조절을 요청한다. 즉, 에너지관리장치(10)은 최종 제어 값으로 공조설비(10)의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S49 단계에서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고,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를 관리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실내 허용 기준값을 넘을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공조설비(10)의 외기도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실내 재실자가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S51 단계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분석한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설비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설정된 제어 값으로 변경 후, 냉난방 부하량, 이산화탄소 농도, 공조설비 전력소비량, 실내온도 등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산화탄소 설정 값으로 변경 후, 공조설비(10)의 전체 소비량에 대한 변경 전후의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율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공조 부하나 건물 이용 상황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에 콘트리트에서의 수분 표출(결로)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일정 기간동안 상황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으며, 조금씩 외기를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건물의 재실자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 변동하므로, 상황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를 재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공조시설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기도입량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건물 내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기능별 세분화 및 모듈화로 단계적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또는 기간별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여러 건물에 대한 체계적 통합관리를 통해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웹 기반의 실시간 또는 기간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 상태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 절감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건물 자동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수용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성능, 비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조절하여 에너지 사용을 절감한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공조설비 20: 설비제어장치 30: 에너지관리장치
40: 통신망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통신부 31: 제어모듈 32: 저장모듈
33: 통신모듈 100: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Claims (11)

  1. 공조설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제어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공조설비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운전정보 및 상기 운전정보에 대한 허용 기준 값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공조설비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여 외기도입량 제어의 적용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외기도입량 제어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고, 외기도입량 제어가 필요하면, 외기 도입량에 대한 제어 값을 산정하고, 상기 제어 값을 바탕으로 상기 공조설비가 제어되도록 요청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정보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공조기의 가동 여부, 연료소비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외기풍량, 급기풍량, 급기온도, 전력요금 단가, 월간 소비전력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전정보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상기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설비제어장치로 외기도입량의 조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외기도입량 조절 후에, 수집되는 운전정보를 기반으로 냉난방 부하에 대한 에너지 열량에 대한 효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하고,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상기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하고, 특정일에 상기 공조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하고, 상기 최종 제어 값으로 상기 공조설비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관리장치.
  6. 에너지관리장치가 공조설비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운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조설비에 대한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운전정보와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설비에 대한 외기도입량의 조절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설비제어장치로 건물의 냉난방 시 공조설비의 운전정보와 운영 시작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중간기, 냉방기, 난방기를 구분하고, 일정기간 동안 연간 가동시간, 냉온수 사용량 및 냉동기 연료소비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공조기의 댐퍼 조절상태 및 외기 도입 비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기도입량의 조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운전정보 중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허용 기준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허용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이 상기 기 설정된 허용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조정된 수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운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모니터링된 운전정보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요일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1 제어 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축적되는 기간별 기본 데이터와 과거의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공조설비의 외기도입량 제어에 대한 상기 제1 제어 값을 보정함에 의해 제2 제어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특정일에 상기 공조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 값으로부터 외기도입량의 최종 제어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가 상기 최종 제어 값으로 상기 공조설비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0120041355A 2012-04-20 2012-04-20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KR20130118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55A KR20130118472A (ko) 2012-04-20 2012-04-20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55A KR20130118472A (ko) 2012-04-20 2012-04-20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72A true KR20130118472A (ko) 2013-10-30

Family

ID=4963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355A KR20130118472A (ko) 2012-04-20 2012-04-20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47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185A (zh) * 2015-10-23 2015-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自动节能***、方法及多联空调
WO2016056827A1 (en) * 2014-10-07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N105650806A (zh) * 2015-12-28 2016-06-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机房换气方法及装置
KR101855680B1 (ko) * 2018-01-08 2018-05-09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다중회귀 분석과 시계열 평가를 활용해 필터 최적 교체점 제시에 따른 공조기 팬 동력을 이용한 에너지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5029B1 (ko) * 2018-04-18 2018-07-06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건축물 공조설비 측정값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에너지 저감 스마트 제어 장치
KR101893109B1 (ko) * 2017-10-25 2018-08-31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IoT 기반의 건물 관리 및 제어 시스템
US20220065488A1 (en) * 2019-02-06 2022-03-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uni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827A1 (en) * 2014-10-07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KR20160041210A (ko)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39738B2 (en) 2014-10-07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N105157185A (zh) * 2015-10-23 2015-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自动节能***、方法及多联空调
CN106679077A (zh) * 2015-10-23 2017-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自动节能***、方法
CN105650806A (zh) * 2015-12-28 2016-06-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机房换气方法及装置
KR101893109B1 (ko) * 2017-10-25 2018-08-31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IoT 기반의 건물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101855680B1 (ko) * 2018-01-08 2018-05-09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다중회귀 분석과 시계열 평가를 활용해 필터 최적 교체점 제시에 따른 공조기 팬 동력을 이용한 에너지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5029B1 (ko) * 2018-04-18 2018-07-06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건축물 공조설비 측정값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에너지 저감 스마트 제어 장치
US20220065488A1 (en) * 2019-02-06 2022-03-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8472A (ko) 외기도입량 조절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US10852023B2 (en) Building management autonomous HVAC control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with occupant feedback
KR20130117188A (ko) 가변풍량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US10845081B2 (en) Building management HVAC control using user voice feedback
US8099194B2 (en) Demand control
US10371405B2 (en) Building power management systems
US9535411B2 (en) Cloud enabled building automation system
CN105556560A (zh) 用于针对环境***的恢复时间的确定性计算的***和方法
CN102721156A (zh) 中央空调自寻优智能模糊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320042B (zh) 循环水***的优化方法与装置
KR101133894B1 (ko) 건물의 에너지 관리 방법,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Mahbod et al. Energy saving evaluation of an energy efficient data center using a model-free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
KR20130122193A (ko) 냉수 왕복온도차 제어를 통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KR20130120606A (ko) 공조기의 동작 제어를 통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KR20130118661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수 공급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815486A (zh) 空调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20130120601A (ko) 외기냉방 방식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KR20130122194A (ko) 냉온수 왕복온도차 제어를 통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KR20130120865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동기 대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636851A (zh) 效能管理***与方法
KR20130120604A (ko) 외기 도입을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22195A (ko) 난방용 온수 공급온도 제어를 통한 건물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CN106152394A (zh) 数据中心整体能耗解决方案和***
KR20130120866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동기 운전 스케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20603A (ko) 실내 환경 조건 완화를 통한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