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113A -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113A
KR20130111113A KR1020120033653A KR20120033653A KR20130111113A KR 20130111113 A KR20130111113 A KR 20130111113A KR 1020120033653 A KR1020120033653 A KR 1020120033653A KR 20120033653 A KR20120033653 A KR 20120033653A KR 20130111113 A KR20130111113 A KR 2013011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gion
induction unit
plug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335B1 (ko
Inventor
송승근
Original Assignee
송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근 filed Critical 송승근
Priority to KR102012003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3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과 상기 벽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수용부와, 상기 바닥면에 개구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를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의해 눌려져서 하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해 일렬로 정렬되게 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 각각에 접속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SAFE SOCKET ENABLE TO GUIDE PLUG}
본 발명은 플러그를 유도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TV, 냉장고 등 여러 전기 기기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매개체가 되는 이로운 점이 있으나, 어린이가 젓가락 등을 찔러 보게 하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문제도 발생시킨다. 후자의 경우에서, 콘센트의 2개의 삽입구 모두에 젓가락과 같은 금속성 부재를 찔러 넣은 경우에는, 그 어린이는 감전을 당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6913호는 콘센트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부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한 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덮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어린이 보호라는 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매번 덮개를 탈착하고 플로그를 콘센트에 꽂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으로 플러그를 꽂는 경우에 불편하지 않게 하면서도, 어린이의 감전사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수용부와, 상기 바닥면에 개구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를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의해 눌려져서 하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해 일렬로 정렬되게 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 각각에 접속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상면 측에서의 제1 내경이 상기 유도 유닛의 하면 측에서의 제2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 유닛이 상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상승구동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승구동 유닛은,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유도 유닛에 연결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벽면의 상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벽면의 하측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나선형 회전 궤적을 그리며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중앙 영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이 개구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주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나선형 경로를 따라 하강하게 하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제1 원통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볼; 및 상기 제1 원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볼을 상기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원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플러그의 전극이 관통되는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대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모듈에는, 상기 대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심되며 상기 플러그의 전극이 관통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모듈은, 중앙 영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홀이 개구되는 제2 원통부;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를 형성하는 벽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2 원통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벽면의 상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게 하여,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솟아오른 형태를 갖게 하는 탄성 재질의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는 금속 판스프링; 및 상기 금속 판스프링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만 존재하거나,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보다 얇은 두께로 존재하는 수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판스프링은, 상기 중앙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벽면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 유닛에 연결되고, 탄성 재질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상기 한 쌍의 관통홀 각각에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전극을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향해 연장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 유닛에 연결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1 영역을 연결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에 의하면, 어른 등에 의해 바디 유닛에 설치된 유도 유닛을 누르면서 정상적으로 플러그를 꽂는 경우에 그 과정이 번거롭지 않게 하면서도, 어린이가 젓가락 등을 찔러 넣더라도 유도 유닛이 제대로 조작되지 않아서 감전될 상황에 이르기 힘들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유닛의 형태에 따라서, 유도 유닛이 바디 유닛의 수용부의 상측에서 대기하여, 냉장고 뒤쪽 벽에 매립된 콘센트 등과 같이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에도 플러그를 꽂을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100)와 그에 접속되는 플러그(P)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센트(100)의 바디 유닛(110)에서 유도 유닛(130)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유도 유닛(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유도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2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콘센트(200)의 유도 유닛(230)이 플러그에 의해 하강 방향(D)으로 눌려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은 유도 유닛(23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라인(Ⅸ-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300)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콘센트(3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콘센트(3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100)와 그에 접속되는 플러그(P)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콘센트(100)는, 바디 유닛(110)과, 유도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유닛(110)은 몸체부(110a)와,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몸체부(110a)는 대체로 직육면체인 것으로 예시되나, 원통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수용부(111)는 몸체부(110a)의 주면(main surface)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11)는 2개로 형성된다.
유도 유닛(130)은 수용부(1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위치(P1)와, 수용부(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P2) 간에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 하측의 유도 유닛(130)은 제1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측의 유도 유닛(130)은 제2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이다. 유도 유닛(130)이 제2 위치(P2)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플러그(P)의 몸체(B)가 유도 유닛(130)을 눌러 주어야 한다. 참고로, 플러그(P)의 몸체(B)에는 한 쌍의 전극(T)이 나란히 돌출된다.
이상의 수용부(111)와 유도 유닛(13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콘센트(100)의 바디 유닛(110)에서 유도 유닛(130)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부(111)는 실린더의 내면과 같은 형태의 벽면(112)과, 벽면(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바닥면(113)을 포함한다. 바닥면(113)에는 전극(T, 도 1)에 대응하는 한 쌍의 삽입구(114)가 형성된다. 삽입구(114)는 바닥면(113)에서 하방으로 연장하고, 삽입구(114)의 하부에는 접속단자(116, 도 4)가 위치한다. 접속단자(116)는 상용 전원에 의한 전력이 공급되는 최종 지점이다. 벽면(112)에는 나선형으로 제1 그루브(115)가 형성된다. 제1 그루브(115)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연장하여 바닥면(113)에 근접하는 형태를 이룬다.
유도 유닛(130)은 제1 원통부(131)와, 관통홀(132)과, 제1 이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131)는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 영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한 쌍의 관통홀(132)은 한 쌍의 삽입구(114)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이동부(133)는 제1 원통부(131)의 외주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이동부(133)는 제1 그루브(11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유도 유닛(130)이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나선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하강하며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도 유닛(130)은 제1 위치(P1)에서는 그의 관통홀(132)이 삽입구(114)에 대해 비 정렬된 상태이다. 이때는 관통홀(132)이 삽입구(114)에 대해 일정 각도, 예를 들어 본 도면과 같이 90° 비틀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관통홀(132)에 젓가락 등의 금속성 부재를 찔러 넣어도, 상기 금속성 부재가 접속단자(116)에 접속되어 감전되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유도 유닛(130)이 플러그(P, 도 1)에 의해 눌려져서 회전되면서 하강함에 따라서는, 관통홀(132)은 삽입구(114)와 일렬로 정렬된다. 그에 의해, 플러그(P)의 전극(T)은 관통홀(132) 및 삽입구(114)를 지나서 접속단자(116)에 접속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P)를 가진 전자 기기가 접속단자(116)까지 도달된 상용 전원의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유도 유닛(130)이 초기 상태에서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플러그(P)를 꽂을 위치[관통홀(132)의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콘센트(100)가 냉장고 등과 같은 기기의 뒷 편의 벽에 설치되어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이상의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서의 구체적 배치 관계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관통홀(132)과 삽입구(114)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아서, 본 도면에서는 삽입구(114)와 접속단자(116, 이상 도 4)가 보이지 않는다.
우선, 도 1 및 도 2에서 보이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 유닛(130)의 제1 원통부(131)의 관통홀(132)은 상측의 직경(D1)이 하측의 직경(D2) 보다 큰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는 관통홀(132)에 대해 전극(T)의 정확한 정렬 없이도 전극(T)의 관통홀(132)에 대한 삽입이 쉬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32)의 단면 프로파일은 유도 유닛(130)의 하강 방향(D, 도 1)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된다.
유도 유닛(130)의 제1 이동부(133)는, 볼(134)과, 탄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볼(134)은 제1 원통부(131)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고, 그의 일부가 제1 원통부(131)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된다. 탄성체(135)는 상기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볼(134)을 제1 원통부(131)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그에 의해, 볼(134)을 상기 오목한 부분으로 가압한 채로 유도 유닛(130)을 수용부(111) 내에 밀어 넣어, 볼(134)이 다시 외부로 돌출되어 제1 그루브(115)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유도 유닛(130)과 바닥면(113) 사이에는 상승구동 유닛(1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승구동 유닛(150)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어서, 앞선 도 2(및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승구동 유닛(150)은 유도 유닛(130)이 바닥면(1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승구동 유닛(150)의 일 예로서, 일 단부는 바닥면(113)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유도 유닛(130)에 연결되는 탄성체(151)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체(151)의 하부는 바닥면(113)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5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151)의 하부는 오목부(153)에 형성된 기준봉(155)에 끼워져서,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151)로서 압축 코일스프링을 예시하나, 나선형으로 감겨진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체(151)에 의하면, 유도 유닛(130)은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으므로, 제2 위치(P2)에서 제1 위치(P1)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승구동 유닛(150)이 없더라도, 플러그(P)를 뽑을 때 그를 회전시켜 뽑는다면 유도 유닛(130)을 제1 위치(P1)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도 유닛(130)이 플러그(P, 도 2)에 의해 눌려져서 제2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 유닛(130)은 벽면(112)의 하측, 다시 말해서 바닥면(113)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태이다. 유도 유닛(130)은 제1 위치(P1)로부터의 나선형 회전에 의해, 그이 관통홀(132)이 삽입구(114)와 일렬로 대응되는 상태이다. 삽입구(114)의 하단에는 접속단자(116)가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 관계에 의하면, 플러그(P)의 전극(T, 이상 도 1)은 관통홀(132)과 삽입구(114)를 거쳐서 접속단자(116)에 접속된다.
이상의 콘센트(100)의 일부 변경된 형태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유도 유닛(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유도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 유닛(130')은 제1 원통부(131)와, 관통홀(132')과, 제1 이동부(133)와, 개폐 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32')은 앞서의 관통홀(132)과 달리 2단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32')은 전극(T, 도 1)이 관통되는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132'a)와, 소경부(132'a)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대경부(132'b)로 형성된다.
개폐 모듈(136)은 제1 원통부(131), 구체적으로 대경부(132'b)에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C)은 제1 원통부(13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개폐 모듈(136)은 제2 원통부(137)와, 개방홀(138)과, 제2 이동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부(137)는 대체로 원통형을 이룬다. 개방홀(138)은 제2 원통부(137)의 중앙 영역에서 회전축(C)에서 편심되게 형성된다. 개방홀(138)은 제2 원통부(137)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2 원통부(137)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또한 전극(T, 도 1)이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내경을 가진다. 개방홀(138)의 단면 프로파일은 유도 유닛(130')의 하강 방향(D, 도 1)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전극(T, 도 1)이 개방홀(138)에 삽입되는 과정에 사용자가 그들 간의 정렬을 위한 노력을 덜 기울일 수 있게 한다. 제2 이동부(139)는 제2 원통부(137)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대경부(132'b)의 내면에 형성되는 원형 궤적의 제2 그루브(140)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T, 도 1)이 개방홀(138)을 향해 삽입됨에 따라, 제1 원통부(131)의 나선형 하강 운동과 더불어, 개방홀(138)은 원형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개폐 모듈(136)은 회전축(C)을 따라 회전하면서, 관통홀(132'), 구체적으로는 소경부(132'a)가 개폐되게 한다. 이러한 개폐 작동에 있어서, 한 쌍의 개폐 모듈(136)은 각각 독립적이다.
본 도면에서는, 좌측의 개폐 모듈(136)은 대응하는 소경부(132'a)를 차단한 상태를, 우측의 개폐 모듈(136)은 그에 대응하는 소경부(132'a)를 개방한 상태인 것을 한 번에 보이고 있다.
본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으나, 제2 원통부(137)와 대경부(132'b)의 내면 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제2 원통부(137)를 탄성적으로 잡아 당겨서, 개방홀(138)이 소경부(132'a)에 비 정렬된 상태로 편향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경부(132'a)가 삽입구(114, 도 4)에 정렬되지 않게 엇갈려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모듈(136)이 소경부(132'a)를 차단하고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어린이가 금속성 부재로 개방홀(138)을 찌른다고 하여도, 위의 2가지의 과제(비 정렬 및 차단)를 모두 해결하기는 어렵다. 결과적으로, 상기 금속성 부재가 접속단자(116, 도 4)에 연결되어, 어린이가 감전될 가능성은 앞선 실시예보다 더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콘센트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20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콘센트(200)의 유도 유닛(230)이 플러그에 의해 하강 방향(D)으로 눌려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콘센트(200)는 바디 유닛(210)과, 유도 유닛(230)과, 상승구동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유닛(210)은 몸체부(210a)와, 수용부(211)와, 삽입구(214)와, 걸림부(215)와, 접속단자(21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15)는 수용부(211)의 벽면(212)의 상측에서 수용부(211)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15)는 수용부(211)의 원주 상에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15)는 그의 자유단이 하강 방향(D)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도 유닛(230)[구체적으로 몸체부(231)]은 벽면(212)의 상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P1)에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접혀져서 위로 솟아오른 형태를 가진다. 유도 유닛(230)[구체적으로 몸체부(231)]은 벽면(212)의 하측에 대응하는 제2 위치(P2)에서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진 형태를 가진다. 유도 유닛(230)은, 몸체부(231)와, 관통홀(232)과, 돌출부(236)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231)는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접혀지거나 펴짐이 가능한 탄성 플레이트이다. 몸체부(231)는 그의 전체가 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위의 접힘과 펼침을 위한 일 부분만이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232)은 몸체부(23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다. 유도 유닛(230)이 제1 위치(P1)에 위치한 경우에, 한 쌍의 관통홀(232)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L1 및 L2)은 삽입구(214)를 지향하는 방향에서 벗어나 있다. 물론, 위 직선(L1 및 L2)은 유도 유닛(230)이 제2 위치(P2)에 위치한 경우에는 삽입구(214)와 일렬로 정렬된다. 돌출부(236)는 몸체부(23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제1 위치(P1)에서 걸림부(215)에 걸려진다.
상승구동 유닛(250)은 바닥면(213)과 유도 유닛(230) 사이에 배치되어, 유도 유닛(230)이 하강 방향(D)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이러한 상승구동 유닛(250)으로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예시하고 있으나, 극성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자기적 척력이 발생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승구동 유닛(250)은 유도 유닛(230)의 특성에 따라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유도 유닛(230)이 스스로 탄성적으로 접혀져서 솟아오른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반드시 제1 위치(P1)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유도 유닛(230)은 솟아오른 형태로서 제2 위치(P2)에서 플러그(P, 도 1)가 삽입됨에 따라 펼쳐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도 유닛(230)은 콘센트(200)에 대한 시야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대기 상태에서 제1 위치(P1)에 있거나 제2 위치(P2)에 있더라도 솟아 오른 형태를 가져서 사용자가 플러그(P, 도 1)를 꽂을 위치[관통홀(232)]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플러그(P, 도 1)를 꽂으면서 그의 몸체(B, 도 1)로서 유도 유닛(230)을 누르지 않는 한, 관통홀(232)과 삽입구(214)가 정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어린이들이 젓가락 등 금속성 부재를 관통홀(232)과 삽입구(214)를 통과한 후에 접속단자(216)에 접촉시키기는 어렵게 한다.
이상의 유도 유닛(230)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은 유도 유닛(23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몸체부(231)는,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과, 중앙 영역(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235)에 의해 서로에 대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영역(235)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에는 각각 관통홀(232)이 하나씩 형성된다.
중앙 영역(235)은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영역(233)에 대해 제2 영역(234)에 경사를 갖도록 휘어지거나 그와 반대로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1 영역(233) 및 제2 영역(234)이 중앙 영역(235)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중앙 영역(235)은 또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위와 같은 휘어짐이나 펼쳐짐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돌출부(236)는 제1 영역(233) 또는 제2 영역(234)에 대해 하강 방향(D, 도 6)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할 수도 있다.
몸체부(231)의 재질과 관련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라인(Ⅸ-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 유닛(230)은 재질적인 관점에, 금속 판스프링(237)과, 수지물(240)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237)은 중앙 영역(235)에 위치하며, 나아가서는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에도 배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판스프링(237)은 중앙 영역(235)에 대응하는 제1 부분(238)과, 제1 영역(233) 및 제2 영역(234)에 대응하는 제2 부분(2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38)이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면, 제2 부분(239)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양자는 대략 90°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지물(240)은 판스프링(237)에 인서트 사출되어 판스프링(237)과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수지물(240)은 판스프링(237) 위에 얹혀지는 형태로서,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에만 존재하거나, 그와 달리 중앙 영역(235)에 존재하더라도 제1 영역(233)과 제2 영역(234) 보다는 얇은 두께로 존재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유도 유닛(230)이 판스프링(237)과 수지물(240)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나, 그와 달리 유도 유닛(230)을 전체적으로 탄력성 있는 수지물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콘센트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300)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콘센트(300)는 바디 유닛(310)과, 유도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유닛(310)은 몸체부(310a)와, 수용부(311)와, 삽입구(314)와, 유도 공간(315)과, 접속단자(316)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공간(315)은 몸체부(310a)의 바닥면(313)의 하측에는 형성된다. 유도 공간(315)에 의해, 삽입구(314)는 상부 삽입구(314a)와, 하부 삽입구(314b)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부 삽입구(314a)는 유도 공간(315)의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 삽입구(314b)는 유도 공간(315)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부 삽입구(314a)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줄어드는 두 개의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부 삽입구(314b)의 밑단에는 접속단자(316)가 배치된다.
유도 유닛(330)은 유도 공간(315)에 배치되며, 탄성 플레이트(331)와, 관통홀(332)과, 샤프트(333)와, 안내 돌기(335)와, 곡면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331)는 바닥면(313)에 대체로 평해하게 배치된다. 탄성 플레이트(331)는 연성 소재,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로 형성되어, 폭 방향(W)의 신축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332)은 탄성 플레이트(331)에 관통 개구되며, 그들은 한 쌍의 삽입구(314)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샤프트(333)는 유도 공간(315)에 설치되어, 탄성 플레이트(331)를 하부 삽입구(314b)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안내 돌기(335)는 탄성 플레이트(331)의 상면 측에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관통홀(332) 각각의 외측에 병렬적으로 배열된다. 안내 돌기(335)는 상부 삽입구(314a)로 삽입되는 전극(T, 도 1)을 관통홀(332)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안내 돌기(335)의 관통홀(332)과 인접한 부분에는 곡면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311)로 플러그(P, 도 1)가 삽입됨에 따라 전극(T, 도 1)은 상부 삽입구(314a)를 통과하여 탄성 플레이트(331)의 안내 돌기(335)와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P, 도 1)를 하강 방향(D)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전극(T, 도 1)은 안내 돌기(335)를 가압하여 탄성 플레이트(331)가 폭 방향(W)의 양 방향으로 신장되게 한다. 그에 의해, 한 쌍의 관통홀(33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전극(T, 도 1)은 관통홀(332)을 통과하여 하부 삽입구(314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 플레이트(331)는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동시에 폭 방향(W)의 양측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도 유닛(330)의 유도에 따라 플러그(P, 도 1)가 콘센트(300)에 꽂혀진다. 하부 삽입구(314b)에 비 정렬된 관통홀(332)은 플러그(P, 도 1)가 꽂힘에 의해 변형되어, 하부 삽입구(314b)에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반면에, 어린이 등이 젓가락 등을 가지고 삽입구(314)에 찔러 넣는 경우라면, 위와 같이 관통홀(332)을 하부 삽입구(314b)에 정렬시키는 과정이 그에는 간단하지 않아서, 그러한 장난 시에 감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위의 콘센트(300)에 대한 일 변형예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의 콘센트(3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콘센트(3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콘센트(300')는, 바디 유닛(310)과, 유도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 유닛(310)은 앞선 실시예의 바디 유닛(310)과 대체로 동일하다.
유도 유닛(330')은, 탄성 플레이트(331')와, 관통홀(332)과, 샤프트(333)와, 안내 돌기(335)와, 곡면부(336)와, 포스트(337')와, 탄성체(338' 및 339')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331')는 제1 영역(331'a)과 제2 영역(331'b)으로 나눠질 수 있다. 제1 영역(331'a)과 제2 영역(331'b) 각각에는 관통홀(332)과 안내 돌기(335)[및 곡면부(336)]가 하나씩 형성된다. 포스트(337')는 제1 영역(331'a)과 제2 영역(331'b) 사이에 세워지도록 몸체부(310a)에 연결된다. 제1 탄성체(338')는 포스트(337')에 제1 영역(331'a)을 연결하고, 제2 탄성체(339')는 포스트(337')에 제2 영역(331'b)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플레이트(331')의 신장력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탄성체(338' 및 339')가 큰 신장력을 가져서, 플러그(P, 도 1) 삽입 시에 관통홀(332)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300,300':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10,210,310: 바디 유닛 111,211,311: 수용부
114,214,314: 삽입구 130,130',230,330,330': 유도 유닛
132,132',232,332: 관통홀 133: 제1 이동부
150,250: 상승구동 유닛

Claims (23)

  1. 벽면과 상기 벽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수용부와, 상기 바닥면에 개구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를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의해 눌려져서 하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에 대해 일렬로 정렬되게 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 각각에 접속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상면 측에서의 제1 내경이 상기 유도 유닛의 하면 측에서의 제2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 유닛이 상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상승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구동 유닛은,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유도 유닛에 연결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벽면의 상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벽면의 하측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나선형 회전 궤적을 그리며 하강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중앙 영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이 개구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주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나선형 경로를 따라 하강하게 하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제1 원통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볼; 및
    상기 제1 원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볼을 상기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원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플러그의 전극이 관통되는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대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모듈에는, 상기 대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심되며 상기 플러그의 전극이 관통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중앙 영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홀이 개구되는 제2 원통부;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를 형성하는 벽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2 원통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벽면의 상측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게 하여,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솟아오른 형태를 갖게 하는 탄성 재질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는 금속 판스프링; 및
    상기 금속 판스프링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만 존재하거나,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보다 얇은 두께로 존재하는 수지물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스프링은,
    상기 중앙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벽면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유도 유닛의 하강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 유닛에 연결되고, 탄성 재질의 소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이 상기 한 쌍의 삽입구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상기 한 쌍의 관통홀 각각에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전극을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향해 연장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 유닛에 연결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1 영역을 연결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1020120033653A 2012-03-31 2012-03-31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10133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53A KR101336335B1 (ko) 2012-03-31 2012-03-31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53A KR101336335B1 (ko) 2012-03-31 2012-03-31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113A true KR20130111113A (ko) 2013-10-10
KR101336335B1 KR101336335B1 (ko) 2013-12-06

Family

ID=4963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653A KR101336335B1 (ko) 2012-03-31 2012-03-31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3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88A1 (ko) * 2014-05-28 2015-12-03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WO2015182987A1 (ko) * 2014-05-27 2015-12-03 배봉관 안전콘센트
KR20150136390A (ko) * 2014-05-27 2015-12-07 배봉관 안전콘센트
KR20150136906A (ko) * 2014-05-28 2015-12-08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20160024739A (ko) * 2014-08-25 2016-03-07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WO2019088307A1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태주산업 안전 콘센트
CN111478091A (zh) * 2020-04-18 2020-07-31 冷辉 一种安全型插座
KR102146060B1 (ko) * 2019-05-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켓장치
KR20200108363A (ko) * 2018-02-05 2020-09-1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집적 회로 메모리의 패키지에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는 메모리 시스템
EP3754789A1 (en) * 2019-06-21 2020-12-23 Simon, S.A.U. Protector and electrical socket provided with the protector
KR20210156261A (ko) * 2019-02-14 2021-12-24 부영빈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20230022070A (ko) * 2021-08-06 2023-02-14 김명원 콘센트의 원형 홈 부분에 장궁형 돌출물이 형성된 플러그 꽂이부 콘센트
EP4170829A1 (fr) 2021-10-22 2023-04-26 H.B.F. Prise électrique à insertion et extraction facilitée
FR3128593A1 (fr) * 2021-10-22 2023-04-28 H.B.F. Prise facile à insérer et à retir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93A (ko) * 1993-09-28 1995-04-26 배순훈 안전덮개가 부착된 콘센트
KR0125092Y1 (ko) * 1995-02-17 1998-09-15 이장우 전원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0389306Y1 (ko) 2005-04-27 2005-07-07 현동길 안전 전원콘센트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87A1 (ko) * 2014-05-27 2015-12-03 배봉관 안전콘센트
KR20150136390A (ko) * 2014-05-27 2015-12-07 배봉관 안전콘센트
WO2015182988A1 (ko) * 2014-05-28 2015-12-03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20150136906A (ko) * 2014-05-28 2015-12-08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20160024739A (ko) * 2014-08-25 2016-03-07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WO2019088307A1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태주산업 안전 콘센트
KR20200108363A (ko) * 2018-02-05 2020-09-1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집적 회로 메모리의 패키지에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는 메모리 시스템
KR20210156261A (ko) * 2019-02-14 2021-12-24 부영빈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102146060B1 (ko) * 2019-05-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켓장치
EP3754789A1 (en) * 2019-06-21 2020-12-23 Simon, S.A.U. Protector and electrical socket provided with the protector
WO2020254687A1 (en) 2019-06-21 2020-12-24 Simon S.A.U. Protector and electrical socket provided with the protector
CN113994546A (zh) * 2019-06-21 2022-01-28 西蒙独资有限公司 保护器及设有该保护器的电插座
CN111478091A (zh) * 2020-04-18 2020-07-31 冷辉 一种安全型插座
CN111478091B (zh) * 2020-04-18 2021-11-26 新沂市五联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型插座
KR20230022070A (ko) * 2021-08-06 2023-02-14 김명원 콘센트의 원형 홈 부분에 장궁형 돌출물이 형성된 플러그 꽂이부 콘센트
EP4170829A1 (fr) 2021-10-22 2023-04-26 H.B.F. Prise électrique à insertion et extraction facilitée
FR3128593A1 (fr) * 2021-10-22 2023-04-28 H.B.F. Prise facile à insérer et à reti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335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335B1 (ko)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EP3082199B1 (en) Waterproof socket
CN205670688U (zh) 一种电子烟的充电座
US8834186B2 (en) Power socket and safety gate mechanism thereof
CN103354964B (zh) 安全插座
TW201318286A (zh) 旋轉式插座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WO2015072849A1 (en)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components of said connector and a device with such a connector component
CN202004220U (zh) 安全插座和电气插接设备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CN105206973B (zh) 防触电插座
CN106129741A (zh) 电源插座
KR200457427Y1 (ko)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WO2020248085A1 (zh) 纵向滑动安全门
CN105655805B (zh) 夜用插座
KR100636410B1 (ko)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TW202037016A (zh) 多工型軌道插座
CN107039863B (zh) 旅行电源转换插座
EP3192132B1 (en) Socket outlet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KR102304412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매립형 콘센트
KR101621775B1 (ko) 구획공간이 마련된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2487087B1 (ko) 안전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