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268A - 벨트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268A
KR20130042268A KR1020110106455A KR20110106455A KR20130042268A KR 20130042268 A KR20130042268 A KR 20130042268A KR 1020110106455 A KR1020110106455 A KR 1020110106455A KR 20110106455 A KR20110106455 A KR 20110106455A KR 20130042268 A KR20130042268 A KR 2013004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belt
vibration
process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효
Original Assignee
황재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효 filed Critical 황재효
Priority to KR102011010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268A/ko
Publication of KR2013004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과 띠의 연결부위에 결합되거나, 띠 부분에 끼워 사용하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일정 주기로 온/오프 시간을 제공하고, 온 시간 때의 복부 수축 여부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여, 휴식시간과 운동시간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도록 한 벨트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진동장치는 사용자의 허리 벨트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벨트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상기 벨트의 팽창 또는 수축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운동기인 제1시간과 휴식기인 제2시간을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설정시간에 따라 교번하여 반복하고, 상기 제1시간에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벨트의 팽창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 및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어신호의 발생을 위한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벨트 진동 장치{The belt v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복근 운동을 위한 벨트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클과 띠의 연결부위에 결합되거나, 띠 부분에 끼워 사용하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일정 주기로 온/오프 시간을 제공하고, 온 시간 때의 복부 수축 여부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여, 휴식시간과 운동시간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도록 한 벨트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양한 운동방법, 운동기구, 식이요법 등이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중량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큰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복부에 힘을 준 상태를 유지하는 복부 긴장유지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복부 긴장유지 방법은 시행자의 복부를 항시 긴장상태로 유지하여, 복부 근육을 증가시키고, 지방 및 열량의 소모를 유도함과 아울러, 시행자의 자세를 바르게 하는 장점으로 인해, 이를 시행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복부 긴장유지 방법은 시행자가 항시 주의를 기울여 해야하고 집중하여 시행하지 않는 경우 원하는 운동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때문에 종래에는 진동장치를 가지는 복대(복부 압박대) 형태의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복대형 장치는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어 이용되며, 사용자가 긴장을 풀어 복부가 팽창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주로 진동을 통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집중하여 복부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복대장치는 별도의 착용으로 인해 사용이 번거롭고, 신체에 밀착되는 복장 착용시, 착용 여부를 타인이 인지할 수 있는 등의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굳은 의지를 가지지 않고는 지속적으로 착용 및 이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1(한국공개실용 공개번호20-2009-0007012, 출원일 2008. 01. 07) 및 선행기술2(한국등록실용 20-0217406, 출원일 2000. 09. 06)과 같이 혁대의 버클이 진동기의 역할을 겸하도록 한 기능성 버클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선행기술1 및 2는 모두 버클이 진동기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여 착용방법은 비교적 편해지게 됐지만, 여전히 사용자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들의 진동장치들은 복부가 긴장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완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복부가 항시 긴장상태를 유지하게끔 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들에 제시된 진동장치는 단순히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위치 기능에 국한되고 이로인해 종래의 진동장치들을 착용한 사용자는 착용한 시간 내내 긴장을 해야하고, 이로 인해 과도한 피로, 신체적 고통 등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의 진동장치들은 사용자의 강한 의지가 없이는 착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운동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실용 20-2009-0007012, 출원일 2008. 01. 07, 신축성을 가진 진동 건강 혁대 2. 한국등록실용 20-0217406, 출원일 2000. 09. 06, 허리벨트의 복부팽창 알림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일정시간의 운동시간과 휴식시간을 반복하여 제공하고, 운동시간 동안 사용자 복부의 이완/수축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운동시간을 종료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휴식시간과 운동시간의 반복에 따른 운동효과 증대, 사용자 신체 부담에 따른 운동시간의 조절 및 이를 통한 착용자의 불편함 및 과도한 신체적 부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한 벨트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진동장치는 사용자의 허리 벨트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벨트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상기 벨트의 팽창 또는 수축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운동기인 제1시간과 휴식기인 제2시간을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설정시간에 따라 교번하여 반복하고, 상기 제1시간에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벨트의 팽창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 및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어신호의 발생을 위한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의 시작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또는 상기 벨트의 팽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벨트의 팽창이 유지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유휴시간 이상 경과되는 시점에 상기 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동안 진동이 발생한 진동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면, 제1시간을 종료하고 제2시간을 시작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 진동이 종료된 시점과 다음 진동이 시작되기 직전 사이의 유휴시간을 계측하여 합산하며, 상기 유휴시간의 총 합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시간을 종료하고, 상기 제2시간을 시작하며, 상기 제2시간의 경과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시간을 시작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벨트가 수축되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 발생을 중지시킨다.
상기 벨트진동장치는 상기 벨트의 버클과 스트랩을 연결하도록 상기 버클과 상기 스트랩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스트랩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진동장치는 사용자에게 일정시간의 운동시간과 휴식시간을 반복하여 제공하고, 운동시간 동안 사용자 복부의 이완/수축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운동시간을 종료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휴식시간과 운동시간의 반복에 따른 운동효과 증대, 사용자 신체 부담에 따른 운동시간의 조절 및 이를 통한 착용자의 불편함 및 과도한 신체적 부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벨트진동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3은 도 1의 축수납부 및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탄성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진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벨트진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벨트진동장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벨트진동장치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200)는 버클(100)과 스트랩(150) 사이에 결합된다.
벨트진동장치(200)는 일단은 버클(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트랩(150)에 결합되어, 스트랩(15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벨트진동장치(200)는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210)가 버클결합부(110)와 결합되어, 버클(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버클결합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힌지부(105)에 의해 버클(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벨트진동장치(200)의 타측은 축수납부(220)가 형성되며, 축수납부(220)를 관통하는 축(230)에 결합되는 축결합부(225)에 의해 스트랩(150)과 결합된다. 이때, 축(230)과 축수납부(220)가 힌지의 역할을 하게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벨트진동장치(200)와 버클(100) 및 띠(150)의 결합구조는 일례로 제시된 것으로, 벨트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연결방법을 달라질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1), 스위치(202), 진동모터(203), 입력부(204) 및 배터리(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201)는 스위치(202)로부터의 신호 여부에 따라 진동모터(2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프로세서(201)는 진동모터(20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입력부(204)로 입력되는 설정조건을 확인하고, 설정조건이 부합하는 경우 진동모터(203)를 구동시켜 사용자에 대해 알람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세서(201)에 의한 진동모터 제어방법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위치(202)는 복부 팽창에 따라 스트랩(15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온/오프되며, 온/오프에 따른 전기신호를 프로세서(201)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202)는 복부 팽창에 따라 스트랩(15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치가 온 되거나 오프되도록 하고, 이러한 온/오프 신호를 프로세서(201)가 복부 팽창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스위치(202)가 온 되는 경우 사용자의 복부가 팽창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스위치(202)는 축수납부(220)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202)를 축(230)과 인접하게 설치하고, 복부의 팽창에 따라 스트랩(150)이 당겨지면, 스트랩(150)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축(230)이 스위치(202)를 가압하도록 하여 복부의 팽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202)는 택트스위치, 토글스위치, 압전소자와 같은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202)의 상세한 사항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진동모터(203)는 프로세서(20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입력부(20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설정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01)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04)를 통해, 알람이 유지되는 시간, 휴지기 및 활동기와 같은 벨트진동장치의 상세한 동작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정보는 입력부(204)를 통해 프로세서(201)에 전달된다. 이러한 입력부(204)는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205)는 벨트진동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05)는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일회용 전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터리(205)의 용이한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하여 배터리(205)가 벨트진동장치(2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벨트진동장치(200)에는 배터리(205)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축수납부 및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탄성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축수납부(220)는 축의 일측 종단 특히, 축결합부(225)와 벨트진동장치(200)의 연결부위 측을 만곡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축수납부(220)는 축결합부(225)에 대한 힌지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축수납부(220)는 축(230)과 함께 스위치(202)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축수납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이 띠(150) 방향 또는 이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축의 직경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축수납부(220) 내에서 축(230)은 띠(150)의 당김에 의해 A' 방향 즉, 띠(15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띠(150)의 풀림에 의해 A방향 즉, 버클(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축(230)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축(230)이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복부가 팽창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축(230)이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복부가 긴장에 의해 수축된 것으로 인지하여 진동모터(20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축수납부(220)에는 축(230)에 의한 스위치 기능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부재(260)가 수납된다. 탄성부재(260)는 사용자의 복부가 수축 상태가 되는 경우 이에 의한 스위치 동작이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축(230)을 버클(100)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 탄성부재(260)는 띠(150)에 의한 당김이 발생하는 경우 수축하여 축(230)이 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당김이 해제되는 경우 축(230)을 A방향으로 원상복귀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60)는 구부러진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축(230)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 어떠한 종류의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진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벨트진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벨트진동장치는 사용자가 복근운동을 수행하는 제1시간(TON)과 휴식을 취하는 제2시간(TOFF)을 반복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한 벨트진동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시간 시작단계(S100), 알람발생 단계(S200), 복부수축감지 단계(S300), 알람오프 단계(S500), 진동횟수 카운트 단계(S600), 제1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700), 제2시간 시작 및 유지단계(S900, S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시간 시작단계(S100)는 벨트진동장치(200)를 구비하는 벨트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이 제1시간 시작단계(S100) 이후 사용자는 복근을 수축 상태로 유지하여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알람발생 단계(S200)는 사용자의 복부가 팽창되거나 제1시간이 시작되어 사용자에게 벨트진동장치(200)의 진동에 의해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이다. 벨트진동장치(200)는 제1시간(TON)의 시작과 함께 제1시간(TON)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기간 또는 사용자의 복부가 수축될 때까지 발생시킨다. 또한, 제1시간(TON) 중에 사용자의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동작과정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알람발생단계(S200)에서 발생되는 알람은 제1시간(TON)의 시작을 알리는 알람의 경우 제1시간(TON)의 시작과 동시에 알람이 제공된다. 반면, 복부팽창에 의한 알람은 팽창이 이루어지고 난 뒤 일정시간, 예를들어, 수초 이후에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동작 과정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벨트 팽창에는 알람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부수축감지 단계(S300)는 제1시간(TON)의 시작 및 복부팽창에 의한 알람 발생 후 사용자의 복부가 수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알람오프 단계(S500)는 사용자의 복부가 수축되면, 알람발생 단계(S200)에서 발생된 알람을 중지하는 단계이다.
진동횟수 카운트 단계(S600)는 알람발생 단계(S200)에서 알람이 발생되면, 한 기간의 제1시간(TON) 동안 발생한 진동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제1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700)는 제1시간(TON)을 유지할 것인지 제2시간(TOFF)로 전환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1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700)는 진동횟수 카운트 단계(S600)에서 산출된 제1시간(TON) 동안의 진동횟수가 미리 지정된 설정횟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진동횟수 충족여부 판단단계(S700)에서 벨트진동장치(200)는 설정횟수(TN)만큼의 진동이 한 기간의 제1시간(TON) 동안 발생하면, 제2시간 시작/유지 단계(S900)를 진행하고, 설정횟수(TN) 미만의 진동이 발생하면 유휴시간 계측 단계(S800)를 진행하게 된다.
유휴시간 계측단계(S800)는 사용자의 복부팽창에 따른 진동 발생 사이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전 복부팽창에 따른 진동이 종료된 후 다음 복부팽창이 발생하여 진동이 제공되기 직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 유휴시간 계측단계(S800)에서 계측되는 유휴시간은 제1시간 중 복부가 긴장을 유지한 상태 즉,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 시간으로써 제1시간과 같거나 이보다 짧은 시간으로 결정된다. 아울러, 계측된 유휴시간의 총합은 미리설정된 제1설정시간과 비교하여 제1시간의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값으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설정시간은 설정횟수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제1시간의 유지 또는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값으로 이용되며, 유휴시간의 총 합이 제1설정시간과 같거나 이보다 크면 제1시간을 종료하고 제2시간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유휴시간 계측 단계(S800) 또는 제1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 중 어느 하나는 유휴시간의 총합을 제1설정시간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시간 시작 및 유지단계(S900, S920)는 제1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700)에서 제1시간의 종료가 결정되면, 복근 운동을 잠시 쉬는 제2시간(TOFF)을 시작 및 유지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2시간 시작 및 유지단계(S910)는 제2시간 시작/유지단계(S900) 및 제2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시간 시작/유지단계(S900)는 제1시간(TON)의 종료 이후에 도래하는 시간으로, 제2시간(TOFF) 동안 사용자의 복부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알람을 제공하지 않는 시간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시간(TON)과 제2시간(TOFF)을 교번하여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제1시간(TON)과 제2시간(TOFF)의 시작 및 종료는 제1시간유지여부 결정단계(S700) 및 제2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920)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제2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920)는 제2시간(TOFF)이 시작되고 경과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제2설정시간을 비교하여 제2시간(TOFF)의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제2시간 유지여부 결정단계(S920)에서 제2시간(TOFF)의 경과시간이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제1시간을 시작하여 알람발생 단계(S200)를 진행하게 되고, 제2설정시간 이내인 경우 제2시간(TOFF)을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벨트진동장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진동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벨트의 띠(350)부분에 끼워져 이용된다.
이를 위해 제2실시예의 벨트진동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C', 'ㄷ' 또는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띠(350)에 끼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스위치(302)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접촉면(310)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접촉면(310)은 띠(350)에 벨트진동장치(300)를 장착하는 경우, 벨트진동장치(300)가 사용자 신체 또는 옷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이 접촉면(310)에 스위치(302)가 노출되어 신체 또는 옷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302)는 눌림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복부에 의해 벨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버클 110 : 버클결합부
150, 350 : 띠 200, 300 : 벨트진동장치
201 : 프로세서 202, 302 : 스위치
203 : 진동모터 204 : 입력부
205 : 배터리 210 : 결합부
220 : 축수납부 225 : 축결합부
230 : 축 260 : 탄성부재

Claims (7)

  1. 사용자의 허리 벨트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벨트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복부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상기 벨트의 팽창 또는 수축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운동기인 제1시간과 휴식기인 제2시간을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설정시간에 따라 교번하여 반복하고, 상기 제1시간에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벨트의 팽창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 및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어신호의 발생을 위한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의 시작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또는 상기 벨트의 팽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벨트의 팽창이 유지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유휴시간 이상 경과되는 시점에 상기 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동안 진동이 발생한 진동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면, 제1시간을 종료하고 제2시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 진동이 종료된 시점과 다음 진동이 시작되기 직전 사이의 유휴시간을 계측하여 합산하며,
    상기 유휴시간의 총 합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시간을 종료하고, 상기 제2시간을 시작하며,
    상기 제2시간의 경과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시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벨트가 수축되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 발생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진동장치는
    상기 벨트의 버클과 스트랩을 연결하도록 상기 버클과 상기 스트랩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스트랩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진동장치.
KR1020110106455A 2011-10-18 2011-10-18 벨트 진동 장치 KR20130042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55A KR20130042268A (ko) 2011-10-18 2011-10-18 벨트 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55A KR20130042268A (ko) 2011-10-18 2011-10-18 벨트 진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268A true KR20130042268A (ko) 2013-04-26

Family

ID=4844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455A KR20130042268A (ko) 2011-10-18 2011-10-18 벨트 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2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46B1 (ko) * 2013-10-30 2015-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KR20170028578A (ko) 2015-09-04 2017-03-14 김창범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하는 벨트
US9743883B2 (en) 2014-10-16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10699B1 (ko) * 2018-04-09 2019-08-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자세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벨트, 이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46B1 (ko) * 2013-10-30 2015-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US9743883B2 (en) 2014-10-16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US10524729B2 (en) 2014-10-16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US11250940B2 (en) 2014-10-16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US11894122B2 (en) 2014-10-1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28578A (ko) 2015-09-04 2017-03-14 김창범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하는 벨트
KR102010699B1 (ko) * 2018-04-09 2019-08-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자세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벨트, 이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694B2 (en) Pulse wave measurement device, pulse wave measurement method,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JP5876550B1 (ja) 関節運動補助装置
KR20130042268A (ko) 벨트 진동 장치
US20130218058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lised vibrations, in particular to muscles of a user
JP2019063583A (ja) 電子機器
WO2007069111A2 (en) Device for assess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person
KR20130142133A (ko) 말초신경병증을 겪는 환자를 위한 정상 보행 회복용 비-침습성 진동촉감형 의료 장치
ITGE20130016A1 (it) Fascia per la misura dell'attivazione dei muscoli addominali
KR20070010671A (ko) 요실금 검사치료 및 골반저근과 질근육의 바이오피드백 훈련용 장치
JP2013512008A (ja) リハビリ訓練用補助器具
KR20180089126A (ko) 무릎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WO2018123243A1 (ja) 脈波測定装置および脈波測定方法、並びに血圧測定装置
US20130210577A1 (e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 comprising a vibrating handle
CN210121134U (zh) 用于测量使用者的腹部脂肪的测量装置
US20190290141A1 (en) Sphygmomanometer, and method and device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WO2012086202A1 (ja) 関節支持装具およびリハビリ装置
JP2014023773A (ja) 装着具の取付状態監視装置、歩行補助装置
JP6587452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535418B1 (ko) 복대
JP2009226025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3230356A (ja) マッサージ装置、プログラム、及び駆動方法
KR101839286B1 (ko) 경추 운동 모니터링 장치
JP2001104416A (ja) 大腿筋訓練装置
Kawamura et al. Development of an active orthosis for knee motion by using pneumatic
KR200350529Y1 (ko) 다이어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