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332A - 여과판 - Google Patents

여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332A
KR20120138332A KR1020110057728A KR20110057728A KR20120138332A KR 20120138332 A KR20120138332 A KR 20120138332A KR 1020110057728 A KR1020110057728 A KR 1020110057728A KR 20110057728 A KR20110057728 A KR 20110057728A KR 20120138332 A KR20120138332 A KR 20120138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plate
filter plat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643B1 (ko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B01D25/305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프레스에 구성되는 여과판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격판과, 격판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 및 격판을 덮어 감싸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 내주면에는 양 여과판 사이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탈수된 물이 여과판의 전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를 통해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수되고,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배수작용에 의해 여과판의 가압 시 여과판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탈수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여과판{Filter plate}
본 발명은 필터프레스에 구성되는 여과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탈수된 물을 여과판의 전 내주면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고, 탈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여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프레스는 폐수처리공정 중에서 물리적 처리나 미생물학적 처리를 거친 폐수 또는 화학적 공정에서 선공정을 마친 혼합물을 여과탈수하여 그 속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압축하여 케익 상태로 분리하는 후처리 시설이다.
이러한 필터프레스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여과판으로 폐수가 유입되면서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판에 의해 여과되어 여과판의 사이에 축척된다. 이후, 이물질이 적정이상 축적되면, 가장 외측에 배열된 여과판을 가압수단을 통해 가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여과판 사이에 축적된 이물질을 케익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압착된 이물질에서 탈수된 물은 여과판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케익 상태로 형성한 후에는 가압수단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가압된 다수의 여과판을 원상태로 이동시켜 분리함으로써 압착된 케익 상태의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여과판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여과판(1)은 크게 격판(10)과, 격판(10)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설치된 프레임(20)을 포함한다.
격판(10)은 가로와 세로 및 두께의 비율이 일정크기로 설정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격판(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천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격판(10)의 전후 양면에는 여과포(미도시)가 형성되어, 전후의 양 여과포 사이에서 걸러져 압착된 슬러지의 고형물은 케익으로 형성되고, 탈수된 물은 후술될 배수구(21)를 통해 배수된다.
한편, 격판(10)의 전후 양면 테두리 부위에는 프레임(20)이 설치되는 바, 프레임(20)은 4개의 단위프레임(20a)(20b)(20c)(20d)이 서로 연결된 사각링 형태로 형성되어, 격판(10)의 테두리 부위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20)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20d)에는 슬러지에서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21)가 천공된다.
그리고, 사각링 형태의 프레임(20) 표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재질의 오링(O링, 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여과판(1)은 폐수처리공정 중에서 물리적 처리나 미생물학적 처리를 거친 폐수가 격판(10)의 유입구(11)를 통해 다수의 여과판(1) 사이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격판(10)의 표면에 설치된 여과포에 의해 여과되어 걸러진다.
이후, 걸러진 이물질이 적정이상 축적되면, 가압수단(미도시)이 가장 외측에 배열된 여과판(1)을 가압하여 다수의 여과판(1)을 압착시키게 되고, 이에 다수의 여과판(1) 사이에서 걸러져 축적된 이물질은 탈수되면서 압착되어 케익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탈수된 물은 여과판(1)의 프레임(20)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20d)에 천공된 배수구(21)를 통해서 배수되고, 케익 상태의 이물질은 여과판(1)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탈수가 완료되면 가압수단의 복귀에 의해서 압착되어 있던 다수의 여과판(1)이 원상태로 이동되면서 분리되어, 여과판(1) 사이에서 압착된 케익 상태의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여과판(1)은 이물질의 압착과정에서 탈수된 물이 여과판(1)의 프레임(20)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20d)에 천공되어 있는 배수구(21)를 통해서만 배수되기 때문에, 탈수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 아니라 양 여과판(1) 사이에는 높은 배압이 작용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여과판(1) 사이에 작용하는 배압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20)의 표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재질의 오링을 별도로 설치하여 누수를 차단하게 되므로 부품 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탈수된 물을 여과판의 전 내주면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여과판의 가압 시 배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탈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여과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유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격판과, 격판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 및 격판을 덮어 감싸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 내주면에는 양 여과판 사이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각 배수구를 연결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프레임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 외주면에는 배수로와 연결된 출수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격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격판과 여과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유지판이 설치되고, 간격유지판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과판에 따르면,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탈수된 물이 격판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설치된 프레임의 전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를 통해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수되고,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배수작용에 의해 여과판의 가압 시 여과판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탈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과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가압(탈수)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배수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여과판(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격판(110)과, 격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간격유지판(140), 격판(110)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설치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격판(110)은 가로와 세로 및 두께의 비율이 일정크기로 설정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격판(1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천공된다.
그리고, 격판(110)의 표면 즉 격판(110)의 전면 또는 전,후 양면에는 격판(110)과 후술될 여과포(13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간격유지판(1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간격유지판(140)은 격판(110)의 양면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간격유지판(140)의 일측에는 격판(110)의 유입구(111)에 대응한 유입구(141)가 천공되어 있으며, 그 일면(여과판(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복된 다수의 돌기(142)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그 양면에 간격유지판(140)이 각각 설치된 격판(110)의 전후 양면에는 여과포(130)가 씌워져 설치되는데, 이때 간격유지판(140)의 돌기(142)에 의해서 여과포(130)와 간격유지판(140) 사이에는 돌기(142)의 높이만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포(130)에 의해 걸러지고, 걸러진 이물질이 적정이상 축적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가압수단(미도시, 통상의 '유압수단' 등을 일례로 들 수 있다)에 의해서 다수의 여과판(100)이 이동되어 여과판(100) 사이에서 이물질을 압착하여 케익으로 형성하며, 이때 이물질에서 탈수된 물은 간격유지판(140)의 돌기(142)에 의해 간격유지판(140)과 여과포(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원활하게 흘러 배수되고, 이로 인해 탈수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한편, 여과포(13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간격유지판(140)의 돌기(142)에 의해서 돌기(142)의 높이만큼 간격유지판(14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편 후술될 프레임(120)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되므로 여과포(130)가 후술될 프레임(120)의 배수구(121)를 덮어 가리므로 배수구(121)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간격유지판(140)은 필터프레스(미도시)에 설치된 여과판 중 최전방 여과판의 전면과 최후방 여과판의 후면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격판(110)의 전후 양면 테두리 부위에는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이 프레임(120)은 4개의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이 서로 연결된 사각링 형태의 틀로서, 격판(110)의 테두리 부위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120)의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 내주면(여과판(100)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복된 다수의 배수구(121)가 천공되어, 양 여과판(100) 사이에서 탈수된 물이 다수의 배수구(121)를 통해 프레임(12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수된 물이 원활하게 여과판(1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프레임(120)을 이루는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의 내측면에는 각 배수구(121)를 연결(연통)하는 배수로(122)가 형성되고,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의 배수로(122)는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의 배수로(122)와 연결(연통)되며,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120d)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120d) 외주면에는 배수로(122)와 수직하게 연결(연통)된 다수의 출수구(123)가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20) 중 상측 및 좌우측의 단위프레임(120a)(120b)(120c)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121)와, 각 배수구(121)를 연결하는 배수로(122)가 포함되지만, 하측의 단위프레임(120d)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121)와, 각 배수구(121)를 연결하는 배수로(122) 및 이 배수로(122)에 각각 수직하게 연결된 다수의 출수구(123)가 단위프레임(120d)의 외주면 측으로 천공된 것을 더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20)은 간격유지판(140) 및 격판(110)과 더불어서 여과포(130)에 의해서 감싸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이러한 여과포(130)에 의해 이물질은 걸러지고 탈수된 물만이 여과포(130)를 통과하여 프레임(120)의 각 배수구(121)를 통해 배수된다.
따라서, 양 여과판(100) 사이에서 압착되는 이물질에서 탈수된 물은 여과판(100)의 가압력에 의해서 여과포(130)를 통과하여 프레임(120)의 전 내주면 측으로 신속하게 퍼져 흐른다. 이때, 유입구(111)(141)를 기준으로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 상측의 물은 상측의 단위프레임(120a)에 천공된 배수구(121)로, 유입구(111) 좌우측의 물은 좌우측의 단위프레임(120b)(120c)에 천공된 배수구(121)로, 유입구(111) 하측의 물은 하측의 단위프레임(120d)에 천공된 배수구(121)로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수되고, 각 배수구(121)로 배수된 물은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에 형성된 배수로(122)에서 합쳐지면서 각 배수로(122)를 따라 흘러 하측의 단위프레임(120d)에 형성된 배수로(122)로 집수되며, 하측 단위프레임(120d)의 배수로(122)와 연결된 다수의 출수구(123)를 통해서 여과판(10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여과판(100)은 폐수처리공정 중 물리적 처리나 미생물학적 처리를 거친 폐수가 격판(110)과 간격유지판(140)의 유입구(111)(141)를 통해 다수의 여과판(100) 사이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간격유지판(140)의 표면에 설치된 여과포(130)에 의해 여과되어 걸러진다.
이후, 걸러진 이물질이 적정이상 축적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가압수단(미도시)이 가장 외측에 배열된 여과판(100)을 가압하여 다수의 여과판(100)을 압착시키게 되고, 이에 다수의 여과판(100) 사이에서 걸러져 축적된 이물질은 탈수되면서 압착되어 케익 상태로 형성되고, 탈수된 물은 여과포(130)를 통과하여 간격유지판(140) 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탈수된 물은 간격유지판(110)의 돌기(142)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흐르게 되는데, 이와 같이 흐르는 물은 유입구(111)(141)를 기준으로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물은 상측 단위프레임(120a)의 배수구(121)로 배수되고, 좌우측의 물은 좌우측 단위프레임(120b)(120c)의 배수구(121)로 배수되며, 하측의 물은 하측 단위프레임(120d)의 배수구(121)로 배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수된 물은 다시 각 단위프레임(120a)(120b)(120c)에 형성된 배수로(122)에서 합쳐지면서 각 배수로(122)를 따라 흘러 하측 단위프레임(120d)의 배수로(122)로 배수되며, 이는 다시 하측 단위프레임(120d)의 배수로(122)와 연결된 다수의 출수구(123)를 통해서 여과판(10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배수작용에 의해 여과판(100)의 가압 시 여과판(10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탈수시간이 많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탈수된 양 여과판(100) 사이의 이물질은 케익 상태로서, 탈수의 완료 후 가압수단의 복귀에 의해 압착되어 있던 다수의 여과판(100)이 원상태로 이동되어 분리됨으로써, 여과판(100) 사이에서 압착된 케익 상태의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된다.
100 : 여과판 110 : 격판
111 : 유입구 120 : 프레임
120a,120b,120c,120d : 단위프레임 121 : 배수구
122 : 배수로 123 : 출수구
130 : 여과포 140 : 간격유지판
141 : 유입구 142 : 돌기

Claims (3)

  1. 유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격판과, 격판의 전후면 테두리 부위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 및 격판을 덮어 감싸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 내주면에는 양 여과판 사이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각 배수구를 연결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프레임 중 하측의 단위프레임 외주면에는 배수로와 연결된 출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격판과 여과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유지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
KR1020110057728A 2011-06-15 2011-06-15 여과판 KR10125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728A KR101253643B1 (ko) 2011-06-15 2011-06-15 여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728A KR101253643B1 (ko) 2011-06-15 2011-06-15 여과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332A true KR20120138332A (ko) 2012-12-26
KR101253643B1 KR101253643B1 (ko) 2013-04-26

Family

ID=4790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728A KR101253643B1 (ko) 2011-06-15 2011-06-15 여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702A (ko) * 2019-04-16 2020-10-26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600B1 (ko) * 2004-10-22 2006-04-10 강대길 폐수처리용 탈수기의 여과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702A (ko) * 2019-04-16 2020-10-26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643B1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350B1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
CN105776809B (zh) 一种污泥脱水装置
JP2020049452A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浸透圧脱水方法及び浸透圧脱水システム
CN207237401U (zh) 有移动滤板的压滤装置
KR100993588B1 (ko)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967169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253643B1 (ko) 여과판
WO2014142073A1 (ja) フィルタープレス及び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ろ過方法
CN109078366A (zh) 一种组合式滤板及其制备方法
JP599958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JP3447767B2 (ja) 逆洗可能なフイルター装置及び該フイルターの逆洗方法
JP5874983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KR100412635B1 (ko) 폐기슬러지탈수장치
KR101407058B1 (ko) 돌기부가 형성된 필터프레스용 여과판
RU102196U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плита фильтр-пресса
JP2008264621A (ja) フィルタープレス
CN216395474U (zh) 一种污水处理过滤设备
JP2015123427A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ろ液排出構造
KR101559926B1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멤브레인 플레이트유닛
JP5999580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運転方法
KR20090002703A (ko) 스틸 금속망을 갖는 필터프레스용 여과포
RU194404U1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обезвожи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KR20190026282A (ko) 하·폐수 처리용 슬러지 여과장치
KR20030095707A (ko) 폐수처리용 탈수기
KR101632734B1 (ko) 부직포를 이용한 공극제어형 오폐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