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934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934A
KR20120082934A KR1020127014414A KR20127014414A KR20120082934A KR 20120082934 A KR20120082934 A KR 20120082934A KR 1020127014414 A KR1020127014414 A KR 1020127014414A KR 20127014414 A KR20127014414 A KR 20127014414A KR 20120082934 A KR20120082934 A KR 2012008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ir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325B1 (ko
Inventor
요시떼루 노우찌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와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은 실내기 케이싱(31) 및 풍향 조절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케이싱(31)은 흡입구(35) 및 흡입구(35)측의 테두리가 흡입구(35)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는 장변 분출구(51 내지 54)를 갖고 있다. 풍향 조절부(70)는 장변 분출구(51 내지 54)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흡입구(35)측의 테두리가 흡입구(35)측을 향해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구의 주위에 분출구가 형성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에 의해, 대상 공간의 광범위를 조화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의 형상이,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지도록 형성된 직사각형이다. 이로 인해,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를 보다 멀리 도달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분출구의 형상에 대해,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한 폭 방향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조화 공기의 먼 곳 도달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폭 방향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경우에는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를 초래해 버린다.
이에 대해서는, 분출구의 형상을 흡입구측으로 넓힘으로써,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를 억제시키면서, 조화 공기의 먼 곳 도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분출구의 형상을 흡입구측으로 넓혀 버리면,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조화 공기가, 바로 근처의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버린다고 하는 쇼트 서킷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와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실내기 케이싱 및 풍향 조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케이싱은 흡입구 및 흡입구측의 테두리가 흡입구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는 분출구를 갖고 있다. 풍향 조절 부재는 분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흡입구측의 테두리가 흡입구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가 흡입구측으로 팽창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류속(air flux)을 두껍게 하여, 분출구의 중앙 근방을 통과하는 조화 공기의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함으로써,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출구가 팽창되어 있는 방향이 흡입구측이므로,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분출구를 흡입구측으로 팽창시킴으로써 분출구와 흡입구의 거리는 근접해 버리지만, 풍향 조절 부재의 흡입구측의 형상이, 분출구와 마찬가지로, 흡입구측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분출구 중 흡입구측의 부분으로부터 흡입구를 향하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기 쉽고, 쇼트 서킷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와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천장 매립형이다. 그리고,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을, 분출구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보다도 하방을 향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을 분출구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보다도 하방을 향하게 하는 것은, 분출구 단독으로, 풍향 조절 부재 단독으로, 혹은 분출구 및 풍향 조절 부재가 협동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은 길이 방향 중앙 근방과 비교하여 공기 흐름이 느려, 천장면을 따르도록 공기가 흐르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대해,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는 중앙으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보다도,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장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는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의 테두리면의 경사가, 길이 방향의 중앙의 테두리면의 경사보다도 심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풍향 조절 부재가 어떤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을,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시킬 수 있으므로, 천장 오염 방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2 발명 또는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의 팽창은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 단부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풍향 조절 부재의 팽창은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 단부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출구 중앙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기류속이 두꺼워, 초기 속도를 보다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40 내지 80%이다. 분출구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의 팽창 부분끼리를 접속하는 직선 형상 부분을 갖고 있다. 풍향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20 내지 60%이다. 풍향 조절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의 팽창 부분끼리를 접속하는 직선 형상 부분을 갖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가, 단부보다도 폭이 넓은 직선 형상 부분을 갖고 있으므로,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풍향 조절 부재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분출구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의 풍향 조절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풍향 조절 기능을 확보하면서,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4 발명 또는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의 상기 흡입구측으로의 팽창 정도는, 적어도 분출구의 상기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으로의 팽창 정도보다도 크다. 풍향 조절 부재의 흡입구측으로의 팽창 정도는 적어도 풍향 조절 부재의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으로의 팽창 정도보다도 크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는 길이 방향 단부에 근접할수록 분출 풍속이 낮아져 쇼트 서킷을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흡입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의 중앙으로부터의 분출 기류속이 두꺼워, 그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함으로써,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풍향 조절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 흡입구측을 절결하는 형상으로 하는 일 없이, 분출구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흡입구측의 팽창 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풍향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흡입구측 부분과, 분출구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흡입구측 부분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공기가 일으키는 쇼트 서킷을 억제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2 발명으로부터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는 분출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풍향 조절 부재의 테두리는 풍향 조절 부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 부분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천장 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으로부터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 부재의 흡입구측은 분출구의 흡입구측을 따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의 흡입구측 단부로부터, 흡입구측을 향해 흐르는 쇼트 서킷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분출구와 풍향 조절 부재의 형상 관계에 대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9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으로부터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 부재가 설치된 분출구는 흡입구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조화 공기를 4방향으로 분출하기 위해, 조화 가능한 대상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제10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9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연속 분출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연속 분출구는 풍향 조절 부재가 설치된 분출구 이외에, 분출구끼리의 사이에 더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연속 분출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실내기의 주위에 균등하게 조화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속 분출구가 형성됨으로써 조화 공기가 분출되는 합계 면적이 커지면, 풍향 조절 부재가 설치된 분출구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의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지만, 그 경우라도, 분출구의 형상에 대해 내측으로 팽창된 형상을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분출구로부터의 조화 공기의 초기 속도의 저하 정도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으로부터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풍향 조절 제어부는 풍향 조절 부재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풍향을 조절한다. 풍향 조절 제어부는 공조 운전의 정지 시에, 분출구를 폐쇄하도록 풍향 조절 부재의 자세를 조절한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공조 운전의 정지 시에는 분출구의 내부가 풍향 조절 부재에 의해 가려지므로, 실내기의 내용을 보기 어려워,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와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천장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천장 오염 방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풍향 조절 기능을 확보하면서,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의 중앙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의 기류속을 두껍게 하여,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천장 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의장성을 향상시키면서, 쇼트 서킷을 억제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조화 가능한 대상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제10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조화 공기를 주위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제1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공조 운전의 정지 시에는 분출구의 내부가 풍향 조절 부재에 의해 가려지므로, 실내기의 내용을 보기 어려워,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평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도 3 중 A-O-A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닥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6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7은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8은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9는 풍향 조절부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풍향 조절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부분 확대 외관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중 C-C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풍량 억제 제어의 이미지도이다.
도 15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풍량 억제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기가 채용된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실내기의 타입이 천장에 매립됨으로써 설치되는 타입으로, 8개의 분출구를 갖고, 그 중 4개의 분출구에 설치된 풍향 조절판의 경사 각도를 풍향 조절판마다 독립하여 회전 제어할 수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1)는 스플릿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로, 주로, 실외 유닛(2), 실내 유닛(4),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을 접속하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 및 제어부(7)를 갖고 있고,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0)를 구성하고 있다.
<1-1> 실외 유닛(2)
실외 유닛(2)은 실외 등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 압축기(21), 4로 전환 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팽창 밸브(24),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 및 실외 팬(27)을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저압의 가스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한 후에 토출하기 위한 압축기이다.
4로 전환 밸브(22)는 냉방과 난방의 전환 시에,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다. 4로 전환 밸브(22)는, 냉방 시에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동시에 가스측 폐쇄 밸브(26)와 압축기(21)의 흡입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에 있어서의 4로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또한, 4로 전환 밸브(22)는, 난방 시에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26)를 접속하는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과 압축기(21)의 흡입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에 있어서의 4로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방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그 액측이 팽창 밸브(24)에 접속되어 있고, 가스측이 4로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팽창 밸브(24)는, 냉방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42)(후술)로 보내기 전에 감압하고, 난방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기 전에 감압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팽창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5) 및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외부의 기기ㆍ배관[구체적으로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5)는 팽창 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4로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팬(27)은 실외 유닛(2)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실외 공기를 공급한 후에, 유닛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실외 열교환기(23)는 실외 공기를 냉각원 또는 가열원으로 하여 냉매를 응축이나 증발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1-2> 실내 유닛(4)
실내 유닛(4)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천장 매립형이라고 불리는 형식의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로, 실내기 케이싱(31), 실내 팬(41), 실내 열교환기(42), 드레인 팬(40) 및 벨 마우스(41c) 등을 갖고 있다.
도 2에 실내 유닛(4)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실내 유닛(4)의 천장판(33a)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내 유닛(4)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고, 도 3 중에 A-O-A로 나타내는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한다.
실내기 케이싱(31)은 케이싱 본체(31a), 화장 패널(32) 및 풍향 조절부(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31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실의 천장(U)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평면에서 볼 때, 장변과 단변이 교대로 형성된 대략 8각 형상의 상자 형상체이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케이싱 본체(31a)는 장변과 단변이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된 대략 8각 형상의 천장판(33a)과, 천장판(33a)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34)과, 천장판(33a) 및 측판(34)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판(33b)을 갖고 있다. 측판(34)은 천장판(33a)의 장변에 대응하는 측판(34a, 34b, 34c, 34d)과, 천장판(33a)의 단변에 대응하는 측판(34e, 34f, 34g, 34h)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34h)에는 실내 열교환기(42)와 냉매 연락관(5, 6)을 접속하기 위한 액측 접속관(5a) 및 가스측 접속관(6a)이 관통하고 있다. 바닥판(33b)은 화장 패널(32)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하면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대략 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을 구성한다. 이 바닥판(33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33a) 및 측판(34)보다도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하면측(실내측)에 화장 패널(32)이 설치된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31a) 내에는 흡입구(35)로부터 케이싱 본체(31a)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유로(35a)와, 흡입 유로(35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고 조화 공기를 실내에 분출하기 위한 각 분출 유로(51a, 52a, 53a, 54a, 61a, 62a, 63a, 64a)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 패널(32)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U)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4각 형상의 판형상체이고, 주로,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에 대해 실내측으로부터 설치됨으로써, 케이싱 본체(31a)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패널(32)은 실내 유닛(4)의 하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2a),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 및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에 의해 구성되고, 흡입구(35) 및 분출구(36)를 갖고 있다. 실내 유닛(4)의 설치 상태에서,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하단부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하단부보다도 약간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입 그릴(32a)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 중앙에 배치된, 대략 4각 형상의 패널이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은 실내측으로부터 본 하면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4각 형상의 프레임 부재로, 흡입구(35)와 분출구(36) 사이에 배치된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의 테두리(37i)는 대략 4각 형상이며, 코너 부분이 라운딩을 띤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외측의 테두리는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및 개구 내측 팽출부(37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는 내측의 테두리(37i)의 각 4변의 각각의 중심 근방에 대응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내측의 테두리(37i)의 변과 대략 평행하며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코너에 근접함에 따라서, 테두리가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완만하게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 내측 팽출부(37c)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코너 부근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고, 각 코너가 라운딩을 띤 형상으로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의 외측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분출구(36)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측으로부터 본 하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의 테두리(38j)는 대략 4각 형상이며,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의 테두리를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코너가 라운딩을 띠고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내측의 테두리는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는 외측의 테두리(38j)의 각 4변의 각각의 중심 근방에 대응하는 내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외측의 테두리(38j)의 변과 대략 평행하며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코너에 근접함에 따라서, 테두리가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팽창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의 직선 부분은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의 직선 부분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 프레임 중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의 비율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의 하면에서 보면,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흡입구(35)는 흡입 그릴(32a)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대략 4각 형상의 개구이다. 이 흡입구(35)에는 흡입구(35)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35)의 케이싱 본체(31a) 내부측에는 상술한 흡입 유로(35a)가 연결되어 있다.
분출구(36)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과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 사이이며, 흡입구(3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장변 분출구(50) 및 단변 분출구(60)로 구성되어 있다. 장변 분출구(50)는 흡입구(35)의 대략 4각 형상에 있어서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의 분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변 분출구(50)는 개구의 내측을 향해 테두리 부분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변 분출구(50)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인 폭 방향의 길이의 차가 종래의 분출구보다도 작아지도록(길이의 어스펙트비가 종래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변 분출구(50)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의 기류속을 두껍게 하여,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단변 분출구(60)는 흡입구(35)의 대략 4각 형상에 있어서의 코너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의 4개의 분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분출구(36)는 장변 분출구(50)와 단변 분출구(50)가 교대로 배열되면서, 대략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에는 각각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제2 장변 분출 유로(52a), 제3 장변 분출 유로(53a), 제4 장변 분출 유로(54a)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에는 각각 제1 단변 분출 유로(61a), 제2 단변 분출 유로(62a), 제3 단변 분출 유로(63a), 제4 단변 분출 유로(64a)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제4 장변 분출구(54),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로부터는, 각각, 실내 유닛(4) 내에서 조화된 공기 흐름(F51, F52, F53, F54, F61, F62, F63, F64)이 분출 풍향을 조절하면서 분출된다.
풍향 조절부(70)는 축 방향에서 본 단면도인 도 9 및 주로 실내측을 향하는 면에 대한 외관 사시도인 도 10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고, 공조실 내에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판으로서 기능한다. 풍향 조절부(7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출구(36) 중, 단변 분출구(60)에는 배치되는 일이 없고, 장변 분출구(50)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절부(70)는 제1 장변 분출구(51)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장변 분출구(52)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장변 분출구(53)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장변 분출구(54)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4 풍향 조절부(74)가 설치되어 있다.
풍향 조절부(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 및 회전축(90x)을 포함하고 있는 아암(90)을 갖고 있다.
플랩 본체(80)는 회전축(90x)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여 형성된 판 형상 부재이며, 아암(90)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인 이면(80y)과는 반대측의 면인 표면(80x)이,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플랩 본체(80)의 외측 테두리는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 부분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주로 실내측(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실내측에 근접함에 따라서 회전축(90x)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실내측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분출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회전축(90x)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풍향 조절부(70)가 회전한 경우에, 플랩 본체(8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다른 궤적을 따르게 된다.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주로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 근방 부분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하여 요철 형상부(80x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은 이 요철 형상부(80x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매끈한 대략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에는 파일 길이가 다른 단섬유의 혼합물이 균일하게 식모되어 있는 식모 시트(80ya)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식모 시트(80ya)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주로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출 풍향을 조절할 때에, 케이싱 본체(31a) 내부로부터의 조화 공기가 닿는 부분이고, 플랩 본체(80)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식모 시트(80y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주로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금 내측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판 두께 방향에 있어서 식모 시트(80ya)와 요철 형상부(80xa)가 겹치는 부분이 적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외측 테두리 형상은 표면(80x)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내측 직선부(80a), 플랩 내측 만곡부(80b),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 플랩 외측 직선부(80d) 및 플랩 외측 만곡부(80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랩 내측 직선부(80a)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90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신장된 직선 형상 부분의 테두리이다. 이 플랩 내측 직선부(80a)는 플랩 본체(80)의 회전축(90x)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50% 정도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랩 내측 만곡부(80b)는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양단부로부터, 각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를 완만하게 연결하고 있는 테두리이고, 플랩 본체(80)의 외측에 완만하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플랩 내측 만곡부(80b)는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25% 정도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는 회전축(90x) 방향에 대해 직행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즉 플랩 내측 직선부(80a)와 플랩 외측 직선부(80d) 중 어느 쪽으로든 직행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랩 외측 직선부(80d)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와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폭 방향의 거리가,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와 플랩 외측 직선부(80d)의 폭 방향의 거리보다도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랩 외측 직선부(80d)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90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신장된 직선 형상 부분의 테두리이다. 플랩 외측 직선부(80d)도 플랩 본체(80)의 회전축(90x)의 중심 근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플랩 외측 만곡부(80e)는 플랩 외측 직선부(80d)의 양단부로부터, 각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를 플랩 내측 만곡부(80b)보다도 급격하게 연결하고 있는 테두리이고, 외측에 완만하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아암(9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축(90x)을 지나는 부분까지 신장되어 있다. 즉, 이 아암(90)의 길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으로부터 회전축(90x)까지의 거리 D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90)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에서 볼 때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의 대부분이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판 두께 방향보다도, 약간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측으로 경사지도록 신장되어 있다. 아암(90)의 플랩 본체(80)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을 따르도록 신장되어 있는 축부재(9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90)은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 중, 약간 하방으로부터 신장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의 폭에 대해 30% 정도의 폭을 갖고 있다.
이들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배치 관계는 후술한다.
실내 팬(41)은 케이싱 본체(31a)의 내부에 배치된 원심 송풍기이다. 실내 팬(41)은 실내의 공기를 화장 패널(32)의 흡입구(35)를 통해 케이싱 본체(31a) 내에 흡입하고, 화장 패널(32)의 분출구(36)를 통해 케이싱 본체(31a) 밖으로 분출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시킨다. 실내 팬(41)은 케이싱 본체(31a)의 천장판(33a)의 중앙에 설치된 팬 모터(41a)와, 팬 모터(41a)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임펠러(41b)를 갖고 있다. 임펠러(41b)는 터보 날개를 갖는 임펠러이고, 하방으로부터 임펠러(41b)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평면에서 볼 때 임펠러(41b)의 외주측을 향해 분출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2)는 평면에서 볼 때 실내 팬(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부러지고, 케이싱 본체(31a)의 내부에 배치된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열교환기(42)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열 핀과, 이들 전열 핀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설치된 복수의 전열관을 갖는 크로스 핀형이라고 불리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은, 상기와 같이 액측 접속관(5a)을 통해 액 냉매 연락관(5)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측은 가스측 접속관(6a)을 통해 가스 냉매 연락관(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42)는, 냉방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난방 시에는 냉매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42)는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방 시에는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시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레인 팬(40)은 실내 열교환기(42)의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수취한다. 이 드레인 팬(40)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드레인 팬(40)에는 분출 구멍(40a)과, 흡입 구멍(40b)과, 드레인수 수용 홈(40c)이 형성되어 있다. 분출 구멍(40a)은 화장 패널(32)의 분출구(36)에 연통하도록 각 처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구멍(40b)은 화장 패널(32)의 흡입구(35)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수 수용 홈(40c)은 실내 열교환기(42)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41c)는 드레인 팬(40)의 흡입 구멍(40b)의 내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35)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 팬의 임펠러(41b)로 유도한다.
<1-3> 제어부(7)
제어부(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유닛(2)의 각종 구성 기기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부(7a), 실내 유닛(4)의 각종 구성 기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부(7b) 및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컨트롤러(7c)를 갖고 있다.
제어부(7)는 상기 분출구(36) 중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를 각 풍향 조절부(70)마다 독립시켜 회전 상태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각각 독립으로 조절하는 독립 풍향 제어와,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의 전체를 연동시켜 동일한 회전 상태의 자세로 되도록 제어를 행함으로써 연동시켜 조절하는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컨트롤러(7c)는 입력 버튼 등을 갖고 있고, 독립 풍향 제어를 행하게 할지,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하게 할지의 어느 하나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는 컨트롤러(7c)가 접수한 독립 풍향 제어 또는 연동 풍향 제어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7)는 상기 독립 풍향 제어 및 연동 풍향 제어 이외에, 상기 분출구(36) 중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에 대해,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의 각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를 개별로 독립하여 조절함으로써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한 장변 분출구(51 내지 54)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가장 저감시키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컨트롤러(7c)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게 하는 취지의 지시 및 장변 분출구(50) 중 분출구 풍량을 억제시키려고 하여 선택되는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의 지정을 사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는 컨트롤러(7c)가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풍량이 가장 저감된 상태로 되도록,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풍향 조절부(70)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동시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에 의해 분출 풍량을 억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는 장변 분출구(50)의 수는 2 이하이고, 3개 이상의 장변 분출구(50)에 대해 동시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어부(7)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가, 1번째 및 2번째로 접수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지속시켜, 그 후에 컨트롤러(7c)가 접수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설정 입력을 무시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7c)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해제한 경우에는, 또 다른 장변 분출구(50)에 대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2> 기본 동작
다음에,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2-1> 냉방 동작
냉방 시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10)는, 4로 전환 밸브(22)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개방 상태로 되고, 팽창 밸브(24)는 냉매를 감압하도록 개방도 조절된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로 되어,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다. 이 고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져,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다. 이 고압의 액 냉매는 팽창 밸브(24)로 보내져, 팽창 밸브(24)에 있어서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25), 액 냉매 연락관(5) 및 액측 접속관(5a)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42)로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측 접속관(6a), 가스 냉매 연락관(6), 가스측 폐쇄 밸브(26) 및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압축기(21)로 다시 보내진다.
<2-2> 난방 동작
다음에, 난방 시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10)는, 4로 전환 밸브(22)가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개방 상태로 되고, 팽창 밸브(24)는 냉매를 감압하도록 개방도 조절된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로 되어,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다. 이 고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 가스측 폐쇄 밸브(26), 가스 냉매 연락관(6) 및 가스측 접속관(6a)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42)로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다. 이 고압의 액 냉매는 액측 접속관(5a), 액 냉매 연락관(5) 및 액측 폐쇄 밸브(25)를 통해 팽창 밸브(24)로 보내지고, 팽창 밸브(24)에 있어서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지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압축기(21)로 다시 보내진다.
<3>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배치 관계
여기서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근방에 있어서의 제1 풍향 조절부(71)의 배치를 서술한다. 또한, 제2 장변 분출구(52) 근방, 제3 장변 분출구(53) 근방 및 제4 장변 분출구(54) 근방에 대해서는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1> 하면에서 본 배치 관계
도 11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부분 확대 외관도를 도시한다.
실내 유닛(4)의 하면에서 본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에는 제1 풍향 조절부(71) 및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배치되어 있다.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내측이며, 제1 풍향 조절부(7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제1 풍향 조절부(71)의 아암(90)으로부터 회전축(90x)을 따르도록 신장되어 있는 축부재(90a)를 통해, 제1 풍향 조절부(71)와 접속되어 있고, 제1 풍향 조절부(7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풍향 조절 구동부(95)와 제1 풍향 조절부(71)의 축부재(90a)는 도시하지 않은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제어부(7)가, 이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대해 제1 풍향 조절부(71)의 구동 상태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캠 기구를 통한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제1 장변 분출구(51)는 외측의 테두리가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에 의해 구성되고, 내측의 테두리가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에 의해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단부는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단부[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측면]에 있어서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의 60%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및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장변 분출구(51)는 하면에서 보면, 외측을 향해 약간 팽창되면서, 내측을 향해 크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으로의 팽창은, 외측으로의 팽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며,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약간 내측 부근이며,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및 풍향 조절 구동부(95)와 제1 풍향 조절부(71) 사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외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플랩 내측 직선부(80a), 플랩 내측 만곡부(80b) 및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 등과,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의, 수평 방향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폭(약 2㎝)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내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플랩 외측 직선부(80d) 및 플랩 외측 만곡부(80e) 등과,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및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등의, 수평 방향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폭(약 1㎝)으로 되도록, 서로의 테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내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은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외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의 절반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2> 풍향 조절부(7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
도 12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풍향 조절부(70)의 자세는 상술한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의 플랩 본체(80)의 자세의 일례이기도 하다.
제1 장변 분출 유로(51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로부터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서는,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의 중심이 회전축(90x)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서는,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의 중심이 회전축(90x)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내측 벽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중앙 근방은 분출 방향 단부의 제1 장변 분출구(51)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경사 각도 θ11이, 수평 방향에 대해 40도 정도로 경사져 있고, 보다 외측을 향해 분출 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90x)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장변 분출구(51)보다도 공기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90x)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측보다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측에 근접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암(90)은 제1 풍향 조절부(71)의 회전 상태 중 가장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하는 회전 상태에 있어서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장변 분출구(51)와 대략 겹치는 위치 혹은 공기 흐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랩 본체(8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과,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이 이루는 각도 θ1이 135도 정도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풍향 조절부(70)의 플랩 본체(80)는 표면(80x) 중 중앙 근방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30도 정도인 상태(도 12에 상당)를 기준으로 하고, 플러스 30도 정도 및 마이너스 30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스윙 운전된다.
<3-3> 풍향 조절부(7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
도 13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도 11 중 C-C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만곡 형상과는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은 내측 벽면과 마찬가지이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만곡 형상과는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형상은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심 근방에 있어서의 형상과,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형상이,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서서히 변화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 근방은 분출 방향 단부의 제1 장변 분출구(51)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경사 각도 θ21이, 수평 방향에 대해 55도 정도로 경사져 있고, 분출 공기를 보다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과,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이 이루는 각도 θ2가 75도 정도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랩 본체(8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플랩 본체(8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40% 정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운전 정지 시의 배치 관계
사용자로부터의 운전 정지(냉방 동작이나 난방 동작 등을 행하지 않는 상태)의 지시를 컨트롤러(7c)가 접수하면, 제어부(7)는 상기 풍향 조절 구동부(95)로 제어 신호를 보내고, 풍향 조절부(70)의 전체, 즉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회전시킴으로써, 표면(80x)의 중심이 대략 연직 하향으로 되도록 조절한다.
이에 의해, 정지 시에는 실내 유닛(4)의 하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장변 분출구(50) 내가 풍향 조절부(70)에 의해 가장 잘 가려져 있는 것과 같이 보여, 화장 패널(32)과 풍향 조절부(70)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정지 시의 실내 유닛(4)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5>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배치 관계
도 14에 풍량 억제 제어의 이미지도를 도시한다.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을 억제하는 취지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컨트롤러(7c)가 접수하면, 제어부(7)는 상기 풍향 조절 구동부(95) 중,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풍향 조절 구동부(95)를 향해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 신호를 받은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자기가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70)를 회전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장변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량을 제한시키는 자세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유닛(4)이 실내의 벽면(W)의 부근이며 사용자 P1 및 사용자 P2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 P2측으로 분출되는 공기량을 억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컨트롤러(7c)가 접수하면, 제어부(7)는 상술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함으로써, 벽면(W)측으로 제3 장변 분출구(53)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F53의 양을 저감시키면서, 사용자 P2측으로 제2 장변 분출구(5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F52의 양도 저감시킨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벽면(W)측으로의 조화 공기의 불필요한 제공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 P2가 원하는 풍량을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2에 의한 지시는 드래프트감의 저감을 원하고 있는 경우나, 냉방 혹은 난방에 의해 지나치게 춥다고 느끼거나 지나치게 덥다고 느끼고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도 15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70)의 경사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지는 플랩 본체(80)는 표면(80x)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한 상태로 되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80x) 중 중앙 근방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3(내측의 각도)이 110도 정도인 상태(도 15에 상당)로 되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조절된다. 이에 의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이루어진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경사 각도는 이 110도 정도의 각도로부터, 플러스 5도 정도 및 마이너스 5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미세 조절된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측의 벽면과 플랩 본체(80)의 상방측의 단부 사이(도 15 중 S1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5㎜ 내지 10㎜ 정도의 간극이 확보되어, 분출 공기가 약간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하방측의 단부(도 15 중 S2로 나타내는 부분)는 제1 장변 분출구(51)보다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공기 흐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랩 본체(80)는 실내 유닛(4) 내부에서 온도 조절된 조화 공기에서 주위 전체를 대략 덮을 수 있어,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실내측의 공기는 플랩 본체(80)에 접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에 의해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량이 저감된 상태에서도,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실내 공기가 플랩 본체(80)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플랩 본체(80)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특징
(1)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하는 실내 유닛(904)과 같이, 분출구(951)가 사각 형상이고, 플랩 본체(980)도 분출구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분출구(951)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에는 분출구(951)의 벽면으로부터의 큰 공기 저항이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변 분출구(50)의 중앙 근방을 통과하여 분출되는 공기 흐름의 기류속을 두껍게 하여,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중앙 근방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단부 근방과 비교하여, 분출 출구 근방에 있어서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보다 멀리 도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종래의 천장에 매립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조화 공기의 분출구와 천장면이 근접하고 있는 타입의 실내 유닛에서는 조화 공기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출하려고 하면 천장면을 따르도록 기류가 발생하고, 기류에 따르도록 하여 천장면에 오염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분출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기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오염이 현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보다도 천장(U)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은 기류속이 두꺼워, 초기 속도가 유지되기 쉬우므로, 제1 장변 분출구(51) 등의 중앙 근방 부근의 천장면 부근의 기류의 흐트러짐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장변 분출구(51) 등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한 천장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은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과 비교하여,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흐름이 느리다. 이와 같이 공기 흐름이 느린 부분에서는 천장(U)의 면을 따르도록 공기가 대류하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출구 근방의 벽면의 경사 각도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출구 부근의 벽면의 경사 각도보다도 심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가,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보다도, 천장(U)의 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보다 연직 하방측)으로 안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장변 분출구(50)의 단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천장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5)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변 분출구(50)의 중앙 근방을 통과하여 분출되는 공기 흐름의 기류속을 두껍게 하여, 초기 속도를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한, 장변 분출구(50)의 중앙 근방의 폭 방향의 거리의 증대를, 장변 분출구(50)를 흡입구(35)측에 근접하도록 팽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변 분출구(50)를 외측으로 팽출시키도록 형성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의 수평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를 내측으로 팽출시키도록 형성하고 있고,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내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이,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외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의 절반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변 분출구(50)를 내측으로 팽출시키도록 형성한 것에 수반하는 흡입 공기와 분출 공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쇼트 서킷을 억제시킬 수 있다.
(7)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근접할수록 분출 풍속이 작아져, 쇼트 서킷을 발생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가 길이 방향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흡입구(35)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변 분출구(5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쇼트 서킷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8)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932)의 하면에서 보면, 흡입구(935), 분출구(951) 및 플랩(980)을 갖고 있다. 분출구(951)는 분출구(951)의 내측의 테두리가 급격하게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분출구 절결부(951b)를 갖고 있다. 플랩(980)은 플랩(980)의 외측의 테두리가 급격하게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플랩 절결부(980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플랩 절결 부분(980b)에 있어서의 기류의 흐름 방향과, 플랩 절결부(980b)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기류의 흐름 방향이 다른 것에 의해 기류가 흐트러져 있고, 플랩 절결 부분(980b) 및 그 부근이나 그 근방의 분출구(951)의 테두리에 있어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풍향 조절부(70)의 플랩 본체(80)는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흡입구(35)측을 절결하는 형상으로 하지 않고, 장변 분출구(50)의 형상을 따르도록 흡입구(35)측의 팽창 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기류의 흐름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는 일이 없어,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결로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9)
종래의 실내기의 풍향 조절 플랩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도 분출구의 테두리를 따르도록 덮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이 분출구와 풍향 조절 플랩 사이의 불균일한 간극 등을 통해 실내기의 내용이 보이게 되어, 의장성이 나빴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는, 실내 유닛(4)의 하면에서 볼 때, 장변 분출구(50) 내는 풍향 조절부(70)에 의해 가장 넓은 면적이 덮여 있어,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실내 유닛(4)의 내부를 보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외측 테두리가 장변 분출구(50)의 테두리를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화장 패널(32)과 풍향 조절부(70)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정지 시의 실내 유닛(4)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와 단변 분출구(60)가 교대로 배열되어, 흡입구(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유닛(4)의 주위에 조화 공기를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변 분출구(50)만이 형성되고, 단변 분출구(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입의 실내 유닛과 비교하면, 이와 같은 단변 분출구(60)가 형성됨으로써 조화 공기가 분출되는 장소의 수나 합계 면적이 크게 되어 있어, 풍향 조절부(70)가 설치된 장변 분출구(50)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의 초기 속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장변 분출구(50)의 형상에 대해, 중앙 근방의 폭이 팽창된 형상을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조화 공기의 초기 속도의 저하 정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7>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장변 분출구(51) 등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이, 제1 장변 분출구(51) 등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의 60%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40% 내지 80% 사이이면, 쇼트 서킷의 억제와 의장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랩 본체(8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가, 플랩 본체(8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40% 정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20% 내지 60% 사이이면, 쇼트 서킷의 억제와 의장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방향으로 조화 공기를 분출하는 실내 유닛(4)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변 분출구(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분출 방향이 장변 분출구(50)의 4개뿐인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분출구가 2개인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실내기의 하면의 대형화와 쇼트 서킷을 억제시키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도달 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1 : 공기 조화 장치
4 : 실내 유닛(실내기)
7 : 제어부(풍향 조절 제어부)
31 : 실내기 케이싱
35 : 흡입구
37a :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직선 형상 부분)
50 : 장변 분출구(분출구)
60 : 단변 분출구(연속 분출구)
70 : 풍향 조절부(풍향 조절 부재)
80a : 플랩 내측 직선부(직선 형상 부분)

Claims (11)

  1.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이며,
    흡입구(35)와, 상기 흡입구(35)측의 테두리가 상기 흡입구(35)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는 분출구(50)를 갖는 실내기 케이싱(31)과,
    상기 분출구(50)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흡입구(35)측의 테두리가 상기 흡입구(35)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는 풍향 조절 부재(7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 단독으로,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 단독으로, 또는 상기 분출구(50) 및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가 협동함으로써, 상기 분출구(50)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을, 상기 분출구(50)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방향보다 하방을 향하게 하는 구조를 갖고,
    천장 매립형인,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는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의 테두리면의 경사가, 길이 방향의 중앙의 테두리면의 경사보다 심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 단부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팽창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 있어서, 단부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팽창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40 내지 80%이고,
    상기 분출구(50)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의 팽창 부분끼리를 접속하는 직선 형상 부분(37a)을 갖고 있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20 내지 60%이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는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의 팽창 부분끼리를 접속하는 직선 형상 부분(80a)을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의 상기 흡입구(35)측으로의 팽창 정도는, 적어도 상기 분출구(50)의 상기 흡입구(35)측과는 반대측으로의 팽창 정도보다 크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상기 흡입구(35)측으로의 팽창 정도는, 적어도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상기 흡입구(35)측과는 반대측으로의 팽창 정도보다 큰,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50)는 상기 분출구(50)의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형상을 갖지 않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테두리는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형상을 갖고 있지 않은,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부재(7)의 상기 흡입구(35)측은 상기 분출구(50)의 상기 흡입구(35)측을 따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가 설치된 상기 분출구(50)는 상기 흡입구(35)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가 설치된 상기 분출구(50) 이외에, 상기 분출구(50)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연속 분출구(60)를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제어부(7)를 더 구비하고,
    상기 풍향 조절 제어부(7)는, 공조 운전의 정지 시에, 상기 분출구(50)를 폐쇄하도록 상기 풍향 조절 부재(70)의 자세를 조절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KR1020127014414A 2009-11-05 2010-10-2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397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4308A JP4924697B2 (ja) 2009-11-05 2009-11-05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JP-P-2009-254308 2009-11-05
PCT/JP2010/069164 WO2011055676A1 (ja) 2009-11-05 2010-10-28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934A true KR20120082934A (ko) 2012-07-24
KR101397325B1 KR101397325B1 (ko) 2014-05-19

Family

ID=4396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14A KR101397325B1 (ko) 2009-11-05 2010-10-2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41842B2 (ko)
EP (1) EP2498018B1 (ko)
JP (1) JP4924697B2 (ko)
KR (1) KR101397325B1 (ko)
CN (1) CN102575869B (ko)
AU (1) AU2010316384B2 (ko)
WO (1) WO201105567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23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2775B2 (ja) * 2009-11-05 2012-06-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104384B2 (ja) * 2013-06-28 2017-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053223B1 (ko) * 2013-07-02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KR20150041340A (ko) * 2013-10-08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WO2015104791A1 (ja) * 2014-01-07 2017-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331935B2 (ja) * 2014-09-30 2018-05-3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5987882B2 (ja) * 2014-09-30 2016-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DE102015201478B3 (de) * 2015-01-28 2016-03-31 Areva Gmbh Lüfteranordnung und zugehöriger Schaltschrank
WO2016133261A1 (ko) * 2015-02-18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229741B2 (ja) 2015-09-29 2017-11-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344375B2 (ja) * 2015-12-22 2018-06-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237800B2 (ja) 2016-02-22 2017-1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269700B2 (ja) 2016-02-22 2018-01-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受信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11630327B (zh) * 2018-01-25 2021-04-30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CN110848795B (zh) * 2018-07-27 2022-09-13 大金工业株式会社 嵌入式空调室内机
CN111156847A (zh) * 2018-11-07 2020-05-15 郑州尚格新能源有限公司 一种蓄热供暖装置及使用该装置的车辆
CN112032842B (zh) * 2020-08-31 2022-07-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嵌入式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757B2 (ja) * 1995-11-20 2003-08-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943751B2 (ja) * 1997-01-20 1999-08-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6250373B1 (en) * 1998-07-20 2001-06-26 Carrier Corporation Ceiling mounted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JP2001304675A (ja) * 2000-04-20 2001-10-31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JP3624808B2 (ja) * 2000-08-11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3624813B2 (ja) * 2000-09-06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3624814B2 (ja) 2000-09-06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3829168B2 (ja) 2001-05-22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用の天井埋込型室内機
JP4161341B2 (ja) * 2002-08-16 2008-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052264B2 (ja) * 2004-03-05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4107334B2 (ja) * 2006-04-21 2008-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8209099A (ja) * 2007-02-28 2008-09-11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1802509B (zh) * 2007-10-25 2013-06-12 东芝开利株式会社 天花板嵌入型空调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23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8018A4 (en) 2018-04-04
CN102575869B (zh) 2015-11-25
EP2498018B1 (en) 2021-02-17
CN102575869A (zh) 2012-07-11
EP2498018A1 (en) 2012-09-12
JP4924697B2 (ja) 2012-04-25
US9441842B2 (en) 2016-09-13
JP2011099612A (ja) 2011-05-19
US20120214398A1 (en) 2012-08-23
AU2010316384A1 (en) 2012-05-24
KR101397325B1 (ko) 2014-05-19
AU2010316384B2 (en) 2014-02-20
WO2011055676A1 (ja)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934A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38580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US20140308888A1 (en) Air-conditioning indoor unit
JP6157339B2 (ja)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5805214B2 (ja) 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6639654B2 (ja) 空気調和機
KR100541471B1 (ko) 에어컨 실내기
JP6541881B2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316473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6224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7209844B2 (ja) 吹出グリル、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CN220871003U (zh) 室内热交换器
JP7055197B2 (ja) 空気調和機
CN204373071U (zh) 室内机以及空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