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260A -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260A
KR20120068260A KR1020100129807A KR20100129807A KR20120068260A KR 20120068260 A KR20120068260 A KR 20120068260A KR 1020100129807 A KR1020100129807 A KR 1020100129807A KR 20100129807 A KR20100129807 A KR 20100129807A KR 20120068260 A KR20120068260 A KR 2012006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act
relay
load side
swi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933B1 (ko
Inventor
조수용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9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too high or too low voltage
    • H02H11/00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too high or too low voltage involving automatic switching for adapting the protected apparatus to the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n auxiliary distribu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lamps are brought into ser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Auto Trnasfer Switch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통합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device)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회로 및 제품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제 1 및 제 2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을 부하 측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과,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 2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Power Auto Trnasfer Switch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Auto Trnasfer Switch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통합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device)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회로 및 제품 크기를 줄인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절환 장치(Power Trnasfer Device)는 상용전원(Normal Power)과 비상전원(Emergency Power) 같은 2개의 서로 다른 전원을 부하 측에 택일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그 용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대형 건물이나 공장 등에는 전원 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이상 시 대체되는 비상전원을 선택적으로 부하 측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절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 절환 장치의 하나로 사용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전원공급 이중화 회로에서 부하로 공급되는 상용전원(또는, 비상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비상전원(또는, 상용전원)으로 절환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회로도이다.
종래의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원 측(예, 상용전원)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 제 2 전원 측(예, 예비전원)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 부하 측 차단기(50?53), 부하 측 변압기(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원 측(예, 상용전원)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는 제 1 전압 차단기(10), 제 1 전압레벨 검출기(11), 제 1 변압기(12), 제 1 회로보호용 차단기(13), 상기 제 1 전압레벨 검출기(11)의 접점(14), 제 1 릴레이(15), 제 1 전원램프 테스트용 스위치(16), 제 1 전원램프 테스트용 접점(17), 제 1 전원램프(18), 자동 절환 선택스위치(19), 상기 제 1 릴레이(15)의 접점(20), 상기 제 2 전원 측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의 제 4 릴레이(43)의 접점(22), 제 2 릴레이(23), 제 1 전원 선택스위치(24), 제 1 타이머(25), 상기 제 2 릴레이(23)의 접점인 제 1 부하 측 접점(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원 측(예, 예비전원)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는 제 2 전압 차단기(30), 제 2 전압레벨 검출기(31), 제 2 변압기(32), 제 2 회로보호용 차단기(33), 상기 제 2 전압레벨 검출기(31)의 접점(34), 제 3 릴레이(35), 제 2 전원램프 테스트용 스위치(36), 제 2 전원램프 테스트용 접점(37), 제 2 전원램프(38), 자동 절환 선택스위치(19), 상기 제 1 및 제 3 릴레이(15)(35)의 접점(40), 상기 제 1 전원 측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의 제 2 릴레이(23)의 접점(42), 제 4 릴레이(43), 제 2 전원 선택스위치(44), 제 2 타이머(45), 상기 제 4 릴레이(43)의 접점인 제 2 부하 측 접점(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절환 동작에 의해 제 1 전원(상용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전압레벨 검출기(11)에서는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1 전원(상용전원)을 입력하여 이상 여부(예를 들면, 결상, 역상, 저전압, 고전압 등)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전원(상용전원)이 정상의 전압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 1 전압레벨 검출기(11)의 접점(14)이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릴레이(15)를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릴레이(15)의 접점(20)이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릴레이(23)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릴레이(2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릴레이(23)의 접점인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26)이 비접점 상태로 되어,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1 전원(상용전원)을 상기 부하 측 변압기(6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전원 측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 1 릴레이(15)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릴레이(15)(35)의 접점(40)이 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4 릴레이(43)가 접점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릴레이(43)가 접점 됨에 따라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46)이 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전원이 상기 부하 측 변압기(60)로 공급되지 못하게 차단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 전원 측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 1 전원램프(18)는 점등 상태가 되지만, 상기 제 1 전원램프(18)는 상기 제 2 전원 측의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가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소등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 절환 선택스위치(19)는 전원 절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자동 선택시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레벨 검출기(11,31)의 센싱에 의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절체 하고, 수동 선택시 제 1 전원(상용전원)과 제 2 전원(예비전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선택스위치(24)(44)의 선택에 의해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램프 테스트용 스위치(16)(36)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램프(18)(38)의 동작을 테스트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상기 제 1 전원(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자동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예비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과 반대로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평상시 제 1 전원(상용전원)을 부하 측으로 공급하다가 상기 제 1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제 1 전원을 차단하여 제 2 전원(비상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절환 된다.
도 2는 종래의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 및 도어 플레이트(Door Plate)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의 내부에는 도 2의 (a)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압레벨 검출기(11)(31), 제 1 내지 4 릴레이(15,23,35,43), 제 1 및 제 2 타이머(25,45) 등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Door Plate)에는 도 2의 (b)와 같이, 자동 절환 선택스위치(19), 제 1 전원 선택스위치(24), 제 1 및 제 2 램프(18,38), 제 1 및 제 2 램프 테스트용 스위치(16,36)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전압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기(11,31)가 2개로 구성되어 있고, 부하 측으로 전원을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가 많은 접점과 릴레이 및 스위치 소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회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 컨트롤러의 면적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복잡하고 많은 회로 소자들로 인해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통합하여 제품 크기를 줄인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device)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품 크기를 줄인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전원(상용전원)과 예비전원(비상전원)의 전압 범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전원(상용전원)과 예비전원(비상전원)의 전압 범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제 1 및 제 2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을 부하 측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과,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 2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접점(110)과, 상기 제 3 접점(11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1 전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릴레이(111)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릴레이(105)와, 상기 제 1 릴레이(105)에 의해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되는 제 1 및 제 2 접점(106,107)과, 상기 제 2 접점(10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접점 상태로 만드는 제 2 릴레이(108)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3 접점(11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제 1 전원램프(109)와 상기 제 1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된 회로보호용 차단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6 접점(130)과, 상기 제 6 접점(13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2 전원에 의해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6 릴레이(131)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4 릴레이(125)와, 상기 제 4 릴레이(125)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되는 제 4 및 제 5 접점(126,127)과, 상기 제 5 접점(12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접점 상태로 만드는 제 5 릴레이(128)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3 접점(13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제 2 전원램프(129)와, 상기 제 2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된 회로보호용 차단기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통합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device)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회로를 간단하게 줄일 수 있고 제품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전원(상용전원)과 예비전원(비상전원)의 전압 범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주전원(상용전원)과 예비전원(비상전원)의 전압 범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 및 도어 플레이트(Door Plate)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 및 컨트롤러의 전면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을 부하 측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과,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을 제어하는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 2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을 제어하는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을 통해 공급되는 제 1 또는 제 2 전원을 변압하여 부하 측으로 전송하는 부하 측 변압기(160)와,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과 상기 부하 측 변압기(160) 사이에 복수 개로 접속된 부하 측 차단기(150?15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제 1 전압 차단기(101), 제 1 변압기(102), 제 1 회로보호용 차단기(103), 제 1 터미널 블록(104), 제 1 내지 제 3 릴레이(104,108,111), 제 1 내지 제 3 접점(106,107,110), 제 1 전원램프(10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1)는 3상의 제 1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원에 이상(예, 결상, 역상, 저전압, 고전압 등) 발생시 차단기가 동작하여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변압기(102)는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1)를 통해 공급된 제 1 전원을 변압하여 공급하고, 상기 제 1 회로보호용 차단기(103)는 상기 제 1 변압기(102)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터미널 블록(104)은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1)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제 1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점(106,107,1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접점(110)은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전원램프(109)와 상기 제 3 릴레이(111)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3 릴레이(111)는 상기 제 3 접점(11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1 전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릴레이(105)는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은 상기 제 1 릴레이(105)에 의해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된다. 상기 제 2 릴레이(108)는 상기 제 2 접점(10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오프(OFF) 상태가 되며,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접점 상태로 만든다. 상기 제 1 전원램프(109)는 상기 제 3 접점(11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등된다.
한편,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제 2 전압 차단기(121), 제 2 변압기(122), 제 2 회로보호용 차단기(123), 제 2 터미널 블록(124), 제 4 내지 제 6 릴레이(125,128,131), 제 4 내지 제 6 접점(126,127,130), 제 2 전원램프(12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압 차단기(121)는 3상의 제 2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원에 이상(예, 결상, 역상, 저전압, 고전압 등) 발생시 차단기가 동작하여 상기 제 2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변압기(122)는 상기 제 2 전압 차단기(121)를 통해 공급된 제 2 전원을 변압하여 공급하고, 상기 제 2 회로보호용 차단기(123)는 상기 제 2 변압기(122)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터미널 블록(124)은 상기 제 2 전압 차단기(121)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제 2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점(126,127,13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6 접점(130)은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전원램프(129)와 상기 제 6 릴레이(131)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6 릴레이(131)는 상기 제 6 접점(13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2 전원에 의해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4 릴레이(125)는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은 상기 제 4 릴레이(125)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된다. 상기 제 5 릴레이(128)는 상기 제 5 접점(12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오프(OFF)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접점 상태로 만든다. 상기 제 2 전원램프(129)는 상기 제 6 접점(13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등된다.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절환 동작에 의해 제 1 전원(상용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는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1)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1 전원(상용전원)을 입력하여 이상 여부(예를 들면, 결상, 역상, 저전압, 고전압 등)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전원(상용전원)이 정상의 전압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의 접점(110)이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3 릴레이(111)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3 릴레이(11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3 릴레이(111)의 접점인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이 비접점 상태로 되어, 상기 제 1 전압 차단기(101)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1 전원(상용전원)을 상기 부하 측 변압기(16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 검출된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의 전압 범위를 가지게 되면 상기 제 1 릴레이(105)가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은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접점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릴레이(108)는 상기 제 2 접점(107)이 접점 상태일 때 오프(OFF) 상태로 된다. 상기 제 2 릴레이(108)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 2 릴레이(108)의 접점인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은 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3 접점(110)을 통해 공급되는 제 1 전원에 의해 상기 제 1 전원램프(109)는 점등 상태가 되지만, 상기 제 2 전원램프(129)는 상기 제 6 접점(130)이 접점 상태이기 때문에 소등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절환 동작에 의해 제 2 전원(예비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 상기 제 2 전압 차단기(121)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2 전원(상용전원)을 입력하여 이상 여부(예를 들면, 결상, 역상, 저전압, 고전압 등)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전원(예비전원)이 정상의 전압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의 접점(130)이 비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6 릴레이(131)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6 릴레이(1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6 릴레이(131)의 접점인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이 비접점 상태로 되어, 상기 제 2 전압 차단기(121)를 통해 공급되는 3상의 제 2 전원(상용전원)을 상기 부하 측 변압기(16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140)에서 검출된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의 전압 범위를 가지게 되면 상기 제 2 릴레이(125)가 동작하여 상기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은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접점 상태가 되고, 상기 제 5 릴레이(128)는 상기 제 5 접점(127)이 접점 상태일 때 오프(OFF) 상태로 된다. 상기 제 5 릴레이(128)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 5 릴레이(128)의 접점인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은 접점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6 접점(130)을 통해 공급되는 제 2 전원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램프(129)는 점등 상태가 되지만, 상기 제 1 전원램프(109)는 상기 제 3 접점(110)이 접점 상태이기 때문에 소등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전원(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자동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예비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며, 반대로 상기 제 2 전원(예비전원)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자동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전원(상용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 및 컨트롤러의 전면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백 마운팅 플레이트(Back Mounting Plate)의 내부에는 도 4의 (a)와 같이, 1개의 전압레벨 검출기(140), 제 1 및 제 2 전압 차단기(101,121) 등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의 전면에는 도 4의 (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원의 전압범위 표시기, 제 1 및 제 2 램프(109,129) 등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전압 상태를 각각 검출하기 위해 2개로 구성된 기존의 전압레벨 검출기(11,31)를 1개로 통합하여 구성하였고, 많은 접점과 릴레이 및 스위치 소자들을 기능별로 간소화하여 회로의 구성을 줄였다. 도 2와 도 4에 보인 장치 사진을 비교하여 보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의 크기가 기존에 비해 훨씬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로 통합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device)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제 1 전압 차단기 102 : 제 1 변압기
103 : 제 1 회로보호용 차단기 104 : 제 1 터미널 블록
105 : 제 1 릴레이 106 : 제 1 접점
107 : 제 2 접점 108 : 제 2 릴레이
109 : 제 1 전원램프 110 : 제 3 접점
111 : 제 3 릴레이 112 : 부하 측 접점
121 : 제 2 전압 차단기 122 : 제 2 변압기
123 : 제 2 회로보호용 차단기 124 : 제 2 터미널 블록
125 : 제 4 릴레이 126 : 제 4 접점
127 : 제 5 접점 128 : 제 5 릴레이
129 : 제 2 전원램프 130 : 제 6 접점
131 : 제 6 릴레이 132 : 부하 측 접점
140 : 전압레벨 검출기 150?153 : 부하 측 차단기
160 : 부하 측 변압기

Claims (9)

  1. 제 1 및 제 2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기(140)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을 부하 측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112,132)과;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 및
    상기 전압레벨 검출기에서 검출된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 2 전원이 부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하 측 접점을 제어하는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접점(110)과;
    상기 제 3 접점(11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1 전원에 의해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릴레이(111);
    를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제 1 및 제 2 접점(106,107)으로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릴레이(105)와;
    상기 제 1 릴레이(105)에 의해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1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되는 제 1 및 제 2 접점(106,107)과;
    상기 제 2 접점(10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접점 상태로 만드는 제 2 릴레이(108);
    를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3 접점(11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제 1 전원램프(109)를 더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된 회로보호용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6 접점(130)과;
    상기 제 6 접점(130)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 2 전원에 의해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을 비접점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제 2 부하 측 접점(132)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6 릴레이(131);
    를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 범위를 가질 때 제 4 및 제 5 접점(126,127)으로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제 4 릴레이(125)와;
    상기 제 4 릴레이(125)에 의해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 상태로 되고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비접점 상태가 되는 제 4 및 제 5 접점(126,127)과;
    상기 제 5 접점(127)이 접점 상태가 될 때 상기 제 1 부하 측 접점(112)을 접점 상태로 만드는 제 5 릴레이(128);
    를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3 접점(130)이 비접점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제 2 전원램프(129)를 더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절환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 2 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된 회로보호용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KR1020100129807A 2010-12-17 2010-12-17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KR10117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807A KR101173933B1 (ko) 2010-12-17 2010-12-17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807A KR101173933B1 (ko) 2010-12-17 2010-12-17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60A true KR20120068260A (ko) 2012-06-27
KR101173933B1 KR101173933B1 (ko) 2012-08-16

Family

ID=4668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807A KR101173933B1 (ko) 2010-12-17 2010-12-17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938A (zh) * 2019-01-24 2019-04-19 中山市明阳电器有限公司 一种电压互感器低压侧的电压切换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98B1 (ko) * 2013-12-17 2015-05-26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원 절환 장치
CN105207348A (zh) * 2015-09-09 2015-12-30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田陈煤矿 一种起低压双回路自动切换电源控制器
KR20210048942A (ko) 2019-10-24 2021-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동절환 스위치를 이용한 도서지역 전력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09B1 (ko) * 2006-01-18 2007-05-08 주식회사 다원시스 비상운용이 가능한 전원공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938A (zh) * 2019-01-24 2019-04-19 中山市明阳电器有限公司 一种电压互感器低压侧的电压切换电路
CN109659938B (zh) * 2019-01-24 2023-10-10 广东明阳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压互感器低压侧的电压切换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933B1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933B1 (ko) 전원 자동 절환 스위치 컨트롤러
US20080179958A1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Mod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US9949338B2 (en) Device to allow a two-way switch to operate in a multiple-switch electrical circuit
CN205283245U (zh) 自动转换开关装置
US6944002B2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and protection device
JP6413113B2 (ja) 系統連系システム
KR100685210B1 (ko) 전자식 자동 절환 스위치
KR100972008B1 (ko) 이중전원 계통방식에서 절환시간을 최소화한 고속도 전원선택 차단기
JP2008141823A (ja) モータ保護継電器
JP6704282B2 (ja) 感震遮断機能付分電盤
JP5955621B2 (ja) 分電盤
KR101681592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WO2024142647A1 (ja) 電源切替装置
KR100372484B1 (ko) 자동 부하전환 장치
JP4219877B2 (ja) 節電機
US9837856B2 (en) AC power supply source switching apparatus
KR101592059B1 (ko) 동기검출 계전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43257B1 (ko) 바이패스 회로의 신속한 구축을 위한 디지털 고속 스위칭 방법
KR101782169B1 (ko) 자동 부하 전환 스위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00001744U (ko) 자동 부하절체 시스템
KR101730825B1 (ko) 듀얼 라인 유피에스 시스템
JP2005229694A (ja) Upsシステム
SU8198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ВВОдА РЕзЕРВНОгО элЕКТРОпиТАНи пОТРЕбиТЕлЕй
JP2020198766A (ja) 電源切替システム
JP2022143925A (ja) 無瞬断電源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