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623A -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623A
KR20120019623A KR1020100082922A KR20100082922A KR20120019623A KR 20120019623 A KR20120019623 A KR 20120019623A KR 1020100082922 A KR1020100082922 A KR 1020100082922A KR 20100082922 A KR20100082922 A KR 20100082922A KR 20120019623 A KR20120019623 A KR 2012001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duct devic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은
Original Assignee
신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은 filed Critical 신종은
Priority to KR102010008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623A/ko
Priority to PCT/KR2011/006318 priority patent/WO2012026782A2/ko
Publication of KR2012001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포함하는 건물 내의 천장 및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효과적인 배선을 위한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실내공간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유닛, 복수 개가 상기 지지유닛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결합되는 트레이고정유닛 및 상기 트레이고정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다층을 형성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에 따르면, 트레이고정유닛 및 케이블트레이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분산하여 누적되는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블트레이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추가 포설, 추적, 수리 및 철거 등을 포함하는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Cable Duct Apparatus Having Multi-Story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덕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을 포함하는 건물 내의 천장 및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효과적인 배선을 위한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실내공간을 포함하는 건축물 내의 광케이블, 전화선, 점퍼선 등의 포함하는 케이블 배선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건축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 또는 포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 덕트는 배선되는 광케이블 및 점퍼선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외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폐구조로 형성된 하우징형이 많이 사용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우징형의 케이블 덕트는 과도하게 케이블이 누적되어 수용됨에 따라, 하중으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시공 후 케이블의 추가 포설, 케이블 추적 및 철거 등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중 임시로 케이블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다층으로 설치하여 추가 포설, 배선, 케이블 추적 및 철거가 용이하고, 케이블 트레이 당 수용되는 케이블의 무게를 한정하여 누적된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블을 추가로 포설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연장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다층으로 추가 설치할 수 있는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는 일단이 실내공간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유닛, 복수 개가 상기 지지유닛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결합되는 트레이고정유닛 및 상기 트레이고정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다층을 형성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블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 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고정유닛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는 좌, 우 방향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블출입부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케이블출입부를 연결하는 보조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출입부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고,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부에는 케이블의 진행을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고정유닛는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레이고정유닛 및 케이블트레이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분산하여 누적되는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블트레이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추가 포설, 추적, 수리 및 철거 등을 포함하는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케이블트레이에 기 수용된 케이블이 보다 효과적으로 다른 케이블트레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케이블트레이에 선택적으로 출입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출입부를 연결하는 보조트레이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른 배선 변경에 대하여 보다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고, 다른 층에 형성된 케이블트레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트레이가 형성되어 분기 또는 병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다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고정유닛과 결합되는 지지유닛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의 추가 포설이 용이하고, 지지유닛에 포함되는 연결부가 추가적으로 트레이고정유닛을 지지하여 트레이고정유닛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유닛 상에 다층으로 형성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케이블트레이에 형성되는 곡선부, 출입부, 보조트레이 및 연결트레이에는 케이블이 진행이 보다 용이하도록 안내롤러가 형성되어 케이블의 철거 및 포설 등을 포함하는 배선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트레이고정유닛은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케이블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에 따라, 작업 중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케이블을 거치부에 임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반경을 확대하고, 작업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 우 방향 폭이 서로 다른 케이블트레이가 결합되어 출입부 및 보조트레이가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고정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는 트레이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 장치는 지지유닛(200), 트레이고정유닛(300) 및 케이블트레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유닛(200)은 일반적으로 실내를 포함하는 건물 내의 상부 또는 천장에 고정 결합되고,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유닛(200)은 상, 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220)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220)는 어느 하나의 지지부(220)가 다른 하나의 지지부(220)에 끼워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인접하는 지지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30)를 통하여 연결되는 방법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2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형의 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30)는 지지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개구홀의 내주면에 지지부(220)와 대응되는 나사형의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지지부(220)는 연결부(23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즉, 지지부(220)는 수나사(볼트)의 역할을 하고, 연결부(230)는 암나사(너트)의 역할을 하여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고정유닛(300) 및 케이블트레이(100)가 하나 이상의 층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케이블의 수용이 필요한 경우, 기설치된 지지부(220)의 하부에 트레이고정유닛(300)을 결합하고, 연결부(230)를 통하여 추가 지지부(220)를 결합한다. 그리고 이 경우 추가되는 연결부(230)의 상부면은 트레이고정유닛(300)의 하부면을 지지하면서 트레이고정유닛(300)를 지지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추가된 트레이고정유닛(300)에 케이블트레이(100)를 설치하며 케이블트레이(100) 층을 추가하고, 추가된 케이블트레이(100)에 추가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게 된다.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하는 고정부(310) 및 임시로 소정의 케이블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320)를 포함한다.
고정부(310)는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바 또는 소정의 플레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거치부(320)는 트레이고정유닛(300)의 일부에 케이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320)는 고정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끝단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거치부(320)는 함몰 및 돌출 등을 포함하여 케이블을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고정유닛(300)이 케이블트레이(100)의 형태에 따라 좌, 우 방향 또는 십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하는 것이 예시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블트레이(100)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유닛(200)의 연결부(230)의 상부에 지지되어 트레이고정유닛(3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유닛(200)과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230)가 회전을 하면서 지지부(220)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고정유닛(300)의 높이도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결국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유닛(200)과 상, 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복수 개의 이격된 공간 각각에 케이블트레이(100)가 위치하면서 케이블트레이(100)를 다층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트레이(100)는 상술한 트레이고정유닛(300)에 각각 결합되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케이블트레이(100)는 서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케이블이 수용되고, 수용되는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기기로 연결될 수 있게 소정의 경로를 형성한다.
복수 개의 케이블트레이(100)가 서로 연결되어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100)간의 크기의 차이로 인하여 케이블이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어느 한 경로의 케이블이 경로의 케이블로 출입할 수 있는 케이블출입부(110) 역할을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 우 방향 폭이 서로 다른 케이블트레이가 결합되어 케이블출입부 및 보조트레이가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케이블출입부(110)는 케이블트레이(100)간의 높이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트레이(100)의 좌, 우 방향 폭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된다. 어느 한 케이블 경로의 케이블출입부(110)를 통하여 다른 경로의 케이블출입부(110)로 케이블이 이동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층의 케이블이 케이블출입부(110)를 통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층에 좌, 우 폭의 넓이가 30㎝인 케이블트레이(100)와 좌, 우 폭의 넓이가 20㎝인 케이블트레이(100)가 인접하여 연결되는 경우, 서로 다른 좌, 우 폭의 넓이를 가진 케이블트레이(100)로 인하여 10㎝의 여백이 형성된다. 상술한 10㎝의 여백으로 케이블은 출입할 수 있고, 필요 시에는 하층에 배치된 케이블트레이(100)로 연결되는 보조트레이(120)를 따라 케이블은 경로를 변경하여 하층에 배치되는 케이블트레이(100)에 수용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각 경로에 따른 케이블의 수요에 따라서 케이블트레이(100)의 크기를 조절, 케이블트레이(100)의 층을 추가, 케이블출입부(110)를 통한 케이블의 다른 경로로의 이동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케이블 덕트 장치는 보조트레이(120), 연결트레이(130), 안내롤러(140)를 더 포함한다.
보조트레이(120)는 서로 다른 경로의 형성된 케이블출입부(110)를 연결하여 케이블을 어느 하나의 케이블출입부(110)에서 다른 하나의 케이블출입부(1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케이블출입부(110)를 통하여 케이블이 보다 안정적으로 경로를 변경하여 다른 케이블트레이(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층에 형성되는 케이블출입부(110) 간의 거리 및 높이 등의 조건에 따라 소정의 경사각을 연결하며 각각의 케이블출입부(110)를 연결하게 된다.
연결트레이(130)는 다층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케이블트레이(1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에 위치한 케이블트레이(100)가 분기하여 하층으로 병합되고자 하는 경우, 케이블트레이(100) 내벽이 일부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개방 형성된 부분부터 하층의 캐이블 트레이까지 연결되는 연결트레이(1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케이블은 연결트레이(130)를 따라 하층에 형성되는 케이블트레이(10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트레이(100)는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하고, 곡선부에는 케이블이 케이블트레이(100)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이동방향으로의 진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롤러(140)는 곡선부의 곡률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열의 라인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경로의 안내롤러(140)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적정량의 케이블만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롤러(140)는 케이블출입부(110)에 설치되어 케이블출입부(110)를 출입하는 케이블이 원활하게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트레이(100)에 수용되는케이블이 연결트레이(130) 및 보조트레이(120)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층의 케이블트레이(100)로 이동하는 경우, 안내롤러(140)는 연결트레이(130) 및 보조트레이(120)가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100)와 연결됨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영역에도 설치되어 케이블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 간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안내롤러(140)가 이동하는 케이블의 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하여 케이블이 절곡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기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안내롤러(140)는 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케이블 덕트 장치가 기기보다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블트레이(100)가 절곡 형성되는 부분에 안내롤러(140)가 설치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은 복수 열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안내롤러(140)의 경로 안내를 통하여 절곡 형성으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안내롤러(140)는 복수 개의 케이블트레이(100)가 형성하는 케이블이 이동하는 여러 경로 중 케이블의 방향이 전환되는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여 케이블의 이동을 원활이 하고, 이동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교체시, 사용자는 케이블의 끝단을 통신기기에서 분리한 다음 외력을 가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경우, 본 발명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케이블은 각 절곡된 지점의 안내롤러(140)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동을 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케이블이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용량의 케이블이 복수 개의 케이블트레이(100)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거시, 상부 케이블의 하중이 작아서 더욱 원활하게 제거가 가능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장치는 실내공간을 포함하는 건물 내의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유닛(200)을 연결부(230)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연장 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지지유닛(200) 상에 다층으로 형성되고, 다층으로 형성된 트레이고정유닛(300)에 의해 고정되는 다층의 케이블트레이(100)에 케이블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수용공간인 케이블트레이(100)를 다층으로 형성하고, 케이블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케이블이 협소한 공간에 과도하게 수용되어 다른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지 않는 케이블을 제거하거나, 덕트를 철거하는 등의 유비보수 활동에 있어서, 케이블의 추적이 용이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배선 작업이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케이블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4를 참고하여 지지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하는 지지유닛(200)이 연장되고, 그에 따라 트레이고정유닛(300) 및 케이블트레이(100)가 다층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2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나사홈으로 형성되고, 연결부(230)는 지지부(220)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지지유닛(200)과 결합되어 케이블트레이(100)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트레이고정유닛(300)이 지지유닛(200)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지지유닛(200)에 포함되는 연결부(230)는 트레이고정유닛(300)의 하부와 접촉하여 트레이고정유닛(300)을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지지유닛(2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트레이고정유닛(300)에 형성되는 고정부(310)에 케이블트레이(1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고정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100)는 다층으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케이블(C)의 무게를 분배할 수 있어서, 동일한 케이블트레이(100) 수용되는 케이블(C) 중 하부에 수용된 케이블(C)이 상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케이블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트레이고정유닛(300) 및 케이블트레이(100)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케이블(C)의 하중을 분배하여 누적되는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 하고, 케이블트레이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케이블(C)의 추가 포설, 추적, 수리 및 철거 등을 포함하는 유지 및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케이블의 추가 포설에 따라 추가로 연장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유닛(200)에 포함되는 연결부가 추가적으로 트레이고정유닛(300)을 지지하여 트레이고정유닛(3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유닛(200) 상에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310) 및 케이블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작업 중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케이블(C)을 거치부(320)에 임시 거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반경은 확대되고, 작업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는 트레이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100)는 직선형, 엘보우형, T형, 크로스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하는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선택적으로 고정부(310)의 넓이 및 길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케이블트레이(10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T형 트레이가 평행하게 서로 배치되는 경우, 지지유닛(200)에 4개의 트레이고정유닛(300)이 지지유닛(200)과 결합되어 각각의 T형 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다.
트레이고정유닛(300)은 케이블트레이(100)가 곡선부를 자기는 절곡된 케이블트레이(100)일 경우, 케이블트레이(100)가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유닛(200)과 결합되는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트레이(100)의 형태에 따라 트레이고정유닛(300)의 개수 및 형태는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트레이(100)는 트레이고정유닛(300)에 포함되는 고정부(310)와 결합되어 다층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케이블트레이 110: 출입부
120: 보조트레이 130: 연결트레이
140: 안내롤러 200: 지지유닛
220: 지지부 230: 연결부
300: 트레이고정유닛 310: 고정부
320: 거치부

Claims (11)

  1. 일단이 실내공간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유닛;
    복수 개가 상기 지지유닛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결합되는 트레이고정유닛; 및
    상기 트레이고정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다층을 형성하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블트레이;
    를 포함하는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 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인접하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고정유닛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블출입부를 형성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케이블출입부를 연결하는 보조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출입부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트레이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부에는 케이블의 진행을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는 케이블 덕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고정유닛는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케이블 덕트 장치.
KR1020100082922A 2010-08-26 2010-08-26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KR20120019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922A KR20120019623A (ko) 2010-08-26 2010-08-26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PCT/KR2011/006318 WO2012026782A2 (ko) 2010-08-26 2011-08-26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922A KR20120019623A (ko) 2010-08-26 2010-08-26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623A true KR20120019623A (ko) 2012-03-07

Family

ID=4612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922A KR20120019623A (ko) 2010-08-26 2010-08-26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6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41B1 (ko) * 2011-08-26 2013-02-27 신종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41B1 (ko) * 2011-08-26 2013-02-27 신종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8890B (zh) 管理电缆的***和方法
US7693386B2 (en) Parallel path cable routing system
KR101237841B1 (ko)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KR100399659B1 (ko) 광섬유분배시스템
US8070112B2 (en) Lateral storage spool for overhead cable pathway
US8628157B2 (en) Cabinet cable management
US9829666B2 (en) Ultra-high density patch systems
KR20120019623A (ko)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KR101897821B1 (ko) 광분배함
WO2012026782A2 (ko)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US7627223B1 (en) Storage cabinet for slack fiber optic cabling
US10502914B2 (en) Stackable telecommunication cabinet construction
CN104934912A (zh) 一种网络布线***、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US7482536B2 (en) Underfloor cable junction unit and computer center equipped with such junction units
KR101209239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US10209472B2 (en) Cable routing system exit structure
US9904028B2 (en) Ultra-high density splice systems
KR20140005495U (ko) 케이블 트레이
KR20120134834A (ko) 광분배함
JP5279872B2 (ja) ケーブル延線用補助装置、及び更新工事方法
CN215580132U (zh) 一种一体化机房线缆桥架及一体化机房
CN108349701B (zh) 用于电梯轿厢的维护平台
EP2538255B1 (en) Cable coupling device with overlength storage for jumper cables
KR20150004188U (ko) 장벽 채널 트레이
KR200465403Y1 (ko) 가설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