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408A - 통합형 승강장구조 - Google Patents

통합형 승강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408A
KR20090037408A KR1020090013469A KR20090013469A KR20090037408A KR 20090037408 A KR20090037408 A KR 20090037408A KR 1020090013469 A KR1020090013469 A KR 1020090013469A KR 20090013469 A KR20090013469 A KR 20090013469A KR 20090037408 A KR20090037408 A KR 2009003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door
integrated
soli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Original Assignee
이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숙 filed Critical 이경숙
Priority to KR102009001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7408A/ko
Publication of KR2009003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승강장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승강장구조에 있어서, 상측에는 고상플랫폼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저상플랫폼이 형성되며, 고상플랫폼과 저상플랫폼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지하철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과, 기차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 모두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합형 승강장구조가 제공된다.
고상플랫폼, 저상플랫폼, 연결통로

Description

통합형 승강장구조{United structure of railway f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있어서 지하철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과 기차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 모두에 적용가능한 승강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도역에는 열차를 타고 내리기 위하여 마련된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플랫폼(Platform)이라고도 하며, 그 종류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고상 플랫폼과 저상 플랫폼이 그것이다.
고상 플랫폼(高床 Platform)은 말 그대로 높게 설치된 플랫폼을 말하며 다른 승강장에 비해 그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수도권전철 개통 이후, 각종 도시철도에 많이 쓰여온 방식이며, 주로 지하철(도시철도) 등에 이러한 방식이 쓰이고 있다.
고상 플랫폼은 높이가 열차 내부의 바닥높이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상 플랫폼은 승객 입장에서는 훨씬 편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지하철은 기차에 비해 비교적 많은 인원이 이용하며, 좀더 신속한 승하차가 가능해야 하므로 차 상(바닥높이)을 표준화했고, 이와 같은 고상 플랫폼을 채택하였다.
저상 플랫폼(底床 Platform)은 낮게 설치된 플랫폼을 말하며, 고상 플랫폼에 비하여 낮게 형성되어 있다. 저상 플랫폼은 예전부터 통상적으로 쓰여온 방식이며, 국내에서는 기차역이나 고속철도 역에서 이러한 형태의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다. 규모가 작은 역에서는 계단 이용의 불편 없이 철도건널목을 이용하여 건너다니므로 비교적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차상이 표준화되어 있는 지하철과는 달리, 여러 가지 객차·화차들이 연결되는 기차는, 객차·화차마다 바닥높이가 제각각이다. 여기에 일률적으로 같은 높이의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어떤 객차의 출입문은 걸려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객차의 경우에는 승하차 하기에 너무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화차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서는 저상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같은 철도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용도에 따라 다른 형태의 플랫폼이 사용될 수밖에 없으며, 별개의 플랫폼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상 플랫폼과 저상 플랫폼을 별개로 형성하는 경우 승강장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큰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승객들 또한 별도로 마련된 승강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마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있어서 지하철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과 기차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안전성과 편리성을 모두 고려한 승강장구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승강장구조에 있어서, 상측에는 고상플랫폼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저상플랫폼이 형성되며, 고상플랫폼과 저상플랫폼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지하철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과, 기차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 모두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합형 승강장구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고상플랫폼과 저상플랫폼이 같은 승강장에 형성되도록 하여, 지하철과 기차 등을 탑승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승강장 마련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고상플랫폼과 저상플랫폼이 다수개의 계단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양자 간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고, 휠체어 이동구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장애인 또한 무리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저상플랫폼이 적용되는 기차 등의 경우에 출입문의 수가 적게 구비되어있는 것을 고려하여, 연결통로를 저상플랫폼이 적용되는 운송수단의 출입문의 위치 및 폭에 맞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상플랫폼이 적용되는 운송수단에 승하차시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고상플랫폼의 단부에 안전난간 또는 안전벽이 형성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다섯째, 정확한 정차지점의 확인이 가능한 안내표지 또는 안내센서가 마련되어, 운송수단에 따른 개별적인 정차지점에 정확한 정차가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는,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승강장구조에 있어서, 상측에는 고상플랫폼(1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저상플랫폼(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30)가 형성되어, 지하철(S)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운송수단과, 기차(T)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운송수단 모두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은 지하철(S)과 같이 출입문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운송수단에 바로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은 본 발명인 통합승강장구조의 상측면을 이루며 평평한 지면을 형성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상플랫폼(10)은 양쪽 단부 모두에서 승하차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상플랫폼(20)은 상기 고상플랫폼(10)의 아래에 형성되며, 통상적인 기차(T)와 같이 열차 내부에 계단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승하차 가능한 상기 운송수단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이 양쪽으로 승하차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저상플랫폼(20) 또한 양쪽으로 승하차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30)는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을 연결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상플랫폼(10)에 적용되는 운송수단은 '지하철(S)'로, 저상플랫폼(20)에 적용되는 운송수단은 '기차(T)'로 대표하여 각각 칭하기로 한다.
지하철(S)의 경우에 지하철(S) 한 량(輛)의 일측 면에는 통상 4개의 출입문이 형성되며, 기차(T)의 경우에는 한 량의 일측 면에는 통상 2개의 출입문이 형성된다. 지하철(S)과 기차(T)가 정차지점을 달리한다면, 지하철(S)과 기차(T)의 승하차 지점이 동일한 위치에서 아래위로 형성되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즉, 기 차(T)의 승하차 지점이 지하철(S)의 승하차 지점 사이에 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아래로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을 형성하더라도 무난히 지하철(S) 및 기차(T)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을 동일한 승강장의 위아래에 형성하여, 지하철(S)과 기차(T)를 같은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승강장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에서, 상기 연결통로는 계단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통로(30)는 계단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상플랫폼(10)에는 상기 연결통로(30)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즉, 상기 고상플랫폼(10)의 일부가 상실되어 계단형태의 상기 연결통로(30)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통로(30)는 최상단이 상기 고상플랫폼(10)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최하단이 상기 저상플랫폼(20)의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상플랫폼(10)에는 상기 연결통로(3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된 부분이 마련되게 되는데, 지하철(S)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곳을 이용하여 승하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저상플랫폼(20)은 상기 연결통로(30)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형성되며,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바로 아랫부분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의 아랫부분에 상기 저상플랫폼(20)을 형성하는 경우, 상부가 상기 고상플랫 폼(10)에 의해 차단되므로 승객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게 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통로(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차(T)의 출입문의 위치에 맞도록 형성하여, 상기 연결통로(30)가 형성된 지점에서 기차(T)에 탑승이 이루어진다.
기차(T)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상기 저상플랫폼(20)에 머무르지 않고 상기 고상플랫폼(10)에 대기하다가, 기차(T)가 승강장에 정차한 경우 상기 연결통로(30)를 이용하여 기차(T)에 승차하도록 하는 것이 안전 및 편의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상플랫폼(10)상에는 통상의 장애자용 점자블럭(60)이 형성된다.
계단형태로 형성된 상기 연결통로(30)를 이용하여 승객은 기차(T)에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으며, 지하철(S)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무난히 승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지하철(S)을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철로가 형성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지하철(S) 승강장의 경우 승강장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신속한 대피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낮게 형성된 상기 저상플랫폼(20)으로 우선 대피가 가능하며, 상기 연결통로(30)를 통하여 상기 고상플랫폼(10)으로 무난히 이동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 대비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에 사용되는 연결통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연결통로(30)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통로(30)는 계단형태로 형성되며, 위로 갈수록 계단 폭이 넓어지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30)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통로(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상플랫폼(10)에 의해 벽이 마련되며, 상기 저상플랫폼(20)상에 위치한 승객들에게는 불편한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30)를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여러 방향에서 출입이 가능하고, 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좀 더 넓은 승하차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연결통로(30)에는 휠체어이동구간(31)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통로(30)가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의 경우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통로(30)에는 상기 휠체어이동구간(31)이 포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통로(30)는 중앙에 계단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휠체어이동구간(3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휠체어이동구간(31)은 단순히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통상의 장비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연결통로(30)는, 위치가 상기 저상플랫폼(20)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의 위치에 맞고, 폭이 상기 고상플랫폼(10)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 간격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30)는 상기 저상플랫폼(20)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 즉 기차(T)의 출입문의 위치에 맞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30)의 중심이 기차(T) 출입문의 중심에 정확히 맞도록 반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30)의 폭은 상기 고상플랫폼(10)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인 지하철(S)의 출입문 간격보다 크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30)는 그 폭이 너무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하철(S)에 승하차 하기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통로(30)는 그 폭이 기차(T)에 승하차 하는데 무리가 없을 정도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차(T)는 그 출입문이 상기 연결통로(30)에 일치하는 지점에서 정차하며, 지하철(S)은 그 출입문이 상기 연결통로(30)와 겹치지 않는 지점에서 정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상플랫폼(10) 전체에 걸쳐 지하철(S)의 출입문 폭 이상의 탑승구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통로(30)는 지하철(S)을 이 용하는 승객의 승하차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기차(T)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상기 저상플랫폼(20)에 머무르며 대기할 수도 있으나, 안전 및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고상플랫폼(10) 상에서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차(T)가 승강장에 정차한 경우, 상기 연결통로(30)를 통하여 바로 기차(T)에 승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에는 안전난간(4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난간(40)은 지하철(S) 및 기차(T)에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를 따라 연속해서 형성된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은 철로 바닥에서부터 높게 형성되어 있어, 낙상(落傷)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안전난간(40)으로 하여금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 또는 상기 고상플랫폼(10) 및 상기 저상플랫폼(20)의 단부에는 안전벽(5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벽(50)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 위치에 맞는 지점에서 자동개폐되는 도어(5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벽(50)은 상기 안전난간(40)과 마찬가지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이다.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벽(50)은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를 따라서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벽(50)은 상기 연결통로(30)를 통한 출입도 배제할 수 있도록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 라인을 따라 형성된다.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벽(50)은 상기 고상플랫폼(10)의 단부와 상기 저상플랫폼(20)의 단부를 따라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하철(S)에 승하차 하는 승객의 탑승공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벽(50)에는 상기 도어(5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51)는 지하철(S) 및 기차(T)의 출입문 위치에 맞게 형성된다. 상기 고상플랫폼(10)의 가장 끝 단부에는 지하철(S)에 승하차 하기 위한 상기 도어(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30)의 상단부분 또는 상기 저상플랫폼(20)의 끝 단부에는 기차(T)에 승하차 하기 위한 상기 도어(5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51)는 지하철(S) 또는 기차(T)에 형성된 출입문과 그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자동제어된다. 상기 도어(50)는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절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에서 사용되는 연결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상기 연결통로(30)는 승강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기는 통상의 승강기(엘리베이터, elevator)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에 바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승객은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은, 상기 승강기가 상기 고상플랫폼(10)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고상플랫폼(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에서 개폐되고, 상기 저상플랫폼(20)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기차(T)의 탑승 방향에서 개폐되도록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은 상기 고상플랫폼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에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승강기가 도 6(a)와 도6(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는 일반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장애인 또한 용이하게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상기 고상플랫폼(10)과 저상플랫폼(2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에 의하여 본 발명인 통합형 승강장구조(1)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1)는, 상기 운송수단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정차지점에 정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표지 또는 이를 위한 안내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서 지하철(S)과 기차(T)에 승하차 하기 위한 출입위치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하철(S)과 기차(T)의 정차 위치가 다르게 된다. 지하철(S)의 경우 그 출입문이 상기 연결통로(30)가 형성된 지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차하고, 기차(T)의 경우 그 출입문이 상기 연결통로(30)가 형성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정차하여야 한다.
상기 안내표지 또는 안내센서는 지하철(S)과 기차(T)가 각각 개별적으로 정확한 정차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수단이며, 본 발명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 마련된다.
상기 안내표지는 기호, 문자, 도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인 통합형 승강장구조(1)에 지하철(S)이나 기차(T)의 정확한 정차지점으로 표시된다.
상기 안내센서는 경보음, 경보등과 같은 수단과 연결되어 정확한 정차지점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에 사용되는 연결통로를 도시한 도면,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와 도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와 도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승강장구조에서 사용되는 연결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통합형 승강장구조 10 : 고상플랫폼
20 : 저상플랫폼 30 : 연결통로
31 : 훨체어이동구간 40 : 안전난간
50 ; 안전벽 51 : 도어
60 : 장애자용 점자블럭 S : 지하철
T : 기차

Claims (9)

  1. 철도를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승강장구조에 있어서,
    상측에는 고상플랫폼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저상플랫폼이 형성되며, 상기 고상플랫폼과 저상플랫폼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지하철과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운송수단과, 기차와 같이 출입문이 지상에서 높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운송수단 모두에 승하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합형 승강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는 계단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에는 휠체어이동구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는, 위치가 상기 저상플랫폼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의 위치에 맞고, 폭이 상기 고상플랫폼이 적용되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 간격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플랫폼의 단부에는 안전난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플랫폼의 단부 또는 상기 고상플랫폼의 단부 및 상기 저상플랫폼의 단부에는 안전벽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벽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출입문 위치에 맞 는 지점에서 자동개폐되는 도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는 승강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정차지점에 정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표지 또는 이를 위한 안내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승강장구조.
KR1020090013469A 2009-02-18 2009-02-18 통합형 승강장구조 KR20090037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69A KR20090037408A (ko) 2009-02-18 2009-02-18 통합형 승강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69A KR20090037408A (ko) 2009-02-18 2009-02-18 통합형 승강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408A true KR20090037408A (ko) 2009-04-15

Family

ID=4076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69A KR20090037408A (ko) 2009-02-18 2009-02-18 통합형 승강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7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566A (ko) * 2020-08-04 2022-0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장치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566A (ko) * 2020-08-04 2022-0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장치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35B1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JP5489495B2 (ja) 移動能力の制約された乗客が出入りし易い鉄道車両客車
EP1843928B1 (en) Double-deck railway vehicle
KR101503063B1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KR20090076879A (ko)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JP2001510416A (ja) 大量交通システムのための個人案内システム
SI25659A (sl) Dvigalo za teleskopsko potniško stopnišče za letala, ki omogoča vkrcanje potnikov na invalidskem vozičku
RU2430847C2 (ru)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KR20160076833A (ko)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US20030056686A1 (en) Railcar designs
EP1787883B1 (en) Vehicle with two boarding level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RU2467900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A021287B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глубокого заложения двухуровневый
KR20090037408A (ko) 통합형 승강장구조
KR20130038568A (ko) 외선형 경전철의 승강장
HU213710B (en) Double-deck passanger car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RU72922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CN112498371A (zh) 城市轨道交通列车运行方法
JP5114525B2 (ja) 路面電車
KR101649478B1 (ko)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JP3216922U (ja) 車両
KR102689218B1 (ko) 승강장 연단 비접촉 가변식 안전발판
EP4360981A1 (en) Mid-floor height railway vehicle with level-access at middle platform heights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04

Effective date: 201208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928

Effective date: 201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