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396A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Google Patents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3396A KR20070073396A KR1020060001242A KR20060001242A KR20070073396A KR 20070073396 A KR20070073396 A KR 20070073396A KR 1020060001242 A KR1020060001242 A KR 1020060001242A KR 20060001242 A KR20060001242 A KR 20060001242A KR 20070073396 A KR20070073396 A KR 20070073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reaction chamber
- catalyst
- carbon nanotubes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2534 ethynyl group Chemical group [H]C#C*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1 carbon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WQVUPCCIRVNHF-UHFFFAOYSA-N yttrium atom Chemical compound [Y] VWQVUPCCIRVN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 생성에 사용되는 반응 챔버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 챔버는 촉매가 도포된 합성기판을 수용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반응로와 그 내부로 소스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을 가진다. 가스 공급관에는 소스가스를 가열하는 가열부재가 제공되어, 소스가스는 설정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반응로 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반응로 내에서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ction chamber use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The reaction chamber has a reactor for receiving a catalyst-coated composite substrate to provide a space for performing the process and a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a source gas therein. The gas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source gas, and the source gas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in the state heated to the set temperature. This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in the react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반응챔버가 적용된 탄소 나노 튜브의 생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duction system of carbon nanotubes to which the reaction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반응 챔버에 설치된 오링을 냉각하는 냉각라인을 보여주는 도면;2 shows a cooling line for cooling an O-ring installed in a reaction chamber;
도 3은 반응로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3 shows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a reactor;
도 4a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반응챔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action chamber in which a support frame is installed;
도 4b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반응챔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4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eaction chamber in which a support frame is installed;
도 5는 도 1의 촉매도포부의 구성도;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talyst coating of FIG.
도 6은 도 5의 선 A-A′을 따라 절단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FIG. 6 is a plan view seen from above in a cut state along line A-A 'in FIG. 5;
도 7a 내지 도 7c는 촉매 도포부에서의 촉매 도포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7a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tep by step the catalyst coating process in the catalyst coating unit;
도 8은 도 1의 기판 보관부와 제 1이송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ubstrate storage part and the first transfer device of FIG. 1; FIG.
도 9는 기판 보관부의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of the substrate storage portion.
도 10은 기판 보관부의 카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of the substrate storage portion.
도 11은 제 1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nsfer device.
도 12는 도 11의 아암을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보여주는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member for cooling the arm of FIG.
도 13은 도 12의 블레이드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ade of FIG. 12;
도 14a 내지 도 14c는 블레이드에 형성된 돌기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 14A-14C show various examples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blades;
도 15는 도 1의 회수부의 사시도;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overy part of FIG. 1; FIG.
도 16은 도 15의 회수부의 평면도; 16 is a plan view of the recovery part of FIG.
도 17은 회수부에서의 탄소 나노 튜브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rbon nanotube recovery process in the recovery unit;
도 18은 탄소 나노 튜브 생성을 위한 시스템에서의 공정 순서도이다. 18 is a process flow diagram in a system for carbon nanotube produc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반응 챔버 200 : 스테이션부100: reaction chamber 200: station portion
300 : 제 1이송장치 400 : 기판 보관부300: first transfer device 400: substrate storage unit
500 : 촉매 도포부 600 : 회수부500: catalyst coating unit 600: recovery unit
700 : 제 2이송장치700: second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 생산에 사용되는 반응 챔버 및 탄소 나노 튜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ction chamber used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s)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이웃하는 세 개의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육각 환형을 이루고, 이러한 육각 환형이 벌집 형태로 반복 된 평면이 말려 원통형 또는 튜브를 이룬 형태를 가진다. Carbon nano tubes (carbon nanotubes) is formed by combining three carbon atoms adjacent to one carbon atom to form a hexagonal ring, and the hexagonal ring is a honeycomb-shaped plane rolled to form a cylindrical or tube.
탄소 나노 튜브는 그 구조에 따라 금속적인 도전성 또는 반도체적인 도전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의 재료로서 여러 기술 분야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어 미래의 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대, 탄소 나노 튜브는 이차 전지, 연료 전지 또는 수퍼 커패시터와 같은 전기 화학적 저장 장치의 전극, 전자파 차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또는 가스 센서 등에 적용가능하다.Carbon nanotubes are a material that can exhibit metallic conductivity or semiconducting conductivity depending on their structure, and thus can be widely appli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For example, carbon nanotubes are applicable to electrodes of electrochemical storage devices such as secondary cells, fuel cells or supercapacitors, electromagnetic shielding, field emission displays, or gas sensors.
이러한 탄소 나노 튜브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한 소량 생산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합성기판에 촉매를 도포하는 작업이나, 합성기판을 반응관에 로딩/언로딩하는 작업, 탄소 나노 튜브가 합성된 합성기판을 반응관에서 언로딩하여 합성기판으로부터 탄소 나노 튜브를 회수하는 과정 등이 작업자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연속공정 및 대량 생산이 어렵다.Most of these carbon nanotubes consist of small quantities of hand-dependent production. In particular, a process of applying a catalyst to a synthetic substrate, loading / unloading a synthetic substrate into a reaction tube, and recovering carbon nanotubes from the synthetic substrate by unloading the synthetic substrate on which the carbon nanotubes are synthesized in the reaction tube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ntinuous process and mass production because the back is made by worker.
또한, 일반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의 생성 공정은 촉매가 도포된 합성기판이 제공된 반응로 내에 소스가스를 공급하고, 반응로를 공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스가스가 상온 상태에서 반응 챔버 내로 공급되어 공정이 진행되므로 반응 챔버 내에서 소스가스가 가열되어 활성화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In general, the carbon nanotube production process is performed by supplying a source gas into a reactor provided with a synthetic substrate coated with a catalyst, and heating the reactor to a process temperature. However, since the source gas is supplied into the reaction chamber at room temperature and the process proceeds,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source gas to be heated and activated in the reaction chamber.
본 발명은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탄소 나노 튜브 생산에 사용되는 반응 챔버 및 탄소 나노 튜브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ction chamb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which are use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which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process.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 생성에 사용되는 반응 챔버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 챔버는 탄소 나노 튜브의 생성이 이루어지며, 공정 진행시 공정 온도로 가열되는 반응로, 상기 반응로 내로 소스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그리고 소스 가스가 상기 반응로 내로 공급되기 전에 소스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ction chamber use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The reaction chamber is made of carbon nanotubes, the reactor is heated to the process temperature during the process, the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ource gas into the reactor, and the source gas before the source gas is supplied into the reactor It includes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또한, 본 발명은 반응로 내로 소스 가스를 공급하여 합성 기판 상에 탄소 나노 튜브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소스 가스가 설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반응로 내로 공급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carbon nanotubes on a composite substrate by supplying a source gas into the reactor. According to the method, the source gas is supplied into the reactor in a stat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 기판은 그 상에 촉매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반응로 내로 유입되고, 상기 소스가스는 아세틸렌, 에틸렌, 메탄, 벤젠, 크실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ynthetic substrate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in the state where the catalyst is applied thereon, the source gas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ylene, ethylene, methane, benzene, xylene,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It may include.
이하,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 튜브 생성에 사용되는 반응 챔버 및 상기 반응 챔버에 구비된 실링 부재를 냉각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cooling a reaction chamber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reaction cha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18.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figures is exaggerated to emphasize clear explanation.
도 1은 탄소 나노 튜브 생산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합성기판(10), 반응 챔버(100), 그리고 전후처리실을 갖는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rbon nanotube production system. Referring to FIG. 1, the
합성기판(10)은 탄소 나노 튜브(도 7의 30)의 합성이 이루어지는 기저판(base plate)으로서 사용된다. 탄소 나노 튜브(30)가 합성되는 합성기판(10)으로는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ITO(Induim Tin Oxide) 기판, 코팅된 유리(ITO-coated glass), 소다라임 유리, 코닝 유리,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탄소 나노 튜브(30)를 합성(성장,생성)시키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면 합성 기판은 상술한 종류의 기판 외에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The
반응 챔버(100)는 합성 기판(10) 상에 탄소 나노 튜브(30)를 생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전후처리실은 반응 챔버(100)로/로부터 로딩/언로딩되는 합성기판(10)에 대한 전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전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은 기판에 촉매(20)를 도포하는 공정과 합성 기판 상에 생성된 탄소 나노 튜브(30)를 회수하는 공정 등을 포함한다. 전후처리실은 스테이션부(200), 제 1이송장치(300), 기판 보관부(400), 촉매 도포부(500), 회수부(600), 그리고 제 2이송장치(700)를 가진다. The
스테이션부(200)는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되는 합성기판(10)이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이송장치(300)는 반응 챔버(100)로/로부터 합성기판을 로딩/언로딩한다. 기판 보관부(400)는 반응 챔버(100)로/로부터 로딩되거나 언로딩되는 합성기판을 보관한다. 촉매 도포부(500)는 합성기판(10)이 반응 챔버 (100)로 로딩되기 전에 합성기판(10) 상에 촉매(20)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회수부(600)는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된 합성 기판(10) 상에 생성된 탄소 나노 튜브(30)를 합성 기판(10)으로부터 회수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제 2이송장치(700)는 기판 보관부(400), 촉매 도포부(500), 그리고 회수부(600) 간에 합성기판(10)을 이송한다. The
일 예에 의하면, 스테이션부(200)는 반응 챔버(100)의 일측에 반응 챔버(10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스테이션부(200)는 제 1영역(240)과 제 2영역(260)을 가진다. 제 1영역(240)은 반응 챔버(1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영역(240)에는 기판 저장부(400)가 위치된다. 제 2영역(260)은 제 1영역(240)을 기준으로 반응 챔버(100)와 반대 방향에 제공되며 제 1이송장치(300)가 위치된다. 반응 챔버(100)와 제 2영역(260)은 제 1방향(42)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제 1영역(240)은 상부 영역(242)과 하부 영역(244)을 가진다. 상부 영역(242)은 반응 챔버(100) 및 제 2영역(26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하부 영역(244)은 상부 영역(244)로부터 제 1방향(42)과 수직한 제 2방향(44)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제 1영역(240)과 제 2영역(260)은 각각 대체로 직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스테이션부(200)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ㄱ'자 형상을 가진다. 촉매 도포부(500)와 회수부(600), 그리고 제 2이송장치(400)는 스테이션부(20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제 1영역(240)의 상부 영역(242)을 기준으로 하부 영역(244)과 반대되는 위치에 제 1방향(42)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 2이송장치(400)는 스테이션부(200)의 제 1영역(240)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 2이송장 치(400)는 촉매 도포부(500)와 회수부(600) 사이에 위치된다. 스테이션부(200)의 형상 및 스테이션부(200), 제 1이송장치(300), 제 2이송장치(400), 촉매 도포부(500), 그리고 회수부(600)의 배치는 위와 달리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반응 챔버(reaction chamber)(100)는 반응로(reaction tube)(120), 제 1 및 제 2 플랜지(flange)(132, 134), 가열부(heating member)(140), 냉각 부재(150), 그리고 보트(boat)(160)를 갖는다. 반응로(120)는 석영(quartz)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 등과 같이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반응로(120)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정 진행 중 반응로(120)는 가열부(140)에 의해 대략 섭씨 500 - 1100도(℃)로 유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반응로(120)의 전단에는 원판 형상의 제 1 플랜지(132)가 결합되고, 반응로(120)의 후단에는 제 2 플랜지(134)가 결합된다. 제 1플랜지(132)는 대체로 원판 형상을 가진다. 제 1 플랜지(132)에는 반응로(120) 내로 소스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재(180)가 연결된다. 가스 공급부재(180)는 가스 공급원(182), 가스 공급관(184), 그리고 가열 부재(186)를 가진다. 가스 공급관(184)은 제 1 플랜지(132)에 결합되어, 가스 공급원(182)으로부터 반응로(120) 내로 소스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소스가스로는 아세틸렌, 에틸렌, 메탄, 벤젠, 크실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가스 공급관(184)에는 그 내부 통로를 개폐하거나 그 내부를 흐르는 소스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184a)가 설치된다. 가열 부재(186)는 가스 공급관(184)에 설치된다. 가열 부재(186)는 소스가스가 반응로(120) 내로 공급되기 전에 소스가스를 설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는 반응로(120) 내에서 소스가스가 활성화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공정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줄인다. 소스가스는 열분해에 의해 활성화되며 이들이 합성기판(10) 위에 도포된 촉매와 반응하여 탄소 나노 튜브가 생성된다. 제 2 플랜지(134)는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제 2플랜지에는 반응 후 반응로(120) 내부의 잔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라인(189)이 결합된다. The
제 1 플랜지(132)와 반응로(120)의 접촉면 및 제 2 플랜지(134)와 반응챔버(120)의 접촉면에는 반응로(120) 내부를 외부로부터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132a, 134a)가 설치된다. 실링부재(132a, 134a)로는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냉각부재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부재는 냉각라인(152), 냉각수 공급관(156), 센서(158)을 가진다. 냉각라인(152)는 제 1플랜지(132) 내부 및 제 2플랜지(134) 내부 각각에 형성되며, 냉각 유체가 흐른다. 냉각 유체로는 냉각수가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냉각 유체로는 비활성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냉각라인(152)을 흐르는 냉각수는 실링부재(132a, 134a)가 반응로 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132a, 134a)를 냉각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라인(152)에는 냉각수 공급관(156)과 냉각수 회수관(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된다. 냉각수 공급관(156)에는 그 내부 통로를 개폐하거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156a)이 설치된다. 또한, 냉각수 공급관(156)에는 그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58)가 설치되고, 센서(158)에 의해 측정된 신호는 설비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159)로 전송된다. 제어기(159)는 센서(158)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냉각수의 유량 또는 온도가 설정범위 내를 설정시간 동안 벗어나면 시스템을 정지시키거나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 또는 경고음을 통해 알린다. 이는 냉각수 공급관(156)을 통해 일시적으로 설정된 유량 또는 설정된 온도로 냉각수가 흐르지 않더라도 실링부재(132a, 134a)가 파손되기 전 일정시간 이내에는 계속적으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설정시간은 냉각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계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실링부재(132a, 134a)가 영향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가열부(140)는 반응로(120) 내부를 공정 온도로 가열한다. 가열부(140)는 반응로(120)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로(120)를 가열하는 방식으로는 발열 코일에 의한 방식 또는 발열 램프에 의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부(140)의 일 예가 도시된 반응 챔버(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반응로(120) 내에서 제 1플랜지(132) 및 제 2플랜지(134)와 인접한 영역을 가장자리부 영역(122a, 122b)이라 하고, 가장자리부 영역들(122a, 122b)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을 중앙부 영역(124)이라 칭한다. 반응로(120) 전체 영역이 하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가장자리부 영역(122a, 122b)은 중앙부 영역(124)에 비해 온도가 낮다. 이는 반응로(120)의 가장자리부 영역(122a, 122b)이 플랜지들(132, 134)에 설치된 냉각라인(152)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온도 상태에서 합성기판(10)에 대해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합 성기판들은 반응로의 중앙부 영역(124)에만 제공되어야 하므로 반응로(120)의 길이가 길어진다. 3 is a view showing a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가열부(140)는 가장자리 히터(142), 중앙 히터(144), 그리고 히터 제어기(146)를 가진다. 가장자리 히터(142)는 반응로(120)의 가장자리부 영역들(122a, 122b)을 가열하고, 중앙 히터(144)는 반응로(120)의 중앙부 영역(124)을 가열한다. 히터 제어기(146)는 중앙 히터(144)와 가장자리 히터(142)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반응로(120) 내에서 전체적으로 공정 온도가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가장자리 히터(142)는 중앙 히터(144)에 비해 더 높은 온도로 반응로(120)를 가열한다. 가장자리 히터(142)는 제 1플랜지(132)와 인접한 반응로(120)의 가장자리부 영역(122a)을 가열하는 제 1히터(142a) 및 제 2플랜지(134)와 인접한 반응로(120)의 가장자리부 영역(122b)을 가열하는 제 2히터(142b)를 가진다. 이는 반응로(120)의 가장자리부 영역들(122a, 122b)간 온도가 상이한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히터 제어기(146)는 제 1히터(142a)와 제 2히터(142b)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referring to FIG. 3, the
보트(160)는 반응로(120) 내에 하나만 제공되거나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보트(160)는 충분히 큰 크기로 제공되어, 하나의 보트(160)에 반응로(120)의 길이방향(상술한 제 1방향(42))을 따라 복수 개의 합성기판(10)이 놓여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트(160)는 상하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합성기판들(10)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보트(160)들은 상하로 2개씩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2개씩 합성기판(10)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조를 가진다. 보트(160)들은 반응로(120) 내에 고정설치되거나 로딩/언로딩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Only one
또한, 보트(160)는 하나의 합성기판(10)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트(16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보트(160)가 복수개 제공되는 경우, 보트(160)들은 반응로(120)의 길이방향(상술한 제 1방향(42))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거나, 선택적으로 제 1방향(42)과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선택적으로 보트(160) 대신 반응로(120) 내에는 합성기판(10)이 놓여지는 지지 프레임(16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내부에 지지 프레임(160′)이 설치된 반응로(120)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60′)은 반응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응로(120)의 내벽으로부터 반응로(120)의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2개의 프레임들(162, 164)을 가진다. 제 1프레임(162)과 제 2프레임(164)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각각 합성기판(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합성기판(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 1프레임(162) 및 제 2프레임(164)의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안내돌기(162a, 164a)가 제공되고, 합성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안내돌기(162a, 164a)에 걸리도록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0a)이 제공될 수 있다. Optionally, a
하나의 지지프레임(160′)에 반응로(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합성기판들(10)이 놓이도록 제 1프레임(162)과 제 2프레임(164)은 충분히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60′)은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반응로(120)가 원형 단면으로 제공된 경우, 지지 프레임(160′)은 상하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지지 프레임(160′)의 폭을 넓게 제공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은 3개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4b와 같이 반응로(140a)는 직사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지지 프레임(160′)은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탄화수소를 열분해 하여 탄소 나노 튜브(30)를 생산하는 열분해법(pyrolysis of hydrocarbon)이 적용된 구조를 가진 반응 챔버(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레이저증착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 열화학 기상증착법, 플레임(flame) 합성방법, 그리고 전기방전법 등의 다양한 생성방식이 적용된 구조를 가진 반응 챔버가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션부(200)는 외부와 격리된 챔버(200a)을 포함한다. 스테이션부(200)와 반응 챔버(100) 사이에는 이들 간에 합성기판(10)이 이동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 1게이트 밸브(222)가 설치되고, 스테이션부(200)와 제 2이송장치(700) 사이에는 이들 간에 합성기판(10)이 이동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 2게이트 밸브(224)가 설치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스테이션부(200)에는 그 내부로 질소,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재(280)가 설치된다. 불활성 가스는 스테이션부(200) 내부에 공기(특히, 산소)를 제거하고 스테이션부(200) 내부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유지한다. 이는 스테이션부(200) 내에 반응 챔버(100)로부터 합성기판(10)이 언로딩될 때, 합 성기판(10) 상에 생성된 고온의 탄소 나노 튜브(30)가 산소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 공급부재(280)는 기판 보관부(400)가 설치된 제 1영역(24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 1게이트 밸브(222)가 반응 챔버(100)와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 반응 챔버(100) 내 복사열에 의해 제 1게이트 밸브(222)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응 챔버(10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가열부(140)와 제 1게이트 밸브(222)가 거리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반응 챔버(100)의 길이 증가로 인해 시스템(1)이 대형화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스템(1)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제 1게이트 밸브(222)가 복사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게이트 밸브(222)와 반응 챔버(100) 사이에 열 차단부재(190)가 설치된다. 열 차단부재(190)는 반응 챔버(100)로부터 제 1게이트 밸브(222)로 전해지는 복사열을 차단한다. 열 차단부재는(190)는 알루미나와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차단판(192)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기(194)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차단판(192)은 일반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판(192)이 반응로(120) 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차단판(192)을 냉각하는 냉각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between the
차단판(190)은 제 1게이트 밸브(222)가 닫혀 있는 동안에는 제 1게이트 밸브(222)의 전방에 위치되어 제 1게이트 밸브(222)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게이트 밸브(222)가 개방된 때에는 합성기판(10)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The blocking
합성기판(10)은 반응 챔버(160)로 로딩되기 전에, 촉매(20)(금속막)가 촉매 도포부(500)에서 반응 챔버(160) 상면에 도포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촉매 도포부(500)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절단 후 상부에서 바라본 촉매 도포부(500)의 평면도이다. Before the
도 5과 도 6을 참조하면, 촉매 도포부(500)는 촉매 저장 탱크(호퍼, 520), 정량 공급부(560), 브러시 유닛(580), 그리고 스테이지(590)를 가진다. 공정 진행시 합성기판(10)은 스테이지(590) 상에 놓여진다. 촉매 저장 탱크(520)는 스테이지(590) 상부에 배치되며 합성기판(10) 상면에 일정량의 촉매(20)를 공급하는 토출구를(526a) 갖는다. 브러시 유닛(580)은 합성기판(10) 상면으로 공급된 촉매(20)를 합성기판(10) 상면에 균일한 두께로 펴준다. 5 and 6, the
스테이지(590)는 합성기판(10)이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측판들(592)과 각각의 측판(592)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합성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들(594)을 가진다. 각각의 측판(592)에 지지돌기(594)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브러시 유닛(580)은 가이드 레일(584), 도포용 브러시(587), 그리고 이동체(588)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584)은 합성기판(1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59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체(588)는 가이드 레일(58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체(588)는 리니어모터 구동방식, 실린더 구동방식, 모터 구동방식과 같은 공지의 직선 이동 구동부(586)에 의해 직선 이동된다. 도포용 브러시(587)는 스테이지(590)의 상부에 위치되며, 촉매(20)를 합성기판(10) 전면에 균일한 두께로 펴 준다. 도포용 브러시(587)는 그 양단이 이동체(588)에 연결되어 이동체(588)와 함께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포용 브러시(587)는 진행방향에 대하여 특정 경사면을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동체(588) 상에서 도포용 브러시(587)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포용 브러시(587)는 수직이동기(589)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이는 합성기판(10) 상면에 도포되는 촉매(20)의 도포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이동기(589)는 이동체(588)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상부판(589a), 이와 대향되도록 이동체(588)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하부판(589b), 그리고 상부판(589a)과 하부판(589b)을 연결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 가이드축(589c)을 가진다. 가이드축(589c)에는 구동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이드축(589c)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도포용 브러시(587)가 고정장착되는 브라켓(589d)이 설치된다. The
촉매 저장 탱크(520)는 내부에 저장된 촉매(20)를 합성기판(10) 상으로 공급한다. 촉매 저장 탱크(520)는 상부면(522), 측면(524), 그리고 토출구(526a)가 형성된 하부면(526)을 가진다. 측면(524)은 대체로 수직한 상측부(524a), 이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아래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진 중간측부(524b), 그리고 이로부터 아래로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 하측부(524c)를 가진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상측부(524a)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는 하측부(524c)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비해 동일 높이에 해당되는 영역에 많은 량의 촉매(20)가 저장된다. 상술한 중간측부(524b)의 형상에 의해 상측부(524a)에 의해 제공된 공간 내 촉매(20)는 원활하게 하측부 (524c)에 의해 제공된 공간으로 공급된다. The
촉매 저장 탱크(520)에는 합성기판(10) 상면으로 설정된 량만큼 촉매(20)가 공급되도록 하는 정량 공급부(560)가 설치된다. 정량 공급부(560)는 설정된 량의 촉매(20)가 담겨질 수 있는 정량 공간(568)을 제공할 수 있는 상부 차단판(564)과 하부 차단판(562)을 가진다. 상부 차단판(564)과 하부 차단판(562)은 하측부(524c)에 제공된다. 정량 공간(568)은 촉매 저장 탱크(520)의 토출구(526a)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 차단판(564)은 정량 공간(568)의 상단으로 제공되고, 하부 차단판(562)은 정량 공간(568)의 하단으로 제공된다. 상부 차단판(564)과 하부 차단판(562)은 실린더(566)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하부 차단판(562)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부 차단판(564)이 닫혀지면, 하부 차단판(562)과 상부 차단판(564) 사이에 설정된 량의 촉매(20)가 채워진 정량 공간(568)이 다시 제공된다.The
하부 차단판(562)이 개방되면 정량 공간(568)에 담겨진 촉매(20)가 토출구(526a)를 통해 합성기판(10) 상면으로 공급된다. 한편, 촉매 저장 탱크(520)의 중간측부(524b)에는 촉매(20)를 교반시키는 교반기(540)가 설치된다. 교반기(540)의 교반날개(542)는 촉매(20)가 정량 공간으로 공급되기 전 회전하여 촉매 저장 탱크(520) 내부의 빈공간을 제거함과 동시에 촉매(20)가 정량 공간(568)으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갖는다. When the
도 7a 내지 도 7c는 촉매 도포부(500)에서의 촉매 도포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합성기판(10)이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해 스테이지(590)에 놓여지면, 하부 차단판(562)이 실린더(566)에 의해 작동되어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정량 공간(568) 하부를 개방하게 되고, 정량 공간(568)에 담겨져 있던 설정된 량의 촉매(20)가 합성기판(10) 상면으로 떨어진다(도 7a). 합성기판(10) 상면에 수북하게 쌓인 촉매(20)는 브러시 유닛(580)에 의해 합성기판(10) 전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된다(도 7b, 도 7c). 즉, 도포용 브러시(587)는 이동체(588)와 함께 합성기판(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촉매(20)를 합성기판(10) 전면에 균일하게 도포시킨다. 이때 촉매(20)의 균일한 도포를 위하여 도포용 브러시(587) 또는 합성기판(10)에 미세한 진동을 가해줄 수 있는 진동기(미도시됨)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7A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talyst application process in the
여기서, 촉매(20)는 예를 들면 철, 백금, 코발트, 니켈, 이트륨 등의 전이금속과 또는 이들의 합금 및 산화마그네슘(Mg0), 산화알루미늄(Al203), 산화실리콘(Si02) 등의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분말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소재가 포함된 액상의 촉매(20)일 수 있다. 촉매(20)가 액상인 경우에는 촉매 저장 탱크와, 공급라인,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정량공급용 펌프 그리고 액상의 촉매(20)를 합성기판 상면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상술한 예에서는 도포용 브러시(587)가 이동하면서 합성기판(10) 상에 촉매(20)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도포용 브러시(587)는 고정되고 스테이지(59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촉매 도포부(500)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상술한 예와 같이 도포용 브러시(587)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촉매(20)는 촉매 도포부(500)에서 별도로 합성기판(10) 상에 도포되고, 반응 챔버(100) 내에서는 촉매(20)가 도포된 합성기판(10) 상에 탄소 나노 튜브(30)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촉매 도포부를 제거하고, 반응 챔버 내에서 촉매 가스 및 소스가스를 공급하여 합성기판 상에 촉매 도포 및 탄소 나노 튜브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도 8은 기판 보관부(400)와 제 1이송장치(30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기판 보관부(400)의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기판 보관부(400)는 합성기판(10)을 보관하는 카세트(420), 수직 레일들(442), 수평 레일(444), 그리고 이동 프레임들(446)을 가진다. 수직 레일들(442)은 제 1영역(24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수직 레일들(442)은 상하 방향으로 긴 로드 형상을 가지며, 이동 프레임(44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각각의 수직 레일(442)에는 수직 레일(442)을 따라 수직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브라켓(448)이 결합된다. 각각의 이동 프레임(446)은 제 1방향(42)을 따라 길게 제공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동 프레임(446)은 브라켓(448)에 고정결합되어 브라켓(448)과 함께 수직 레일(442)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된다. 각각의 이동 프레임(446)의 양단은 각각 제 1방향(42)으로 서로 대향되는 브라켓들(448)에 고정설치되며, 이동 프레임들(446)은 브라켓(448)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이동 프레임(446) 상에는 수평 레일(444)이 고정 설치된다. 각각의 수평 레일(444)은 제 2방향(44)을 따라 길게 제공되며, 수평 레일들(444)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수평 레일(444)은 제 1영역(240) 전체에 걸쳐 제공되며, 수평 레일(444) 상에는 수평 레일(444)을 따라 제 2 방향(44)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카세트(420)가 장착된다. 8 is a plan view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420)는 점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로딩/언로딩 위치(X2)(반응 챔버와 연결되는 제 1게이트 밸브(222) 바로 앞) 사이에서 수평 이동된다. 대기 위치(X1)는 제 1영역(240)의 하부 영역(244) 내 위치이고 로딩/언로딩 위치(X2)는 제 1영역(240)의 상부 영역(242) 내 위치이다. 카세트(420)는 반응 챔버(100)로/로부터 합성기판(10)을 로딩/언로딩할 때와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한 합성기판(10) 이송시 로딩/언로딩 위치(X2)로 이동되며, 합성기판(1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대기할 때에는 대기위치(X1)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8, the
도 10은 카세트(420)의 사시도이다. 반응 챔버(100)로 로딩될 합성기판(10) 및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된 합성기판들(10)은 카세트(420)에 보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카세트(420)는 지지부들(422), 상판(424) 및 하판(426), 그리고 수직축들(428)을 가진다. 상판(424)과 하판(426)은 대체로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하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수직축들(428)은 상판(424)과 하판(426)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영역을 연결하며 4개가 제공된다. 수직축(428)에는 합성기판(10)이 카세트(420)에 적층되어 보관되도록 합성기판(10)을 지지하는 지지부들(422)이 설치된다. 각각의 지지부(422)는 합성기판(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블럭(423)을 가진다. 지지부들(422)은 2개의 그룹으로 그룹지어진다. 제 1그룹에 속하는 지지부들(422a, 이하 제 1지지부)은 반응 챔버(100)로 로딩될 합성기판(10)들을 지지하며, 제 2그룹에 속하는 지지부들(422b, 이하 제 2지지부)은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된 합성기판(10)들을 지지한다. 일 예에 의하면, 제 1지지 부(422a) 및 제 2지지부(422b)는 각 4개씩 제공되며, 제 1지지부들(422a)은 제 2지지부들(422b)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 2지지부들(422b) 간의 상하 간격은 제 1지지부들(422a) 간의 상하 간격보다 넓게 제공된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카세트(420) 전체 높이는 줄이면서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된 합성기판(10)의 상면에 생성된 탄소 나노 튜브(30)가 인접한 합성기판(1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들에 보관중인 합성기판(10)들은 제 1이송장치(300)에 의해 반응 챔버(100) 내부로 로딩된다. 반응 챔버(100)의 보트(160)에는 4장의 합성기판(10)들이 놓여지게 된다. 제 1이송장치(300)는 합성기판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반응 챔버(100)로/로부터 로딩하고 언로딩한다. The
합성기판(10)들의 로딩이 완료되면, 반응 챔버(100)에서 탄소 나노 튜브(30) 생성을 위한 공정이 진행된다. 반응 챔버(100)에서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또 다른 4장의 합성기판(10)들은 촉매 도포부(500)에서 촉매 도포 후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들에서 대기하게 된다. When the loading of the
반응 챔버(100)에서 탄소 나노 튜브(30)의 생성 공정이 완료되면, 고온 상태의 합성기판(10)은 제 1이송장치(300)에 의해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되어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22b)에 수납되며, 고온의 합성기판(10)은 제 2지지부(422b)에서 일정시간 동안 냉각 과정을 거친다. 냉각은 자연 냉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냉각수 등과 같은 냉각 수단을 사용하여 강제 냉각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한편, 탄소 나노 튜브(30) 생성이 완료된 합성기판(10)들이 신속하게(일정온도로 떨어지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반응 챔버(100)로부터 인출되면,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a)에서 대기중인 4장의 합성기판(탄소 나노 튜브(30) 생성을 위해 대기중인 합성기판)(10)이 반응 챔버(100)로 로딩된다. 이렇게 반응 챔버(100)에서는 반응로(120) 온도가 공정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신속하게 합성기판(10)들이 로딩됨으로써 반응로(120)의 공정온도로 높이기 위한 승온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탄소 나노 튜브(30)가 생성된 합성기판(10)들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22b)들에서 대기하게 된다. 합성기판(10)들이 대기하는 카세트(420)는 스테이션부(200) 내부에 위치된다. 스테이션부(200)의 내부는 불활성가스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카세트(420)에서 대기 중인 합성기판(10)들은 외부의 공기(특히 산소)와 접촉되지 않는다. 예컨대, 반응 챔버(100)에서 공정을 마친 합성기판(10)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는 상관 없지만, 합성기판(10)이 고온 상태에서 상온의 대기 중에 노출되면, 합성기판(10) 표면에 생성된 탄소 나노 튜브(30)가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하면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반응 챔버(100)에서 언로딩된 합성기판(10)들이 산소와의 접촉되지 않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가스로 채워진 스테이션부(200)를 제공하였다. The
한편,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22b)들에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 합성기판(10)들은 제 2게이트 밸브(224)를 통해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해 회수부(600)로 옮겨진다. 그리고, 회수부(600)에서 탄소 나노 튜브(30)의 회수를 마친 합성기판(10)은 촉매 도포부(500)에서 촉매(20)를 도포한 후 다시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a)에 수납된다. Meanwhile,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총 8장의 합성기판들이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교대로 반응 챔버에서 탄소 나노 튜브(30) 합성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처리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eight synthetic substrat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us the
도 11은 제 1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이송장치(300)는 합성기판(10)을 지지하는 아암(320), 블레이드(340), 구동기(360)을 가진다. 구동기(360)은 수직 레일들(362), 수평 레일(364), 이동 프레임들(366), 그리고 이동블럭(368)을 가진다. 수직 레일들(362)은 제 2영역(26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수직 레일들(362)은 상하 방향으로 긴 로드 형상을 가지며, 이동 프레임(36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각각의 수직 레일(362)에는 수직 레일(362)을 따라 수직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브라켓(365)이 결합된다. 각각의 이동 프레임(366)은 제 2방향(44)을 따라 길게 제공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동 프레임(366)은 브라켓(365)에 고정결합되어 브라켓(365)과 함께 수직 레일(362)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된다. 각각의 이동 프레임(366)의 양단은 각각 제 2방향(44)으로 서로 대향되는 브라켓들(365)에 고정설치되며, 이동 프레임들(366)은 브라켓(365)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이동 프레임(366)들 상에는 수평 레일(364)이 고정설치된다. 각각의 수평 레일(364)은 제 1방향(42)으로 길게 제공된다. 수평 레일(364)은 제 2영역(260) 전체 영역에 걸쳐 제공되며, 수평 레일(364) 상에는 수평 레일(364)을 따라 제 2방향(44)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블럭(368)이 장착된다. 이동블럭(368)에는 제 1방향(42)을 따라 길게 설치된 아암(320)이 고정설치되고, 아암(320)의 끝단에는 합성기판(10)을 지지하는 블레이드(340)가 장착된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nsfer device. Referring to FIG. 11, the
또한, 제 1이송장치(300)는 아암(320)을 냉각하는 냉각부재(330)가 제공된다. 반응로(120)의 길이가 긴 경우, 합성기판(10)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긴 길이의 아암(320)이 사용된다. 그러나 반응로(120) 내부는 매우 고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아암(320)이 반응로(120) 내로 유입시 열에 의해 신장되고, 이로 인해 블레이드(340) 상의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합성기판(10)이 안착된다. 이는 블레이드(340)에 의해 합성기판(10)이 이동되는 도중에 합성기판(10)이 블레이드(340)로부터 이탈되거나 합성기판(10)이 정위치에서 벗어나 카세트(420)에 놓여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냉각부재(330)는 아암(320)이 반응로(120) 내로 유입될 때 열에 의해 아암(3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냉각부재(330)가 제공된 제 1이송장치(300)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냉각부재(330)는 냉각라인(332), 냉각수 공급관(334), 그리고 냉각수 회수관(336)을 가진다. 냉각라인(332)은 아암(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아암(320) 내에 제공된다. 냉각라인(332)의 일단에는 냉각라인(332)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334)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냉각라인(332)으로부터 냉각수를 회수하는 냉각수 회수관(336)이 연결된다. 냉각수 공급관(334)에는 그 내부 통로를 개폐하거나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334a)가 설치된다.The cooling member 330 prevents the
공정이 완료된 합성기판(10)은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다. 스테이션부(200)에서 대기하던 블레이드(340)가 고온의 합성기판(10)을 반응로(120)로부터 언로딩시키기 위해 접촉할 때 합성기판(10)이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340)와 합성기판(10)의 접촉면적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13은 도 11의 블레이드(340)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340)는 상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342)와 이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합성기판(10)과 접촉되는 돌기(344)들을 가진다. 플레이트(342)는 공정시 합성기판(10)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반응로(120) 내부로 유입되므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다. 돌기들은 블레이드와 합성기판간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의 모서리 영역에 또는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제공된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돌기(344a)들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44a)들 각각은 반구, 다각뿔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합성기판(10)과 점접촉되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나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합성기판(10)과 면접촉된다.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the
돌기(34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344)는 합성기판(10)이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344)의 형상, 개수, 그리고 배치 등은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44)들에서 일정시간 동안 냉각 과정을 마친 합성기판(10)들은 제 2게이트 밸브(224)를 통해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해 회수부(600)로 옮겨진다. The
도 15 및 도 16은 각각 회수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7은 회수부에서의 탄소 나노 튜브(30)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 and 16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recovery portion, Figure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회수부(600)는 합성기판(1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620)를 갖는다. 스테이지(620)의 하단에는 합성기판(10)으로부터 회수되는 탄소 나노 튜브(30)가 저장되는 회수통(660)이 위치된다. 그리고 스테이지(620)에는 합성기판(10) 상면에서 탄소 나노 튜브(30)를 회수통(660)으로 쓸어주는 회수유닛(640)이 배치된다. 회수유닛(640)에는 합성기판(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646)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646)에는 이동체(644)가 설치되며, 이동체(644)에는 회수용 브러시(642)가 설치된다. 회수용 브러시(642)는 합성기판(10)의 일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합성기판(10) 상면의 탄소 나노 튜브(30)를 회수통(660)으로 쓸어낸다. 회수용 브러시(642)는 이동체(644)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15 to 17, the
상술한 예에서는 회수용 브러시(642)가 이동하면서 합성기판(10) 상에 촉매(20)를 쓸어내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회수용 브러시(642)는 고정되고 스테이지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회수부(600)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상술한 예와 같이 회수용 브러시(642)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탄소 나노 튜브(30)가 회수된 합성기판(10)은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해 촉매 도포부(500)로 제공되어 앞에서 언급한 촉매 도포 과정을 거친 후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a)에 수납된다. The
도 18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소 나노 튜브(30) 대량 생산을 위 한 시스템에서의 공정 진행은 촉매 도포단계(S110), 탄소 나노 튜브(30) 생성 단계(S120), 냉각(대기)단계(S130), 회수단계(S140)를 가진다. 촉매 도포 단계(S110)는 촉매 저장 탱크(520)에서 1회 도포량에 해당되는 촉매(20)가 합성기판(10) 상면으로 공급되면, 브러시 유닛(580)의 도포용 브러시(587)가 이동하면서 합성기판(10) 상면에 촉매(20)를 고르게 분포시킨다. 이렇게 촉매(20) 도포가 완료된 합성기판(10)은 제 2이송장치(700)에 의해 스테이션부(200)에 설치된 기판 보관부(400)의 카세트(420)에 수납된다.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a)에 수납된 합성기판(10)은 반응 챔버(100)로부터 공정을 마친 합성기판(10)이 언로딩된 직후 제 1이송장치(300)에 의해 반응 챔버(100)의 보트(160)로 로딩된다. 합성기판(10)의 로딩이 완료되면 반응 챔버(100)에서 탄소 나노 튜브(30) 생성을 위한 공정이 진행된다(S120). 한편, 반응 챔버(100)로부터 언로딩된 합성기판(10)들은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22b)에 수납된 후, 일정시간 동안 냉각 과정을 거친다(S130). 일정시간이 지나면 합성기판(10)들은 스테이션부(400) 밖으로 인출되어 회수부(600)로 이동된다(S140). 회수부(600)에서 탄소 나노 튜브(30) 회수를 마친 합성기판(10)은 다시 촉매 도포부(500)로 이동되어, 촉매 도포 후 카세트(420)의 제 1지지부(422a)에 수납된다. 반응 챔버(100)에서 공정을 마친 합성기판(10)들은 카세트(420)의 제 2지지부(422b)에 수납된 후 앞에서 서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18, the process proceeds in the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가스가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반응로 내로 유입되므로, 반응로 내에서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urce gas is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in the reactor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 나노 튜브의 생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the production process of carbon nanotub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 나노 튜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bon nanotubes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 챔버의 공정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합성기판의 탄소 나노 튜브 합성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설비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temperature of the reaction chamber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e carbon nanotube synthesis of the composite substrat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facility operation rate.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 촉매 공급을 통한 공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process reliability through accurate and reliable automatic catalyst supply.
또한,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의 자동 회수를 통해 정확한 생산량 산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through the automatic recovery of carbon nanotube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1242A KR20070073396A (en) | 2006-01-05 | 2006-01-05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PCT/KR2006/005099 WO2007064148A1 (en) | 2005-11-29 | 2006-11-29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
JP2008543195A JP4976415B2 (en) | 2005-11-29 | 2006-11-29 | Carbon nanotube production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US12/095,273 US8916000B2 (en) | 2005-11-29 | 2006-11-29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
TW096100454A TWI458851B (en) | 2006-01-05 | 2007-01-05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1242A KR20070073396A (en) | 2006-01-05 | 2006-01-05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3396A true KR20070073396A (en) | 2007-07-10 |
Family
ID=3850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1242A Withdrawn KR20070073396A (en) | 2005-11-29 | 2006-01-05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73396A (en) |
TW (1) | TWI458851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8156A (en) | 2016-01-22 | 2017-08-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Non-platinum catalyst for fuel cel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85029B2 (en) * | 2003-08-04 | 2007-10-03 | 日立造船株式会社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 |
JP3991157B2 (en) * | 2003-08-28 | 2007-10-17 | 日立造船株式会社 | Carbon nanotube production equipment |
JP4608863B2 (en) * | 2003-09-22 | 2011-01-12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Carbon nanotube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gas decomposer used therefor |
-
2006
- 2006-01-05 KR KR1020060001242A patent/KR20070073396A/en not_active Withdrawn
-
2007
- 2007-01-05 TW TW096100454A patent/TWI45885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8156A (en) | 2016-01-22 | 2017-08-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Non-platinum catalyst for fuel cel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728492A (en) | 2007-08-01 |
TWI458851B (en) | 2014-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50040B2 (en) | Carbon nanotube synthesis apparatus and method | |
JP4976415B2 (en) | Carbon nanotube production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49541B1 (en) | Catalyst Coating Apparatus for Carbon Nanotube Production | |
KR100721719B1 (en) | Reaction chamber, carbon nanotube production equipment equipped with the reaction chamber, and carbon nanotube production method | |
KR100732518B1 (en) | Device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100721718B1 (en) | Carbon Nanotube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s | |
KR100785402B1 (en) | Reaction chamber and method for loading a substrate into the reaction chamber | |
KR100766341B1 (en) | Device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20070073396A (en)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and how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
KR10073251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rbon nanotube synthesis | |
KR101337989B1 (en) | System producting carbon nano tube | |
KR100656940B1 (en) | Device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100666358B1 (en) | Carbon nanotube generation system | |
KR20070073397A (en) |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carbon nanotube generation system having same | |
KR20070073398A (en) | Reaction chamber and carbon nanotube generation system having same | |
KR100760991B1 (en) |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carbon nanotube production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0749542B1 (en) | Device for recovering carbon nanotubes | |
KR20070073399A (en) | A method of cooling a reaction chamber used to generate carbon nanotubes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reaction chamber. | |
KR100666359B1 (en) | Device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20070097716A (en) | Device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100732517B1 (en) | Method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 |
KR100942457B1 (en) | Carbon nanotube production equipment and synthetic substrates used in the equipment | |
KR100839186B1 (en) | Catalyst Coating Apparatus for Carbon Nanotube Production | |
KR20070074278A (en) | Reaction chamber used to produce carbon nanotubes | |
KR100955488B1 (en) | Carbon nanotube production equipment and synthetic substrates used in th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