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53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53A
KR20050090853A KR1020040016128A KR20040016128A KR20050090853A KR 20050090853 A KR20050090853 A KR 20050090853A KR 1020040016128 A KR1020040016128 A KR 1020040016128A KR 20040016128 A KR20040016128 A KR 20040016128A KR 20050090853 A KR20050090853 A KR 2005009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ce
defrost
uni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재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853A/ko
Publication of KR2005009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28, 29, 30)의 개폐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130)와; 상기 인식부(130)에서 각각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이드 벤트(120)에 구비되는 그릴을 차량의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40)와; 상기 신호출력부(14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1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토출모드가 플로어, 페이스 및 디프로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이면, 자동으로 사이드 벤트 그릴의 방향을 측면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냉/온기가 차량의 측면 창문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프로스트(Defrost), 페이스(Face) 및 플로어(Floor)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상태인 경우, 사이드 벤트에 구비되는 그릴을 차량의 측면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자동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측으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결된 덕트(Duc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 공조장치, 송풍기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공조장치 및 상기 세가지 유니트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 공조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공조케이스(10)는, 서로 결합되는 제1·2케이스부재(21, 2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2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본체(20)의 일측부에는 공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본체(20)의 내부에는 안내벽(23)에 의해 공기유출용의 제1유로(24)와 제2유로(25)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24)의 상류쪽에는 증발기(26)가, 그 하류쪽에는 히터코어(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본체(20)의 상부측에는, 냉/온기를 차량의 창문쪽의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40)로 토출함으로써 차량 창문의 성애 제거를 위한 디프로스트 개구부(28), 냉/온기를 차량 실내의 상반부의 페이스 벤트(Face Vent, 41)로 토출함으로써 실내을 냉/난방하기 위한 페이스 개구부(29) 및 냉/온기를 차량 실내의 하반부의 플로어 벤트(Floor Vent, 42)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플로어 개구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페이스 개구부(29)는, 차량 실내의 좌·우측 및 전방측으로의 풍량분배를 위해, 각 케이스부재(21, 22)의 상부측에 설치된 구획리브(37a, 37b)에 의하여 양측의 사이드 개구부(29a, 29b)와, 중앙의 센터 개구부(29c, 29d)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각 개구부(28, 29, 30)들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온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도어(31)·페이스도어(32)·플로어도어(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차량은, 첫째,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차량 외부의 온도는 낮고, 차량 내부의 온도는 높은 경우)가 클 경우와, 둘째, 차량 내부의 상대습도가 높은 경우 또는 이 두가지 원인이 상호 작용되어 차량 창문에 성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창문에 발생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토출모드 중 플로어 모드(floor Mode)·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Mode)·페이스 모드(Face Mode)를 각각 선택하면, 환기모드가 외기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성애가 제거되게 된다. 이때, 풍향이 양측 창문으로 향하도록 사이드벤트(Side Vent)에 구비된 그릴(미도시)은 양측 창문 쪽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이드벤트로부터 공기가 토출되어, 차량 좌·우측면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는 기능을 사이드 벤트 기능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능을 숙지하지 못한 운전자들은 종종 사이드벤트에 구비된 그릴이 좌·우양측 창문 쪽으로 향해져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내측으로 그릴이 향해진 상태에서 사이드 벤트 기능을 동작시키는 경우가 있는 데, 실내 측으로 원하지 않는 뜨거운 공기나 차거운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오히려 운전에 방해가 되며 사용자의 불만 사항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경우, 사이드벤트들에 구비되는 그릴들을 차량 실내의 좌·우측면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자동전환시켜, 냉/온기가 측면 창문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성애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량 공조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공조풍을 토출하는 디프로스트(Defrost), 페이스(Face), 플로어(Floor) 및 사이드(Side) 개구부와, 상기 다수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송풍덕트(Duct)와, 상기 송풍덕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그릴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페이스, 플로어 및 사이드 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서 각각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벤트에 구비되는 그릴(Grill)을 차량의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릴은, 복수개의 블레이드(Blade)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하는 연결바 또는 상하측 중앙부에 구비되는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바 또는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그릴의 방향이 전환되기 전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가 개방후 폐쇄된 경우, 상기 위치기억부에 기억된 위치로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신호를 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중심축에 구동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연결바에 구동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량 공조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공조풍을 토출하는 디프로스트(Defrost), 페이스(Face), 플로어(Floor) 및 사이드(Side) 개구부(28, 29, 30, 29a, 29b)와, 상기 다수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송풍덕트(Duct, 110)와, 상기 송풍덕트(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그릴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페이스, 플로어 및 사이드 벤트(Vent, 40, 41, 42, 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28, 29, 30)의 개폐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130)와; 상기 인식부(130)에서 각각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벤트(120)에 구비되는 그릴(Grill)을 차량의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40)와; 상기 신호출력부(14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1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은, 그 내측에 일측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하는 연결바(124)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하측 중앙부에 중심축(126)이 구비되는 블레이드(122)들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바(124)와 블레이드(122)들은 연결핀(124-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후술할 구동부(150)의 구동상태에 따라 차량의 좌·우 창문 쪽으로 동시에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22)들의 중심축(126)에는, 상기 블레이드(122)들을 차량 실내의 좌·우 측면 창문 쪽으로 향하도록 전환시키는 구동부(150)가 연결된다(도 6 참조). 상기 구동부(150)는,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바(12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122)들을 회동시킬 수도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구동부(150)는, 일반적인 모터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130)는, 디프로스트 개구부, 페이스 개구부 및 플로어 개구부 각각의 구동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신호출력부(140)를 통해 그 구동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S1 →S2). 즉,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토출모드를 신호출력부(14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개구부들이 구동되는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제어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조환경을 유지한다(S3).
그리고, 상기 신호출력부(140)에서 디프로스트 개구부, 페이스 개구부 및 플로어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는 상태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각 사이드 벤트(120)에 구비되는 블레이드(122)들을 상기 구동부(150)를 통해 차량 실내의 좌·우측면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자동전환시킨다(S4).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 그릴의 방향이 전환되기 전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1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출력부(140)는,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28, 29, 30)가 개방후 폐쇄된 경우, 상기 위치기억부(170)에 기억된 위치로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신호를 구동부(15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수단(150)의 구동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그릴(122)들이 차량의 창문 쪽을 향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6).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경우, 사이드벤트들에 구비되는 그릴들을 차량 실내의 좌·우측면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자동전환시켜, 냉/온기가 측면 창문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성애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공조케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상부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차량 실내의 각 벤트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중심축에 구동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연결바에 구동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공조시스템, 110...송풍덕트(Duct),
120...사이드 벤트(Side Vent), 122...블레이드(Blade),
124...연결바, 124-1...연결핀,
126...중심축, 130...인식부,
140...신호출력부, 150...구동부,
160...제어수단, 170...위치기억부.

Claims (3)

  1. 차량 공조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공조풍을 토출하는 디프로스트(Defrost), 페이스(Face), 플로어(Floor) 및 사이드(Side) 개구부(28, 29, 30, 29a, 29b)와, 상기 다수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송풍덕트(Duct, 110)와, 상기 송풍덕트(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그릴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페이스, 플로어 및 사이드 벤트(Vent, 40, 41, 42, 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28, 29, 30)의 개폐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130)와;
    상기 인식부(130)에서 각각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벤트(120)에 구비되는 그릴(Grill)을 차량의 창문쪽으로 향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40)와;
    상기 신호출력부(14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1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복수개의 블레이드(Blade, 122)와, 상기 블레이드(1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하는 연결바(124) 또는 상하측 중앙부에 구비되는 중심축(126)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연결바(124) 또는 상기 중심축(12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 그릴의 방향이 전환되기 전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1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출력부(140)는, 상기 디프로스트, 페이스 및 플로어 개구부(28, 29, 30)가 개방후 폐쇄된 경우, 상기 위치기억부(170)에 기억된 위치로 상기 그릴의 방향을 전환하는 신호를 구동부(15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40016128A 2004-03-10 2004-03-10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090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28A KR20050090853A (ko) 2004-03-10 2004-03-1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28A KR20050090853A (ko) 2004-03-10 2004-03-1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53A true KR20050090853A (ko) 2005-09-14

Family

ID=3727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28A KR20050090853A (ko) 2004-03-10 2004-03-1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89689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공기조절 시스템
JP4516569B2 (ja) 自動車空調装置の空気案内ハウジング用ドア
KR1017482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09085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59424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2610904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42465Y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벤트 도어
KR10090752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7379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39380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JP20071532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92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13918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238716B1 (ko) 2층류 공기조화장치
JP2010208489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構造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50153A (ko) 2층류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