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561A -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561A
KR20050078561A KR1020040006730A KR20040006730A KR20050078561A KR 20050078561 A KR20050078561 A KR 20050078561A KR 1020040006730 A KR1020040006730 A KR 1020040006730A KR 20040006730 A KR20040006730 A KR 20040006730A KR 20050078561 A KR20050078561 A KR 2005007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porous
vegetation porou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248B1 (ko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주)장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성산업 filed Critical (주)장성산업
Priority to KR102004000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2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개지의 정리된 경사면에 부직포를 덮는 부직포 설치단계와; 상기 부직포 위에 격자형태의 철망을 올려놓는 철망 설치단계와; 상기 부직포와 철망을 절개면에 앵커핀으로 고정하는 부직포 및 철망 고정단계와; 상기 절개지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기초콘크리트 설치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안착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걸고리 나사로 고정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뒷쪽과 절개면 사이에 잡석을 채우는 잡석 채움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 및 잡석 채움단계를 반복하여 절개면의 전체에 블록벽을 설치하는 식생 다공성 블록벽 설치단계와; 상기 블록벽 설치단계를 통하여 설치된 최상부의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천단 콘트리트를 설치하는 천단 콘크리트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고정하는 걸고리 나사에 결합된 와셔 및 너트에 에폭시로 자연석을 고정하는 자연석 고정단계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공성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된 유기질 매트에 의해 식물의 정착시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 공급으로 그 정착율을 높여 경사지 전체를 빠르게 녹화시켜 생태계의 안정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사지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POROUS BUILDING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기질 매트가 매립된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의 블록을 절개 경사지 또는 성토 경사지에 시공하여 식생기반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정착을 도와 경사지 전체를 녹화시키면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아울러 생태계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호안, 단지 조경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다양한 경사면이나 법면에는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기 위한 옹벽이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은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 위해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성형 및 양생 등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획일적인 형태로 인해 주위 미관을 해치는 원인으로 인해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블록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상기 블록옹벽은 콘크리트, 석조, 벽돌 또는 석재로 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후방 쪽에 채워지는 토사 및 적절한 앵커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토사가 앞쪽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시공되어 있다.
이러한 옹벽블록들에 의해 축조되는 옹벽은 블록을 횡방향으로 여러 단 겹쳐 쌓은 다음 배면에 토사 및 쇄석 들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워 축조하게 되고, 이러한 블록들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은 사면의 안정성만 고려할 뿐 초목이 들어갈 만한 여지를 차단하여 생태계가 단절되는 원인으로 인해 최근에는 법면녹화기술의 향상과 함께 옹벽면에 초목이 자라도록 녹화시킴으로써,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조경기술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조경기술은 블록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사면의 군데군데에 블록을 생략한 채 옹벽을 구축하여 사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 후 노출된 사면에 초목을 식재함으로써 옹벽을 녹화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블록이 생략된 부분에만 식재되어 있음으로써 실질적인 녹화의 효과가 없으며, 그 부분이 구조가 불안정해져 축조된 옹벽이 붕괴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공을 가지며 그 사면에 채널형태의 식물식재공간부가 요입 성형된 생태블록이 제안되어 옹벽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생태블록의 전면이 자연친화적이라기 보다는 획일적이며, 인위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여 주위 미관과 어울리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눈이나 비가 올 때 다공을 통해 물이 흡수되어 식물 성장에 도움을 주기는 하나 물이 흡수될 때와 같이 너무 빨리 증발됨에 따라 식물의 수분조절이 원활하게 되지 앉고,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 등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함에 따라 그 성장율이 더디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기질 매트가 매립된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의 블록을 절개 경사지 또는 성토 경사지에 시공토록 함으로써, 식물의 정착시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을 도와 그 정착율을 높여 경사지 전체를 빠르게 녹화시켜 생태계의 안정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사지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의 정리된 경사면에 부직포를 덮는 부직포 설치단계와; 상기 부직포 위에 격자형태의 철망을 올려놓는 철망 설치단계와; 상기 부직포와 철망을 절개면에 앵커핀으로 고정하는 부직포 및 철망 고정단계와; 상기 절개지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기초콘크리트 설치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안착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걸고리 나사로 고정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뒷쪽과 절개면 사이에 잡석을 채우는 잡석 채움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 및 잡석 채움단계를 반복하여 절개면의 전체에 블록벽을 설치하는 식생 다공성 블록벽 설치단계와; 상기 블록벽 설치단계를 통하여 설치된 최상부의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천단 콘트리트를 설치하는 천단 콘크리트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고정하는 걸고리 나사에 결합된 와셔 및 너트에 에폭시로 자연석을 고정하는 자연석 고정단계로 시공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블록의 전면에 다수개의 자연석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양측에 수직으로 오목한 공간부가 대칭되도록 제공되는 직육면체의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하고,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의 앞쪽에 길이방향을 갖는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의 중심에 전면 및 후면이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의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제공함에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은 다음과 같은 물질을 혼합한 조성물로 제작된다.
보통포틀랜드시멘트 9-11중량%, 고로슬래그분말 7-9중량%, 조골재 70-80중량%, 유리섬유 0.05-0.07중량%를 건비빔한 다음,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0.1-0.3중량%과 물 4-6중량%를 넣고 잘 혼합한다.
상기 조성물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제작하고 양생시킨 후 인산이암모늄 3% 용액에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침지한 다음 건조시켜 사용한다.
상기에서 고로슬래그분말을 혼합하는 것은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목적과, PH수치 감소, 수화발열을 저감시켜 축조블록의 양생시 크랙을 감소시키고, 해수에 대한 화학저항성이 있고, 장기강도증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조골재는 8mm- 13mm의 골재를 사용하며, 물시멘트비는 25%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 보다 결합력이 약하므로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므로서 결합력을 보강한다.
감수제로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혼합하였으며 이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좋게한다. 따라서 물을 적게 쓰게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좋아지며, 또 콘크리트가 빨리 굳는 것을 지연시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블록 중화제로서 인산이암모늄 3% 용액에 상기에서 제작 양생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침지 시켜 건조하였는데 이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제조, 양생시킨후 알카리 용출량을 시험 분석한 결과 PH가 11이상으로 강알카리가 되어 식물 생육이 어렵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PH를 7-9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시멘트 231㎏/㎥, 고로슬래그분말 189㎏/㎥, 조골재 1680㎏/㎥, 유리섬유 1.4㎏/㎥를 건비빔한 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4㎏/㎥와 물 105㎏/㎥를 혼합하여 축조블록을 제작하고 28일간 양생한 후 인산이암모늄 3% 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건조시키고 시험한 결과,
압축강도가 226㎏/㎠으로서 축조블록에 대한 기준압축강도 180㎏/㎠를 만족하였으며, 인산이암모늄 3% 용액에 침지전 PH 12.5에서 침지후 PH 7.8로 낮아진 것을 알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2)의 일부가 매설되어 블록(1)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연석(2)은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호박돌로 형성된 것으로 블록(1)에 매입된 매입 깊이는 약 2/3가 되도록 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1)은 직육면체의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목한 공간부(12)(12')가 대칭되도록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제조시 소요되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블록벽이 시공되었을 경우, 공기의 흐름을 비롯하여 빗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는 상부의 앞쪽으로 걸림턱(13)을 상 방향으로 형성하여 블록벽을 축조(시공)하는 과정에서 그 상부로 얹혀진 다른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턱(13)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요철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는 그 중심에 전면 및 후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공(14)이 일체로 형성되어 블록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걸고리 나사(46), 와셔 및 너트(47)를 이용하여 절개지(44)로 부터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관통공(14)은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중공인 프라스틱 파이프(15)를 삽입하여 제작 쉽도록 하였으나 관통공만 있어도 상관 없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는 그 내부에는 눈이나 비가 올 경우, 물을 되도록 많이 흡수하며, 흡수된 물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그 수분을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되어 식물에 유기질의 영양분을 공급케 하는 기능을 갖는 유기질 매트(3)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매립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질 매트(3)는 제지슬러지, 톱밥, 왕겨 그리고 볏짚을 각각 압착하여 사용하거나 혼합하고 압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지슬러지는 제지공장에서 종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부패가 되면서 퇴비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분 조절 역할을 하게되고, 톱밥, 왕겨, 볏짚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관통공(14)으로 노출된 걸고리 나사(46)의 단부에 에폭시(22)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자연석(21)을 고정함으로써, 그 미관을 돋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빗물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막고, 아울러 걸고리 나사(46)에 체결된 너트(47)가 풀림으로써 발생되는 블록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로 구성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을 이용하여 블록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그 공정(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벽이 시공될 절개지의 경사면을 정리한 후 정리된 경사면에 부직포(41)를 덮는 부직포 설치단계(S10)를 통해 경사면의 토사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철망 설치단계(S20)로 경사면을 덮은 부직포(41)위에 격자형태의 철망(42)을 올려 놓은 후 각각의 철망(42) 사이에 복수개의 앵커핀(43)를 설치하여 부직포 (41) 및 철망(42)을 절개면에 고정하는 부직포 및 철망 고정단계(S30)를 통해 절개면을 마무리 한다. 이때 사용되는 철망는 아연도금처리가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절개지(44)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45)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기초콘크리트 설치단계(S40)를 통해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쌓을 준비를 하게 된다.
다음,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S50)로 기초콘크리트(45) 상부에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횡으로 안착시킨 후 이어지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S60)를 통해 상기 상기 기초콘크리트(45) 상부에 안착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걸고리 나사(46)로 고정한다.
이때, 걸고리 나사(46)의 후단에 형성된 걸고리가 철망(42)에 걸려지도록 하고, 그 선단이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에 형성된 파이프(15)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 후 노출된 나사부위에 와셔를 개재한 너트(47)로 고정시킨다.
다음, 잡석 채움단계(S70)를 통해 걸고리 나사(46)로 고정된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가 절개지(44) 방향으로 쓰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후 식생 다공성 블록벽 설치단계(S80)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S50),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S60) 및 잡석 채움단계(S70)를 반복하여 절개면의 전체에 블록벽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 천단 콘크리트 설치단계(S90)로 상기 블록벽 설치단계(S80)를 통하여 설치된 최상부의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에 천단 콘트리트(48)를 설치하여 상부로 부터 빗물이 직접 절개지(44) 및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뒷면 사이의 공간에 채움된 잡석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된 블록벽이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인 자연석 고정단계(S100)로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고정하는 걸고리 나사(46)에 결합된 와셔 및 너트(47)에 에폭시(22)로 작은 자연석 (21)을 고정하는 것으로 블록벽의 설치가 마무리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질 매트가 매립된 다공성 축조블록을 절개 경사지 또는 성토 경사지에 시공함으로써, 식물의 정착시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을 도와 그 정착율을 높여 경사지 전체를 빠르게 녹화시켜 생태계의 안정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사지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요부 절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횡단 및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블록 12,12':공간부
11:다공성 콘크리트 몸체 13:걸림턱
14:관통공 21:자연석
22:에폭시 41:부직포
42:철망 43:앵커핀
44:절개지 45:기초콘크리트
46:걸고리 나사 48:천단 콘트리트
47:너트

Claims (6)

  1. 절개지의 정리된 경사면에 부직포(41)를 덮는 부직포 설치단계(S10)와;
    상기 부직포(41)위에 격자형태의 철망(42)을 올려 놓는 철망 설치단계(S20)와;
    상기 부직포(41)와 철망(42)을 절개면에 앵커핀(43)으로 고정하는 부직포 및 철망 고정단계(S30)와;
    상기 절개지(44)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45)를 설치하는 기초콘크리트 설치단계(S4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45) 상부에 내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기질 매트(3)가 매립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횡으로 안착시키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S50)와;
    상기 상기 기초콘크리트(45) 상부에 안착된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걸고리 나사(46)로 고정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S60)와;
    상기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의 뒷쪽과 절개면 사이에 잡석(47)을 채우는 잡석 채움단계(S70)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안착단계(S50),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고정단계 (S60) 및 잡석 채움단계(S70)를 반복하여 절개면의 전체에 블록벽을 설치하는 식생 다공성 블록벽 설치단계(S80)와;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A)을 고정하는 걸고리 나사(46)의 선단부에 결합된 와셔 및 너트(47)에는 에폭시(22)로 자연석(21)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벽 설치단계(S80)를 통하여 설치된 최상부의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A)에 천단 콘트리트(48)를 설치하는 천단 콘크리트 설치단계(S90)로 이루어지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2. 블록의 전면에 다수개의 자연석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은 양측에 수직으로 오목한 공간부(12)(12')가 대칭되도록 제공되는 직육면체의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로 구성하고,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내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질 매트(3)가 매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중심에 전면 및 후면이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의 관통공(1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9-11중량%, 고로슬래그분말 7-9중량%, 조골재 70-80중량%, 유리섬유 0.05-0.07중량%,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0.1-0.3중량%, 물 4-6중량%를 혼합하여 제작, 양생한 후 인산이암모늄 3% 용액에 침지하여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매트(3)는 제지슬러지, 톱밥, 왕겨 또는 볏짚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관통공(14)으로 노출된 걸고리 나사(46)의 선단부에 결합된 와셔 및 너트(47)에는 자연석(21)이 에폭시(22)로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몸체(11)의 앞쪽에 상방향을 갖는 걸림턱(13)을 형성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
KR1020040006730A 2004-02-02 2004-02-02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KR10058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0A KR100584248B1 (ko) 2004-02-02 2004-02-02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0A KR100584248B1 (ko) 2004-02-02 2004-02-02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61A true KR20050078561A (ko) 2005-08-05
KR100584248B1 KR100584248B1 (ko) 2006-05-29

Family

ID=3726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30A KR100584248B1 (ko) 2004-02-02 2004-02-02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8B1 (ko) * 2009-05-27 2012-04-16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1979005B1 (ko) 2018-09-12 2019-05-15 이치웅 식생 축조 기초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85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팸택 성토지반 보호용 옹벽시공방법
KR200318088Y1 (ko) 2003-02-17 2003-06-28 주식회사 삼경기술용역단 하천 제방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248B1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420B1 (ko) 블록을 이용한 법면구조체및 그 조성물
JP3927170B2 (ja) 側溝用ブロック構造物
CN111593748A (zh) 一种破碎岩石陡坡的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84248B1 (ko)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JPH11158896A (ja) 生態系育成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3144B1 (ko) 뿜칠용 콘크리트와 인공경량토를 이용한 인조바위의 시공방법
JP2004129560A (ja) 植栽用基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用いる植栽面の施工法
JP2006009311A (ja) 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擁壁およびその造成方法
KR100451429B1 (ko) 폐콘크리트 및 폐석회석을 이용한 복합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35411B1 (ko)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JP2982568B2 (ja) コンクリ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植生方法
JP2003041593A (ja) コンクリート構築物又は無土壌岩盤の壁面の緑化方法及び緑化構造
KR20030019946A (ko) 경사면 배수구조물 및 그 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CN219364698U (zh) 一种锚杆复合土钉生态挡墙
KR19990075158A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JP4441308B2 (ja) グラウンドカバーグラスユニットおよびグラス定着法
CN207484399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生态网格结构
JPH08118327A (ja) 緑化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0248553A (ja) 法面の修景緑化工法
JP2004204482A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基盤およびこれを用いた法面構造工法
JPH08105052A (ja) 充填材の充填方法
JP3122368U6 (ja) モルタル層を有す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3122368U (ja) モルタル層を有す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H07138969A (ja) 擁壁等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