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35Y1 -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 Google Patents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35Y1
KR200477535Y1 KR2020130003173U KR20130003173U KR200477535Y1 KR 200477535 Y1 KR200477535 Y1 KR 200477535Y1 KR 2020130003173 U KR2020130003173 U KR 2020130003173U KR 20130003173 U KR20130003173 U KR 20130003173U KR 200477535 Y1 KR200477535 Y1 KR 200477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external
circuit board
circuit
exter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40U (ko
Inventor
최규열
조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쎈
Priority to KR2020130003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3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35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USB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USB단자, 회로기판의 타단에 배치되고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USB단자, 및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태에 따라 회로기판의 회로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USB DEVICE, USB GENDER AND USB CABLE COMPRISING EXTERNAL SWITCH}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는 전자기기와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이다. USB는 다양한 기존의 직렬 또는 병렬 방식의 연결포트를 대체하고 있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규약이다.
USB는 처음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그를 위한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산업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개발되고 있고, 최근에는 USB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 등에도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USB는 전자기기와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와 주변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입출력 방식 중의 하나가 되었다.
종래에는 주로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USB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USB 방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USB의 전원 공급 기능을 이용한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USB 방식으로 연결된 전자기기 간에 전기에너지를 주고 받아 연결된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USB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 또는 충전용 케이블로 구분되어 있거나, 데이터 전송 및 충전 겸용 케이블의 형태를 띄고 있다.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 또는 충전용 케이블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충전을 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블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데이터 전송 및 충전 겸용 케이블의 경우라 하더라도, 특정 시점에 상기 케이블이 데이터 전송 기능 또는 충전 기능 중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지에 대해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9339호 (공개일: 2012. 2. 1.)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 모드가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USB단자, 상기 회로기판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USB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된 제어칩, 및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는 상기 제1USB단자 및 상기 제2USB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이 눌려있는 동안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있지 않은 동안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토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배치되고 눌림에 따라 상기 토글부와 접촉하여 상기 토글부를 토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토글부의 토글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고, 각각의 상기 외부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서로 다른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고, 각각의 상기 외부 스위치의 상태의 조합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는 터치패드,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의 제1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의 제2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상기 제1USB단자의 전원단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상기 제1USB단자의 전원단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와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제1전류로써 상기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제2전류로써 상기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는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2USB단자의 제1데이터단에 제1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2USB단자의 상기 제1데이터단에 제2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제2전압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스위치는 제1외부 스위치 및 제2외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와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고 상기 제2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제1전류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고 상기 제2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제2전류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는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장치는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USB단자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USB단자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스위치 조작을 통해 USB 장치,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이 수행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은,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 모드가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회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110), 회로기판(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10)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120), 회로기판(110)의 타단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10)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셉터클(130), 및 회로기판(110) 위에 배치되고 상태에 따라 회로기판(110)의 회로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외부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외부 몸체 또는 하우징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최외곽에 배치됨으로써 USB 젠더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USB 젠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기판(11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10)은 기판(150), 기판(150) 위에 배치된 제어칩(160), 및 기판(150) 위에 배치되고 제어칩(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회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50)은 회로기판(110)의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판(150)으로 사용된 소재에 따라 플라스틱 기판, 세라믹 기판, 금속 패키지 기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기판(1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내부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칩(160) 내부의 회로는, 제어칩(160)이 특정한 조건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로직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칩(160)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회로(170)는 기판(1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제어칩(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회로(170)는 회로기판(110)의 일단에 배치된 플러그(120) 및 회로기판(110)의 타단에 배치된 리셉터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가 특정한 조건에 따라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로직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회로(170)의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플러그(120)는 회로기판(1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120)는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는 USB 단자의 하나의 타입으로서, USB 단자의 다른 타입인 리셉터클과 체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20)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 자동차 내부의 USB 포트 등과 같이 USB 호스트 역할을 할 수 있는 USB 장치의 USB 포트의 리셉터클과 체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러그(120)가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의 리셉터클과 체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셉터클(130)은 회로기판(1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130)은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USB 단자의 하나의 타입으로서, USB 단자의 다른 타입인 플러그와 체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13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USB 장치의 USB 포트의 플러그, 또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USB 케이블 또는 USB 젠더의 플러그와 체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셉터클(130)이 스마트폰의 USB 포트의 플러그와 체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스위치(140)는 회로기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140)는 상태에 따라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스위치(140)는, 회로기판(110) 위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10)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토글부(180), 몸체부(100)의 일부에 배치되고 눌림에 따라 토글부(180)와 접촉하여 토글부(180)를 토글시키는 버튼(190), 및 상기 버튼(19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버튼(190)의 눌림에 따라 발광색이 변하는 발광소자(195)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부(180)는 회로기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토글부(180)는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토글부(180)의 토글 상태에 따라,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버튼(190)은 몸체부(10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기타 다른 장치에 의해 버튼(190)이 눌리면 버튼(190)은 토글부(180)와 접촉할 수 있다. 버튼(190)이 토글부(180)에 접촉되면 토글부(180)의 토글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190)의 눌림에 따라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스위치(140)가 하나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두 개 이상의 외부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스위치(140)가 버튼(190) 및 토글부(18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토글부(180) 없이 버튼(190)만으로 외부 스위치(140)가 구현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버튼(190) 대신 터치패드,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의 조작에 따라 메인회로(170)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형태를 불문하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토글부(180)의 토글 상태에 따라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부 스위치(140)가 토글부(180) 없이 버튼(190)만으로 구현되는 경우, 버튼(190)이 눌려있는 동안엔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버튼(190)이 눌려있지 않은 동안엔 회로기판(110)의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스위치(140)가 두 개 이상 포함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두 개 이상의 외부 스위치(140)가 각각 메인회로(170)의 서로 다른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두 개 이상의 외부 스위치(140)의 상태의 조합에 따라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외부 스위치가 눌려있고 제2외부 스위치가 눌려있지 않은 경우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외부 스위치가 눌려있지 않고 제2외부 스위치가 눌려있는 경우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기계적 버튼(190) 대신 터치패드가 사용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에 의한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가 한 번 감지되면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터치가 다시 한 번 감지되면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패드의 제1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터치패드의 제2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메인회로(170)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190)의 눌림에 따라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 사이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90)의 눌림에 따라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 사이의 동작모드가 변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드에서는 플러그(120)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와,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발광소자(195)는 상기 버튼(19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195)는 상기 버튼(190)의 눌림에 따라 발광색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90)이 한번씩 눌릴 때마다 발광소자(195)의 발광색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는 발광소자(195)에서 파랑색이 발광되고 제2모드에서는 발광소자(195)에서 빨강색이 발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회로(170)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회로도이다. 메인회로(170)는 제어칩(160),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발광다이오드(220) 및 저항(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전원단(200)은 제어칩(160)의 전원단(201) 및 리셉터클(130)의 전원단(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접지단(210)은 제어칩(160)의 접지단(211), 리셉터클(130)의 접지단(212) 및 제어칩(160)의 입력단(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220) 및 저항(230)은 전원단(200)과 접지단(2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전원단(200)과 접지단(210) 사이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22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다이오드(22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은 접지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이 접지된 것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외부 스위치(140)는 USB 젠더 내부의 회로에 대한 전원 스위치(250)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위치(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의 전원단(202) 및 접지단(210)으로부터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USB 젠더가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외부 스위치(140)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칩(160)의 전원단(201)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칩(160)의 접지단(211)이 접지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제어칩(160)의 제어에 의해 USB 젠더가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회로도이다. 메인회로(170)는 제어칩(160),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발광다이오드(220), 저항(230) 및 스위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전원단(200)은 제어칩(160)의 전원단(201) 및 리셉터클(130)의 전원단(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접지단(210)은 제어칩(160)의 접지단(211), 리셉터클(130)의 접지단(212) 및 스위치(25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250)의 타단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220) 및 저항(230)은 전원단(200)과 스위치(250)의 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외부 스위치(140)는 스위치(250)의 개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위치(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250)는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외부 스위치(140)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250)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스위치가 열린 상태인 경우 저항(230)에서는 전압 강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에는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220)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에 입력된 전원 전압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의 제1데이터단(390) 및 제2데이터단(400),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 및 제2데이터단(402)을 통하여,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와,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스위치(250)가 닫힌 상태인 경우 발광다이오드(220) 및 저항(230)은 전원단(200)과 접지단(2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22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다이오드(22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이 접지된 것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외부 스위치(140)의 조작에 의한 스위치(250)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가 데이터 전송 기능 또는 충전 기능 중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회로도이다. 메인회로(170)는 제어칩(160),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발광다이오드(220), 제1저항(260), 제2저항(270), 제3저항(330), 트랜지스터(280) 및 스위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전원단(200)은 제어칩(160)의 전원단(201), 리셉터클(130)의 전원단(202), 발광다이오드(220)의 일단 및 제2저항(27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접지단(210)은 제어칩(160)의 접지단(211), 리셉터클(130)의 접지단(212), 스위치(250)의 일단, 제어칩(160)의 입력단(240) 및 제3저항(33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220)의 타단은 제1저항(26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저항(260)의 타단은 스위치(250)의 타단 및 트랜지스터(280)의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280)의 제1전극은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인버터는 트랜지스터(280)의 제1전극에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280)의 제2전극은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칩(160)의 제2데이터단(400)은 리셉터클(130)의 제2데이터단(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280)의 제3전극은 제2저항(270)의 타단 및 제3저항(33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이 접지된 것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외부 스위치(140)는 스위치(250)의 개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위치(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250)는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외부 스위치(140)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250)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스위치가 열린 상태인 경우 제1저항(260)에서는 전압 강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220)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80)의 제1전극에는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인버터에 의해 반전됨으로써 트랜지스터(280)는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V1이라 부르기로 한다.
스위치가 닫힌 상태인 경우 발광다이오드(220) 및 제1저항(260)은 전원단(200)과 접지단(2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22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다이오드(22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80)의 제1전극은 접지될 수 있고 인버터에 의해 반전됨으로써 트랜지스터(280)는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저항(27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저항(27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V2라 부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저항(27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할 수 있다.
V2 = (제2저항(27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 =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 * [(제3저항(330)의 크기) / {(제2저항(270)의 크기) + (제3저항(330)의 크기)}]
결론적으로, 외부 스위치(140)의 조작에 의한 스위치(250)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충전에 적합한 전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는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스마트폰의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 또는 제2데이터단(40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기종에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을 시작하고,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을 시작하지 않거나 제한된 세기의 전류로써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기종의 휴대장치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1인 경우에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제2기종의 휴대장치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2인 경우에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기종의 스마트폰 및 상기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를 자동차 내에서 충전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플러그(120)를 자동차 내의 USB 포트에 체결시키고 스마트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USB 포트에 연결된 USB 케이블의 플러그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만약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1기종의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외부 스위치(140)를 조작하여 제1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스위치(140)가 제1상태가 되면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스위치(250)가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의 스위치(250)가 열린 상태가 되면 USB 젠더의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는 V1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도 V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1기종의 스마트폰은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1인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자동차 내의 USB 포트에 특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1기종의 스마트폰의 충전에 적합한 전류가 자동차 내의 USB 포트로부터 제1기종의 스마트폰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외부 스위치(140)를 조작하여 제2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스위치(140)가 제2상태가 되면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스위치(250)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의 스위치(250)가 닫힌 상태가 되면 USB 젠더의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는 V2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의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도 V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2인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자동차 내의 USB 포트에 특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의 충전에 적합한 전류가 자동차 내의 USB 포트로부터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1기종의 스마트폰이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외부 스위치(140)의 상태가 제2상태인 경우에는, 연결된 스마트폰은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충전을 시작하지 않거나 제한된 세기의 전류로써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이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외부 스위치(140)의 상태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는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충전을 시작하지 않거나 제한된 세기의 전류로써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회로도이다. 메인회로(170)는 제어칩(160), 플러그(120) 및 리셉터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는 제1발광다이오드(290), 제2발광다이오드(300), 제1저항(260), 제2저항(270), 제3저항(330), 제4저항(340), 제1트랜지스터(350), 제2트랜지스터(360), 제1스위치(370) 및 제2스위치(38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전원단(200)은 제어칩(160)의 전원단(201), 리셉터클(130)의 전원단(202), 제1발광다이오드(290)의 일단, 제2발광다이오드(300)의 일단 및 제3저항(33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120)의 접지단(210)은 제어칩(160)의 접지단(211), 리셉터클(130)의 접지단(212), 제1스위치(370)의 일단, 제2스위치(380)의 일단 및 제4저항(34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발광다이오드(290)의 타단은 제1저항(26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저항(260)의 타단은 제1트랜지스터(350)의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350)의 제3전극은 제1스위치(370)의 타단 및 제어칩(160)의 입력단(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발광다이오드(300)의 타단은 제2저항(27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저항(270)의 타단은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1전극, 제1트랜지스터(350)의 제1전극 및 제2스위치(38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1전극은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인버터는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1전극에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킬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2전극은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칩(160)의 제2데이터단(400)은 리셉터클(130)의 제2데이터단(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3전극은 제3저항(330)의 타단 및 제4저항(34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제1외부 스위치 및 제2외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부 스위치는 제1스위치(370)의 개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제1스위치(370)는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제1스위치(370)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제2외부 스위치는 제2스위치(380)의 개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제2스위치(380)는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제2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제2스위치(380)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제1스위치가 열린 상태인 경우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에는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1발광다이오드(290)에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을 수 있고 제1발광다이오드(290)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에 입력된 전원 전압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의 제1데이터단(390) 및 제2데이터단(400),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 및 제2데이터단(400)을 통하여,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와,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스위치가 닫힌 상태인 경우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은 접지될 수 있다. 제어칩(160)은 제어칩(160)의 입력단(240)이 접지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칩(160)이, 입력단(240)이 접지된 것을 인식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스위치가 닫힌 상태이고 제2스위치(380)는 열린 상태인 경우, 제2저항(270)에서는 전압 강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발광다이오드(300)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350)의 제1전극에는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350)는 턴온되고 제1발광다이오드(290)는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1전극에는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인버터에 의해 반전됨으로써 제2트랜지스터(360)는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V1이라 부르기로 한다.
제1스위치가 닫힌 상태이고 제2스위치(380)도 닫힌 상태인 경우, 제2발광다이오드(300) 및 제2저항(270)은 전원단(200)과 접지단(2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발광다이오드(30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2발광다이오드(30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350)의 제1전극은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350)는 턴오프되고 제1발광다이오드(290)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360)의 제1전극은 접지될 수 있고 인버터에 의해 반전됨으로써 제2트랜지스터(360)는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저항(33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저항(33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V2라 부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저항(33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할 수 있다.
V2 = (제3저항(33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 = (전원단(200)의 전원 전압) * [(제4저항(340)의 크기) / {(제3저항(330)의 크기) + (제4저항(340)의 크기)}]
결론적으로, 제1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제1스위치(370)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가 데이터 전송 기능 또는 충전 기능 중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370)가 닫힌 상태에서 제2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제2스위치(380)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제1기종의 휴대장치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1인 경우에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제2기종의 휴대장치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2인 경우에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기종의 스마트폰 및 상기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플러그(120)를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체결시키고 스마트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USB 포트에 연결된 USB 케이블의 플러그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개인용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제1외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가 되면 USB 젠더 내부의 메인회로(170)의 제1스위치(370)가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메인회로(170)의 제1스위치(37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제어칩(160)은 USB 젠더가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USB 젠더의 플러그(120)의 제1데이터단(390) 및 제2데이터단(400),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 및 제2데이터단(400)을 통하여, USB 젠더의 플러그(120)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와,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기종의 스마트폰을 충전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제1외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2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2외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가 되고 제2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가 되면 메인회로(170)의 제1스위치(370)는 닫힌 상태가 되고 메인회로(170)의 제2스위치(380)는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는 V1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도 V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1기종의 스마트폰은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1인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특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1기종의 스마트폰의 충전에 적합한 전류가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제1기종의 스마트폰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를 충전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제1외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2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2외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2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가 되고 제2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가 되면 메인회로(170)의 제1스위치(370)는 닫힌 상태가 되고 메인회로(170)의 제2스위치(380)도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제어칩(160)의 제1데이터단(391) 및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에는 V2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USB 젠더의 리셉터클(130)의 제1데이터단(3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도 V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는 USB 포트의 제1데이터단(39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V2인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는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특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의 충전에 적합한 전류가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1기종의 스마트폰이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제1외부 스위치의 상태가 제2상태이고 제2외부 스위치의 상태가 제2상태인 경우에는, 연결된 스마트폰은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된 스마트폰은 충전을 시작하지 않거나 제한된 세기의 전류로써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연결된 휴대장치가 제2기종의 디지털 카메라이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제1외부 스위치의 상태가 제2상태이고 제2외부 스위치의 상태가 제1상태인 경우에는,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는 적합한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는 충전을 시작하지 않거나 제한된 세기의 전류로써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의 일단이 플러그(120)이고 타단이 리셉터클(130)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양단이 모두 플러그일 수도 있으며 양단이 모두 리셉터클(130)일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가 USB 젠더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USB 젠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회로기판(110) 및 외부 스위치(140)를 포함하기만 하면 외관의 형상은 무관하며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110) 및 외부 스위치(140)를 포함한 USB 케이블의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USB 장치(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USB 충전장치 등) 내에 빌트인 방식 또는 임베디드 시스템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110) 및 외부 스위치(140)가 포함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스위치(140) 조작을 통해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이 수행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은 사용자의 외부 스위치(140) 조작에 따라 작동 모드가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회로기판
120: 플러그
130: 리셉터클
140: 외부 스위치
150: 기판
160: 제어칩
170: 메인회로
180: 토글부
190: 버튼
200, 201, 202: 전원단
210, 211, 212: 접지단
220: 발광다이오드
230: 저항
240: 입력단
250: 스위치
260: 제1저항
270: 제2저항
280: 트랜지스터
290: 제1발광다이오드
300: 제2발광다이오드
330: 제3저항
340: 제4저항
350: 제1트랜지스터
360: 제2트랜지스터
370: 제1스위치
380: 제2스위치
390, 391, 392: 제1데이터단
400, 401, 402: 제2데이터단

Claims (24)

  1. USB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USB단자;
    상기 회로기판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USB단자;
    사용자에 의해 상기 USB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를 입력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USB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된 제어칩; 및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회로
    를 포함하는 USB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는 상기 제1USB단자 및 상기 제2USB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는 버튼을 포함하는 USB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USB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려있는 동안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있지 않은 동안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USB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토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배치되고 눌림에 따라 상기 토글부와 접촉하여 상기 토글부를 토글시키는 USB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부의 토글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USB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고,
    각각의 상기 외부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서로 다른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USB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고,
    각각의 상기 외부 스위치의 상태의 조합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USB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는 터치패드,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USB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USB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의 제1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의 제2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USB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상기 제1USB단자의 전원단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회로와 상기 제1USB단자의 전원단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와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는 USB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제1전류로써 상기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제2전류로써 상기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는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USB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2USB단자의 제1데이터단에 제1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2USB단자의 상기 제1데이터단에 제2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제2전압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USB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스위치는 제1외부 스위치 및 제2외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제1외부장치와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고 상기 제2외부 스위치가 제1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제1전류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고 상기 제2외부 스위치가 제2상태이면 상기 제1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USB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제2전류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는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USB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장치는 USB 젠더 또는 USB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인 USB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USB단자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USB단자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인 USB 장치.
  2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된 USB 플러그;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배치된 USB 리셉터클; 및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USB 플러그 및 상기 USB 립세터클 사이의 동작 모드가 변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USB플러그는 제1외부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은 제2외부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1외부장치와 상기 제2외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는 USB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발광색이 변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USB 장치.
  23. 삭제
  24.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된 USB 플러그;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배치된 USB 리셉터클;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외부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USB 플러그는 제1외부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은 제2외부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외부장치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1상태 또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2외부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USB 젠더.
KR2020130003173U 2013-04-24 2013-04-24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KR200477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73U KR200477535Y1 (ko) 2013-04-24 2013-04-24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73U KR200477535Y1 (ko) 2013-04-24 2013-04-24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0U KR20140005640U (ko) 2014-11-03
KR200477535Y1 true KR200477535Y1 (ko) 2015-06-23

Family

ID=5245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173U KR200477535Y1 (ko) 2013-04-24 2013-04-24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5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33A (ko) 2018-06-29 2020-01-08 정희성 용량표시용 us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027A (ko) * 2003-12-11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KR100597734B1 (ko) * 2002-06-25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6253A (ko) * 2005-11-29 2007-06-04 엠텍비젼 주식회사 Usb 케이블 장치
KR20080067745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변환 젠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34B1 (ko) * 2002-06-25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8027A (ko) * 2003-12-11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KR20070056253A (ko) * 2005-11-29 2007-06-04 엠텍비젼 주식회사 Usb 케이블 장치
KR20080067745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변환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0U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119B2 (en) Connector plug having an LED activated by a user's touch
US9022605B2 (en) Charging connection device with illumination and associated methods
TW201601392A (zh) 連接器
US20140310545A1 (en) Control Device for Current Switching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289080A1 (en) Cable module capable of simultaneously supporting quick charge and data transmission of electronic device
US9484755B2 (en) In-vehicle charging control device, vehicle charging system and vehicle
US8827513B2 (en) Proximity touch sensor cable with a light emitting diode
CN106654655B (zh) 插座和插头
CN107544921B (zh) 储存装置及其操作方法
CN103151658A (zh) 数据连接线、用于数据连接线的控制方法和装置
KR100851297B1 (ko) Usb 케이블 장치
KR200483022Y1 (ko)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usb 케이블
CN206932038U (zh) 一种dc充电与usb兼容的控制电路及智能终端
KR200477535Y1 (ko)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usb 장치, usb 젠더 및 usb 케이블
JP2017033461A (ja) リバーシブルケーブルの検出回路、検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ホスト・デバイスのデュアルロールデバイス
US20150325960A1 (en)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nd mobile device
CN205231380U (zh) 数据线
CN110190841A (zh) Io端口复用控制电路以及电子设备
CN106207652A (zh) 一种无火花开关装置及防触电智能插座
TWI559212B (zh) 外部儲存裝置
TWM563696U (zh) 感應式無線充電行動電源
US9553464B2 (en) In-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KR20130128705A (ko) 급속 충전이 가능한 유에스비 케이블
TWI455089B (zh) 對可攜式電子裝置充電之系統與顯示裝置
CN207218290U (zh) 一种具有otg功能的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