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13Y1 -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 Google Patents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13Y1
KR200462213Y1 KR2020090006415U KR20090006415U KR200462213Y1 KR 200462213 Y1 KR200462213 Y1 KR 200462213Y1 KR 2020090006415 U KR2020090006415 U KR 2020090006415U KR 20090006415 U KR20090006415 U KR 20090006415U KR 200462213 Y1 KR200462213 Y1 KR 200462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container
cover
groov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25U (ko
Inventor
송승민
Original Assignee
송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민 filed Critical 송승민
Priority to KR2020090006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13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서로 나란한 제1,2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분리띠를 뜯음으로써 상기 용기와 분리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조립체의 상기 한 쌍의 절취선은,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1파단홈과, 상기 제1파단홈에 나란하게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2파단홈과, 상기 제1,2파단홈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2안착홈과, 상기 제1,2파단홈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인접하는 상기 제1,2안착홈 상의 임의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2안내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조립체, 용기, 커버, 절취선, 파단홈, 안착홈, 안내홈

Description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a container and a cover}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분리띠를 뜯음으로써, 상기 용기와 분리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또는 라면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기는 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액체에 의해 젖지 않아야 하고, 수용된 액체가 새지 않아야 하므로,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는 도안, 상표 또는 내용물에 대한 설명 등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용기의 외주면은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평면의 종이에 인쇄하는 것과는 달리, 다양하고 복잡한 도안 등을 인쇄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리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는 평면의 종이 커버를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둘러쌈으로써, 용기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용기조립체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용기조립체의 상기 용기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커버는 주로 종이로 제작되므로, 용기조립체를 폐기할 때, 재활용을 위해서 상기 용기와 상기 커버를 분리시켜 폐기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를 용기와 분리시키기 위해서 커버를 찢거나 뜯어야 하는데, 상기 커버가 쉽고 깔끔하게 찢겨 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나란한 한 쌍의 절취선 사이로 분리띠가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용기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도1에는 종래의 한 쌍의 절취선 사이에 분리띠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용기조립체(1)는 용기(10)와, 커버(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용기(10)에는 커버(20)가 빠지지 않도록 하단부에 걸림턱(14)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주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20)에는 한 쌍의 나란한 절취선(60,70)인 제1절취선(60)과 제2절취선(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절취선(60,70)은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1파단홈(22)과 제2파단홈(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 쌍의 절취선(60,70) 사이에는 분리띠(26)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띠(26)의 일측을 잡아당김으로써, 파단홈과 인접파단홈 사이(23,25)가 찢어지면서 분리띠(26)가 커버(2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띠(26)가 분리되면 커버(20)는 펼쳐지게 되고, 용기(10)로부터 손쉽게 분리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조립체(1)에 있어서, 용기(10)와 커버(20)를 분리하기 위 해서 상기 분리띠(26)를 뜯다보면, 도2와 같이 파단홈과 인접 파단홈 사이(23,25)가 찢어지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찢어짐으로써, 절취선을 벗어나서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커버(20)가 용기(10)로부터 한번에 분리되지 않으므로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깔끔하지 못하다.
도3은 절취선(60,70)을 벗어나서 찢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파단홈이 형성된 커버(2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커버(20)의 재질인 종이는 식물의 섬유가 엉겨서 이루어지며, 일방향의 결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종이의 특성 때문에 종이는 다양한 방향으로 찢어지게 된다. 도3과 같이 종이에 형성된 제1,2파단홈(22,24)의 일단부에서 찢어짐이 시작되어, 인접한 파단홈(22a,24a)로 찢어짐이 안착됨으로써, 찢어짐이 절취선(60,70)을 따라 일방향(D1)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파단부(22,24)의 일측 단부에서 인접 파단부(22a,24a)를 빗겨가는 방향(T11,T12,T21,T22)으로 찢어짐이 진행되면, 절취선(60,70)을 벗어나서 찢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절취선(60,70)을 벗어나서 찢어지는 현상은, 분리띠(26)를 커버에서 뜯어내려고 당길 때, 상기 당기는 힘이 절취선(60,70)과 나란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찢어짐이 안착되도록 파단홈(22,24)의 일측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안착홈을 구비한 절취선(60,70)이 커버에 사용되고 있다. 도4는 안착홈을 구비한 절취선(60,7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안착홈(30,32)을 구비한 절취선(60,70)은, 제1파단홈(22) 및 제2파단홈(24)에서 각각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1,2안착홈(30,32)을 구비하 고 있다.
안착홈(30,3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절취선(60,70)과 나란한 방향(T10,T20)으로 찢어짐이 진행되는 경우 외에도, 제1파단홈(22) 또는 제2파단홈(24)으로부터 절취선(60,70)과 경사를 이루며, 절취선(60,70) 사이의 분리띠(26)를 향하는 방향(T12,T21)으로 찢어지는 경우에도 분리띠(26)는 절취선(60,70)을 따라 뜯어지게 된다. 이는 찢어짐이 절취선(60,7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를 향하는 방향(T12,T22)으로 진행되더라도 인접 파단홈(22a,24a)과 연결된 인접 안착홈(30a,32a)에 도달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1파단홈(22)에서 제1절취선(60)과 나란한 방향(T10)으로 찢어지고, 제2파단홈(70)에서 분리띠(26)를 향하는 방향(T21)으로 찢어지더라도, 찢어짐은 제1절취선(60) 및 제2절취선(70)을 따라서 안내된다.
그러나 절취선(60,70)이 안착홈(30,32)을 구비한 경우에도, 제1파단홈(22) 또는 제2파단홈(24)의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T11,T22)으로 찢어지게 되면, 여전히 분리띠(26)가 절취선(60,70)을 따라서 커버(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한 쌍의 절취선 사이에 분리띠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을 따라 용이하게 분리띠가 제거되도록, 절취선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용기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서로 나란한 제1,2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분리띠를 뜯음으로써 상기 용기와 분리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조립체의 상기 한 쌍의 절취선은,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1파단홈과, 상기 제1파단홈에 나란하게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2파단홈과, 상기 제1,2파단홈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2안착홈과, 상기 제1,2파단홈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인접하는 상기 제1,2안착홈 상의 임의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2안내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에 형성된 분리띠가 절취선을 벗어나서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간편하게 커버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커버의 형상이 깔끔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분리띠는 절취선의 뜯어짐이 시작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분리띠가 더욱 간편하게 커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인접한 안착홈 상의 임의지점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인도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인도홈이 형성된 경우, 찢어짐이 절취선을 벗어나는 것이 더욱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조립체(2)는 용기(10)와 커버(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10)는 라면이나 음료수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액체가 새거나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압축 성형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보온 또는 단열을 위해서 스티로폼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의 상측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용기(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플랜지(12)와 상기 걸림턱(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걸림턱(14)에 의해서 용기(10)의 아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20)는 도안 등이 인쇄되도록 종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0)는 용기(10)의 외주면에 둘러진 후, 커버(2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접착부(52)가 커버(20)의 타측 측면에 접착됨으로써, 용기(10)와 결합된다.
상기 커버(20)에는 제1절취선(60) 및 제2절취선(7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절취선(60,70) 사이에 분리띠(26)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띠(26)를 절취선(60,70)을 따라 뜯어냄으로써, 커버(20)는 용기(1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절취선(60,70)은 천공되거나 칼집을 내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취선(60,70)은, 서로 대응되는 제1,2파단홈(22,24), 제1,2안착홈(30,32), 제1,2안내홈(100,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파단홈(22)은 상하방향의 직선상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파단홈(24)은 상기 제1파단홈(22)에 나란하게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파단홈(22)과 선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2파단홈(22,24)은 선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안착홈(30,32)은 상기 제1,2파단홈(22,24)의 일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안착홈(30,32)은 상기 제1,2파단홈(22,24)의 하단측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쌍의 절취선(60,70) 사이에 형성된 분리 띠(26)를 향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서로 선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안내홈(100,102)은, 제1,2파단홈(22,24)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인접하는 상기 제1,2안착홈(30a,32a) 상의 임의의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안내홈(100,102)는 제1,2파단홈(22,24)의 상단측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2안내홈(100,102)은 종이가 찢어질 때, 인접하는 제1,2안착홈(30a,32a) 상의 임의의 지점으로 찢어짐이 도달되도록, 찢어짐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안내홈(100,102)는 제1,2안착홈(30a,32a)보다 짧으며, 제1,2안착홈(30a,32a)은 제1,2파단홈(22,24)보다 짧다. 이처럼, 제1,2안내홈(100,102) 및 제1,2안착홈(30a,32a)가 제1,2파단홈(22,24)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므로, 절취선(60,70)은 순방향 및 역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띠(26)의 일단부에는 손잡이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뜯어짐이 시작되는 분리띠(26)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분리띠(26)를 커버(20)에서 용이하게 뜯을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손잡이부(50)는 상기 분리띠(26) 양단부 중, 상기 제1,2파단홈(22,24)을 기준으로 상기 제1,2안착홈(30a,32a)이 형성된 방향 측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50)는 커버(20)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를 잡아당기면 절취선(60,70)을 따라서 파단홈 사이(23,25)가 뜯어지면서, 분리띠(26)가 커버(20)에서 분리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용기조립체(2)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에 형성된 절취선(60,70)의 제1,2안내홈(100,102)에 의해서 찢어짐이 안내되는 원리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홈(100)의 단부에서 시작되는 찢어짐은, 분리띠(26)와 나란한 방향(T10), 제1절취선(6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T11), 또는 절취선(6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를 향하는 방 향(T1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안내홈(102)에서도 마찬가지로, 찢어짐은 제2안내홈(102)의 단부로에서 시작되어, 분리띠(26)와 나란한 방향(T20), 제2절취선(7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T22), 또는 제2절취선(7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를 향하는 방향(T21)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제1,2안내홈(100,102)의 단부에서 시작된 찢어짐은, 분리띠(26)와 나란한 방향(T10,T20), 절취선(60,7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T11.T22) 또는 절취선(60,70)과 경사를 이루며 분리띠(26)를 향하는 방향(T12,T21)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찢어짐이 상기 방향(T10,T11,T12,T20,T21,T22)중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더라도, 찢어짐은 인접한 안착홈(30a,32a) 상의 임의의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2안내홈(100,102)은 찢어짐을 안내하여, 분리띠(26)가 절취선(60,70)을 벗어나지 않고 커버(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는 도4에 도시된 종래의 절취선과 차별되는 특징으로써, 종래의 절취선과는 달리, 제1,2파단홈(22,24)의 단부에서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T11,T22)으로 찢어지더라도, 분리띠(26)가 절취선(60,70)을 따라서 커버(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60,70)은, 상기 제1,2안내홈(100,102)의 단부와 상기 제1,2안내홈(100,102)에 인접한 제1,2안착 홈(30a,32a) 상의 임의지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인도홈(110,112)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안내홈(100,102)의 단부에서 인접한 안착홈(30a,32a) 상의 임의의 위치로 찢어짐이 인도되므로, 찢어짐이 절취선(60,70)을 벗어나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띠(26)를 용기의 하단부에서 용기의 상단부로 뜯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분리띠(26)는 위에서 아래로 뜯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착홈(30,32)과 안내홈(100,102)이 분리띠(26)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안착홈(30,32)과 안내홈(100,102)이 분리띠(2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안착홈(30) 및 제1안내홈(100)이 제2안착홈(32) 및 제2안내홈(102)과 선대칭을 이루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용기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용기조립체의 분리띠가 절취선을 벗어나서 뜯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종래의 절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또 다른 종래의 절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조립체의 커버에 형성된 절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용기조립체 10 ... 용기
20 ... 커버 22,24,22a,24a ... 파단홈
30,32,30a,32a ... 안착홈 60,70 ... 절취선
100,102,100a,102a ... 안내홈 110,112 ... 인도홈

Claims (4)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서로 나란한 제1,2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분리띠를 뜯음으로써, 상기 용기와 분리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취선은,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1파단홈과,
    상기 제1파단홈에 평행하게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제2파단홈과,
    상기 각 제1,2파단홈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분리띠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2파단홈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2안착홈과,
    상기 각 제1,2파단홈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분리띠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인접하는 상기 제1,2안착홈 상의 임의지점을 향하며, 상기 제1,2안착홈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2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띠는,
    상기 분리띠의 양단부 중, 상기 제1,2파단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1,2안착홈이 형성된 방향 측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2안내홈의 단부와 상기 제1,2안내홈에 인접한 제1,2안착홈 상의 임의지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인도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조립체.
KR2020090006415U 2009-05-27 2009-05-27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KR200462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15U KR200462213Y1 (ko) 2009-05-27 2009-05-27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15U KR200462213Y1 (ko) 2009-05-27 2009-05-27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25U KR20100011825U (ko) 2010-12-07
KR200462213Y1 true KR200462213Y1 (ko) 2012-08-30

Family

ID=4420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15U KR200462213Y1 (ko) 2009-05-27 2009-05-27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77B1 (ko) * 2011-03-14 2013-02-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펄프 성형품을 이용한 포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133A (ja) * 2006-02-03 2007-08-16 Daiwa Can Co Ltd ラベル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133A (ja) * 2006-02-03 2007-08-16 Daiwa Can Co Ltd ラベル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25U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107B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용기 마개
JP4786236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4572228B2 (ja) 衛生薄葉紙収納箱
JP5200685B2 (ja) シュリンクラベル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包装容器
JP4934576B2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に充填された製品
KR20130087602A (ko) 상품에 대해 용이한 개방을 실현하는 디스플레이 패키지
JP6137097B2 (ja) 包装容器の解体方法
JP2009128753A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に充填された製品
EP1818272A1 (en) Tamper-proof overcap for bottles
JP4838907B1 (ja) ボトル型容器
JP2007015732A (ja) 筒状ラベル及びラベル装着体
KR200462213Y1 (ko)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JP4965384B2 (ja) 包装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容器
JP2007008532A (ja) 包装容器
JP2009204866A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に充填された製品
JP4557233B2 (ja) 筒状ラベル付き容器及び筒状ラベル
JP2006240721A (ja) 断熱容器
JP5105815B2 (ja) 包装体
JP5288714B2 (ja) 分別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6888335B2 (ja) 紙容器
JP4991443B2 (ja) 衛生薄葉紙収納箱
JP2011025958A (ja) 外装体及び複合容器
JP3122743U (ja) ペットボトルのラベル剥し器
JP2007331764A (ja) フィルム付容器
JP5224865B2 (ja) ラベル付容器および包装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