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73Y1 - 네트워크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73Y1
KR200411273Y1 KR2020050037229U KR20050037229U KR200411273Y1 KR 200411273 Y1 KR200411273 Y1 KR 200411273Y1 KR 2020050037229 U KR2020050037229 U KR 2020050037229U KR 20050037229 U KR20050037229 U KR 20050037229U KR 200411273 Y1 KR200411273 Y1 KR 200411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torage medium
unit
transmission metho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파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르스 filed Critical (주)파르스
Priority to KR2020050037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다양한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중에서 소정 저장매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선택하고, 복수의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저장매체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저장매체 선택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전환 장치, 망 전환 장치, 초박막형 컴퓨터, 저장매체, 전송 방식 변환

Description

네트워크 전환 장치{Network switch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네트워크 전환 장치 10: 네트워크 접속부
20: 네트워크 선택부 30: 동작 표시부
40: 입력부 50: 제어부
60: 제2 저장부 70: 저장매체 선택부
80: 제1 저장매체 연결부 90: 랜 카드 접속부
95: 제1 메인보드 연결부 600: 제1 저장부
710, 720: 전송 방식 변환부 800: 제2 저장매체 연결부
950: 제2 메인보드 연결부
본 고안은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 및 인터넷이 널리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성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각종 컨텐츠 및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사생활 침해, 바이러스 유포, 해킹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범죄 역시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바이러스나 해킹 등으로 인해 개인 또는 기업의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 및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내부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축해야 했다. 즉, 외부 네트워크용 컴퓨터와 내부 네트워크용 컴퓨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했다. 또는 각 컴퓨터에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 또는 내부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보통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는 외부 네트워크 및 내부 네트워크를 각각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부, 복수의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저장매체 연결부 및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구동하는 네트워크 전환 제어부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각 네트워크 별로 별도의 운영체제 및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나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데이터 를 보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해당 컴퓨터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만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해당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만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특정 종류의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저장매체만을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IDE 방식의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S-ATA 방식의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사용시, 한정된 저장매체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중에서 소정 저장매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선택하고, 복수의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저장매체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저장매체 선택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 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입력부(40), 네트워크 접속부(10), 네트워크 선택부(20), 동작 표시부(30), 랜 카드 접속부(90), 제1 저장부(600), 제2 저장부(60), 저장매체 선택부(70), 저장매체 연결부(80, 800), 메인보드 연결부(95, 950), 전송 방식 변환부(71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독으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40)를 온/오프 버튼으로 구현하여, 버튼의 동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컴퓨터 외부의 소정 위치에 온/오프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이 온(on)된 경우에는 해당 컴퓨터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버튼이 오프(off)된 경우에는 해당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다른 예로써, 입력부(40)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합으로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면, 부팅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선택 모드 화면을 표시하여, 컴퓨터가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된 네트워크로 부팅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는 소정 네트워크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로 부팅된 후,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입력부(40)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40)의 연결 소자는 스테레오 잭(Stereo Jack)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력부(40)의 연결 소자를 스테레오 잭으로 구현하면, 입력부(40)의 연결 소자를 모듈러 잭(Modular Jack)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10)는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랜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 접속부(11) 및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랜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 접속부(12)를 포함한다.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각각 소정 랜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RJ45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는, 8핀(Pins) 커넥터로 구성된 케이블 및 6핀(Pins) 커넥터로 구성된 케이블을 겸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현재 상용화된 외부 네트워크용 랜 케이블은 8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 또는 6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로 이루어지는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는 6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 또는 8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접속부(12)는 8핀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점퍼(Jumper)를 이용하여 제2 접속부(12)를 6핀 커넥터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접속부(12)를 구현하면, 랜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선택부(20)는 입력부(40)를 통해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부(10)를 선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선택부(20)는 랜 카드 접속부(9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랜 카드 접속부(90)에는 랜 카드가 장착된다. 사용자의 컴퓨터(미도시)가 예를 들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4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네트워크 선택부(20)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부(10) 즉, 제2 접속부(12)와 랜 카드 접속부(90)에 연결된 랜 카드(미도시)를 연결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컴퓨터(미도시)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의 컴퓨터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4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네트워크 선택부(20)는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부(10) 즉, 제1 접속부(11)와 랜 카드 접속부(90)에 연결된 랜 카드(미도시)를 연결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선택부(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나 릴레이(Relay)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표시부(30)는 각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형 발광 소자(Light Emission Diode, 이하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동작 표시부(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현재 동작 중인 네트워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 표시부(30)는 적색 LED로 구현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 표시부(30)는 녹색 LED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컴퓨터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 어 있는 경우에는 적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여, 현재 동작중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동작 표시부(3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작 표시부(30)는 네트워크 접속부(10) 즉, 제1 접속부(11)의 커넥터 및 제2 접속부(12)의 커넥터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작 표시부(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 연결부(80, 8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장매체 연결부(80, 800)는 다양한 표준 전송 방식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중에서 둘 이상의 표준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장매체 연결부(80, 800)가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는 IDE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2 저장매체 연결부는 S-ATA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저장매체 연결부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는 각각 복수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커넥터에는 외부 네트워크 및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매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즉,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각 커넥터에 하나의 저장매체가 연결되거나, 이중 케이블을 통해 각 커넥터에 두 개의 저장매체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커넥터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가 제1 연결부(81) 및 제2 연결부(8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부(81) 및 제2 연결부(82)는 각각 적색 IDE 커넥터 및 녹색 IDE 커넥터로 구성하여 제1 연결부(81)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연결부(82)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도 이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가 제1 연결부(810) 및 제2 연결부(820)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부(810) 및 제2 연결부(820)를 각각 적색 S-ATA 커넥터 및 녹색 S-ATA 커넥터로 구성하여, 제1 연결부(810)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연결부(820)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저장부(6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부(600)는 외부 네트워크 또는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부(6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isk),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USB(Universal Serial Bus), CD, MD, ROM, RAM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일부 회로로서 구성되거나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의 제2 연결부(820)에 제1 저장부(600)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 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 연결부(80, 800)를 서로 다른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커넥터로 구현하면, 사용자는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와 같이,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로 각각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만을 사용하거나, 도 2b와 같이,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만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2c와 같이,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하여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메인보드 연결부(95, 950)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에 연결된 저장매체와 컴퓨터의 메인보드(미도시)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와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로 구현되며, 각각의 커넥터는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저장매체 연결부(80, 800)가 IDE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보드 연결부(95, 950)는 IDE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 메인보드 연결부(95) 및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 메인보드 연결부(9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보드 연결부(95, 950)의 커넥터는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의 커넥터와 구별되는 색상 예를 들면, 검은색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매체 선택부(70)는 저장매체 연결부(80, 800) 및 메인보드 연결부(95, 9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부(40)를 통해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연결된 저장매체 연결부(80, 800) 및 이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95, 950)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저장매체 선택부(70)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가 연결된 저장매체 연결부(80, 800) 및 해당 저장매체 연결부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95, 950)를 선택한다.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가 각각 IDE 커넥터 및 S-ATA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1 메인보드 연결부(95)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950)가 각각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에 대응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저장매체가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입력부(4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매체 선택부(70)는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950)를 선택한다. 그 결과,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 저장매체 선택부(70)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950)를 통해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에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와 메인보드 간에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저장매체 선택부(70)는 버스 스위치(BUS Switch)방식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나 릴레이(Re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송 방식 변환부(710)는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특정 전송 방식을 다른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송 방 식 변환부(710)는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거나,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 방식 변환부(7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커넥터,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집적회로(IC) 및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송 방식 변환부(71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의 회로나 착탈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송 방식의 종류(예를 들면, IDE, SATA, USB, IEEE1394 등),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에 연결되는 저장매체의 종류나 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송 방식 변환부(710)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방식 변환부(710)가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의 제2 연결부(820)에 연결되어 있고,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경우,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의 제1 연결부(810)에는 S-ATA 방식의 저장매체를 연결하고, 전송 방식 변환부(710)에는 IDE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제1 저장부(6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IDE 전송 방식의 제1 저장부(600)를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방식 변환부(720)가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의 제2 연결부(82)에 연결되어 있고,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경우,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의 제1 연결부(81)에는 IDE 방식의 저장매체를 연결하고, 전송 방식 변환부(720)에는 S-ATA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제1 저장부(6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S-ATA 전송 방식의 제1 저장부(600)를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예는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2 저장부(60)는 각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 간의 데이터 이동시, 이동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하려는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저장하고,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환한 후, 제2 저장부(60)를 액세스함으로써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저장부(60)는 제어부(50)에 의해 동작하거나 제어부(50)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가 소정 저장매체로 전송될 때에는 단방향 전송 방식 또는 양방향 전송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이란, 내부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각각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로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저장하거나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가 외부 네트워크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고,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양방향이라 함은, 내부 및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및 쓰기가 모두 가능함을 뜻한다.
이에 비해 단방향이란, 소정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환된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범위가 제한됨을 뜻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저장하거나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즉,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쓰기가 모두 가능하다. 컴퓨터가 외부 네트워크로 전환된 후에는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만이 가능하다. 즉,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기록하거나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없다.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2 저장부(60)에 대한 액세스 범위 제한할 수 있다. 제2 저장부(60)에 대한 액세스 범위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저장부(60)는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에 일부 회로로 구현되거나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저장부(60)는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현되거나 CD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선택부(2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네트워크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환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매체 선택부(7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써, 네트워크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의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즉, 네트워크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가 존재한다면, 네트워크 전환을 중지하므로써, 외부 저장매체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저장매체 유무에 대한 판단은 기설정된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정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외에도 제어부(50)는 해당 저장매체로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메인보드에 구비된 확장 슬롯 예를 들면, PCI 슬롯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IDE 전송 방식의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S-ATA 전송 방식의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를 포함하고,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 및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는 각각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의 제2 연결부(820)에는 제1 저장부(6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의 제1 및 제2 연결부(81, 82)와 제2 저장매체 연결부(800)의 제1 및 제2 연결부(810, 820)에는 각각 내부 네트워크 및 외 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가 연결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접속단자(미도시)를 메인보드의 확장슬롯에 장착시킨 다음, 네트워크 접속부(10)에 내부 네트워크 케이블 및 외부 네트워크 케이블을 각각 접속한다. 예를 들면, 제1 접속부(11)에 내부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2 접속부(12)에 외부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기존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 및 용도를 확인하여, 해당 저장매체 연결부(80, 800)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IDE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기존 저장매체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사용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 저장매체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의 제1 연결부(81)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저장매체 연결부(80)의 제1 연결부(81) 및 제2 연결부(82)는 서로 다른 색상의 커넥터로 구현되므로, 사용자는 기존 저장매체를 연겨할 커넥터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을 메인보드의 확장슬롯에 장착한 후,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를 통하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지고, 체크 결과가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로 +5V의 전원이 공급되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가 동작하게 된다(S310).
이 후, 제어부(50)는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 부팅하기 위해 부트 로더(boot loader)를 선택한다. 부트 로더를 선택할 때에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부트 로더를 선택할 수 있다(S320).
좀 더 구체적으로,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S320, 예),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선택부(20) 및 저장매체 선택부(70)를 제어한다(S330).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선택 화면이 출력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내에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선택부(20) 및 저장매체 선택부(70)를 제어하여, 내부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50)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5V의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2V 이하의 로우레벨 신호를 전송한다.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받은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의 작동 정보를 바이오스로 전송한다.
만약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320, 아니오),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선택부(20) 및 저장매체 선택부(70)를 제어하여,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한다(S325).
소정 네트워크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로의 부팅이 완료되면,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및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외부 네트워크 사용시,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액세스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내부 네트워크 사용시에도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액세스할 수 없다.
이 후, 제어부(50)는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해당 저 장매체와 제2 저장부(6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S340). 만약 서로 독립된 저장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저장부(6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할 데이터를 제2 저장부(60)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입력부(40)를 통해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광저장매체 등과 같은 외부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다(S360). 그리고 확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외부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있다면(S360, 예), 네트워크 전환 과정을 중지하여(S365), 외부 저장매체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등을 방지한다.
외부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 결과 만약, 외부 저장매체가 없는 경우(S360, 아니오), 현재 동작 중인 저장매체의 리소스를 종료한다(S370).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50)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자원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선택부(20)를 제어하여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380). 즉, 네트워크 선택부(20)를 제어하여 제1 접속부(11)로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매체 선택부(70)를 제어하여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저장매체 선택부(70)를 제어하여 제1 저장매체 연결부의 제1 연결부(81)로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네트워크로 전환되면, 제2 저장부(60)를 액세스하여, 해당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와 제2 저장부(60) 간의 데이터 흐름은 기설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는 단방향 전송 방식 또는 양방향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방향 전송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소정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로의 액세스 권한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로의 쓰기 권한을 제한하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로의 액세스 권한에는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즉,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며,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해 읽기만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로의 쓰기 권한을 제한하고, 내부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로의 액세스 권한에는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즉, 내부 네트워크로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며,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해 읽기만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양방향 전송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소정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 부(60)로의 액세스 권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외부 및 내부 네트워크에서 제2 저장부(6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및 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다양한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나 전송 방식 변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저장매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데이터 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네트워크 전환 장치 내에 저장매체를 추가하므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저장매체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소형 컴퓨터에도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외부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를 8핀(pins) 및 6핀 겸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므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 연결부 중에서 소정 저장매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선택하고, 복수의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저장매체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저장매체 선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연결부는 IDE 커넥터 및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와 대응되는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전환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로 제공하는 제1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동작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선택부 및 상기 저장매체 선택부는 버스 스위치 방식의 집적회로 및 릴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연결부 및 상기 메인보드 연결부는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연결부 및 상기 메인보드 연결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으로 설정된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저장매체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는 8핀 케이블 및 6핀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 변환부는,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 변환부는,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KR2020050037229U 2005-12-30 2005-12-30 네트워크 전환 장치 KR200411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29U KR200411273Y1 (ko) 2005-12-30 2005-12-30 네트워크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29U KR200411273Y1 (ko) 2005-12-30 2005-12-30 네트워크 전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73Y1 true KR200411273Y1 (ko) 2006-03-10

Family

ID=4176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229U KR200411273Y1 (ko) 2005-12-30 2005-12-30 네트워크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71B1 (ko) * 2010-01-29 2012-04-10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듀얼 포트 랜카드를 이용한 망전환 컴퓨터
KR20150127431A (ko)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망 선택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망 활성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71B1 (ko) * 2010-01-29 2012-04-10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듀얼 포트 랜카드를 이용한 망전환 컴퓨터
KR20150127431A (ko)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망 선택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망 활성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528B (zh) 配置坞
US20060106962A1 (en) USB On-The-Go implementation
CN100568211C (zh) 用可编程器件实现访问多个i2c从器件的方法及装置
US20100049895A1 (en)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EP2040174B1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KR101327896B1 (ko) 기존의 아키텍처에 독립 컨트롤러를 추가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70028046A1 (en) Flash device to external storage adapter
US7836241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witching unit
CN213365380U (zh) 一种服务器主板及服务器
US20050060490A1 (en) Apparatus for multiple host access to storage medium
CN213276460U (zh) 一种双路服务器主板及服务器
JP2012063817A (ja) 通信装置
JPH11119878A (ja) コンピュータ・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CN113626359A (zh) 一种服务器的闪存芯片的信号切换装置及方法
CN210776692U (zh) 一种支持笔记本网络和移动存储的隔离装置
WO2014023247A1 (zh) 嵌入式设备和基于该设备进行数据通信的控制方法
KR100851297B1 (ko) Usb 케이블 장치
KR200411273Y1 (ko) 네트워크 전환 장치
CN213276461U (zh) 一种双路服务器主板及服务器
TWI545438B (zh) 電腦管理系統與方法
KR200420506Y1 (ko)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US9070522B2 (en) Smart wall plate and modular jacks for secure network access and/or VLAN configuration
US20030172263A1 (en) Passive adapter for portable memory cards
CN109815169A (zh) 一种存储设备及其存储链路自适应的方法
KR101260932B1 (ko) 제어 보드, 제어 보드를 구비하는 외장형 멀티 디바이스 베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