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26Y1 -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26Y1
KR200384226Y1 KR20-2005-0003892U KR20050003892U KR200384226Y1 KR 200384226 Y1 KR200384226 Y1 KR 200384226Y1 KR 20050003892 U KR20050003892 U KR 20050003892U KR 200384226 Y1 KR200384226 Y1 KR 200384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kneading
machine
container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치원
Original Assignee
권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치원 filed Critical 권치원
Priority to KR20-2005-0003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5Shafts; Hea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 및 이 반죽기를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하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곡물을 반죽하는 반죽기(10)와;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20)와; 상기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한다. 이때, 반죽기(10)는 곡분용 투입도어(12a) 및, 반죽을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갖는 밀폐된 반죽통(12)과;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본 고안은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분을 자동으로 반죽할 뿐만 아니라, 이 반죽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면을 제조하는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죽기는 교반스크류가 설치된 반죽통에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이 물과 함께 투입되면 작동한다. 이때, 교반스크류는 회전하면서 곡분을 물과 함께 반죽하여 페이스트상태의 반죽물을 생성한다. 이렇게, 반죽물이 생성되면, 운전자는 반죽통에서 반죽물을 꺼내고, 이 반죽물을 방망이 형태의 홍두깨로 전개한 후, 전개된 반죽물을 롤 형태로 만든 다음, 이 롤을 칼로 잘라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제조한다. 물론,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물로 국수 이외의 빵이나 과자를 제조할 경우에는, 반죽물을 이에 적합하게 가공한다.
한편, 생면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일반적인 생면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죽기에서 반죽물이 자동으로 생성되면, 이 반죽물을 압연롤러가 자동으로 가압하여 판상으로 성형한다. 이때, 압연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을 갖는 커팅샤프트는, 판상으로 배출되는 반죽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면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나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이러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한 후, 절단된 생면을 조리하거나 즉석 조리가 가능하도록 포장한다.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반죽기는 곡분이 물에 의해서만 결합되고, 숙성 과정은 거치지 않으므로, 점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반죽기를 이용하는 전술한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에 의하여 숙성되지 않고 전혀 익혀지지 않은 생반죽으로 생면으로 제조하므로, 조리자는 생면을 완전하게 익히기 위하여 보다 많은 조리시간을 소요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리된 생면의 점성이 미흡하여 졸깃졸깃한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생면은, 반죽이 건조 과정을 거치지 못하므로, 점성이 더욱 미흡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생면이 즉석 우동이나 자장면과 같은 즉석 생면제품에 적용될 경우, 면의 조리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졸깃졸깃한 맛도 즐길 수 없으므로,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생면제조장치는, 운전자나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생면을 필요한 길이로 일일이 절단하여야 하므로, 생면제조장치에 반드시 생면을 절단하는 사람을 상주시켜야 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죽을 습식으로 가열하거나 반죽을 밀폐된 상태에서 팽창 및 수축시켜서, 반죽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숙 상태의 반죽을 제공할 수 있는 반죽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또한, 반죽물의 반죽시 반죽물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죽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반죽기를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생면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생면이나 생면으로 제조되기 전의 반죽물을 적당한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는 생면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반죽기는,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과; 상기 반죽통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의 반죽물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반죽통은, 상기 배출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는 예컨대, 상기 배출도어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를 개폐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반죽통의 반죽물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반죽통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의 반죽물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또 달리,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스팀공급유닛 및 진공유닛을 혼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전술한 상기 반죽기와; 상기 반죽기로부터 반죽물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와; 상기 사출기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 및; 상기 국수성형기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기는 예컨대, 상기 반죽기로부터 반죽물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을 갖는 사출호퍼와; 상기 사출호퍼에 수평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사출호퍼에 투입된 반죽물을 상기 사출호퍼의 배출공으로 밀어내는 사출스크류 및; 상기 사출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수성형기는 예컨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판상의 반죽물을 국수 형태로 분할하는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을 갖는 한쌍의 커팅샤프트 및; 상기 커팅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예컨대, 상기 국수성형기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편축회전시 일단부가 지지롤러에 밀착하면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하는 평판날 및; 상기 평판날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반죽기나 사출기에 의한 반죽물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상기 커터로 공급하는 압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 의한 반죽물을 상기 커터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서 공급되는 반죽물을 지그제그 형태로 왕복시키면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경사를 갖는 경사컨베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 의한 반죽물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공기를 송풍하여, 이송컨베이어상의 반죽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반죽기 및 생면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연기 및 국수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10)와; 이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20)와; 이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 이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기(10) 및 사출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기(10)의 반죽물(P)을 재차 반죽하여 사출기(20)에 공급하는 2차반죽기(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반죽기(10) 및 2차반죽기(20'), 그리고 사출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F)을 통하여 동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반죽기(10)와 2차반죽기(20') 및 사출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수직으로 순차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기(10)나 사출기(20)에 의한 반죽물(P)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전술한 커터(40)로 공급하는 압연기(50) 및; 전술한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을 전술한 커터(40)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한다.
즉,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10),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포함한다. 그리고, 2차반죽기(20')와 압연기(50) 및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생면제조장치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죽기(10)는 도 1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과; 배합수공급유닛과; 교반축(16)과; 회전수단 및; 숙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배합수공급유닛, 교반축(16), 회전수단 및 숙성수단은 후술되는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반죽통(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박스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상·하부에는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갖는다. 이때, 배출도어(12b)에는 자동으로 배출도어(12b)를 개폐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개폐부재를 설치한다. 이러한, 개폐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가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본체는 반죽통(12)을 감싸는 프레임(F)에 연결되어,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이다.
배합수공급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에 연통되어 외부의 연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연수파이프(14a)이다. 이러한, 연수파이프(14a)는 미도시된 펌프를 갖는 연수저장탱크에 연결되거나, 이와 달리 미도시된 상수도에 연결된다. 이때, 연수파이프(14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배합수공급유닛은 연수파이프(14a) 및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합수공급유닛은 반죽을 위하여 준비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한다.
교반축(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갖는다. 이러한, 교반축(16)은 회전하면서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 및 배합수를 교반한다. 따라서, 반죽통(12)의 내부에는 반죽물(P)이 생성된다.
이러한, 교반축(16)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죽기모터(M1)이다. 물론, 반죽기모터(M1)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교반축(16)과 연결된다.
숙성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스팀공급유닛 및 진공유닛이다. 스팀공급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은 고온의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기(S) 및; 이 스팀기(S)를 반죽통(12)에 연결하는 스팀파이프(SP)이다. 이때, 스팀파이프(S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스팀공급유닛은 스팀기(S)와 스팀파이프(SP) 및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유닛은 반죽통(12)에 스팀기(S)의 스팀을 공급하여, 반죽통(12) 내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증기숙성, 즉 증숙시킨다. 따라서, 반죽물(P)은 증숙에 의하여 반숙될 뿐만 아니라 점성이 강화된다. 물론, 반죽물(P)은 곡분이 익혀짐에 따라 분말 형태에서 겔 형태로 변환하면서 점성이 강화된다.
숙성수단인 진공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펌프(V) 및; 이 진공펌프(V)를 반죽통(12)에 연결하는 진공파이프(VP)를 포함한다. 이때, 진공파이프(V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진공유닛은 진공펌프(V)와 진공파이프(VP) 및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유닛은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킨다. 즉, 반죽물(P)은 진공유닛의 진공에 의하여 내부의 기포가 강제로 제거되는 동시에, 팽창 및 수축되면서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된다. 따라서, 반죽물(P)은 진공숙성에 의하여 점성이 강화된다.
이렇게 구성된 반죽기(10)는 도시된 바와 달리 별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반죽기(10)를 도시된 바와 같은 생면제조장치에서 별개로 분리하여, 독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할 내용을 입력시키는 키보드 및, 이 키보드로 입력되는 내용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타이머(미도시)를 갖는다. 이때, 키보드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갖는다. 물론, 컨트롤러(C)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갖는다.
이러한, 컨트롤러(C)는 배합수공급유닛의 연수파이프(14a)에 설치된 밸브나 상수도 또는 연수저장탱크의 펌프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C)는 스팀기(S)나 스팀파이프(SP) 또는 진공펌프(V) 또는 진공파이프(VP)에 설치된 밸브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컨트롤러(C)는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들을 제어한다. 물론, 컨트롤러(C)는 반죽기(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팀공급유닛이나 진공유닛 중 하나만 설치된 경우, 설치된 부재만을 제어하도록 연결된다.그리고, 컨트롤러(C)는 반죽통(12)에 마련된 실린더(CR)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후술되는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커터(40), 압연기(50), 이송컨베이어(60) 및 건조기(70)의 작동도 제어한다.
다음, 2차반죽기(20')는 도 1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스크류(24') 및, 반죽배출공(22a')을 갖는 호퍼이다. 이때, 반죽배출공(22a')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반죽기(20')는 전술한 반죽기(10)에서 반죽물(P)이 공급되면 교반스크류(24')를 이용하여, 이 반죽물(P)을 재차 교반하면서 전방의 반죽배출공(22a')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반죽물(P)은 반죽배출공(22a')을 통하여, 가래떡과 같은 형태를 취하면서 하부의 사출기(20)로 공급된다. 이때, 교반스크류(24')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모터(M2')에 의하여 회전한다. 물론, 구동모터(M2')는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교반스크류(24')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모터(M2')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그 다음, 사출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와; 사출스크류(24) 및;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사출호퍼(22)는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P)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P)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22a)을 갖는다.
이때,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 상부에는 도 2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조절부재를 마련한다. 이러한, 두께조절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에 수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22b) 및; 이 승강판(22b) 및 사출호퍼(22)에 나사결합되는 롱볼트(22c);를 포함한다. 따라서, 롱볼트(22c)를 돌리게 되면, 승강판(22b)은 승강하면서 배출공(22a)의 폭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배출공(22a)에서 배출되는 반죽물(P)의 두께는 조절된다. 즉, 롱볼트(22c)는 사출호퍼(22)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이다. 물론, 승강판(22b)은 롱볼트(22c)의 회전시, 롱볼트(22c)의 피치를 따라 승강한다.
사출스크류(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2차반죽기(20')에서 공급되는 반죽물(P)을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반죽물(P)은 배출공(22a)에 의하여 판상으로 배출된다.
스크류구동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기모터(M2)이다. 이러한, 성형기모터(M2)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사출스크류(24)에 연결된다. 이때, 성형기모터(M2)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압연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압연기(52)와; 후술되는 제3컨베이어(66) 및 커터(4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압연기(54) 및; 커터(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압연기(56);을 포함한다. 즉, 압연기(5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하지만, 압연기(50)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더 많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연기(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롤러(50a) 및; 이 롤러(50a)를 구동시키는 압연기모터(M5);를 포함한다. 물론, 압연기모터(M5)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롤러(50a)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한쌍의 롤러(5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에 의하여 서로 동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한쌍의 롤러(50a)는 동시에 회전하면서 압연을 실시한다.
이러한, 압연기(50)는 롤러(50a)를 이용하여, 성형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평평하게 가압한다. 이때, 반죽물(P)은 가압되면서 재차 반죽되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강제숙성 및 반숙된 반죽물(P)은 점성이 더욱 강화된다.
계속해서, 이송컨베이어(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20)의 전방에 설치된 압연기(50)에 마주하는 제1컨베이어(62)와; 이 제1컨베이어(62)에 연결되는 제2컨베이어(64) 및; 이 제2컨베이어(64) 및 전술한 제3압연기(56)를 연결하는 제3컨베이어(66);를 포함한다. 즉, 이송컨베이어(6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송컨베어어(60)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 구성되거나 더 많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컨베이어(60)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베이어모터(M6)에 의하여 구동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60)는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벨트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3컨베이어(62, 66)는 제2컨베이어(64) 및 제3압연기(56)의 설치높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제2컨베이어(64)는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을 갖는다.
이때, 제2컨베이어(64)는 도 2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컨베이어(64)는 체인(CH)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개의 스프로킷(SP)을 제각각으로 갖는다. 이러한, 제2컨베이어(64)의 스프로킷(SP) 중 하나의 스프로킷(SP)에는 전술한 컨베이어모터(M6)가 체인(CH')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컨베이어(64)는 컨베이어모터(M6)에 의하여 한꺼번에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제2컨베이어(64)는 판상의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이송하면서 제3컨베이어(66)에 공급한다. 이렇게, 제2컨베이어(64)가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이송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후술되는 건조기(70)를 이용하여, 반죽물(P)을 용이하게 건조하기 위함이다.
다시 계속해서, 건조기(70)는 도 1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62)상에 이격설치된 브로워나, 제2컨베이어(64)의 일측에 세워진 송풍팬이다. 이러한, 건조기(70)는 전술한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60)상의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한다.
이때, 건조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60)상에 설치되거나, 이송컨베이어(60)와 이격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건조기(70)는 이송컨베이어(60) 이외의 제2반죽기(20')나 사출기(20) 또는 압연기(50)나 국수성형기(30)를 포함하는 커터(40)에 바람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건조기(70)는 제1컨베이어(62)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제3컨베이어(66)에도 설치될 수 있다.
연속해서, 국수성형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와; 한쌍의 커팅샤프트(34) 및; 이 커팅샤프트(34)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한쌍의 커팅샤프트(34)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커팅샤프트(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34a)을 갖는다. 따라서, 커팅샤프트(34)는 회전하면서,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분할한다.
샤프트회전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기모터(M3)이다. 이러한, 성형기모터(M3)는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커팅샤프트(34)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케이스(32)의 상부, 즉 커팅샤프트(34)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압연기(56)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32)의 하부, 즉 커팅샤프트(34)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40)를 설치한다. 이때, 제3압연기(56)의 롤러(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모터(M3)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성형기모터(M3) 및 롤러(50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벨트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커터(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수성형기(30)의 케이스(32)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커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2)와; 이 지지롤러(42)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는 평판날(44) 및; 이 평판날(44)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롤러(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에 수평설치되며, 평판날(44)과 평행을 유지한다. 그리고, 평판날(44)은 편축회전시,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롤러(42)에 밀착된다. 따라서, 평판날(44)은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한다.
이때, 평판날(44)을 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커터기모터(M4)이다. 이러한, 커터기모터(M4)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평판날(44)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평판날(44)은 커터기모터(M4)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결정되며, 국수는 이러한 평판날(44)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절단 길이가 결정된다. 즉, 평판날(44)이 빨리 회전될 경우에는 국수가 짧게 절단되며, 평판날(44)이 느리게 회전될 경우에는 국수가 길게 절단된다.
한편, 전술한 반죽기(10)의 교반축(16), 제2반죽기(20)의 교반스크류(24'), 사출기(20)의 사출스크류(24), 압연기(50)의 롤러(50a), 국수성형기(30)의 커팅샤프트(34) 및, 커터(40)의 지지롤러(42) 및 평판날(44), 그리고 반죽통(12) 및 각종 호퍼(20', 22, 22')는 테프론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죽물(P)과 접촉하는 기기의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러한 구성요소에 반죽물(P)이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반죽기(10)의 투입도어(12a)를 열고,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한 후, 투입도어(12a)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C)의 키보드를 조작하여 배합수 양 및 스팀공급시간, 그리고 진공시간을 설정한 후, 생면제조장치를 온(ON) 시킨다.
이에 따라, 배합수공급유닛은 설정된 양만큼의 배합수를 반죽기(10)의 반죽통(12)에 공급한다. 그리고, 반죽기(10)는 반죽기모터(M1) 및 교반축(16)을 작동시켜서, 약 2 내지 3분 동안 반죽을 실시한다. 이어서, 반죽이 완료되어 반죽기(10)에 덩어리 형태의 반죽물(P)이 생성되면, 스팀공급유닛은 반죽기(10)에 약 120℃의 스팀을 약 2 내지 4분 동안 공급한다. 이때, 반죽물(P)은 반숙되면서 강제로 숙성되어, 보다 강한 점성을 갖는다.
계속해서, 스팀의 공급이 완료되면, 진공유닛은 진공펌프(V)를 작동시켜서 약 2 내지 3분 동안 반죽기(10)를 진공시킨다. 이때, 반죽물(P)은 진공에 의하여 팽창하며, 진공이 완료되면 다시 수축한다. 물론, 반죽물(P)은 팽창 및 수축되면서 강제로 숙성되어, 점성이 더욱 강화된다.
이렇게, 반죽물(P)의 숙성이 완료되면, 반죽기(1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CR)가 신축하면서 반죽기(10)의 배출도어(12b)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반죽물(P)은 하부의 2차반죽기(20')에 공급된다. 이때, 2차반죽기(20')는 구동모터(M2')에 의하여 교반스크류(24')가 회전하면서 반죽물(P)을 재차 반죽하는 동시에, 반죽을 반죽배출공(22a')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2차반죽기(20')에서 배출되는 반죽물(P)은 하부의 사출기(20)로 투입된다.
연속해서, 사출기(20)는 사출기모터(M2)에 의하여 사출스크류(24)가 회전하면서, 반죽물(P)을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덩어리 형태의 반죽물(P)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변환되면서 배출된다.
이러한, 판상의 반죽물(P)은 하부의 제1압연기(52)로 공급되며, 제1압연기(51)는 이 판상의 반죽물(P)을 다시 약간 가압하여, 제1컨베이어(62)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컨베이어(62)는 이 판상의 반죽물(P)을 제2컨베이어(64)로 공급한다. 이때, 제1컨베이어(62)상의 반죽물(P)은, 상부에 설치된 건조기(70)에 의하여 냉각되는 동시에 건조된다.
이렇게, 냉각 및 건조된 반죽물(P)은 제2컨베이어(64)에 의하여 지그제그 형태를 취하면서, 제3컨베이어(66)에 공급된다. 이때, 제2컨베이어(64)상의 반죽물(P)은, 일측에 이격설치된 건조기(70)에 의하여 다시 건조된다.
그리고, 제3컨베이어(66)에 공급된 반죽물(P)은 제2압연기(54)에 공급되어 다시 한번 압연된 후, 제4압연기(56)로 공급된다. 이러한, 제4압연기(56)는 반죽물(P)을 마지막으로 압연하여, 판상의 반죽물(P)을 약 10mm 이하의 두께로 가공한 후, 이 반죽물(P)을 국수성형기(30)로 공급한다.
이어서, 국수성형기(30)는 커팅샤프트(34)를 이용하여,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세단한 후, 커터(40)로 공급한다. 그리고, 커터(40)는 평판날(44)을 회전시켜서 지지롤러(42)에 지지된 국수 형태의 반죽물(P)을 커팅한다. 따라서, 커팅된 반죽물(P)은 작업대(W)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생면이 국수형태로 완성되면, 작업자는 이 국수를 조리하거나 즉석식품으로 포장하면 된다. 그리고, 생면의 제조가 완전히 완료되면 컨트롤러(C)를 오프(OFF) 시켜서 생면제조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킨다.여기서,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전술한 제2반죽기(20')와 압연기(50) 및 이송컨베이어(60)는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반죽기(10) 및 사출기(20)를 프레임(F)에 설치하고, 이 사출기(20)의 하부에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즉, 프레임(F)에 반죽기(10),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 사출기(20)에서 형성되는 판상의 반죽물(P)은 곧바로 국수성형기(30)에서 국수 형태로 세단된 후, 커터(40)에 의하여 커팅된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반죽기(10)를 생면제조장치와 별개로 사용할 경우에 대한 반죽기(10)의 작동은,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죽기는, 숙성수단이 반죽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므로, 점성이 강화된 반죽물을 제공하는 효과 있다. 특히, 숙성수단이 스팀공급유닛 일 경우, 반죽물을 반숙 상태로 공급하므로, 생면의 조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숙성수단이 진공유닛일 경우, 반죽물 및 생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점성이 강화된 생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죽기를 갖는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의 반죽물이 국수 형태로 세단되면, 이 국수 형태의 반죽물을 커터가 알맞은 길이로 자동 절단하므로, 생면을 절단하기 위한 인력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생면제조장치는, 건조기가 스팀에 의하여 가열된 반죽물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알맞은 상태로 건조시키므로, 생면의 점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반죽기 및 생면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연기 및 국수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죽기 12 : 반죽통
16 : 교반축 20 : 사출기
22 : 사출호퍼 24 : 사출스크류
30 : 국수성형기 32 : 케이스
34 : 커팅샤프트 40 : 커터
42 : 지지롤러 44 : 평판날
50 : 압연기 60 : 이송컨베이어
70 : 건조기

Claims (19)

  1.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12)과;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은,
    상기 배출도어(12b)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6. 곡분을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하는 생면제조장치에 있어서,
    배합수를 이용하여 투입된 곡분을 반죽하고, 반죽된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반죽기(10)와;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배출하는 사출기(20)와;
    상기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기(10)는,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12)과;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은,
    상기 배출도어(12b)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20)는,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P)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P)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22a)을 갖는 사출호퍼(22)와;
    상기 사출호퍼(22)에 수평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사출호퍼(22)에 투입된 반죽물(P)을 상기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밀어내는 사출스크류(24) 및;
    상기 사출스크류(24)를 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성형기(30)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분할하는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34a)을 갖는 한쌍의 커팅샤프트(34) 및;
    상기 커팅샤프트(34)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40)는,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2)와;
    상기 지지롤러(42)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편축회전시 일단부가 지지롤러(42)에 밀착하면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하는 평판날(44) 및;
    상기 평판날(44)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기(10)나 사출기(20)에 의한 반죽물(P)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상기 커터(40)로 공급하는 압연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을 상기 커터(40)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60)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서 공급되는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왕복시키면서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P)을 건조시키는 건조기(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기(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에 공기를 송풍하여, 이송컨베이어(60)상의 반죽물(P)을 건조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생면제조장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P)을 건조시키는 건조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KR20-2005-0003892U 2005-02-14 2005-02-14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0384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ko) 2005-02-14 2005-02-14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ko) 2005-02-14 2005-02-14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884A Division KR20060091364A (ko) 2005-02-14 2005-02-14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26Y1 true KR200384226Y1 (ko) 2005-05-12

Family

ID=4368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ko) 2005-02-14 2005-02-14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22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78B1 (ko) * 2015-05-15 2015-12-04 신화에프엠주식회사 연속믹서 및 연속믹서를 이용한 반죽 제조방법
KR101868137B1 (ko) * 2017-11-15 2018-06-18 최환희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888795B1 (ko) * 2017-11-15 2018-08-14 최환희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KR20180113034A (ko) 2017-04-05 2018-10-15 이주현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KR102029592B1 (ko) 2018-07-25 2019-11-08 이주현 진공챔버 및 탈기수 등을 이용한 숙성면 제조방법
KR20200099338A (ko) * 2019-02-14 2020-08-24 박재식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KR20200104970A (ko) * 2019-02-27 2020-09-07 주식회사 오리온 재료 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 혼합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78B1 (ko) * 2015-05-15 2015-12-04 신화에프엠주식회사 연속믹서 및 연속믹서를 이용한 반죽 제조방법
KR20180113034A (ko) 2017-04-05 2018-10-15 이주현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KR101996715B1 (ko) 2017-04-05 2019-10-01 이주현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KR101868137B1 (ko) * 2017-11-15 2018-06-18 최환희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888795B1 (ko) * 2017-11-15 2018-08-14 최환희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KR102029592B1 (ko) 2018-07-25 2019-11-08 이주현 진공챔버 및 탈기수 등을 이용한 숙성면 제조방법
KR20200099338A (ko) * 2019-02-14 2020-08-24 박재식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KR102156491B1 (ko) * 2019-02-14 2020-09-15 박재식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KR20200104970A (ko) * 2019-02-27 2020-09-07 주식회사 오리온 재료 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 혼합 장치
KR102242717B1 (ko) * 2019-02-27 2021-04-21 주식회사 오리온 재료 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 혼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226Y1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US512615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ough, particularly for paste products
US5186539A (en) Mixing kneader device and method for this production of dough, particularly for pasta
US6338867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aste products
JPH05192104A (ja) 予め調理されたセリアル食品の製造方法
KR101987765B1 (ko) 김 튀김 제조장치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JP6443911B2 (ja) 食品用真空押出成型装置
RU2370104C2 (ru) Получение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US5272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US5182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RU2005379C1 (ru) 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KR102050996B1 (ko) 귀리 함유 가공식품 및 가공장치
JPS58190347A (ja) パン粉の製造方法
JPH0378981B2 (ko)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JP7029824B2 (ja) 包被食品成形方法及び装置
RU222145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033110B1 (ko) 쌀 제분방법
JP7146304B2 (ja) 包被食品成形方法及び装置
JPH09154521A (ja) パン粉の製造方法
KR102101260B1 (ko) 곡분 자동 교반 및 증숙장치
JPH045210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