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80Y1 - 드럼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80Y1
KR200167580Y1 KR2019980023207U KR19980023207U KR200167580Y1 KR 200167580 Y1 KR200167580 Y1 KR 200167580Y1 KR 2019980023207 U KR2019980023207 U KR 2019980023207U KR 19980023207 U KR19980023207 U KR 19980023207U KR 200167580 Y1 KR200167580 Y1 KR 200167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brake
lever
back plat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긴조오 고바야시
히데아끼 이시이
마사히꼬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다가야 레이지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6314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0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6677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0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9583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0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1124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1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673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12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00011102A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03281A/ko
Application filed by 다가야 레이지,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가야 레이지
Priority to KR2019980023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1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 holding the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차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조작하므로서, 케이블(23)을 개재하여 파아킹레버(21)를 당겨서 회전하고, 파아킹레버(21)의 회전에 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 2)가 브레이크드럼(19)에 압접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주차브레이크가 조립되어 있는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바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수단(29)을 설치하므로서, 바아킹레버(21)를 너무 당겨서 회전축(S)에 닿는 일이 없이 회전축(S) 및 파아킹레버(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브레이크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를 내장하고 있는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부착되는 드럼브레이크에는 주차시에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이런 종류의 드럼브레이크는 종래의 도 26 -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있다.
이것은 리이딩, 트레일링(leading, trailing)형 드럼브레이크이며, 차량의 비회전부(도면에 없음)에 한쌍의 브레이크슈우(break shoe)〔리이딩축 브레이크슈우(1)와 트레이링축 브레이크슈우(2)〕를 장착한 뒤판(3)이 고정되어 있다. 이 뒤판(3)의 앞쪽에 돌출되게 설치된 앵커부착부(6)에는 리벳(rivet)(7)으로 앵커(8)가 고정되어 있고, 앵커(8)에는 각 브레이크슈우(1, 2)의 일단부가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브레이크슈우(1), (2)의 타단부는 2개의 피스톤(한쪽은 도면에서 생략)(9)을 지닌 휠실린더(10)의 피스톤 막대(11, 12)에 맞물려 있어서, 휠실린더(10)에 유압(oil hydraulic)을 공급하면, 브레이크슈우(1, 2)가 앵커(8)를 받침점으로 하여 넓혀지게 된다.
라이어(3)의 중심에는 액슬 샤아프트(axle shaft)등의 차량의 회전축(S)이 관통하여, 그 선단에 브레이크드럼(19) 및 휠(도면에 없음)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드럼(19)의 내주면은 브레이크슈우(1, 2)의 바깥폭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며, 브레이크슈우(1, 2)가 넓혀졌을 때에 브레이크드럼(19)의 내주면에 가압 접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주차브레이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려는 바, 각 브레이크슈우(1, 2)의 타단측 근방에는 각 브레이크슈우(1, 2)와 브레이크드럼(19) 사이의 간극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지닌 받침대(strut)(20)가 걸쳐져 있다. 또, 트레일링축 브레이크슈우(2)의 타단측에는 파아킹레버(21)의 일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착되어 있으며, 파아킹레버(21)는 전술한 받침대(20)에 맞물리고 있다. 파아킹레버(21)의 타단은 케이블(23)을 개재하여 도면에 없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브레이크레버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조작하면, 케이블(23)을 개재하여 파아킹레버(21)가 끌려서 회전하고, 받침대(20)를 리이딩측 브레이크슈우(1)쪽으로 가압하여 리이딩측 브레이크슈우(1)를 브레이크드럼(19)에 가압접착시켜, 그 반동력에 따라 트레일링축, 브레이크슈우(2)를 브레이크드럼(19)에 가압접착시킨다.
브레이크슈우(1, 2)와 브레이크드럼(19)의 간극의 자동조정기구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0)의 한편의 막대(25)에 조절나사(25a)를 설치하고, 다른편의 막대(26)에 조절나사(25a)를 맞물리는 조절기어(26a)를 설치하여, 조절기어(26a)를 회전시킴에 따라 받침대(20)가 신장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 조절귀환용 스프링(27)(도 26에 도시)에 따라 브레이크슈우(1, 2)가 넓어졌을 때에 이동하여, 조절기어(26a)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조정기어에 맞물어서 회전시키는 조절레버(28)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브레이크를 내장한 드럼브레이크에서는 파아킹레버(21)의 최대 회전위치를 규제하는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세게 끌려서 지나쳤을 경우등에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여 뒤판(3)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회전축(S)에 닿아버릴 염려가 있고, 회전축(S)에 상처를 내어 녹을 발생시킨다거나 파아킹레버(21)가 휘어버려서 작동불량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기 도 9에 나타낸 스톱퍼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각기 도 9에 나타낸 스톱퍼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에 나타낸 파아킹레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8은 파아킹레버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우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H-H선 단면도.
도 21은 본 고안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1에 나타낸 파아킹레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3은 파아킹레버의 정면도.
도 24는 도 23의 우측면도.
도 25는 도 23의 J-J선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드럼브레이크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에 있어서의 K-K선 단면도.
도 28은 도 26에 있어서의 L-L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브레이크슈우 3 : 뒤판
6 : 앵커(anchor) 부착부 19 : 브레이크드럼
21 : 파아킹레버 23 : 케이블
30 : 제1가이드 부재 31 : 제2가이드 부재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파아킹레버의 최대 회전위치를 규제함에 따라 파아킹레버가 회전축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축 및 파아킹레버의 파손을 방지한 드럼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는, 파아킹레버의 최대 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스톱퍼 수단으로서는, 한쌍의 브레이크슈우의 단부를 지지하는 앵커를 부착하기 위하여 뒤판으로부터 앞쪽에 일체가 되게 돌출설치되어 있는 앵커부착부에 연속시켜서 뒤판을 앞쪽에 돌출되게 설치한 돌출부이다. 또, 스톱퍼 수단으로서는 뒤판의 케이블 출구측에 이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가이드 부재의 파이킹 레버측에 연설한 제2가이드 부재가 있다. 나아가서 그밖의 스톱퍼 수단으로서는 뒤판의 앞쪽에 일체 또는 별개체에 설치한 스톱퍼 부재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차브레이크레버가 조작되어서 케이블을 개재하여 파이킹 레버가 끌려서 회전하였을때에 스톱퍼수단에 맞닿아서 최대 회전위치가 규제되기때문에 파이킹레버가 회전축에 닿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파이킹 레버가 회전축에 닿아서 회전축이 상처난다던가, 파아킹레버가 휘어져 버려서 작동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형식의 스톱퍼 수단으로서는, 파아킹레버의 케이블과의 접속부에 위치결정부를 설치하여, 파이킹 레버가 회전하였을 때에 위치결정부에 맞닿는 스톱퍼부를 뒷판에 설치한 것이 있다. 이것에서는 파이킹레버가 회전축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아킹레버의 축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한 위치보다 더욱 떨어진 개소에 있는 케이블과의 접속부에 설치한 위치결정부를 스톱퍼 부재에 맞닿게 하여 위치규제하기 때문에 파아킹레버의 다른 개소를 스톱퍼부에 맞닿게 하여 위치규제하는 경우보다도 스톱퍼부로부터 가하여지는 반동력이 작아도 되고, 파아킹레버가 스톱퍼부에 맞닿을 때의 변형등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다른 형식의 스톱퍼 수단으로서는, 파아킹레버에 있어서의 한쪽 브레이크슈우의 브레이크드럼측에 위치결정부를 설치하여, 파아킹레버가 회전하여 위치결정부가 맞닿는, 스톱퍼부를 뒷판에 설치하여, 스톱퍼부에 있어서의 파이킹 레버와의 맞닿는 면이 파아킹레버의 동작하지 않을 때에 파아킹레버와 뒷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것에서는 스톱퍼부에 맞닿아서 파아킹레버의 최대 회전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스톱퍼부의 맞닿는 면이 항상 파이킹 레버와 뒷판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이킹 레버가 한쪽 브레이크슈우와 스톱퍼부 사이에서 가이드됨에 따라 파이킹 레버의 회전시에 휘어짐등이 발생하여도 확실히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위치결정부로서 파아킹레버에 형성되고 있는 케이블과의 접속부에 파아킹레버가 케이블에 끌려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쪽으로 연장하고, 나아가서 그 단부를 절곡하여 뒷판쪽으로 연장한 것에서는, 파아킹레버의 축 부착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를 케이블에 의하여, 끌리기 때문에 축 부착부분의 느슨함이나 파아킹레버 자체의 휘어짐등에 의하여, 파아킹레버가 뒷판측에 가까워져 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회전시에 스톱퍼부가 미끄럼 접합함에 따라서 파아킹레버가 뒷판측에 가까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파아킹레버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주차브레이크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 - 도 28에 나타낸 종래의 드럼브레이크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드럼브레이크는, 리이딩·트레일링형 드럼브레이크이고, 차량의 비회전부(도면에 없음)에 뒤판(3)이 고정되어 있어서, 뒤판(3)에는, 리이딩측 브레이크슈우(1)와 트레일링측 브레이크슈우(2)가 장착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슈우(1, 2)는 외주에 라이닝제(4, 5)가 각기 펴붙혀져 있고, 안쪽에는 웨브(web)(1a, 2a)가 뻗어 나와 있다. 뒤판(3)의 앞쪽으로 돌출설치된 앵커부착부(6)에는 리벳(7)으로 앵커(8)를 고정하고 있고, 앵커(8)는 앵커본체부(8a)와 앵커본체부(8a)에 고정된 앵커판(8b)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앵커본체부(8a)에는 각 브레이크슈우(1, 2)의 타단부는 일단부가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브레이크슈우(1, 2)의 타단부는 2개의 피스톤(한쪽은 도면에 없음)(9)을 지닌 휠실린더(10)의 각 피스톤 막대(11, 12)에 맞물리고 있다. 또, 각 브레이크슈우(1, 2)의 양단부 근방에는 브레이크슈우(1, 2)를 오그라들게 하는 방향(비제동축)으로 가압하는 2개의 귀환스프링(13, 14)이 장착 가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휠실린더(10)에 유압을 공급하면 브레이크슈우(1, 2)가 앵커(8)를 받침점으로 하여 넓어지게 된다. 더욱이, 브레이크슈우(1, 2)는 각기 슈우홀드스프링에 의하여 뒤판(3)측에 가압되어 있으며, 이 슈우홀드스링의 부착상태를 도 28을 이용하여 개략 설명하면, 도면중에서 (15)는 슈우홀드스프링이며, 뒤판(3)에 세워 설치된 슈우홀드핀(17)에 지지되어서 각 브레이크슈우(1, 2)를 뒤판(3)측에 가압하고 있다.
뒤판(3)의 중심에는, 액슬샤프트등의 차량의 회전축(S)이 관통하고, 그 선단단에 브레이크드럼(19) 및 휠(도면에 없음)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드럼(19)의 내주면은 브레이크슈우(1, 2)의 바깥쪽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며, 브레이크슈우(1, 2)가 넓어졌을때에 브레이크드럼(19)의 내주면에 가압용접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주차브레이크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 브레이크슈우(1, 2)의 타단측 근방에는 종래의 드럼브레이크로 설명한 브레이크슈우(1, 2)와 브레이크드럼(19)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자동조정기구를 지닌 받침대(20)가 걸쳐져 있다. 또, 트레일링측 브레이크슈우(2)의 타단축에는 파아킹레버(21)의 일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이 고정되어 있고, 파아킹레버(21)는 받침대(20)에 맞물려 있다. 파아킹레버(21)의 타단은 가이드부재(22)로 안내되는 케이블(23)을 개재하여 도면에 없는 차량실내의 주차브레이크레버에 접속되어 있다. 파아킹레버(21)와 가이드부재(22)사이에는 파아킹레버(21)를 원래의 위치에 귀환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용 스프링부재(24)가 케이블(23)을 사이에 끼워서 장착되어 있으며, 파아킹레버(21)의 귀환위치에서는 파아킹레버(21)의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고정위치와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1a)에 따라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조작하면, 케이블(23)을 개재하여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여 받침대(20)를 리이딩측 브레이크슈우(1)측으로 가압하여 리이딩측 브레이크슈우(1)를 브레이크드럼(19)에 가압용접시켜, 그 반동력에 따라 트레일링측 브레이크슈우(2)를 브레이크드럼(19)에 가압용접시킨다.
다음에 본 고안의 주요부분인 파이킹레버(21)의 최대 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톱퍼 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 1∼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라이너(3)의 앞쪽(도 2중 아래쪽)에 앵커부착부(6)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앵커부착부(6)에 연속시켜서 뒤판(3)의 앞쪽에 파아킹레버(21)가 맞닿는 스톱퍼 수단으로서의 스톱퍼부(29)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29)의 파아킹레버(21)가 닿는 부위(29a)는 뒤판(3)의 저면에 수직하고, 또한 좌우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퍼부(29)의 높이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 때에 맞닿을 수 있는 높이이고, 또한, 파아킹레버(21)를 귀환하기 위한 귀환용 스프링부재(24)를 스톱퍼부(29)의 상면(29b)과 케이블(23)등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따. 또, 스톱퍼부(29)의 위치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 때에 회전축(S)에 닿기전에 파아킹레버(21)를 정지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서 이 정지위치가 파아킹레버(21)의 최대 회전위치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지나치게 끌어당겨서도 파아킹레버(21)가 스톱퍼부(29)에 따라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회전축(S)에 닿는 일이 없고 회전축(S)에 손상을 낸다던가 파이킹레버(21)가 구부러져 버려서 작동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나아가서 복귀용 스프링부재(24)를 케이블(23)과 스톱퍼부(29)의 상면(29b)사이에 끼워 넣었기 때문에 케이블(23)을 반복하여 끌어당김에 따라서 발생하는 복귀용 스프링부재(24)의 구부러짐이 규제되어 케이블(23)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주차브레이크레버가 단단해져서 조작성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복귀용 스프링부재(24)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톱퍼부(29)는 뒤판(3)으로 부터 일체가 되도록 돌출되게 설치한 것으로서, 프레스 가공으로 앵커부착부(6)와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나아가서 스톱퍼부(29)는 좌우대칭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뒤판(3)을 좌우의 드럼브레이크로 공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품 코스트가 종래의 것에 대하여 높아지는 일이 없다.
다음에 본 고안의 드럼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드럼브레이크에서는 스톱퍼수단의 구성만 다르기 때문에 스톱퍼수단을 상세히 설명하여 그밖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스톱퍼 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 3∼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뒤판(3)에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면에 없는 주차브레이크레버와 파아킹레버(21)를 접속하는 케이블(23)의 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3a)의 근방에는 케이블(23)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3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1가이드부재(30)는 케이블(23)을 안내하는 부분이 케이블(23)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의 단면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재(30)의 파아킹레버(21)측에는 케이블(23)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가이드부재(31)는 앵커(8)를 구성하는 앵커판(8b)으로 부터 연장설치된 것으로서, 케이블(23)을 안내하는 개소는 복귀용 스프링부재(24)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의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3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이 단차가 복귀용 스프링부재(24)의 스프링슈우(32)를 구성하였고, 복귀용 스프링부재(24)는 이 스프링슈우(32)와 파아킹레버(21) 사이에 끼워서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제2가이드부재(31)는 앵커판(8b)으로 부터 연장 설치된 것이 아니고, 앵커(8)를 고정하는 리벳(7)으로 고정된 별개체의 것이였어도 좋다.
제2가이드부재(31)에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의 최대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수단으로서의 스톱퍼부(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33)의 위치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회전축(S)에 닿기 전에 설정되어 있어서, 이 정지위치가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아킹레버(21)가 스톱퍼부(33)에 따라 회전이 규제되어서 회전축(S)에 닿는 일이 없고, 회전축(S)에 손상을 낸다던가 파아킹레버(21)가 구부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나아가서 제1가이드부재(30) 및 제2가이드부재(31)에 따라 케이블(23)의 드럼브레이크내에 있어서의 파아킹레버(21)의 스트로우크 이외의 전체부분을 안내할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23)의 느슨해짐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원활한 케이블(23)의 복귀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복귀용 스프링부재(24)도 제2가이드부재(31)에 따라 구부러짐이 규제되기 때문에 삽통되어 있는 케이블(23)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주차브레이크가 단단하게 되어서 조작성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 복귀용 스프링부재(24)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이며, 제2가이드부재(34)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라이너(3)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받침부(35)에 부착되어 있고, 제2가이드부재의 안지름이 복귀용 스프링부재(24)를 삽입할 수 있는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31)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가 복귀용 스프링부재(24)의 스프링슈우(26)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재(31)의 파아킹레버(21)측 단면에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 때에 맞닿아서 최대 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수단으로서의 경사면 형상의 스톱퍼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37)의 위치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 때에 회전축(S)에 닿기전에 파아킹레버(21)를 정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따라서 스톱퍼수단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라이너(3)에 있어서의 회전축(S)이 끼워지는 구멍(3a)의 근방에 앞쪽으로 돌출하는 돌부(3b)가 형성되어 있고, 돌부(3b)의 뒤쪽으로부터 스톱퍼수단인 핀(38)을 뒤판(3)의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관통시켜, 핀(38)의 두부(38a)를 뒤판(3)에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리고 핀(38)의 설치되는 위치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회전축(S)에 닿기전에 파아킹레버(21)를 정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서 이 정지위치가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로 된다. 또, 핀(38)의 뒤판(3)으로부터의 돌출치수도,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뒤판(3)을 관통한 핀(38)을 용접으로 라이너(3)에 고정하여 스톱퍼수단으로 하였으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39)을 뒤판(3)의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관통시켜 코오킹으로 뒤판(3)에 고정한다거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40)을 뒤판(3)에 관통시키지 않고, 직접 두부(40a)를 뒤판(3)의 앞쪽에 용접으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스톱퍼수단으로서 핀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형의 부재(41)를 뒤판(3)의 앞쪽에 용접으로 고정한다거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부재(42)를 뒤판(3)의 앞쪽에 용접에 따라 고정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가 스톱퍼수단인 핀(38)에 의하여 규제되어서 파아킹레버(21)가 지나치게 끌려서 회전축(S)에 부딪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핀(38)에 파아킹레버(21)가 부딪친 다음에 다시금 케이블(23)을 세게 당기면, 핀(35)이 받침점으로 되어서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여 파아킹레버(21)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있는 트레일링측 브레이크슈우(2)를 넓게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브레이크드럼(19)에 가압용접하기 때문에 주차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력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것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이며,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수단으로서 차량의 비회전부재[예컨대, 너클(knuckle)]에 뒷판을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 또는 너트를 이용한 것이다.
뒤판(3)은 비회전부재(N)에 고정된 보울트(43)를 라이너(3)에 형성된 고정용구멍(3c)에 끼워서 와셔(44)를 개재하여 너트(45)를 죄어붙임으로서 비회전부재(N)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4개소에서 할수 있으나, 그중 1개소(도 14에 있어서의 오른쪽 아래의 개소)의 위치를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회전축(S)에 부딪치기 전에 파아킹레버(21)를 정지할 수 있는 위치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퍼수단으로서의 너트(45)의 높이치수가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부딪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비회전부재(N)에 고정된 너트에 뒤판(3)의 앞쪽으로부터 보울트를 죄어서 뒤판(3)을 고정함에 있어서는 보울트가 스톱퍼부재로 되어 그 두부에서 파아킹레버(21)가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이와같이 비회전부재(N)에 뒤판(3)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45)를 스톱퍼수단으로 하면 부품점수가 증가하는 일도 없고, 종래의 드럼브레이크보다도 제품코스트가 높아지는 일도 없다.
이어서, 도 16 - 도 20에 따라서 스톱퍼수단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파아킹레버(21)의 뒤판(3)과의 축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한 축과는 반대쪽의 선단에 케이블(2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46)가 물리어 있는 케이블(23)을 접속하기 위한,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접속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1b)의 단부에는 절곡되어서 뒤판(3)쪽으로 뻗은 위치결정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부(21c)를 접속부(21b)의 단면의 브레이크슈우(2)측[도 16중 접속부(21b)의 우측]을 연장하여 형성하였으나, 브레이크슈우(2)와 반대측[도 16도중 접속부(21b)의 좌측] 또는 그것들의 사이[도 16도중 접속부(21b)의 위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뒤판(3)에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회전축(S)에 부딪히기전에 위치결정부(21c)에 부딪혀서 파아킹레버(2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위치에 스톱퍼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47)는 용접으로 뒤판(3)에 블록을 고정한 구조로 한 것이지만, 나사등으로 블록을 고정하는 구조라도 너트나 보울트의 6각부를 스톱퍼부로 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는 판금가공으로 뒤판(3)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하여 위치결정부(21c)와 스톱퍼부(47)로 스톱퍼 수단이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하면,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가 스톱퍼부(47)에 의하여 규제되어서 파아킹레버(21)가 지나치게 당겨짐에 따라서 회전축(S)에 부딪히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케이블(23)과의 접속부(21b)에 설치된 위치결정부(21c)를 스톱퍼부(47)에 맞닿게 하여 위치규제하기 때문에 파아킹레버(21)의 다른 개소를 스톱퍼부(47)에 맞닿게하여 위치규제시키는 경우보다도 스톱퍼부(47)로부터 파아킹레버(21)에 가하게 되는 반동력이 작아도 되고, 파아킹레버(21)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1 - 도 25에 따라서 스톱퍼수단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파아킹레버(21)의 브레이크슈우(2)와의 축 설치쪽과는 반대쪽의 선단에 케이블(2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46)가 물리는 케이블(23)을 접속하기 위한 U자 형상으로 접어구부러진 접속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1b)의 단부에는 파아킹레버(21)가 케이블(23)에 끌려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선단을 절곡하여 라이너(3)측으로 연장한 위치결정부(21d)가 형성되어 있다.한편, 뒤판(3)에는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회전축(S)에 부딪히기전에 위치결정부(21d)에 부딪혀서 파아킹레버(21)의 회전이 정지되고, 또한 파아킹레버(21)의 회전시에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는 파아킹레버(21)의 뒤판(3)측의 면이 항상 미끄럼 접합할 수 있는 위치에 스톱퍼부(48)가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파아킹레버(21)의 위치결정부(21d)를 회전방향과 반대측에 연장시켰음에 따라서, 항상 파아킹레버(21)가 스톱퍼부(48)에 미끄럼 접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일정한 회전스트로우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톱퍼부(48)는 용접으로 뒤판(3)에 블록을 고정한 구조로 한 것이지만, 나사등으로 블록을 고정하는 구조라도 너트나 보울트의 6각부를 스톱퍼부로 하는 구조였어도 좋다. 또는 판금가공으로 뒤판(3)에서 일체로 돌출설치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하여 위치결정부(21d)와 스톱퍼부(48)로 스톱퍼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지나치게 당겨도 파아킹레버(21)의 접속부(21b)에 형성한 위치결정부(21d)가 뒤판(3)에 설치된 스톱퍼부(48)에 맞닿아서 파아킹레버(21)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파아킹레버(21)가 회전축(S)에 부딪히는 일은 없다.
나아가서 파아킹레버(21)는 축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를 케이블(23)을 사용하여 당겨지기 때문에 축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부분의 느슨함이나 파아킹레버(21) 자체의 휘어짐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브레이크슈우(2)의 웨브(2a)에 의하여 라이너(3)로부터 떨어진 측의 변형은 억제되므로 뒤판(3)쪽으로 치우쳐 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파아킹레버(21)가 회전시에 뒤판(3)쪽으로 치우쳐서도 스톱퍼부(48)에 미끄럼 접합하여 억제되어, 그 때문에 파아킹레버(21)의 측부(21e)가 위치결정부(21d)보다도 먼저 스톱퍼부(48)에 부딪혀버려서 회전스트로우크가 제한되어버려서 주차브레이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앵커(8)에 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를 확대수축할 수 있도록 장착한 드럼브레이크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아킹레버(21)를 케이블(23)에 의하여 조작하는 주차브레이크를 내장하고 있는 드럼브레이크이라면 어떤 형태의 것이였어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의 비회전부에 부착되는 뒤판(3)과, 이 뒤판(3)에 넓어질 수 있도록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와 차량의 회전축(S)쪽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슈우(1,2)가 넓혀서 가압용접됨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드럼(19)과, 일단이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의 어느 한편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타단이 주차브레이크레버에 케이블(2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주차브레이크레버의 조작으로 케이블(23)이 당겨졌을때에 브레이크슈우(1,2)를 넓히는 파아킹레버(21)를 구비하여서 되는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상기 회전축(S)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하는 파아킹레버(21)와 맞닿아서, 상기 파아킹레버(21)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이 파아킹레버(21)가 상기 회전축(S)에 접촉하는 회전량보다도 상기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량을 적게 하는 스톱퍼수단(29)을 드럼브레이크의 비회전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은, 이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의 단부를 지지하는 앵커(8)를 부착하기 위하여 뒤판(3)으로부터 앞쪽에 일체로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는 앵커부착부(6)로부터 연속시켜서 뒤판(3)을 앞쪽에 돌출되게 설치한 돌출부이고, 이 돌출부에 파아킹레버(21)가 맞닿아서 최대회전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는 뒤판(3)의 케이블(23)의 출구측에 이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재(30)의 파아킹레버(21)측에 연설한 제2가이드부재이며, 제2가이드부재(31)의 단부에 파아킹레버(21)가 맞닿아서 최대회전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은, 뒷판(3)의 앞쪽에 고정한 뒤판(3)과는 다른 부재로된 스톱퍼부재이며, 이 스톱퍼부재에 파아킹레버(21)가 맞닿아서 최대회전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은, 뒤판으로부터 앞쪽에 일체가 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스톱퍼부이며, 이 스톱퍼부에 파아킹레버(21)가 맞닿아서 최대회전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은, 이 파아킹레버(21)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23)과의 접속부에 그 단부를 절곡하여서 뒤판(3)쪽에 연장하여 형성한 위치결정부와, 뒤판(3)에 설치되어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때에 위치결정부(21c)에 맞닿는 스톱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수단(29)은, 파아킹레버(21)에 있어서의 한편의 브레이크슈우(2)의 브레이크드럼(19)측에 형성한 위치결정부(21c)와, 뒤판(3)에 설치되어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여 위치결정부(21c)가 맞닿는 스톱퍼부로 되었고, 이 스톱퍼부에 있어서의 파아킹레버(21)와의 맞닿는 면이, 파아킹레버(21)의 비동작시에 파아킹레버와 뒷판(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위치결정부(21c)를 파아킹레버(21)에 형성된 케이블(23)과의 접속부에 파아킹레버(21)가 케이블(23)에 끌려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에 연장하고, 나아가서 그 단부를 절곡하여서 뒤판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9. 차량의 비회전부에 부착되는 뒤판(3)과, 이 뒤판(3)에 넓어지도록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와, 차량의 회전축쪽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슈우(1,2)가 넓어져서 가압용접함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드럼(19)과, 일단이 한쌍의 브레이크슈우(1,2)의 어느 한쪽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타단이 주차브레이크레버에 케이블(2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주차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으로 케이블(23)이 당겼을 때에 브레이크슈우(1,2)를 넓히는 파아킹레버(21)와, 이 파아킹레버의 케이블(23)과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파아킹레버(21)가 케이블(23)에 끌려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에 연장형 선단을 절곡하여서 뒤판(3)쪽으로 뻗은 위치결정부(21c)와, 상기 파아킹레버(21)의 회전시의 위치결정부(21c)가 그리는 궤적상에 배치되고, 또한 파아킹레버(21)의 비동작시 및 회전시에 파아킹레버(21)와 뒤판(3) 사이에 위치하여 파아킹레버(21)가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위치결정부(21c)가 맞닿아서 파아킹레버(21)가 회전축(S)에 접촉하지 않도록 파아킹레버(21)의 최대회전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부(2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KR2019980023207U 1989-07-21 1998-11-26 드럼브레이크 KR200167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207U KR200167580Y1 (ko) 1989-07-21 1998-11-26 드럼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86314 1989-07-21
JP8631489U JPH0710107Y2 (ja) 1989-07-21 1989-07-21 ドラムブレーキ
JP8667789U JPH0710108Y2 (ja) 1989-07-24 1989-07-24 ドラムブレーキ
JP89-86677 1989-07-24
JP8958389U JPH0710109Y2 (ja) 1989-07-29 1989-07-29 ドラムブレーキ
JP89-89583 1989-07-29
JP12112489U JPH0710111Y2 (ja) 1989-10-17 1989-10-17 ドラムブレーキ
JP89-121124 1989-10-17
JP89-130673 1989-11-09
JP13067389U JPH0710112Y2 (ja) 1989-11-09 1989-11-09 ドラムブレーキ
KR1019900011102A KR910003281A (ko) 1989-07-21 1990-07-21 드럼 브레이크
KR2019980023207U KR200167580Y1 (ko) 1989-07-21 1998-11-26 드럼브레이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102A Division KR910003281A (ko) 1989-07-21 1990-07-21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580Y1 true KR200167580Y1 (ko) 2000-03-02

Family

ID=2756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207U KR200167580Y1 (ko) 1989-07-21 1998-11-26 드럼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081A (ko) * 2011-02-02 2018-10-11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081A (ko) * 2011-02-02 2018-10-11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 모듈
KR102048171B1 (ko) 2011-02-02 2019-11-2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464B1 (en) Brake sho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shoe assembly
JP3277814B2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8042656B2 (en) Disk brake
US8517152B2 (en) Disk brake and brake pad arrangement therefor
US8556045B2 (en)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US9394954B2 (en) Guide pin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pin
US6196360B1 (en) Automatic shoe clearance adjustment device for drum brakes
US6729444B1 (en)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KR200167580Y1 (ko) 드럼브레이크
US5092428A (en) Drum brake
US4964490A (en) Pin type disc brake
JPS6049779B2 (ja) デイスクブレ−キのキヤリパ支持構造
JPH1143073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EP0402660A1 (en) Parking cable connector for drum brakes
US6390248B1 (en) Dual mode drum brake device
US20050145451A1 (en) Adapter for vehicle brake assembly
EP0078115B1 (en) Expanding shoe drum brake
US4552253A (en) Floating-caliper disc brake
US20010037918A1 (en) Brake cable mounting structure for a drum brake
US6637553B1 (en) Mounting stud retention system for use in a vehicle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EP0697536B1 (en) Disc brake caliper support
JPH0143176B2 (ko)
KR20090043131A (ko) 가이드 로드 체결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GB2177171A (en) Automatic adjusting; disc brakes; parking brake
JP3342787B2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