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136B1 -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136B1
KR102567136B1 KR1020200111062A KR20200111062A KR102567136B1 KR 102567136 B1 KR102567136 B1 KR 102567136B1 KR 1020200111062 A KR1020200111062 A KR 1020200111062A KR 20200111062 A KR20200111062 A KR 20200111062A KR 102567136 B1 KR102567136 B1 KR 10256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shape
heater
adapter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120A (ko
Inventor
장철호
고경민
배형진
서장원
정민석
정종성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1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136B1/ko
Priority to JP2021563313A priority patent/JP7276998B2/ja
Priority to PCT/KR2021/009177 priority patent/WO2022050563A1/ko
Priority to US17/786,150 priority patent/US20230180832A1/en
Priority to EP21806611.6A priority patent/EP3984387A4/en
Priority to CN202180008957.9A priority patent/CN114929044A/zh
Publication of KR2022002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삽입구와 히터 사이에 배치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매질부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히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GENERATING APPARATUS WITH IMPROVED HEATING EFFICIENCY}
본 개시는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히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예열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끽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통 궐련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흡연 물품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전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e.g. 궐련형 전자 담배)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궐련 주변에 배치된 히터가 궐련의 매질 외곽 부분을 가열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매질의 외곽 부분부터 중심부까지 고르게 가열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히터의 가열 효율이 떨어지고 예열 시간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가령, 도 1은 상술한 가열 구조에서 궐련 매질의 부위별 온도 변화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는 매질의 중앙 부분은 최외곽 부분에 비해 느리게 가열된다. 따라서, 매질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기까지 상당한 시간(e.g. T1)이 걸리게 되는데, 이는 곧 장치의 예열 시간이 길고 히터의 가열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가열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는 히터의 가열 효율이 좋지 않아 예열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으며, 충분한 예열 시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흡연 초반의 끽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히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예열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끽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용이 제거 기능을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상기 삽입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매질부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삽입구의 단면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과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구 쪽에 위치한 제1 개방단부와 상기 히터 쪽에 위치한 제2 개방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상기 제1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제2 개방단부 쪽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어댑터의 내부 형상에 의해 상기 매질부가 상기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개방단부의 단면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과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의 단면은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에 매칭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개방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진 구조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축에 대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경사각은 1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진 구조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축에 대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경사각은 상기 제1 개방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표면 조도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 상기 매질부의 두께는 변형 전 대비 20% 내지 80%일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 삽입 시 매질부가 어댑터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럽게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로부터 매질부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감소되어 히터의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가령, 매질부의 부위 별 온도 차이가 최소화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빠르게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열 효율 향상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예열 시간이 단축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끽미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히터가 매질부의 목표 압착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히터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와 어댑터의 개방단부의 단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과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및 제거가 모두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가령,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구 또는 어댑터에 걸리지 않고 제거될 수 있어, 제거 시에 매질부 또는 래퍼가 파손되는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외부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가열 효율이 떨어지고 예열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된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구의 단면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를 통해 변형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예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아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aerosol)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또는 액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e.g. 궐련의 매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담배 추출물 및/또는 다양한 향미제를 기초로 하는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프로필렌글리콜(PG) 및 글리세린(GL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수분 및 가향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계피, 캡사이신 등의 다양한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동성이 큰 액체 물질뿐만 아니라 젤 또는 고형분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조성 성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조성 비율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액상은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액상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액상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액상과 궐련을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몇몇 예시에 대해서는 도 2,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궐련을 들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등에 예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서, 매질부(21)는 다른 부분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또는 "길이축"(longitudinal axis)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3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또한, 도 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삽입된 상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는 상부 케이스(11) 내부의 구성요소를 중점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내부에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에어로졸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구부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매질부(21)를 포함할 수 있고, 매질부(2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21)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상류에 위치하여 삽입구(12)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내부에 위치한 히터(14)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매질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어댑터(13)에 의해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 변형을 통해 히터(14)로부터 매질부(2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감소되어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예열 시간이 단축되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끽미감도 향상될 수 있다. 어댑터(13)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들에 관하여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은 매질부(21)의 본래 형상보다 압착된 상태에 있는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타원 유사 형태(e.g. 장방타원형)와 같이 히터(14)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매질부(21)(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의 본래 형상이 원통형이고 목표 압착 형상이 장방타원형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상부 케이스(12), 어댑터(13), 히터(14) 및 제어 본체(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 등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 등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장치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e.g. 모터,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e.g. 장치 온/오프 등)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e.g.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케이스(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기능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1)의 형태가 도 2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 등의 도면은 상부 케이스(12)가 제어 본체(15)의 케이스와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케이스(11)와 제어 본체(15)의 케이스는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에는 삽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삽입구(12)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의 말단에 삽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어댑터(13)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형상이 변형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삽입구(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단면(즉, 변형 전 단면)과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즉, 합집합 모양)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단면이 원형이고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장방타원형이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2)의 단면은 원형(121)과 장방타원형(122)이 조합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삽입구(12)의 원형 부분(121)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구(12)의 타원형 부분(122)을 통해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가령, 매질부(21)는 흡연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착화된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삽입구(12)에 걸리게 되면 쉽게 훼손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래퍼가 삽입구(12)에 걸려 파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삽입구(12)의 단면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갖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댑터(13)는 삽입구(12)와 히터(14) 사이에 배치되어 매질부(21)의 적어도 일부를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어댑터(13)는 매질부(21)의 형상을 목표 압착 형상에 어댑팅(adapt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삽입구(12) 및 어댑터(13)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된 예는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매질부(21)의 적어도 일부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다는 것은 매질부(2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일부 또는 매질부(21)의 적어도 일부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13)의 세부 구조 및 동작 원리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6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히터(14)는 어댑터(13)에 의해 형상 변형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히터(14)는 어댑터(13)에 의해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 매질부(21)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4)의 가열 온도는 제어 본체(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히터(14)는 형상 변형된 매질부(21)를 외부에서 가열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14)는 내부 가열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히터(14)의 적어도 일부는(또는 히터 14에 의해 형성되는 가열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 변형된 매질부(21)와 매칭되는 형상(e.g. 목표 압착 형상 또는 그 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압착 형상이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되는 경우, 히터(14)(또는 히터 14에 의해 형성되는 가열 공간)도 장방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히터(14)와 매질부(21)가 서로 밀착될 수 있거나, 히터(14)로부터 매질부(2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등의 도면은 히터(14)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히터(14)는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는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 매질부(21)를 양면에서 가열하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포함하고,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결합 형상이 장방타원형이 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히터(14)는 외부 가열식이고, 히터(14)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구조(형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댑터(13)에 의해 매질부(21)가 1차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경사진 구조에 의해 매질부(21)가 2차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가령, 매질부(21)가 어댑터(13)를 통과하는 동안 압착된 형상으로 변형되고(e.g. 제1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됨), 히터(14)의 가열 공간 내로 수용되는 동안 상기 경사진 구조에 의해 더 압착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e.g. 제1 장방타원형보다 더 압착된 제2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됨). 이러한 경우, 매질부(21)의 형상 변형이 어댑터(13)와 히터(14)에 걸쳐 완만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형상 변형 시 매질부(21) 또는 래퍼의 파손 위험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가령, 매질부(21)가 어댑터(13)에 의해 곧바로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어댑터(13)의 내부 구조가 가파른 경사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형상 변형 도중에 매질부(21) 또는 래퍼가 파손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13)의 내부 구조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설계되어도 무방하여, 형상 변형 과정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목표 압착 형상이 보다 더 압착된 형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게 되어, 경우에 따라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히터(14)의 적어도 일부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히터(14)는 발열 시 형상 변형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매질부(21)를 압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터(14)와 매질부(21)가 더욱 밀착될 수 있고 히터(14)에 의해 매질부(21)가 더 압착될 수 있어,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흡연 종료 등의 이유로 히터(14)의 동작이 중지(또는 종료)되는 경우, 히터(14)의 형상 변형 부분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압착(또는 밀착)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 히터(14)의 주변에 냉각 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냉각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사용이 종료(e.g. 흡연 종료)된 후에, 히터(14)를 냉각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냉각 요소의 동작은 제어 본체(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히터(14)가 빠르게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어 매질부(21)에 대한 압착이 빠르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사용이 종료된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파손 없이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가령, 히터(14)가 본래의 형상으로 빠르게 복원되지 않아 압착이 해제되기 전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제거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래퍼나 매질부(12)의 잔여 부분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요소가 배치되면, 이러한 문제가 크게 완화될 수 있다.
히터(14)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도 있고, 유도 가열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렇듯, 히터(14)의 유형 또는 가열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범위는 히터(14)의 유형이나 가열 방식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어 본체(1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 본체(15)는 하부 케이스, 배터리(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 본체(15)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는 제어 본체(15)의 외관(에어로졸 발생 장치 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도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기능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의 형태가 도 2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케이스는 배터리(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미도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미도시)는 히터(14)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히터(14) 및 배터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 히터(14)의 가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에 관하여서는 도 10 내지 도 12의 설명 부분을 더 참조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삽입될 때, 어댑터(13)의 내부 구조(형상)와 삽입력에 의해 매질부(21)가 자연스럽게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4)로부터 매질부(2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감소되어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가령, 매질부(21)의 부위 별 온도 차이가 최소화되고, 내부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빠르게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예열 시간이 단축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끽미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히터(14)가 목표 압착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12)의 단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단면과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삽입 및 제거가 모두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13)의 세부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13)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목표 압착 형상이 장방타원형으로 설정된 경우의 어댑터(13)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며, 목표 압착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어댑터(13)의 형상도 그에 따라 일부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X축이 어댑터(13) 단면의 가로 방향에 상응하고, Y축이 어댑터(13) 단면의 세로 방향에 상응하며, Z축이 어댑터(13)의 깊이 방향(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의 삽입 방향)에 상응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 단부(131, 132)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삽입구(12) 쪽에 위치한 제1 개방단부(131)는 매질부(21)에 대해 입구로 기능하고, 히터(14) 쪽에 위치한 제2 개방단부(132)는 출구로 기능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구조(형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댑터(13)의 제1 개방단부(131)를 통해 들어온 매질부(21)는 어댑터(13)의 내부 공간을 따라 제2 개방단부(132) 쪽으로 이동하면서 내부 구조(형상)에 의해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매질부(21)가 어댑터(13)의 내부 구조(형상)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삽입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단부(131)의 단면은 삽입구(12)와 마찬가지로 매질부(21)의 단면과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방단부(131)의 단면은 원통형과 장방타원형이 조합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파손 없이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개방단부(132)의 단면은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과 매칭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방단부(132)의 단면은 장방타원형일 수 있다. 그렇게 설계됨으로써, 매질부(21)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3)의 내부 공간은 단면적이 제1 개방 단부(131)에서 제2 개방단부(132)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 단면의 Y축 방향의 길이(단면의 세로 길이; e.g. 어댑터의 상면 133T과 하면 133B 사이의 거리 L1, L2)는 제1 개방 단부(131)에서 제2 개방단부(132)까지 일정하고(e.g. L3 = L4), X축 방향의 길이(단면의 가로 길이; 어댑터의 좌면 133L과 우면 133R 사이의 거리 L3, L4)는 제1 개방 단부(131)에서 제2 개방단부(132)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e.g. L1 < L2). 이러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질부(21)가 세로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가로 방향으로 퍼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장방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어댑터(13)의 경사각(θ)과 목표 압착 형상의 압착 정도는 히터(14)의 가열 효율과 매질부(21) 및 래퍼의 파손 위험성을 고려하게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θ)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길이축(즉, Z축)에 대한 어댑터(13) 내부의 경사면이 갖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도 6 참조).
몇몇 실시예들에서, 경사각(θ)은 약 5도 내지 60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도 내지 50도 또는 약 1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사각(θ)은 약 15도 내지 35도, 20도 내지 40도 또는 약 15도 내지 35도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매질부(21)가 적절하게 압착된 형상으로 변형되고, 형상 변형 시 파손 위험성 또한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령, 경사각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매질부(21)의 압착 정도가 떨어져 히터(14)의 가열 효율과 예열 시간 단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경사각이 너무 큰 경우에는, 급격한 형상 변형으로 인해 매질부(21) 또는 래퍼가 파손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참고로, 어댑터(13) 내부의 경사면(또는 경사 구조)는 매질부(21)의 부드러운 삽입을 위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경사각(θ)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길이축과 상기 곡면의 접선이 이루는 평균 각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형상 변형된 매질부(21)의 두께(e.g. 도 8의 D2)는 형상 변형 전(e.g. 도 8의 D1) 대비 약 10% 내지 9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80%, 약 30% 내지 90% 또는 약 10% 내지 7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60%, 약 30% 내지 60% 또는 약 30% 내지 70%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보장되고, 매질부(21) 또는 래퍼의 파손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어댑터(13)의 경사각이 제1 개방단부(131)에서 제2 개방단부(132)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 구조를 가지며, 제2 경사각(θ2)이 제1 경사각(θ1)보다 크고, 제3 경사각(θ3)이 제2 경사각(θ2)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2) 삽입 시 매질부(21)가 어댑터(13)에 미세하게 걸리는 느낌이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삽입 속도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질부(21) 또는 래퍼의 파손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어댑터(13)는 표면 조도가 낮은 소재(재질) 또는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13)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어댑터(13)의 내부를 매끄럽게 통과하게 되어, 형상 변형 시의 파손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어댑터(13)의 내면에 표면 조도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다양한 코팅 처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13)의 내부 표면의 조도가 감소됨에 따라 매질부(21)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어, 형상 변형에 요구되는 삽입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매질부(21)가 매끄럽게 삽입됨에 따라 형상 변형 시 파손 위험성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13)의 세부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어댑터(13)의 내부 구조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삽입력을 통해 자연스럽게 매질부(21)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터(14)의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13)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삽입하는 것 외에 형상 변형을 위한 사용자의 개입을 요구하지 않는 바, 사용자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형상을 변형하는 기술과 비교했을 때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13)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들(e.g. 삽입구 12, 히터 14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 내지 100-3)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예시하고 있고, 도 11 및 도 12는 액상과 궐련을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2, 100-3)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각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는 히터(140), 배터리(13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단일 구성 요소가 복수의 세부 기능 요소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히터(140)는 궐련(150) 주변에 배치되어 궐련(150)을 가열할 수 있다. 궐련(150)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여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구부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히터(140)는 전술한 히터(14)에 대응될 수 있으며, 히터(140)의 가열 온도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1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는 히터(140)가 궐련(150)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 센서(미도시), 모터(미도시) 등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40) 및 배터리(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130)가 공급하는 전력, 히터(140)의 가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어부(12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2, 100-3)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증기화기(1)와 궐련(150)이 병렬로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2)를 예시하고 있고, 도 12는 증기화기(1)와 궐련(150)이 직렬로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3)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방식에 따라 구성요소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증기화기(1)는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15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구부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증기화기(1)의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화기(1)는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저장하는 액상 저장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흡수하는 윅(wick) 및 흡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기화시키는 기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화 요소는 가열을 통해 액상을 기화시키는 가열 요소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화 요소는 초음파 진동 등을 통해 액상을 기화시킬 수도 있다. 기화 요소의 동작은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13)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상부 케이스
12: 삽입구
13: 어댑터
14: 히터
15: 제어 본체
100-1, 100-2, 100-3: 에어로졸 발생 장치
1: 증기화기
120: 제어부
130: 배터리
140: 히터
150: 궐련

Claims (13)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상기 삽입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외부 가열식이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매질부가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매질부는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단면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과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구 쪽에 위치한 제1 개방단부와 상기 히터 쪽에 위치한 제2 개방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상기 제1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제2 개방단부 쪽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어댑터의 내부 형상에 의해 상기 매질부가 상기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단부의 단면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과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이 조합된 모양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단부의 단면은 상기 목표 압착 형상의 단면에 매칭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개방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 단면의 X축 방향 길이는 일정하고,
    상기 내부 공간 단면의 Y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개방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진 구조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축에 대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경사각은 10도 내지 40도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진 구조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축에 대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경사각은 상기 제1 개방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표면 조도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수행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목표 압착 형상에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의 가열 공간 내로 수용되는 동안, 상기 어댑터를 통해 삽입된 상기 매질부는 상기 히터의 경사진 구조에 의해 더 압착된 형상으로 변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압착 형상으로 변형된 상기 매질부의 두께는 변형 전 대비 20% 내지 80%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00111062A 2020-09-01 2020-09-01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6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62A KR102567136B1 (ko) 2020-09-01 2020-09-01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1563313A JP7276998B2 (ja) 2020-09-01 2021-07-16 加熱効率が向上したエアゾール発生装置
PCT/KR2021/009177 WO2022050563A1 (ko) 2020-09-01 2021-07-16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17/786,150 US20230180832A1 (en) 2020-09-01 2021-07-16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improved heating efficiency
EP21806611.6A EP3984387A4 (en) 2020-09-01 2021-07-16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IMPROVED HEATING EFFICIENCY
CN202180008957.9A CN114929044A (zh) 2020-09-01 2021-07-16 提高加热效率的气溶胶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62A KR102567136B1 (ko) 2020-09-01 2020-09-01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20A KR20220029120A (ko) 2022-03-08
KR102567136B1 true KR102567136B1 (ko) 2023-08-18

Family

ID=8003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62A KR102567136B1 (ko) 2020-09-01 2020-09-01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0832A1 (ko)
EP (1) EP3984387A4 (ko)
JP (1) JP7276998B2 (ko)
KR (1) KR102567136B1 (ko)
CN (1) CN114929044A (ko)
WO (1) WO2022050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182A1 (en) * 2022-03-10 2023-09-14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WO2024133089A1 (en) * 2022-12-22 2024-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compressible aerosol-generating article
WO2024133124A1 (en) * 2022-12-22 2024-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compressible upstream element
WO2024150038A1 (en) * 2023-01-12 2024-07-18 N2B Limited Smoking device with inductive heating co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663B1 (ko) 2017-12-15 2019-05-09 신동준 전자담배
US20190351158A1 (en) 2017-02-05 2019-11-21 Brian Hansen Devices and control systems for inhaled drug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0266A (en) 1961-11-24 1966-07-12 Achilles Corp Cigarette holder
US3646944A (en) 1970-02-12 1972-03-07 Joseph A Banoczi Disposable recessed cigarette tip
US5954979A (en) 1997-10-16 1999-09-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fixture of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JP2001027565A (ja) 1999-07-14 2001-01-30 Hamamatsu Photonics Kk 積分球
GB2534211B (en) * 2015-01-19 2018-02-07 Ngip Res Ltd Aerosol-generating article
PL3081102T3 (pl) * 2015-04-15 2019-11-29 Fontem Holdings 1 Bv Elektroniczne urządzenie do palenia
CN205052881U (zh) * 2015-09-29 2016-03-0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卷烟烘焙装置
TW201742555A (zh) 2016-05-13 2017-12-16 英美煙草(投資)有限公司 用以加熱可吸菸材料之裝置(二)
JP7005522B2 (ja) * 2016-05-25 2022-01-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で使用する平坦なエアロゾル発生物品
US10758686B2 (en) 2017-01-31 2020-09-01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O2018172389A1 (en) 2017-03-22 2018-09-27 Philip Morris Products S.A. Tapered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pered rod of aerosol-forming substrate
WO2019030168A1 (en)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A TAPERED INDUCTION COIL
KR102141648B1 (ko) * 2017-10-30 2020-08-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1205B1 (ko) * 2018-01-22 2019-12-02 엄홍국 궐련형 전자담배 기기
KR102456645B1 (ko) * 2018-03-06 2022-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PT4133959T (pt) 2018-04-26 2023-12-07 Japan Tobacco Inc Conjunto aquecedor e recipiente
KR102275096B1 (ko) * 2018-07-05 2021-07-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28211A (ko) * 2018-09-06 2020-03-16 제이에스데코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전자담배
SG11202102944WA (en) 2018-10-12 2021-04-29 Jt Int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1158A1 (en) 2017-02-05 2019-11-21 Brian Hansen Devices and control systems for inhaled drugs
KR101976663B1 (ko) 2017-12-15 2019-05-09 신동준 전자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0832A1 (en) 2023-06-15
EP3984387A4 (en) 2022-07-20
CN114929044A (zh) 2022-08-19
KR20220029120A (ko) 2022-03-08
WO2022050563A1 (ko) 2022-03-10
JP2022550651A (ja) 2022-12-05
JP7276998B2 (ja) 2023-05-18
EP3984387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136B1 (ko)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895557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reduced preheating time
US20190313699A1 (en) Aerosol Guid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aid Aerosol Guiding Device
US20180014574A1 (en) Aerosol guid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aid aerosol guiding device
US20200297029A1 (en) Smoking jig
EP4079173A1 (en) Induction-heating-typ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pparatus
US20230292843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differentiated heating function and aerosol-generating article applied thereto
KR102399213B1 (ko) 가열 효율이 향상된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220264935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flavor optimization function and aerosol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008546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differentiated heating function and aerosol-generating article applied thereto
KR2021000469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50721B1 (ko) 가열 효율이 개선된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460980B1 (ko)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023450A (ko) 대류형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10000205A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05812B1 (ko)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02063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2696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2006466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