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21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21B1
KR102314321B1 KR1020200003751A KR20200003751A KR102314321B1 KR 102314321 B1 KR102314321 B1 KR 102314321B1 KR 1020200003751 A KR1020200003751 A KR 1020200003751A KR 20200003751 A KR20200003751 A KR 20200003751A KR 102314321 B1 KR102314321 B1 KR 102314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liding
protrusion
gri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450A (ko
Inventor
정창욱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21B1/ko
Priority to EP20217439.7A priority patent/EP3847936B1/en
Priority to US17/139,522 priority patent/US20210212530A1/en
Publication of KR2021009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청소기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스틱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힌지축을 가지는 힌지결합부 및 길이방향이 지면을 향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등을 이용하여 먼지를 흡입하고 포집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일 수 있으며,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련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7-0079181 A1에는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청소기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먼지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흡입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청소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먼지 흡입부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먼지 흡입부의 길이방향과 사용자의 팔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다만, 해당 청소기는 손잡이가 먼지 흡입부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팔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때 손목 관절을 꺽어야 하고, 이는 사용상 및 손목관절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고 이용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 또는 손잡이의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청소 효율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손잡이부의 개선된 구조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청소기를 이용한 청소 동작 시 고정된 손잡이 구조는 변화된 위치에 의해 손목, 어깨 등의 근골격계에 불편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손잡이 구조가 청소 동작에 대응하는 가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 구조는 고정 기구에 의해 고정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분석에 의해 본 발명의 개선 구조에 의해 근골격계의 불편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충전식일 수 있고, 스틱형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틱형 호스를 이용하는 청소기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틱형 청소기일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와 전원 공급부인 배터리가 일체화된 구조일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와 전원공급부를 바닥에 위치시켜 바퀴구조를 이용해 끌고 다니는 캐니스터형 청소기 대비 손목, 어깨 등에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청소 동작시에 청소면인 바닥과 스틱형 노즐은 항상 접촉하게 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손잡이 부분에 위치한 청소기 본체와는 스틱 또는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한다.
노즐 및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는 스틱부는 청소기의 밀기 동작과 당기는 동작에서 노즐과 바닥 접촉이 유지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기울기가 바뀌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가 특정 각도를 가지며 고정된 청소기는 청소 동작 시 파이프의 각도 변화에 따라 손목의 꺽임(RADIAL DEVIATION, 요골 편향)이 발생할 수 있고, 반복되는 손목의 꺽임은 건초염, 골절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 손잡이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근골격계에 주는 불편 또는 상해 위험을 줄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골 편향에 의한 불편을 게선하기 위하여 힌지부 또는 피봇(PIVOT)을 중심으로 손잡이부가 회전하여 손목의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이나 마찰 댐퍼를 적용하여 청소 동작에서 손잡이부의 적절한 복귀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스프링 또는 댐퍼 구조는 피봇부에 토션(TORSION) 스프링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의 가변 또는 회전 구조는 사용 환경에 따라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락-언락(LOCK-UNLOC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LOCK 구조는 회전형 노브(KNOB)나 푸쉬 버튼(PUSH BUTTON) 또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스틱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힌지축을 가지는 힌지결합부 및 길이방향이 지면을 향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고, 복원력을 상기 힌지부에 제공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탄성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를 향하는 돌출량이 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탄성부가 배치되는 탄성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탄성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길이가 변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를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그립부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그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그립부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기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기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에 상기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공간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공간의 내측면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공간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공간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청소 효율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손잡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손잡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청소기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청소기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에서 손잡이부(20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모터(11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110)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25)가 마련되는 스틱부(120) 및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측방향(Z)을 향해 연장되는 힌지축(221)을 가지는 힌지결합부 및 길이방향이 지면(10)을 향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힌지축(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260)를 포함하는 그립부(2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모터(11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11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체부(100)에 내장되는 모터(110)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에는 후술하는 스틱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110)가 구동되면 스틱부(120)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흡입되고, 이물질은 본체부(100) 내부의 필터 등을 통과하여 공기중으로부터 걸러진다.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은 자중 등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포집공간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본체부(100)의 상면 등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충전식 청소기일 수 있으며, 배터리는 본체부(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는 본체부(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체부(1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스틱부(12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110)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2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틱부(120)는 길이를 가지는 스틱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틱의 중공이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중공 형태의 스틱은 전단부에 흡입구(125)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스틱의 중공부를 통해 본체부(100)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에는 스틱부(12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7에는 스틱부(120)의 길이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스틱부(120)의 길이방향은 본체부(100)의 상하방향(Y)과 대략 직각일 수 있다. 즉, 스틱부(120)는 본체부(100)의 전후방향(X)을 따라 본체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틱부(120)의 길이방향과 본체부(100)의 상하방향(Y)이 이루는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100)에 손잡이부(20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접 본체부(10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핸디형 청소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에 마련되며,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용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는 핑거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 및 그립부(250)를 포함하며, 그립부(250)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부(260)를 포함한다.
힌지결합부는 본체부(100)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결합부는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힌지부(260)가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에는 힌지축(22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221)은 그립부(250)가 회전되는 회전축에 해당되며, 힌지축(221)부재는 힌지결합부에 일체로, 또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힌지부(26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축(221)을 본체부(100)의 측방향(Z)을 향해 연장된다.
그립부(250)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상기 힌지결합부에 마련되는 힌지축(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60)는 힌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50)는 본체부(100)의 측방향(Z)으로 연장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힌지부(260)를 통해 힌지결합부의 힌지축(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그립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부(200)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그립부(250)가 본체부(100)가 가깝게 위치된 상태를 원상태로 정의하고, 도 2로부터 도 3과 같이 그립부(250)가 본체부(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된 상태를 회전상태로 정의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청소기의 그립부(250)의 회전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그립부(250)는 본체부(100)의 측방향(Z)으로 연장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단부가 전후방향(X)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청소기를 이용하는 경우, 청소기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스틱부(120)의 길이방향(K2)과 사용자의 팔의 길이방향(K1)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의 변화는 사용자가 팔목관절 회전을 야기한다.
이러한 청소기의 사용 상황이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파지하여 청소기를 사용하는 일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에서 청소기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청소기를 전진시키는 경우 스틱부(120)의 길이방향(K2)과 팔의 길이방향(K1)이 이루는 각도에 편차가 발생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200), 즉 그립부(250)의 회전으로 상기 각도 편차의 발생에도 사용자의 팔목관절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기를 전진시키는 경우 스틱부(120)는 길이방향(K2)이 지면(10)에 더 가깝게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팔의 길이방향(K1)과 스틱부의 길이방향(K2)이 이루는 각도에 편차가 발생된다.
이 때, 회전 전의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3)은 스틱부(120)의 길이방향(K2)과 함께 변화되므로, 결국 청소기 전진 전 상황에서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3)과 팔의 길이방향(K1)이 이루는 각도는 청소기 전진 후 상황에서 상이하게 변화한다. 이에 따라, 그립부(250)가 고정된 경우에는 스틱부(120)의 길이방향(K2) 변화 및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3) 변화에 맞추어 사용자가 팔목관절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부(250)는 길이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청소기의 사용 상황에서 도 6으로부터 도 7과 같이 스틱부(120)의 길이방향(K2)이 변화하는 경우, 그립부(250)는 그 길이방향이 팔의 길이방향(K1)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도 6 및 7과 같이 청소기의 사용 상황에 따라 회전 전의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3)과 회전 후의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4)은 각도변화(M)를 가지며, 회전 후의 그립부의 길이방향(K4)과 팔의 길이방향(K1)이 이루는 각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축(221)이 본체부(100)의 측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립부(250)의 회전은 팔목관절의 회전을 대신할 수 있고,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청소기의 사용방식에 따라서는 청소기의 전진상황에서 그립부(250)가 원상태를 이루고, 청소기의 후진상황에서 그립부(250)가 회전상태가 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측방향(Z)의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그립부(250)가 회전함으로써 팔목관절의 회전을 대신할 수 있다.
그립부(2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외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핑거그루브가 형성되는 등,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부(260)는 그립부(250)의 일단부, 타단부 또는 중앙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방향(Z)으로 연장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그립부(250)의 회전방향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1 등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립부(250)의 길이방향이 지면(10)을 향하고, 그립부(250)의 상단부에 힌지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260)가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힌지부(260)와 힌지결합부의 결합 형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힌지부(260)는 힌지결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힌지부(260)는 그립부(250)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그립부(250)의 하단부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배치되고, 나아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전후방향(X)으로 이동되는 회전이 구조적 간섭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힌지부(260)는 그립부(250)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힌지결합부가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립부(250)에 제공하는 악력뿐만 아니라 힌지결합부가 손의 상부에 지지됨으로써 본체부(10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유리하다.
나아가, 힌지부(260)가 그립부(250)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그립부(250)의 회전으로 이동되는 하단부의 이동범위가 증가되고, 청소기 사용상황에 따른 그립부(250)의 각도 편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260)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힌지결합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힌지부(260)가 도시되어 있다. 힌지결합부의 내부공간 형상은 상기 힌지부(26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힌지부(260)는 힌지결합부 내부에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부(260)가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됨에 따라, 힌지부(260) 및 힌지결합부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힌지축(221)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 유지 보수에 효과적이고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260)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되고, 복원력을 상기 힌지부(260)에 제공하는 제1탄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222)가 도시되어 있다. 제1탄성부(222)는 힌지결합부에 구비되며,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압축 또는 신장되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제1탄성부(222)의 변형량은 힌지부(260)의 회전량과 비례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그립부(250)의 원상태에서 제1탄성부(222)의 탄성 변형량은 0 에 해당되고, 도 3과 같이 그립부(250)의 회전상태, 즉 그립부(250)가 설계상 최대 회전상태가 되면 제1탄성부(222)의 탄성 변형량은 최대치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립부(250) 또는 힌지부(260)의 회전량은 도 2와 같이 그립부(250)의 하단부가 본체부(100)에 최대로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의 그립부(250)의 길이방향과, 회전된 그립부(250)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회전 전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3)와 회전 후 그립부(250)의 길이방향(K4)이 이루는 각도(M)로 이해할 수도 있다.
제1탄성부(222)는 압축 또는 신장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는 후술하는 제1스프링(224) 또는 제2스프링(226)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224) 또는 제2스프링(226)의 변형량을 제1탄성부(222)의 변형량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탄성부(222)의 변형은 힌지부(260)의 회전에 따른 구조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60)의 가압돌기(261)가 힌지부(260)의 회전에 따라 점차 제1탄성부(222)를 향한 돌출량이 증가될 수 있고, 상기 가압돌기(261)의 돌출량 증가로 제1탄성부(222)의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탄성부(222)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힌지부(260)의 제2결합돌기(262)에 체결되어 힌지부(260)가 회전하는 만큼 권선량 또는 권취량이 증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탄성부(222)가 힌지부(260)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또는 비례하여 변형량이 증가되는 방식이나 구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부(222)는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힌지부(260)에 제공한다. 상기 복원력은 도 2의 힌지부(260)가 도 3의 상태로 회전하는 기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 회전력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부(260)가 정상 회전방향으로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제1탄성부(222)의 변형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른 제1탄성부(222)의 복원력도 증가되며, 상기 복원력은 힌지부(260)에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260)가 정상 회전방향의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222)에 의해 그립부(250)의 원상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과 같은 청소기 위치에서 도 7과 같이 청소기를 전진시키는 경우, 그립부(250)는 정상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청소기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그립부(250)는 제1탄성부(222)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 전의 원상태로의 복귀가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부(200)의 그립부(250)를 원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그립부(250)가 제1탄성부(222)의 복원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반대 회전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260)는, 상기 힌지축(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탄성부(222)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61)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261)는 상기 힌지부(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222)를 향하는 돌출량이 변화할 수 있다.
가압돌기(261)는 힌지부(260)에 마련되고, 힌지부(26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수 있다. 가압돌기(261)의 돌출방향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일 수 있다. 가압돌기(261)는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가압돌기(261)는 힌지부(26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힌지부(26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돌기(261)는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단부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261)에 의해 제1탄성부(2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탄성부(222)는 힌지부(260)의 둘레 중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힌지부(260)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돌기(261)는 제1탄성부(222)를 가압하는 수단이 되며, 힌지결합부에 내장되는 제1탄성부(222)는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되는 가압돌기(261)의 길이방향에 따라 가압수준이 상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가압돌기(261)에 의해 가압되는 제1탄성부(22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가압돌기(261)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보다 더 회전되어 제1탄성부(222)를 향한 돌출량이 증가되어 있다.
즉,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261)의 단부가 제1탄성부(222)에 가까워질수록, 제1탄성부(222)를 향하는 가압돌기(261)의 돌출량이 증가되고, 가압돌기(261)의 돌출량 또는 돌출길이가 증가될수록 제1탄성부(222)의 탄성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부(260)에 가압돌기(261)를 배치함으로써, 힌지부(260)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제1탄성부(222)의 탄성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탄성부(222)는 변형에 대한 복원력으로 가압돌기(261)를 밀어내어 상기 가압돌기(261)의 돌출량 또는 돌출길이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힌지부(2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힌지부(260)의 회전량이 증가되어 제1탄성부(222)를 향한 가압돌기(261)의 돌출량이 증가하면, 제1탄성부(222)의 변형량도 증가하고, 제1탄성부(222)의 복원력, 즉 탄성력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제1탄성부(222)의 탄성력은 가압돌기(261)의 정회전, 즉 그립부(250)가 원상태에서 회전상태가 되기 위한 회전에 의해 증가되고, 상기 탄성력은 가압돌기(261)의 역회전, 즉 그립부(250)가 회전상태에서 다시 원상태로 되기 위한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립부(250)의 회전 구조를 형성하고, 제1탄성부(222) 및 가압돌기(261)를 구비함으로써, 그립부(250)의 회전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탄성부(22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상태의 그립부(250)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축(221)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탄성부(222)가 배치되는 탄성부공간(2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222)는, 상기 탄성부공간(225)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260)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가압돌기(261)에 의해 길이가 변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제1스프링(224)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공간(225)은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공간(225)은 상기 힌지축(221)을 향해 연장된다. 즉, 탄성부공간(225)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부(222)는 탄성부공간(22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222)는 제1스프링(224)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스프링(224)은 탄성부공간(225)에서 힌지부(260)를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스프링(224)은 탄성부공간(225)과 같이 힌지축(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컨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탄성부공간(225)에 배치된 제1스프링(224)이 도시되어 있다. 제1스프링(224)은 다양한 종류일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를 가지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공간(225)에 배치되어 단부가 상기 힌지부(260)를 향하는 제1스프링(224)은 가압돌기(261)의 돌출량이 증가될수록 길이가 짧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스프링(224)은 가압돌기(261)에 의해 압축되며, 힌지부(260)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가압돌기(261)의 돌출량이 증가되어 제1스프링(224)의 압축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1스프링(224)의 압축량이 증가되면 제1스프링(224)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그립부(250)의 원상태에서 제1스프링(224)은 길이 L1을 가지며, 도 2로부터 도 3과 같이 그립부(250)가 회전된 회전상태에서 제1스프링(224)은 길이 L1보다 감소된 길이 L2를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스프링(224)은 가압돌기(261)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고, 복원력을 상기 가압돌기(261)에 제공하여, 가압돌기(261)가 원상태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프링(224)은 가압돌기(261)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는 신장형 코일스프링일수도 있다. 예컨대, 제1스프링(224)의 단부가 가압돌기(261)에 결합관계를 가지고, 가압돌기(261)의 회전방향과 반대측에 위치되어 가압돌기(261)가 원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가압돌기(261)의 단부가 제1스프링(224)으로부터 멀어지며, 이에 따라 가압돌기(261)가 회전될수록 제1스프링(224)의 길이가 증가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도 2 및 3과 같이 제1탄성부(222)의 제1스프링(224)이 가압돌기(261)에 의해 길이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222)는, 상기 제1스프링(224)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260)를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가압돌기(26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공간(225)을 따라 이동되는 가압판(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223)은 일면이 힌지부(260)를 마주하고, 타면이 제1스프링(224)의 단부를 마주할 수 있다. 가압판(223)은 탄성부공간(22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스프링(224)의 단부에 결합되거나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압판(223)의 일면은 힌지부(260)를 마주하므로, 가압돌기(261)는 상기 가압판(223)에 접촉되고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상기 가압판(223)을 밀어낼 수 있다. 가압판(223)은 가압돌기(261)에 의해 밀려나며 제1스프링(224)을 압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스프링(224)과 가압돌기(261) 사이에 가압판(22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261)에 의한 가압력이 제1스프링(224)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탄성부(222)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222)는, 상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그립부(250)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는 제2스프링(2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프링(226)은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량이 증가되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권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스프링(226)은 힌지부(260)의 회전에 의해 권선량 또는 권취량이 증가되도록 탄성 변형되고, 그 복원력을 힌지부(260)에 제공하여 힌지부(260)가 회전상태에서 원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스프링(226)은 상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탄성부(222)가 힌지축(221)에 권취된 제2스프링(226)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축(221)에 권취된 형태의 제2스프링(226)은 회전하는 물체의 의한 변형 및 복원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스프링(226)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2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260)는, 상기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스프링(226)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227)는 힌지결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돌기(227)는 본체부(100)의 측방향 또는 폭방향(Z)으로 연장되는 힌지축(221)과 같이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돌기(227)는 힌지결합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결합돌기(227)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힌지결합부에서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축(221)에 권취된 형태를 가지는 제2스프링(226)은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가 위치가 고정된 제1결합돌기(227)에 결합됨으로써, 제1결합돌기(227)와 함께 힌지부(260)의 회전에도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262)는 힌지부(26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262)는 힌지부(26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힌지부(2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262)는 힌지부(260)의 일평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제2결합돌기(262)는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프링(226)의 타단부는 제2결합돌기(262)에 결합되어 힌지부(2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260)가 회전되면 제2스프링(226)은 일단부가 고정된 위치를 가지면(10)서 타단부가 회전되므로, 힌지부(260)의 회전이 증가될수록 제2스프링(226)의 탄성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2스프링(226)의 변형량은 힌지축(221)의 원주방향을 중심으로 제1결합돌기(227)와 제2결합돌기(262)간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그립부(250)가 회전되지 않은 원상태에서 제1결합돌기(227) 및 제2결합돌기(262)간 거리 L5가 표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그립부(250)의 회전상태에서 제1결합돌기(227) 및 제2결합돌기(262)간 거리 L6가 표시되어 있다.
즉, 도 4 및 5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결합돌기(227) 및 제2결합돌기(262)간 거리는 그립부(250)의 회전에 따라 L5에서 L6로 감소될 수 있고, L5와 L6의 길이 차이는 제2스프링(226)의 변형량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2스프링(226)은 일단부로부터 그립부(250)가 원상태에서 회전상태로 변하는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결합부(230) 및 슬라이딩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고, 상기 그립부(25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231)를 포함하는 슬라이딩결합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250)는, 상기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부(2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231)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그립부(250)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7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와 함께 슬라이딩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230)는 힌지결합부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립부(250)의 슬라이딩부(27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250)는 슬라이딩부(270)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270)는 힌지부(260)와 이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70)는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결합부(230)는 본체부(100)에 마련되고, 슬라이딩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결합부(230)에 구비되며, 슬라이딩결합부(230)에 결합되어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슬라이딩부(270)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23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도 2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후방에서 상단에 힌지결합부가 배치되고 하단에 슬라이딩결합부(230)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돌기(231)의 돌출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돌기(231)의 돌출방향은 힌지축(221)과 같이 본체부(100)의 측방향(Z)일 수 있고, 또는 그립부(250)의 길이방향과 같이 본체부(100)의 상하방향(Y)일 수도 있다. 다만, 슬라이딩부(270)의 운동방향을 고려할 때, 상기 그립부(250)의 회전방향, 예컨대 본체부(100)의 전후방향(X)과는 다를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31)의 형태나 돌출길이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결합부(230)에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231)가 그립부(250)의 슬라이딩부(27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270)는 그립부(250)에 마련되며, 힌지부(260)와는 구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70)는 슬라이딩돌기(231)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와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270)의 형상이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 2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하부에 슬라이딩결합부(230)가 배치되고, 그립부(25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부(270)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와 결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부(270)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31)는 상기 그립부(25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을 따라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결합부(230)에 구비되고 그 위치가 고정되며, 슬라이딩부(270)는 그립부(250)가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며, 그 결과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부(270)의 이동으로 슬라이딩부(270)의 홈 또는 홀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은 그립부(250)의 회전운동에 의한 슬라이딩돌기(231)의 상대적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므로, 상기 그립부(25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그립부(250)에서 슬라이딩부(27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립부(25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70)의 홈 또는 홀은 슬라이딩부(27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립부(250)의 하단부가 본체부(100)와 최소거리에 위치된 원상태로부터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회전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70)가 그립부(250)의 전방측으로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되고, 슬라이딩홀이 그립부(250)의 전방측으로 함께 연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결합부(230)와 슬라이딩부(27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결합부(230)는 내부에 슬라이딩부(27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부(270)는 슬라이딩결합부(23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결합부(2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이딩부(270)의 슬라이딩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홀은 슬라이딩부(270)를 본체부(100)의 측방향(Z)으로 관통할 수 있고, 슬라이딩돌기(231)의 돌출방향은 상기 측방향(Z)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부(260)를 구비하여 그립부(2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립부(25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70)를 마련함으로써, 그립부(250)의 회전 구조를 안정화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립부(25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70)는 그립부(250)가 회전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돌기(231)와 슬라이딩홀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 등을 조절하여 그립부(2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260)는 상기 그립부(250)의 상기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270)는 상기 그립부(250)의 상기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립부(250)는 도 2 내지 5와 같이 상단부에 힌지부(260)가 위치되고, 하단부에 슬라이딩부(270)에 위치됨으로써,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고 힌지부(26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하단부에서 슬라이딩결합부(230)와의 결합 구조를 가지면(10)서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에 상기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만입된 만입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그립부(250)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베이스부는 본체부(100)의 후방에서 본체부(10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 슬라이딩결합부(230)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그립부(250)간의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립부(250)는 상기 베이스부를 매개로 본체부(100)와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에서 힌지결합부와 슬라이딩결합부(230)의 사이에는 만입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240)는 그립부(250)로부터 멀어지도록 만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립부(250)로부터 멀어지도록 본체부(100)의 전방측을 향해 만입되는 만입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만입부(240)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250)를 파지하는 동안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와 그립부(250)간의 결합구조를 통해 본체부(100)에 상기 손잡이부(200)를 마련할 수 있어 설계 편의성 및 제작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231)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70)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돌기(231)와 슬라이딩결합부(230)의 결합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결합부(23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돌기(231)가 고정 배치되며, 슬라이딩부(270)는 슬라이딩결합부(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70)는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231)가 삽입되는 슬라이딩공간(272)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돌기(231)는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의 내측면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70)는 슬라이딩돌기(231)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홀 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홀 또는 슬라이딩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슬라이딩돌기(231)의 슬라이딩공간(272)이 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공간(272)에서 슬라이딩되는데, 슬라이딩돌기(231)의 슬라이딩범위는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의 연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공간(272)에서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의 연장길이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립부(250)의 회전범위가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의 연장길이에 대응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부(250)의 회전 과정에서, 슬라이딩돌기(231)는 슬라이딩공간(272)의 연장방향 또는 그립부(25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되는데,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의 양단부측 내측면에 의해 슬라이딩돌기(231)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는 결국 그립부(250)의 회전범위 제한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립부(250)의 슬라이딩부(270)를 형성하여 회전 구조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부(270)의 슬라이딩공간(272)을 통해 슬라이딩돌기(231)의 슬라이딩범위 및 그립부(250)의 회전범위를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70)는,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231) 및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231)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273)는 슬라이딩공간(27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탄성부(273)는 슬라이딩공간(272)을 구성하는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홀의 내측면과 슬라이딩돌기(231)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231)의 슬라이딩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2탄성부(273)는 상기 슬라이딩공간(27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고, 슬라이딩돌기(231)의 슬라이딩에 의해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으며, 압축 또는 신장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상기 슬라이딩돌기(231)에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31)에 제공되는 복원력은 슬라이공간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된 그립부(250)에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273)는 슬라이딩공간(272)의 전단부와 슬라이딩돌기(2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도 2 또는 4에 도시된 원상태의 그립부(250)가 도 3 또는 5와 같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돌기(231)가 슬라이딩공간(272)의 전방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탄성부(273)가 압축되며, 압축된 제2탄성부(273)가 슬라이딩돌기(231) 및 슬라이딩공간(272) 전방측의 내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그립부(250)는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회전력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4에는 길이 L3를 가지는 변형 전의 제2탄성부(273)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5에는 그립부(250)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L3에서 L4로 감소된 변형 후의 제2탄성부(273)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탄성부(273)를 통해 그립부(250)의 회전 및 복원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탄성부(222)와 함께 그립부(250)의 반대방향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지면 100 : 본체부
110 : 모터 120 : 스틱부
125 : 흡입구 200 : 손잡이부
210 : 베이스부 220 : 힌지결합부
221 : 힌지축 222 : 제1탄성부
223 : 가압판 224 : 제1스프링
225 : 탄성부공간 226 : 제2스프링
227 : 제1결합돌기 230 : 슬라이딩결합부
231 : 슬라이딩돌기 240 : 만입부
250 : 그립부 260 : 힌지부
261 : 가압돌기 262 : 제2결합돌기
270 : 슬라이딩부 272 : 슬라이딩공간
273 : 제2탄성부

Claims (15)

  1. 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스틱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부;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고, 복원력을 상기 힌지부에 제공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탄성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를 향하는 돌출량이 변화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청소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탄성부가 배치되는 탄성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탄성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길이가 변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를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8. 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스틱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부;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고, 복원력을 상기 힌지부에 제공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그립부의 회전량이 증가될수록 변형량이 증가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스틱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부;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그립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그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그립부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슬라이딩결합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에 상기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공간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공간의 내측면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공간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공간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200003751A 2020-01-10 2020-01-10 청소기 KR10231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51A KR102314321B1 (ko) 2020-01-10 2020-01-10 청소기
EP20217439.7A EP3847936B1 (en) 2020-01-10 2020-12-28 Cleaner
US17/139,522 US20210212530A1 (en) 2020-01-10 2020-12-31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51A KR102314321B1 (ko) 2020-01-10 2020-01-10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50A KR20210090450A (ko) 2021-07-20
KR102314321B1 true KR102314321B1 (ko) 2021-10-19

Family

ID=7394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751A KR102314321B1 (ko) 2020-01-10 2020-01-10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12530A1 (ko)
EP (1) EP3847936B1 (ko)
KR (1) KR102314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011B2 (ja) * 2011-06-01 2016-03-23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クBlack & Decker Inc. 掃除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6930B1 (it) * 1999-01-12 2001-10-11 Gisowatt Spa Scopa elettrica multiuso con manico ribaltabile,a scomparsa,perpavimenti,pareti,imbottiti e simili
KR101817843B1 (ko) 2015-12-30 201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CN107397508A (zh) * 2017-08-02 2017-11-28 苏州巴洛克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枪式吸尘器的可旋转手柄
CN108209714A (zh) * 2018-03-07 2018-06-29 宁波大华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角度可调的手持吸尘器
KR20190123603A (ko) * 2018-04-24 2019-11-01 최상훈 청소기용 핸들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011B2 (ja) * 2011-06-01 2016-03-23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クBlack & Decker Inc. 掃除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7936A1 (en) 2021-07-14
EP3847936B1 (en) 2023-12-20
KR20210090450A (ko) 2021-07-20
US20210212530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412B2 (en) Cleaning appliance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EP1136029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310482B2 (ja) 移動ロボット
EP3610767B1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EP29298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AU2005200553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controllable cleaning brush
US20120030900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2314321B1 (ko) 청소기
US20220022710A1 (en) Vacuum cleaner
JP2009504305A (ja)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用の角度調節装置
KR102268576B1 (ko) 진공청소기
KR20220012730A (ko) 진공청소기
US9232878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H10155705A (ja) 小型電気掃除機
JP2007021056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021058A5 (ko)
JP7013038B2 (ja) 袋付き電気掃除機
JP2006280424A (ja) 電気掃除機
JP3994528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NL1026943C2 (nl) Stofzuigermondstuk en daarmee uitgeruste stofzuiger.
JP200516110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5388782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24098884A (ja) 電気掃除機
KR20230135963A (ko)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