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899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899B1
KR102029899B1 KR1020190042593A KR20190042593A KR102029899B1 KR 102029899 B1 KR102029899 B1 KR 102029899B1 KR 1020190042593 A KR1020190042593 A KR 1020190042593A KR 20190042593 A KR20190042593 A KR 20190042593A KR 102029899 B1 KR102029899 B1 KR 10202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height
power
v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박인근
이정봉
강범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엠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엠
Priority to KR102019004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1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rushing or bruising the mown crop
    • A01D43/105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01B59/008Link connectors with spheric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2/00Crop conditioners, i.e. machines for crushing or bruising stalks
    • A01D82/02Rollers for crop conditio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중 파쇄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밭을 주행하여 수확이 끝난 경작지에 잔존하는 넝쿨, 덩쿨 등을 파쇄하고, 돌, 나무 등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파쇄날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HEIGHT-ADJUSTABLE VINE CRUSHER}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중 파쇄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밭을 주행하여 수확이 끝난 경작지에 잔존하는 넝쿨, 덩쿨 등을 파쇄하고, 돌, 나무 등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파쇄날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고구마, 감자 등의 구근작물을 재배한 밭에서 수확할 대상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여 수확의 편의를 추구하고, 수확 후 남은 넝쿨 및 덩쿨의 뒷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한 파쇄기는 밭을 주행하며, 토양표면 위의 줄기, 넝쿨, 덩굴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날을 회전시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덩쿨을 파쇄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밭작물의 줄기 파쇄기"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엔진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되며, 줄기 등을 지면에 눌러 밀착하는 다짐로울러와, 다짐로울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줄기를 파쇄하는 파쇄기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지면을 눌른 상태에서 줄기를 파쇄할 수 있으나, 밭에 위치한 자갈, 돌, 나무 등에 의해 파쇄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지면이 다짐로울러에 의해 고르게 평탄화 되지 않으면, 원활하게 줄기를 파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파쇄날은 본체에 고정되어 지면과 이격된 상태의 일정한 높이에서 회전하여, 지면 깊숙이 파고들 수 없어 지면 속에 위치한 줄기를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0-0091824호(2010.08.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근작물을 재배한 밭 등의 땅에서 자라는 덩쿨을 파쇄하여 퇴비로 활용하거나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덩쿨을 파쇄하면서 파쇄날과 지면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흙 속의 덩쿨을 파쇄하며, 나무, 돌 등에 의해 파쇄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덩쿨을 파쇄하는 밭 및 흙의 상태에 따라 파쇄날을 높이를 설정하여 덩쿨을 효율적으로 파쇄하며, 파쇄 중 필요에 따라 파쇄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후방에 엔진과 조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덩쿨, 넝쿨을 파쇄하는 파쇄부가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부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본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가 구비된 구동바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바퀴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구비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서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내장되며, 상기 승하강부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샤프트가 형성된 구동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내측 중간에 양단이 결합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바가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바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에 결합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따르면, 구근작물을 재배한 밭 등의 땅에서 자라는 덩쿨을 파쇄하여 퇴비로 활용하거나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덩쿨을 파쇄하면서 파쇄날과 지면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을 통해 파쇄날이 흙속에 매립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덩쿨을 파쇄하며, 지면 위에 노출된 덩쿨의 일부분을 파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회전바퀴를 지지하는 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조향장치를 통해 손쉽게 선회 및 주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날의 높이를 조절하여 나무, 돌 등에 의해 파쇄날이 손상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덩쿨을 파쇄하는 밭 및 흙의 상태에 따라 파쇄날을 높이를 설정하여 덩쿨을 효율적으로 파쇄하며, 파쇄 중 필요에 따라 파쇄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중 파쇄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밭을 주행하여 농사진 작물에 의해 발생한 넝쿨, 덩쿨 등을 파쇄하고, 돌, 나무 등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200)의 후방에 엔진(210)과 조향장치(2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200)의 하부는 상기 엔진(210)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100)와, 상기 엔진(2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덩쿨, 넝쿨을 파쇄하는 파쇄부(300)가 형성되며, 승하강부(130)를 통해 상기 이동부(1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파쇄부(300)는 덩쿨을 파쇄하는 칼날을 구비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본체를 엔진의 동력을 통해 주행할 수 있도록 종동바퀴부(110)와, 구동바퀴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종동바퀴부(110)는 상기 본체(2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종동바퀴부(110)에는 본체의 전방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바퀴부(120)는 상기 본체(200)의 후방에서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본체(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바퀴부(120)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엔진(210)의 동력을 통해 주행할 수 있도록 구동축(121), 지지부(122) 및 구동바퀴(12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121)은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서 구비된 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210)에서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진(21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축(121)에 전달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하우징(20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1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0)가 내장되며, 상기 승하강부(1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구동축(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구동바퀴(123)는 상기 지지부(122)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샤프트(12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바퀴(123)는 상기 본체(2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부(120)는 상기 본체(200)의 후방에서 상기 엔진(210)의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22)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승하강부(130)에 의해 상기 하우징(201)과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부(130)는 상기 지지부(1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바(131)와, 실린더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131)는 상기 본체(200)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22)의 내측 중간에 양단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31)는 양단이 지지부(122)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0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131)는 상기 지지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31)의 내측면에 리브(123a)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131a)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의 비틀림, 변형 등을 방지하며,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실린더부(132)는 상기 가이드바(13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132)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조향장치(220)에 별도로 구비된 조작버튼(미도시)을 통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실린더는 실린더로드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실린더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격을 조작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앞서, 상기 조향장치(2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200)를 조작할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진에 의한 속도조절, 브레이크 등 덩쿨 파쇄시 필요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향장치(220)는 상기 구동바퀴부(120)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회전바퀴(111)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201) 및 상기 구동축(121) 등의 축에 걸리는 하중비율을 감소 또는 분산시켜 주행 및 작동 시 상기 조향장치(220)를 이용한 선회 및 주행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31)와 상기 실린더부(132)의 결합부분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실린더부(132)의 작동시 간섭없이 유기적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130)에 의한 승하강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132)의 작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줄어들거나 늘어나면,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하우징(201)과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2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실린더부(132)의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실린더부(132)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 회전을 통해 높이가 올라가고, 상기 실린더부(132)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실린더부(132)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낮아진다.
그리고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22)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12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바(124)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바(124)는, 'ㄷ'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지지부(12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24)는 상기 실린더부(132)의 반대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122)가 상기 본체(200)와 수직으로 배치된 가장 높은 지점에서 상기 본체(2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122)가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124) 또는 상기 본체(200)에는 서로 맞닿는 면의 파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고정바 또는 상기 본체에 탄성부재(124a)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124a)는 탄성력, 신축성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40)는 상기 지지부(122)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바퀴(123)에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2)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축(121)의 끝단에 결합된 구동기어(141)와, 상기 지지부(122)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123a)에 결합된 종동기어(142)와, 상기 구동기어(141)와 종동기어(142)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121)은 상기 엔진(21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구동기어(141)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41)와 상기 종동기어(142)는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구동바퀴(123)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는 상기 구동기어(141) 및 상기 종동기어(142)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141)와 상기 종동기어(142)가 스프라킷으로 구성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41)와 상기 종동기어(142)가 벨트폴리로 구성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는 상기 벨트폴리에 맞는 평벨트, V벨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41)와 상기 종동기어(142)가 스퍼기어, 웜기어, 베벨기어 등의 기어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는 상기 기어구성에 맞는 기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재(143)는 상기 지지부(122)의 내부에서 회전시에도 상기 구동축(121)의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123)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2)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샤프트(123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쉬(15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부쉬(150)는 상기 구동샤프트(123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바퀴(123)는 상기 지지부(122)의 타측에서 동력 또는 이동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바퀴부(110)의 상기 연결부(11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에 앞서 상기 종동바퀴부(110)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본체(200)에 결합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바퀴(111)와 상기 회전바퀴(111)를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200)에 결합하는 연결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12)에는 상기 본체(20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13)과, 상기 고정프레임(11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회전바퀴(111)가 결합된 삽입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13)의 끝단에는 삽입된 상기 삽입프레임(114)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15)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13)과 상기 삽입프레임(114)을 조절하여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3)이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부(116)는 상기 조향장치(220)에 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회전하여, 상기 종동바퀴부(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승하강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구동바퀴부(120)의 승하강 작동구성에 대하여 상기 간략하게 기재하였으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하우징(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부(1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동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엔진(210)의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123)에 전달하여 주행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130)는 상기 상기 조작버튼(133)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132)를 작동되며, 상기 실린더부(132)는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반복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132)가 줄어드면,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하우징(201)과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122)와 상기 본체(200)의 각도를 줄어들며, 상기 구동바퀴(123)는 상기 본체(200)와 인접하게 되어 상기 본체(200)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132)가 길어지면,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하우징(201)과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122)와 상기 본체(200)의 각도가 커져지며, 상기 구동바퀴(123)는 상기 본체(200)와 멀어져 상기 본체(200)가 승강된다.
아룰러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고정바(124)에 의해 외측방향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122)는 상기 본체와 약 90°의 최대각도로 제한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200)의 후방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덩쿨을 파쇄하는 파쇄부(300)를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200)가 하강하면, 상기 파쇄부(300)는 지면과 가까워져 지면 내에로 삽입되어 묻혀있는 덩쿨을 파쇄하며, 상기 본체(200)가 상승하면, 상기 파쇄부(300)은 지면과 멀어져 지면에 위치된 돌, 나무 등에 의해 파쇄부(300)의 파손, 손상돼는 것을 방지하며, 지면과 일정가격 이격된 상태에서 덩쿨의 일부분을 파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바퀴부(110)의 높이조절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연결바과 삽입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5)를 풀러 상기 삽입프레임(114)을 상기 고정프레임(113)의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이 후 상기 연결부(112)의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고정부재(115)를 조여 상기 삽입프레임(114)이 상기 고정프레임(11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바퀴부(120)의 승하강은, 작동 중 상기 조작버튼(133)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132)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바퀴부(120)의 높이조절은 덩쿨 파쇄 작업전에 필요한 높이에 맞춰 수동으로 조작한다.
다음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덩쿨을 파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논, 밭 등 작물에 의한 덩쿨 및 지면 내에 자라는 덩쿨을 파쇄하기 위해 이동한다.
이때, 지면의 외부로 노출된 덩쿨 또는 지면 내에 매립된 덩쿨을 판단하여, 상기 종동바퀴부(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조향장치(220)를 파지하여, 주행을 통해 덩쿨을 파쇄한다.
이때, 덩쿨이 지면 내에 깊숙히 매립되어 있어 있으면, 상기 본체(200)를 하강시켜 파쇄부(300)를 통해 지면 내의 덩쿨을 파쇄하고, 나무, 돌 등이 발견되면 상기 본체(200)를 상승하여 파쇄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이동부
110: 종동바퀴부 111: 회전바퀴 112: 연결부
113: 고정프레임 114: 삽입프레임
115: 고정부재 116: 높이조절부
120: 구동바퀴부 121: 구동축 122: 지지부
123: 구동바퀴 123a: 구동샤프트
124: 고정바 124a: 탄성부재
130: 승하강부 131: 가이드바 131a: 리브
132: 실린더부 133: 조작버튼
140: 동력전달부 141: 구동기어 142: 종동기어
143: 동력전달부재
150: 베어링부쉬
200: 본체 201: 하우징 210: 엔진
220: 조향장치
300: 파쇄부

Claims (5)

  1. 본체의 후방에 엔진과 조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는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덩쿨, 넝쿨을 파쇄하는 파쇄부가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본체(2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부(110)와, 상기 본체(200)의 후방에서 상기 엔진(2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본체(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30)가 구비된 구동바퀴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바퀴부(120)는,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된 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210)에서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21)과,
    상기 하우징(20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1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0)가 내장되며, 상기 승하강부(130)가 결합된 지지부(122)와,
    상기 지지부(122)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샤프트(123a)가 형성된 구동바퀴(123)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22)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2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12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바(124)가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바(124)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지지부(1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130)는,
    상기 본체(200)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22)의 내측 중간에 양단이 결합된 가이드바(131)와,
    상기 가이드바(13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부(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40)는,
    상기 지지부(122)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축(121)의 끝단에 결합된 구동기어(141)와,
    상기 지지부(122)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123a)에 결합된 종동기어(142)와,
    상기 구동기어(141)와 종동기어(142)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2)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샤프트(123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쉬(1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KR1020190042593A 2019-04-11 2019-04-11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KR10202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93A KR102029899B1 (ko) 2019-04-11 2019-04-11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93A KR102029899B1 (ko) 2019-04-11 2019-04-11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99B1 true KR102029899B1 (ko) 2019-10-08

Family

ID=6820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93A KR102029899B1 (ko) 2019-04-11 2019-04-11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671B1 (ko) * 2021-03-10 2021-08-03 이은미 보행용 영농부산물 파쇄기
KR102303078B1 (ko) * 2021-03-10 2021-09-23 대한민국 보행용 영농부산물 파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607A (ja) * 1992-10-19 1994-05-10 Kubota Corp 歩行型移動農機
JP2004180532A (ja) * 2002-11-29 2004-07-02 Iseki & Co Ltd 農作業車の作業機装着装置
JP2006254845A (ja) * 2005-03-18 2006-09-28 Mametora Noki Kk 管理作業機
KR20100091824A (ko) 2009-02-11 2010-08-19 이성문 밭작물의 줄기 파쇄기
JP2011239732A (ja) * 2010-05-19 2011-12-01 Yanmar Co Ltd 乗用草刈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607A (ja) * 1992-10-19 1994-05-10 Kubota Corp 歩行型移動農機
JP2004180532A (ja) * 2002-11-29 2004-07-02 Iseki & Co Ltd 農作業車の作業機装着装置
JP2006254845A (ja) * 2005-03-18 2006-09-28 Mametora Noki Kk 管理作業機
KR20100091824A (ko) 2009-02-11 2010-08-19 이성문 밭작물의 줄기 파쇄기
JP2011239732A (ja) * 2010-05-19 2011-12-01 Yanmar Co Ltd 乗用草刈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671B1 (ko) * 2021-03-10 2021-08-03 이은미 보행용 영농부산물 파쇄기
KR102303078B1 (ko) * 2021-03-10 2021-09-23 대한민국 보행용 영농부산물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89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CN103749077B (zh) 一种电动自走式秧草收割机
KR100818251B1 (ko)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200381996Y1 (ko)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KR101663868B1 (ko) 땅속 작물 수확기
CN107371568A (zh) 一种浮动式多层切削秸秆粉碎还田机
KR20160016442A (ko) 마늘 수확장치
US20060070749A1 (en) Turf maintenance device for aeration and vertical cutting of soil
KR200298934Y1 (ko) 보행관리기용구근식물줄기분쇄장치
KR20090098191A (ko) 녹비작물 처리장치
KR20100062348A (ko) 땅속작물 수확기
CN207399878U (zh) 一种单垄拔杆机
JP5517323B2 (ja) 草刈り作業機
KR101964921B1 (ko) 구근 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102105671B1 (ko) 밭 일굼 및 넝쿨 파쇄가 가능한 복합 로터리 장치
KR200298924Y1 (ko) 구근식물줄기분쇄장치
KR20200064205A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CN215188153U (zh) 一种低速扭力的小型旋耕机
CN218959489U (zh) 根茎类作物收获机具
KR100662851B1 (ko) 작물채굴기의 이동 및 승·하강 장치
KR102273483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CN208597250U (zh) 蓝莓种植起垄装置
KR20240067452A (ko) 밭작물용 줄기 절단 파쇄기
KR0137446Y1 (ko) 보리논 작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