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60B1 - 시비 장치 - Google Patents

시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60B1
KR101982560B1 KR1020170095350A KR20170095350A KR101982560B1 KR 101982560 B1 KR101982560 B1 KR 101982560B1 KR 1020170095350 A KR1020170095350 A KR 1020170095350A KR 20170095350 A KR20170095350 A KR 20170095350A KR 101982560 B1 KR101982560 B1 KR 10198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eedling
guide
hopp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784A (ko
Inventor
히토시 야마사키
야스히토 나카니시
마나부 나모토
카즈히코 이시이
요시히로 야마모토
유미 요시다
슈헤이 카와카미
사토시 카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호퍼(61)에 저류된 비료를 포장에 살포하는 비료 살포 장치(60)를 구비하고, 호퍼(61) 내의 비료를 배출하는 개폐 가능한 복수의 배출구(65)와, 배출구(65)로부터 배출하는 비료를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가이드를 별도의 배출구(65)에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가이드는 복수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집약하면서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에 안내함과 아울러,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수용하는 수용 자루를 유지하는 한쌍의 유지부(666)를 복수의 배출구(6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했다.

Description

시비 장치{FERTILIZER APPLICATOR}
본 발명은 시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모종 이식기 등의 작업 차량은 포장 내에 비료를 살포하는 시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시비 장치는 비료를 저류하는 호퍼를 갖고, 또한 작업 후의 호퍼 내의 잔류 비료를 배출하기 위해서 호퍼의 하방에 복수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6-32541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비 장치에서는 청소나 유지보수 등의 작업 시에 있어서 호퍼 내에 남은 비료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배출구의 하나하나로부터 비료를 배출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시비 장치는 호퍼(61)에 저류된 비료를 포장에 살포하는 비료 살포 장치(6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61) 내의 비료를 배출하는 개폐 가능한 복수의 배출구(65)와, 일부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하는 비료를 상기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를 별도의 배출구(65)로 이동 안내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비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시비 장치에 있어서, 이동 안내 가능하게 하는 상기 부재는, 가이드 레일(663)로서, 상기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시비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시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집약하면서 상기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비료의 배출구에 안내부를 설치함으로써 호퍼 내에 남은 비료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 비료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어 등의 송풍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저렴한 시비 장치에 있어서도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를 별도 배출구(65)로 이동 안내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비료의 배출 작업성, 즉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가이드가 복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집약함으로써 호퍼 내에 남은 비료를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작업 차량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차량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비료의 안내부의 설명도(그 1)이다.
도 4는 비료의 안내부의 설명도(그 2)이다.
도 5는 비료의 안내부의 변형예 1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비료의 안내부의 변형예 2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비료의 안내부의 변형예 3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이 개시하는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작업 차량(1)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차량(1)의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작업 차량(1)으로서 포장 내를 주행하면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이식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작업 차량, 즉 작업 차량(1)의 직진 시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이며, 진행 방향 전방측을 「전」, 후방측을 「후」로 규정하고 있다. 또힌, 기체(작업 차량(1))의 진행 방향이란 직진 시에 있어서 조종석(11)으로부터 스티어링 핸들(73)로 향하는 방향이다(도 1 참조).
또한,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전」측을 향해서 좌우를 규정하고 있다. 즉, 작업자(조종자라고도 함)가 조종석(11)에 착석하여 전방을 향한 상태로 왼손측이 「좌」, 오른손측이 「우」이다. 또한,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이다.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차량(1)은 포장을 주행할 수 있는 주행차체(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차체(2)는 좌우 한쌍의 전륜(3)과, 좌우 한쌍의 후륜(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행차체(2)는, 예를 들면 주행 시에 전륜(3) 및 후륜(4)이 구동하는 사륜 구동이 된다. 또한, 주행차체(2)의 후방부에는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20)에 의해 승강 가능한 식부부(이하, 모종 식부부라고 함)(30)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차체(2)는 메인 프레임(5)과, 메인 프레임(5) 상에 탑재된 엔진(6)과, 엔진(6)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륜(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륜(3) 및 후륜(4))과 모종 식부부(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력원인 엔진(6)에서 발생한 동력은 주행차체(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엔진(6)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주행차체(2)의 대략 중앙에서 작업자가 승차 시에 발을 얹는 플로어 스텝(8)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엔진(6)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젤 기관이나 가솔린 기관 등의 열기관이 사용된다. 플로어 스텝(8)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행차체(2)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로어 스텝(8)은 주행차체(2)의 전단과 엔진(6)의 후방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8)은 메인 프레임(5) 상에 부착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8) 중 후술하는 조종석(11) 부근의 적어도 일부는 작업자의 신발에 부착된 진흙 등을 포장에 떨어뜨리도록 상하 방향으로부터 볼 때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8)의 후방부에는 후륜(4)의 펜더를 겸하는 리어 스텝(9)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스텝(9)은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면(후방 상향 경사면)을 갖고 있다. 리어 스텝(9)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엔진(6)을 사이에 두도록 엔진(6)의 양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6)은 엔진 커버(10)에 의해 덮여 있다. 엔진 커버(10)의 상방에는 조종석(11)이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7)는 엔진(6)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벨트식 동력 전달 장치(12)와, 엔진(6)으로부터 벨트식 동력 전달 장치(12)를 개재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인 유압식 무단 변속기(13)와, 미션 케이스(14)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13)는 HST(Hydro Static Transmission)로 말해지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13)는 후술하는 주변속 조작 부재(74)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출력(회전 속도) 및 출력 방향(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유압식 무단 변속기(13)는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주행차체(2)의 전후진이나 주행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미션 케이스(14)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13)에 의해 변속된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을 각 부로 전달하는 전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4)는 주행 시나 작업 시에 있어서의 주행 속도를 스위칭하는 부변속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부변속 레버(도시 생략)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 주행차체(2)의 주행 속도를, 예를 들면 식부 작업 시의 주행 속도보다 고속인 주행 속도, 식부 작업 시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 속도 등으로 스위칭 가능하다.
전륜 파이널 케이스(15)에는 후술하는 스티어링 핸들(73)의 조작에 따라 전륜(3)을 조타 가능하게 전륜(3)이 연결되어 있다. 후륜 기어 케이스(16)에는 후륜(4)이 연결되어 있다.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20)는 승강 링크(21)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링크(21)는 주행차체(2)의 후방부와 모종 식부부(30)를 연결시키는 평행 링크 기구(22)를 구비하고 있다. 평행 링크 기구(22)는 링크 프레임 베이스(23) 및 모종 식부부(30) 각각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주행차체(2)에 대하여 모종 식부부(30)를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20)는 유압 승강 실린더(24)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승강 실린더(24)는 유압 밸브(도시 생략)가 스위칭됨으로써 신축 동작해서 승강 링크(21)를 구동하여 모종 식부부(30)를 승강시킨다. 유압 승강 실린더(24)는 후술하는 식부 조작 부재(75)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모종 식부부(30)를 상승시킨 비작업 위치, 모종 식부부(30)를 하강시킨 대지 작업 위치(대지 식부 위치)로 스위칭한다. 또한, 유압 승강 실린더(24)는 포장의 상황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모종 식부부(30)를 승강시킨다.
모종 식부부(30)는 승강 링크(21)를 개재하여 주행차체(2)에 부착되어 있다. 모종 식부부(30)는 복수의 구획 또는 복수의 열로 모종을 식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부(30)는 모종을 4개의 구획으로 식부하는, 소위 4조 심기이다. 모종 식부부(30)는 모종 재치대(31)와, 플로트(32)와, 모종 식부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재치대(3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식부조수분의 모종 재치면(31a)을 갖고 있다. 각각의 모종 재치면(31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매의 흙이 부착된 매트형상 모종을 재치 가능한 후방 하향 경사면이다. 플로트(32)는 주행차체(2)의 이동에 따라 포장 위를 활주하여 정지한다. 플로트(3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체 중앙측에 위치하는 센터 플로트(32a)와, 센터 플로트(32a)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플로트(32b)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식부 장치(40)는 모종 재치대(31)의 식부 지지 프레임(33)에 의해 지지되고, 모종 재치대(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40)는 모종 재치대(31)에 적재된 모종을 취해 포장에 식부하는 장치이다. 모종 식부 장치(40)는 식입간(41)과, 로터리 케이스(42)와, 식부 전동 케이스(43)를 구비하고 있다.
식입간(41)은 모종 재치대(31)로부터 모종을 취해 포장에 식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입간(41)은 식부 전동 케이스(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터리 케이스(42)는 식입간(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식부 전동 케이스(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케이스(42)는 식입간(4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식입간(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부등속 전동 기구(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로터리 케이스(42)는 로터리 케이스(42)에 대한 식입간(41)의 회전각도에 따라 식입간(4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43)는 엔진(6)으로부터 모종 식부부(30)에 전달된 동력을 식입간(41)에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지부(이하, 정지 로터라고 함)(50)는 포장을 정지하는 것이다. 정지 로터(50)는 모종 식부 장치(4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정지 로터(50)는 식부 지지 프레임(33) 등에 대하여 전동 모터(도시 생략)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정지 로터(5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체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센터 로터(51)와, 센터 로터(51)보다 기체의 후방측이며 또한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로터(52)와, 전동 기구(53)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로터(51) 및 사이드 로터(52)는 센터 플로트(32a) 및 사이드 플로트(32b)보다 기체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센터 로터(51)는 전동 기구(53)와, 후륜 기어 케이스(16)에 연결된 전동축(54)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사이드 로터(52)는 전동축(54)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비료 살포 장치(60)는 포장에 비료를 실시하는 것이다. 비료 살포 장치(60)는 조종석(11)의 기체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비료 살포 장치(60)는 호퍼(저류 호퍼)(61)에 저류되어 있는 입자상의 비료를 식부 작업 중에 설정량씩 포장에 방출 가능하다. 비료 살포 장치(60)는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가변 시비 기구(도시 생략)를 구성하는 시비량 조절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비료의 살포량인 시비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비료 살포 장치(60)는 저류 호퍼(61) 내의 비료를 조출하는 비료 조출구(62)(도 3 및 도 4 참조) 이외에, 예를 들면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 시에 저류 호퍼(61) 내의 비료를 기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5)(도 3 및 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비료 살포 장치(60)에는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기체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66)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플로어 스텝(8)에 있어서의 조종석(11)보다 기체 전방측에는 조종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70)는 보닛(71)과, 표시부(미터 패널)(72)와, 스티어링 핸들(73)과, 주변속 조작 부재(74)와, 식부 조작 부재(75)와, 프론트 커버(76)를 구비하고 있다.
보닛(71)은 플로어 스텝(8)에 있어서의 조종석(11)보다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중앙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닛(71)은 플로어 스텝(8)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보닛(71)은, 예를 들면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 주변속 조작 부재(74)나 식부 조작 부재(75) 등의 전동 기구, 주행차체(2)의 선회 시에 식부 조작 부재(75)를 「식부 내림」으로 스위칭하는 모터, 주변속 조작 부재(74)나 식부 조작 부재(75)의 각도를 검지하는 포텐셔미터 등의 기기를 갖고 있다. 또한, 보닛(71)의 전방부에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교환 시 등에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인 미터 패널(72)은 보닛(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미터 패널(72)은 조종석(11)에 착석한 작업자와 대면하도록 후방 하향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미터 패널(72)은, 예를 들면 좌우 한쌍의 선 긋기 마커(도시 생략)가 포장에 나와 있는 것을 검지하는 마커 센서, 식부 조작 부재(식부 레버)(75)가 「심는」 위치에 있는 등 식부 조작 부재(75)의 조작 위치를 검지하는 식부 레버 위치 센서(도시 생략), 저류 호퍼(61) 내의 비료가 소정량을 밑돈 것을 검지하는 비료 부족 센서, 저류 호퍼(61)로부터 포장으로 비료를 도입하는 경로가 막힌 것을 검지하는 비료 막힘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구성 대신에 모니터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각종 모니터는 미터 패널(72)의 표면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73)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주행차체(2)를 조타하는 것이다. 스티어링 핸들(73)은 보닛(7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73)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닛(71)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핸들(73)은 보닛(71) 내에 배치된 조작 장치 등을 통해 전륜(3)을 스티어링시킨다.
주변속 조작 부재(74)는 주변속 레버(HST 레버라고도 함)이며, 주행차체(2)의 전후진 및 주행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레버이다. 주변속 조작 부재(74)는 보닛(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변속 조작 부재(74)는, 예를 들면 보닛(7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예비 모종 프레임(도시 생략)측에 설치되어 있다. 주변속 조작 부재(74)는 보닛(71)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 부재(74)의 상단 위치는 보닛(71)의 상단 위치와, 스티어링 핸들(73)의 상단 위치 사이에 있다.
식부 조작 부재(이하, 식부 레버라고 함)(75)는 식부 클러치 레버이며, 모종 식부부(30)를 승강시키거나, 모종 식부부(30)에 의한 모종의 식부를 개시, 정지시키기 위해서 조작하는 레버이다. 식부 레버(75)는 보닛(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부 레버(75)는, 예를 들면 보닛(7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페달(18)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식부 레버(75)의 상단 위치는 주변속 조작 부재(74)의 상단 위치와 동등한 높이에 있다.
프론트 커버(76)는 보닛(71)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임과 아울러, 보닛(71)의 전방부에 형성된 공간을 덮는 커버 부재이다. 프론트 커버(76)는 기체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각각이 좁아진다. 프론트 커버(76)는 기체의 상측, 후방측이며 또한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부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보닛(71)에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비료 살포 장치(60)에 있어서의 비료의 안내부(6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비료의 안내부(66)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3에는 비료 살포 장치(60)를 좌측면으로부터 볼 때를 나타내고, 도 4에는 비료 살포 장치(60)를 배면으로부터 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체(2)의 후방부, 조종석(11)의 기체 후방측에 설치된 비료 살포 장치(60)에는 저류 호퍼(61)의 하방에 비료의 배출구(65)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65)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저류 호퍼(61)마다 형성되어도 좋다. 즉, 배출구(65)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예를 들면, 4개) 배열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배출구(65)는 주행차체(2)의 후방부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배출구(65)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류 호퍼(61)의 하방에는 저류 호퍼(61)로부터 배출구(65)를 향해서 비료가 낙하하도록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재인 셔터 레버(67)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레버(67)는 저류 호퍼(61) 내로부터의 비료의 경로를 비료 조출구(62)를 향한 경로로부터 배출구(65)를 향한 경로로 스위칭한다.
배출구(65)에는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 즉 기체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이하, 비료 안내부라고 함)(66)가 부착된다. 비료 안내부(66)는, 예를 들면 통형상의 망(661)이며, 일단 개구가 배출구(65)를 덮도록 부착되고, 타단 개구가 하방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저류 호퍼(61) 내의 비료를 배출할 경우에는 비료의 경로를 배출구(65)측으로 스위칭하도록 셔터 레버(67)를 조작함으로써 비료 안내부(66)를 개재하여 비료를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료의 배출구에 비료 안내부(66)(망(661))를 설치함으로써 저류 호퍼(61) 내에 남은 비료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 비료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어 등의 송풍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저렴한 기체에 있어서도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65)에는 비료의 배출 작업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 배출구(65)를 밀봉하는 캡(68)이 설치되어 있다. 캡(68)은 힌지 등 을 통해 배출구(65)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캡(68)은, 예를 들면 유저통형상으로 설치되고, 비료 안내부(66)가 망(661) 등인 경우에는 이러한 비료 안내부(66)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비료 안내부(66)(망(661))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료 안내부(66)(망(661))를 소정의 수납 위치에서 수납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장에 있어서의 작업 중에 망(661)에 물 등이 부착되어서 비료의 배출 시에 비료가 막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료 살포 장치(60)에서는 비료 조출구(62)에 의해 비료를 조출하기 위해서 시비 롤(63)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시비 롤(63)의 회전에는 엔진(6)(도 1 참조)의 동력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6)의 동력이 벨트(6a)를 통해 입력 풀리(64)에 입력됨으로써 시비 롤(63)을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도 5~도 7을 참조하여 비료 안내부(66)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도 7은 비료의 안내부(비료 안내부)(66)의 변형예 1~3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 5를 사용하여 변형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에는 변형예 1에 의한 비료 안내부(66A)(망(662), 가이드 레일(663))의 모식적인 경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1에서는 비료 안내부(66A)로서 통형상의 망(662)과, 가이드 레일(663)을 구비하고 있다.
망(662)은 상단부에 설치된 통형상의 부착부(662a)에 가이드 레일(663)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망(662)은 가이드 레일(66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663)은 주행차체(2)(도 1 및 도 2 참조)의 후방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망(662)은 가이드 레일(663)을 따라 좌우 방향(도면 중,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료 안내부(66A)(망(662))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출구(65)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료의 배출 작업성, 즉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사용하여 변형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에는 주행차체(2) 및 비료 살포 장치(60)의 배면을 나타내고, 변형예 2에 의한 비료 안내부(66B)(집합 퍼넬(664), 배출 호스(665))를 기체 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2에서는 비료 안내부(66B)로서 집합 퍼넬(664)과, 배출 호스(665)를 구비하고 있다.
집합 퍼넬(664)은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1개에 집약하는 것이다. 집합 퍼넬(664)는 부착구(664a)가 각 배출구(65)에 부착되어 1개의 배출구(664b)로부터 비료를 배출한다. 집합 퍼넬(664)의 배출구(664b)에는 배출 호스(665)가 부착되어 있다. 배출 호스(665)는 복수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어서 집합 퍼넬(664)에 의해 집약된 비료를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료 안내부(66B)가 복수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집약함으로써 저류 호퍼(61) 내에 남은 비료를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어 비료의 배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류 호퍼(61) 내로부터 비료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재인 셔터 레버(67)를 복수의 배출구(65)를 일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셔터 레버(67)를 각 배출구(65) 각각에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비료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사용하여 변형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에는 변형예 3에 의한 비료 안내부(66C)(집합 퍼넬(664), 유지부(666))의 모식적인 경사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3에서는 비료 안내부(66C)로서 집합 퍼넬(664)과, 유지부(66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집합 퍼넬(664)에 대해서는 상기한 변형예 2에 의한 비료 안내부(66B)의 집합 퍼넬(664)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유지부(666)는, 예를 들면 L형 훅이며, 1개 또는 복수개의 배출구(65)를 사이에 두도록 1개 또는 복수개의 배출구(65)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배출구(65)를 사이에 두도록 2개의 배출구(65)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666)는, 예를 들면 주행차체(2)(도 1 및 도 2 참조)의 후방부 프레임 등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666)는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수용하는 자루(이하, 수용 자루라고 함)(69)가 갖고 있는 아일렛 등의 패스너(69a)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수용 자루(69)를 비료의 수용구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료를 수용하는 수용 자루(69)를 유지부(666)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비료의 배출 작업을 행하기 쉬워지고,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수용 자루(69)가 자체 중량으로 전부 떨어지지 않는 비료를 수작업으로 배출구(65)로부터 스크래이핑할 경우에 트레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비료 안내부(66) 및 변형예 1~3(비료 안내부(66A~66C))을 서로 조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변형예 2 및 변형예 3의 집합 퍼넬(664)을 가이드 레일(66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변형예 2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망(662)을 복수의 배출구(65) 중 임의의 배출구(65)의 캡(수납부)(68)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료 살포 장치(60)로부터 저류 호퍼(61)를 분리하고, 저류 호퍼(61)로부터 비료 조출구(62) 및 배출구(65)까지의 경로 중에 있는 시비 캡슐 내에 설치된 시비 롤(63)에 남은 비료를 배출할 경우, 소정의 용적을 갖는 유저통형상의 캡을 배출구(65)에 부착하고, 배출구(65)를 개방하여 비료를 일시적으로 캡에 떨어뜨려 넣고, 그 후 캡을 분리하여 수용 자루(69)(도 7 참조) 등에 비료를 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블로어 등의 송풍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저렴한 기체에 있어서도 시비 롤(63) 상에 남은 비료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청소나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0 : 비료 살포 장치 61 : 호퍼
65 : 배출구 666 : 유지부

Claims (3)

  1. 호퍼(61)에 저류된 비료를 포장에 살포하는 비료 살포 장치(6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61) 내의 비료를 배출하는 개폐 가능한 복수의 배출구(65)와, 일부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하는 비료를 상기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를 다른 배출구(65)에 이동 안내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안내 가능하게 하는 상기 부재는, 가이드 레일(663)로서, 상기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집약하면서 상기 비료 살포 장치(60)의 외부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장치.
KR1020170095350A 2016-10-25 2017-07-27 시비 장치 KR101982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8984A JP6724718B2 (ja) 2016-10-25 2016-10-25 作業車両
JPJP-P-2016-208984 2016-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84A KR20180045784A (ko) 2018-05-04
KR101982560B1 true KR101982560B1 (ko) 2019-05-27

Family

ID=6211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50A KR101982560B1 (ko) 2016-10-25 2017-07-27 시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4718B2 (ko)
KR (1) KR101982560B1 (ko)
CN (1) CN207783542U (ko)
TW (1) TWI654923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116A (ja) * 2003-03-27 2004-10-21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施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562B2 (ja) * 1997-02-06 2003-07-07 株式会社クボタ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3783377B2 (ja) * 1997-12-01 2006-06-07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4071899B2 (ja) * 1999-10-26 2008-04-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側条施肥機
JP2002095323A (ja) * 2000-09-20 2002-04-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側条施肥機
JP4729980B2 (ja) 2005-05-23 2011-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装置付乗用田植機
JP2012060949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回収体
JP2012231695A (ja) * 2011-04-28 2012-11-29 Iseki & Co Ltd 苗移植機
US8857353B2 (en) * 2011-06-24 2014-10-14 Cnh Industrial Canada,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low to a metering system
TWM471128U (zh) * 2013-08-23 2014-02-01 Bao-Zai Chen 肥料下料機
TWM505795U (zh) * 2015-01-28 2015-08-01 Min-Kai Chen 施肥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116A (ja) * 2003-03-27 2004-10-21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施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4718B2 (ja) 2020-07-15
CN207783542U (zh) 2018-08-31
TWI654923B (zh) 2019-04-01
KR20180045784A (ko) 2018-05-04
JP2018068144A (ja) 2018-05-10
TW201815273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913B1 (ko) 직파기
JP5714822B2 (ja) 水田作業機
KR101982560B1 (ko) 시비 장치
JPH11220910A (ja) 播種機
JP2006217920A (ja) 田植機
JP3892176B2 (ja) 田植機
JP4742707B2 (ja) 多条施用機
JP2001025312A (ja) 田植機
JP5832270B2 (ja) 水田作業機
JP5040592B2 (ja) 苗移植機
JP4071899B2 (ja) 側条施肥機
JP5464254B2 (ja) 直播機
JP2001016942A (ja) 田植機
JP7202921B2 (ja) 植播系作業機
JP2019176745A (ja) 水田作業機
JP5488300B2 (ja) 施肥装置付乗用田植機
JP5612315B2 (ja) 水田作業機
JP2009106202A5 (ko)
JP2000324918A (ja) 田植機
JP4930240B2 (ja) 苗移植機
KR20220074712A (ko) 승용형 모종 이식기
JP2024053162A (ja) 乗用型苗植機
CN114532020A (zh) 插秧机
JP4727864B2 (ja) 側条施肥機
CN114532021A (zh) 育苗箱和插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