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490B1 - 구조용 튜브 - Google Patents

구조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90B1
KR101914490B1 KR1020170151563A KR20170151563A KR101914490B1 KR 101914490 B1 KR101914490 B1 KR 101914490B1 KR 1020170151563 A KR1020170151563 A KR 1020170151563A KR 20170151563 A KR20170151563 A KR 20170151563A KR 101914490 B1 KR101914490 B1 KR 10191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se
structural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5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관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며 해상 고립자 및 익수자의 구조작업시 효과적으로 다수의 인원구조가 가능한 구조용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크기조절이 자유로워 요구조자의 신체에 맞게 착용 가능한 구조용 튜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용 튜브{RESCUE TUBE}
본 발명은 인명구조를 위해 사용하는 구조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고립자 및 익수자의 신체에 맞게 튜브가 형성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조활동을 할 수 있는 구조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과 관련된 사고는 수상, 해상, 육상, 빙판 및 선상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수상이나 해상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는 사고발생 장소의 특수성 때문에 요구조자의 구조활동에 제한을 받는다.
수면 위의 요구조자는 사고발생 후 시간이 흐를수록 유속이나 조류 등의 영향으로 육지나 혹은 선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표류하게 되며, 구조자는 요구조자에게 헤엄쳐 가거나 구명보트를 타고 근거리에 접근하여 구명 튜브, 로프 등의 구명기구 전달 또는 직접 구조하게 된다.
그러나 시급한 구조가 요구되는 긴박한 상황에서 숙련된 수상안전요원이나 구명보트 등의 해상구조장비가 없이는 요구조자에게 신속히 접근할 수 없고, 일반인이 구조활동시 2차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268(등록일자: 2012.01.18) "안전 구명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은 중앙이 관통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고 스티로폼을 재질로 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그물망 및 상기 튜브의 안쪽 공간을 가로지르는 안전줄을 포함하는 것으로, 튜브에 공기를 넣지 않아도 물에 뜰 수 있으며 튜브에서 공기가 빠지거나 찢어질 염려가 없어 사용에 편리하며, 그물망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튜브가 파손되더라도 조각나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안전 구명튜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은 부피가 크므로 보관이 어렵고, 휴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구명 튜브의 특성상 육지나 선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요구조자에게 전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며 해상 고립자 및 익수자 구조작업시 효과적으로 다수의 인원 구조가 가능한 구조용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요구조자가 빠르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구조용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가 오픈되도록 전개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내부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팽창시 부력을 제공하는 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튜브
또한, 상기 케이스에 고리부가 구비되고, 튜브의 타단부가 고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튜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며 해상 고립자 및 익수자 구조작업시 다수의 인원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구조용 튜브의 크기조절이 자유로워 요구조자의 신체에 맞게 착용가능하여 구조용 튜브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작 단가도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조용 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튜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조용 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구조용 튜브(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부가 오픈되도록 전개되는 케이스(10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 일단부(210)가 부착되고, 팽창시 부력을 제공하는 튜브(200);를 포함한다.
한편, 튜브(200)는 팽창시 요구조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외부 조작을 통해 내부가 오픈되도록 전개된다.
일예로, 케이스(100)는 구조자가 쉽게 던질 수 있도록 수류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분리되어 전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스(100)는 힌지부(103)를 통해 제1 케이스부(120)와 제2 케이스부(130)가 회전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평소에는 수류탄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구조활동시 외부 조작을 통해 제1 케이스부(120)와 제2 케이스부(130)를 분리하거나 자동으로 분리되게 된다.
또한, 케이스(100)는 외주면을 따라 반사테잎이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야간 식별이 용이하고, 낮에도 빛 반사로 구별이 쉽다.
또한, 케이스(100)는 오토 발광스트로브를 구비하여 물에 접촉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핀(300)이 구비되고, 핀(300)은 신호발생부(310, 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발생부(310, 320)는 청각적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호루라기(320)와 시각적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부(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핀(300)은, 일예로 상부가 호루라기(320)로 형성되어 위급상황을 신속히 전달하며, 하부는 빛이 발산하는 다양한 종류의 발광부(310)로 형성하게 된다.
일예로, 발광부(310)는 케미컬라이트로 형성되어 야간에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핀(300)은 케이스(100)가 수류탄 형상을 유지하도록 연결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튜브(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일단부(210)가 부착되고, 팽창시 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튜브(200)는,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10)에 수납되며, 구조활동 발생시 요구조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연결되어 부력을 통해 요구조자가 수면 위로 떠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튜브(200)는 부력이 생기도록 내부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체가 주입된다.
일예로, 튜브(200)의 타단이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물 접촉시 카트리지(500)가 폭발하면서 튜브(200)의 내부로 기체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예로, 물감지센서를 통해 일정량의 물이 감지되면 카트리지(500)가 폭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일예로, 튜브(200)에 기체주입구(230)를 형성하여 장치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기체를 주입할 수 있으며, 장치로는 펌프 또는 카트리지(500)를 연결하여 사용되게 된다.
이하에서 카트리지(500)가 폭발하는 상세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00)는 물 접촉시 튜브(200)의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도록 개폐부재(600)가 형성된다.
개폐부재(600)는, 외부를 형성하는 몸체(610), 몸체(610) 내부에 간극을 가지며 이격형성된 탄성체(620), 탄성체(620)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탄성부를 원심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간극의 폭을 확장시키는 수용성 물질(630) 및 수용성 물질(630)이 용해되어 간극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가압핀(650)이 하방을 향해 가압되도록 탄성복원을 갖는 스프링(64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개폐부재(60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 형성된 핀(300)을 분리하게 되면 핀(300)과 연결된 막이 분리되고, 몸체(6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수용성 물질(630)을 용해 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탄성체(620)의 간극의 폭이 좁아져 스프링(640)에 연결된 가압핀(650)은 카트리지를 가압하여 카트리지가 폭발하게 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탄성체(620)와 수용성 물질(63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써, 일반적인 보빈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카트리지(500)의 다른 구조로, 내부에 수용된 기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방지수단(700)이 형성된다.
유출방지수단(700)은, 상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711) 및 튜브(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부(712)를 포함하는 베이스(710), 베이스(710) 내부에 간극을 가지며 이격형성된 고정체(720), 고정체(720)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고정부를 원심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간극의 폭을 확장시키는 수용성 물질(730) 및 수용성 물질(730)이 용해되어 간극의 폭이 좁아 짐에 따라 카트리지의 입구가 오픈되도록 하는 방지판(74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출방지수단(700)은, 케이스(100)의 외부에 형성된 핀(300)을 분리하게 되면, 유입구(711)를 통해 베이스(710)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수용성 물질(730)을 용해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체(720)의 간극의 폭이 좁아져 방지판(740)이 오픈되어 연결부(712)와 연결된 튜브(200)로 기체가 유입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500)는 핀(300)을 제거하지 않으면 카트리지(500)에 물이 유입되지 않아 보빈이 용해되지 않음으로 튜브(200)에 기체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카트리지(500)를 통해, 구조용 튜브(10)는 구조자가 핀(300)을 분리 후 케이스(100)를 요구조자에게 던져 사용되게 된다.
또한, 구조자가 요구조자에게 다가가 핀(300)을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구조자가 요구조자에게 구조용 튜브(10)을 전달하여 요구조자가 핀(300)을 분리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구조용 튜브(10)는, 구조활동 발생시 튜브(200)는 요구조자가 수면 위에 떠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핀(300)은 상부에 형성된 호루라기(330)를 통해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여 구조요청을 하며, 하부에 형성된 신호발생부(310)를 통해 시각적 신호를 발생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조용 튜브(10)는 일예로, 구조용 튜브(10)를 수중 안으로 가지고가 변사체 주위에서 부력이 생기도록 하여 변사체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자에게 감염병 등과 같은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변사체의 회손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구조용 튜브(10)는 방수재질로 형성하여 수중 구조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구조용 튜브(10)는 케이스(100)에 고리부(400)가 구비되고, 튜브(200)의 타단부(220)가 고리부(4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외면에 튜브(200)의 타단부(220)가 연결되도록 고리부(400)를 형성한다.
고리부(400)는 일예로, 카라비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트렉터 등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튜브(200)는, 타단부(220)에 걸이부(240)를 형성하여 고리부(400)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걸이부(240)는 하나 이상 형성되어 고리부(400)와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요구조자의 신체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요구조자가 어른일 경우 타단부(220) 끝단에 형성된 걸이부(240)를 고리부(400)에 연결하여 최대 크기로 연결할 수 있으며, 요구조자가 아이일 경우 타단부(220) 중단에 형성된 걸이부(240)를 고리부(400)에 연결하여 최소 크기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튜브(200)가 요구조자의 신체를 감싸지도록 연결함에 있어서, 고리부(400)를 벨크로 방식 또는 자석 등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용 튜브(10)는, 튜브(200)를 요구조자의 신체가 감싸지도록 착용하여 고리부(400)와 걸이부(240)를 연결하여 사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일단부(210)가 부착되고, 타단부(220)의 걸이부(240)가 고리부(400)에 연결되어 요구조자의 신체가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구조용 튜브(10)는 구조자가 튜브(200)에 기체를 주입 후 튜브(200)를 요구조자의 신체를 감싸 일단부(210)와 고리부(400)를 연결하거나, 요구조자가 구조용 튜브(10)를 전달받아 직접 튜브(200)에 기체를 주입 후 튜브(200)를 신체에 감싸 일단부(210)와 고리부(4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고리부(400)는 리트렉터 등과 같은 끈(미도시)에 연결되어 착용 된다.
이러한 구조용 튜브(10)는, 구조활동 발생시 요구조자의 신체를 감싸 착용된 후 고리부(400)에 연결된 끈을 통해 요구조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끈을 통해 구조용 튜브(1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용 튜브(10)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부(120) 및 제2 케이스부(130)로 구성되고, 튜브(200)는 제1 케이스부(120)의 내부에 일단부(210a)가 부착되는 제1 튜브(200a) 및 제2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일단부(210a)가 부착되는 제2 튜브(200b)를 포함하며, 제1 튜브(200a)의 타단부(220a)와 제2 튜브(200b)의 타단부(220b)가 서로 엇갈리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용 튜브(10)는, 제1 튜브(200a)의 걸이부(240)가 제2 튜브(200b)의 연결부(250)와 연결된다.
일예로, 벨크로 방식으로 형성하여 제1 튜브(200a)와 제2 튜브(200b)를 엇갈리게 결합하거나 연결부(250)를 걸이부(240)에 연결하여 제1 튜브(200a)와 제2 튜브(200b)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튜브(200a, 200b)는 케이스(100)가 전개되는 각도 또는 제1 및 제2 튜브(200a, 200b)의 형상에 따라 서로 엇갈려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연결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연결부(25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구조용 튜브(10)는,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다수의 구조용 튜브(10)를 소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구조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 고립자 및 익수자 구조작업시 다수의 인원 구조가 가능하며 보관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구조용 튜브의 크기조절이 자유로워 요구조자의 신체에 맞게 착용가능하여 구조용 튜브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작 단가도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구조용 튜브 100 : 케이스
110 : 수용공간 120 : 제1 케이스부
130 : 제2 케이스부 200 : 튜브
200a : 제1 튜브 200b : 제2 튜브
210a, 210b : 일단부 220a, 220b : 타단부
230 : 기체주입구 240 : 걸이부
250 : 연결부 300 : 핀
310 : 발광부 320 : 호루라기
400 : 고리부 500 : 카트리지
600 : 개폐부재 510 : 몸체
620 : 탄성체 630 : 수용성 물질
640 : 스프링 650 : 가압핀
700 : 유출방지수단 710 : 베이스
711 : 유입구 712 : 연결부
720 : 고정체 730 : 수용성 물질
740 : 방지판

Claims (4)

  1. 내부가 오픈되도록 전개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팽창시 부력을 제공하는 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튜브의 타단부가 서로 엇갈리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튜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핀은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튜브
KR1020170151563A 2017-11-14 2017-11-14 구조용 튜브 KR10191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63A KR101914490B1 (ko) 2017-11-14 2017-11-14 구조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63A KR101914490B1 (ko) 2017-11-14 2017-11-14 구조용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90B1 true KR101914490B1 (ko) 2018-11-06

Family

ID=6432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63A KR101914490B1 (ko) 2017-11-14 2017-11-14 구조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45B1 (ko) * 2021-02-25 2022-07-18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982Y1 (ko) * 2001-11-15 2002-02-20 양재봉 가스발생기가 내장된 튜브
KR200299340Y1 (ko) * 2002-08-22 2003-01-03 최재봉 물놀이용 튜브
KR101091823B1 (ko) *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982Y1 (ko) * 2001-11-15 2002-02-20 양재봉 가스발생기가 내장된 튜브
KR200299340Y1 (ko) * 2002-08-22 2003-01-03 최재봉 물놀이용 튜브
KR101091823B1 (ko) *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45B1 (ko) * 2021-02-25 2022-07-18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926B2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743863B1 (ko) 어린이용 익수자 구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6182550B2 (ja) 水難救助装置
US20090251321A1 (en) Aqua Alert Swimming Monitor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al Drowning
US8951081B2 (en) Life ring buoy and flotation cushion
US20210403132A1 (en) Personal aquatic safety device
KR101914490B1 (ko) 구조용 튜브
CN208938308U (zh) 一种救生手环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CN211969700U (zh) 一种智能定位海上救生手环
Connolly Drowning: The exit problem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KR102133378B1 (ko) 수상용 인명구조 장치
US10773779B2 (en) Control device
KR101534123B1 (ko) 구명튜브와 구조견인줄 장착 구명벨트
CN204871530U (zh) 一种救生腰带
CN201643449U (zh) 一种救生球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JP3022755U (ja) 携帯型水難救助うきわ
KR20200070564A (ko) 해양 수상 안전장치
CN214823994U (zh) 一种落水救助用消防救援组合装置
CN105913616A (zh) 一种水中报警手环内的气体生成装置
KR20200075223A (ko) 골격 구명부표
JP2017036020A (ja) ネックレス型救命浮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