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55B1 -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55B1
KR101748855B1 KR1020160105930A KR20160105930A KR101748855B1 KR 101748855 B1 KR101748855 B1 KR 101748855B1 KR 1020160105930 A KR1020160105930 A KR 1020160105930A KR 20160105930 A KR20160105930 A KR 20160105930A KR 101748855 B1 KR101748855 B1 KR 10174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circuit
contro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6010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H05B33/0806
    • H05B33/084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18Polymers of nitril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발포체인 다공성폼 발포체 스펀지를 소재로 하여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쿠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부와 노출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형성부 및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충진부를 형성하는 쿠션과, 상기 함침부 또는 노출부 또는 이들 모두에 요홈을 더 구비하여 표면적이 증가하고, 요홈이 형성된 면의 공극이 작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오래 사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명이 연장되는 쿠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CUSION ASSEMBLY}
본 발명은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발포체인 다공성폼 발포체 스펀지를 소재로 하여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쿠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부와 노출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형성부 및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충진부를 형성하는 쿠션과, 상기 함침부 또는 노출부 또는 이들 모두에 요홈을 더 구비하여 표면적이 증가하고, 요홈이 형성된 면의 공극이 작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오래 사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명이 연장되는 쿠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어 왔으나, 이러한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액상 화장료 조성물 담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액상 화장료 조성물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용기로는 팩트 타입의 용기를 생각할 수 있다. 팩트 타입의 용기에 액상 화장료 조성물을 담기 위해서는, 그 용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담체인지 여부, 그 담체에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될 수 있는지 여부, 담체가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는지 여부 및 담체로부터 도포구에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고자 할 때 적당량이 배출되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 중에 지속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도포구에 의해 접촉되므로 균에 의한 오염에 강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62221호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등록특허 제10-0652121호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종래기술들은 화장료의 조성물이 미세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게 퍼프에 화장료를 묻힐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쿠션, 특히 화장료를 머금는 쿠션을 사용하는 경우에 퍼프로 쿠션을 툴러 내뿜어지는 화장료를 퍼프에 묻히기 때문에 잦은 사용으로 상기 쿠션이 부식되거나 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화장료를 다 사용하기도 전에 쿠션이 훼손되어 쿠션을 교체하여야 하며, 특히 이 경우에는 쿠션이 머금는 화장료는 함께 버려짐에 따라 화장료의 손실이 발생하고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쿠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함침부와 노출부, 두께형성부 및 충진부를 포함하는 쿠션과, 상기 함침부 또는 노출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요홈에 의해 표면적이 상승함과 더불어 요홈 부위의 공극률이 작아지는 쿠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을 복수개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쿠션으로 구성하여 화장료를 흡수하고 머금은 후 내뿜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쿠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요홈을 복수개의 선형의 홈으로 구성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함과 더불어 표면적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쿠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는
함침부와 노출부, 상기 함침부와 노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형성부 및 상기 두께형성부 내측에 형성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쿠션;
상기 함침부 또는 노출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요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은
복수개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쿠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는
함침부, 노출부, 두께형성부, 충진부로 이루어지는 쿠션과, 상기 함침부 또는 노출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져, 요홈에 따라 발포성형된 쿠션에 요홈부위에 스킨면이 형성되어 매끈거리게 되고, 표면적 증가 및 공극이 작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쿠션을 다공성 쿠션으로 구성하여 화장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머금을 수 있으며, 요홈을 복수개의 선형의 홈으로 구성함에 따라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내구성, 내마모 및 내노화성이 우수한 NBR 소재 의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폴리우레탄폼에 비해 장기간 사용에도 ,액상 화장료가 폼의 하부로 침강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 될 수 있으며, 화장료와 상호작용하여, 다공성 셀이 훼손되거나 외형이 팽창하는 문제가 없어, 적당량의 화장료가 균일하고 적절한 양이 나올 수 있게 함으로서 함침된 화장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또한 노출부에 다양한 문양 및 로고를 새길 수 있어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는 디자인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쿠션(10)(10) 어셈블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부(11)와 상기 함침부(11) 반대면에 형성되는 노출부(13) 및 상기 함침부(11)와 노출부(13) 사이에 구비되어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형성부(15)를 포함하는 쿠션(10)(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침부(11), 노출부(13), 두께형성부(15)는 상기 쿠션(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10)은 발포성형 방식을 통하여 성형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파이프 형상으로 발포하여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방식이 아니라, 후술하는 요홈(18)을 형성하도록 금형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발포성형과 함께 자연스럽게 요홈(18)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다시 상기 함침부(11)는 상기 쿠션(10)이 구비되는 화장품, 구체적으로는 콤팩트(20)의 수용부(211)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노출부(13)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퍼프가 접촉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렇게 성형된 쿠션(10)의 내부에는 화장료를 수용하고, 퍼프의 두두림에 의해 화장료를 내뿜을 수 있는 충진부(17)가 성형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포성형기법을 이용하여 쿠션(10) 전체에 복수개의 기공(19)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10)이 다공성 쿠션(10)으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쿠션(10) 전체가 복수개의 기공(19)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기공(19)에 화장료가 수용되어 보다 많은 양의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으며, 이 기공(19)에 의해 퍼프가 상기 쿠션(10)에 접촉하면 화장료가 빠져나와 퍼프에 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쿠션(10)은 화장료를 머금고 있으며, 퍼프의 접촉에 따라 화장료를 내뿜어 퍼프에 화장료를 묻히는 것으로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상기 쿠션(10)이 훼손되어 재기능을 상실하여 쿠션(10)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기공(19)이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구성이 저하됨으로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함침부(11) 또는 노출부(13) 또는 이들 모두에 요홈(18)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18)은 함침부(11) 보다는 노출부(13)에 구비되어 퍼프와의 접촉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요홈(18)은 복수개의 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요홈(18)이 구비됨에 따라 퍼프와의 접촉면적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접촉면적의 증가는 힘의 분배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퍼프에서 쿠션(10)으로 전달되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요홈(18)이 구비되면 발포 성형 시 일명 스킨, 즉 매끈한 부분이 성형되며, 이에 따라 요홈(18)이 형성된 면, 즉 노출부(13)의 공극이 작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에 의해 상기 쿠션(10)을 보다 오래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교체횟수를 줄이게 되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요홈(18)은 복수개의 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모양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제조업체의 로고 등으로 표현될 수 있어 광고성 효과 및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요홈(18)은 피막(일명 스킨)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요홈(18) 또는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쿠션(10)은 0.06~0.2g/㎤의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대비 70~95%의 공극률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보수(保水)량은 0.585~0.936g/㎤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어셈블리(A)의 실시예 및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쿠션(10)은 콤팩트(20)에 안착되어 사용되며, 상기 콤팩트(20)는 쿠션(10)이 안착되되,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부(211)를 갖는 본체(21)와, 상기 하부본체(21)에 힌지결합되어 수용부(211)를 개폐하는 커버(2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콤팩트(2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경우에, 특히 야간의 경우에는 어두워서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1) 또는 커버(23) 또는 이들 모두에 복수개의 발광유닛(30)과, 상기 발광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30)은 일반적으로 LED 로 이루어져 전력소모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발광유닛(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은 건전지 등의 휴대용전원부재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발광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쿠션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쿠션 어셈블리 10 : 쿠션
11 : 함침부 13 : 노출부
15 : 두께형성부 17 : 충진부
19 : 기공 18 : 요홈
20 : 콤팩트 21 : 본체
211 : 수용부 23 : 커버
30 : 발광유닛

Claims (4)

  1. 함침부(11)와 노출부(13), 상기 함침부(11)와 노출부(13) 사이에 형성되어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형성부(15) 및 상기 두께형성부(15) 내측에 형성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충진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쿠션(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쿠션(10)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쿠션(10)은
    복수개의 기공(19)이 형성된 다공성 쿠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출부(13)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요홈(18);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10)이 안착되되,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부(211)를 갖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힌지결합되어 수용부(211)를 개폐하는 커버(23)로 이루어지는 콤팩트(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21) 또는 커버(23) 또는 이들 모두에는 발광유닛(30)과 상기 발광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여,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되,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여 전압 강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신호출력부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되,
    상기 안정화회로(162)는 상기 신호출력부(160)에 전달된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캐패시터(C601)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상기 감지회로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최종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에 대한 재 필터링을 명령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항시 구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5930A 2016-08-22 2016-08-22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KR10174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30A KR101748855B1 (ko) 2016-08-22 2016-08-22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30A KR101748855B1 (ko) 2016-08-22 2016-08-22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55B1 true KR101748855B1 (ko) 2017-07-04

Family

ID=5935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30A KR101748855B1 (ko) 2016-08-22 2016-08-22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10B1 (ko) *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10B1 (ko) *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95325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GB2363681B (en) Solid electolytic capacitor
SG91300A1 (en) Cleaning contact with successive fluorine and hydrogen plasmas
KR101748855B1 (ko) Nbr 발포체 함침용 스펀지 쿠션 어셈블리
CA2130791A1 (en) Ink Jet Printer Cartridge Refilling Method and Apparatus
AU2001288817A1 (en) Battery cell charging system having voltage threshold and bleeder current generating circuits
KR101748856B1 (ko) 화장용 퍼프 어셈블리
WO2002003552A3 (en) Rc-timer scheme
AU2002227863A1 (en)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
GB2395060B (en) Storage battery loaded onto vehicle
CA2386604A1 (en) Device for the wiping and cleaning of soiled surfaces
WO2006031762A3 (en) Ice dam removal system
CN217809680U (zh) 一种镀锡铜丝清灰装置
WO2008039419A3 (en) Oxidation-resistant separator for zinc-silver oxide batteries
MXPA01002429A (es) Articulo absorbente con solapas (alas) con unidad de refuerzo unida cohesivamente.
AU2000270444A1 (en) 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
ZA9811792B (en) Pressure activated current interrupter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1736772B1 (ko) 화장품 용기 커버 어셈블리
CN211437107U (zh) 一种人脸识别机的灰尘自动清理装置
HK1030306A1 (en) Cylindrical alkaline storage battery.
SG92683A1 (en) Media noise post-processor with varying threshold
AU2003222222A8 (en) A dynamic voltage scaling scheme for an on-die voltage differentiator design
CN208363522U (zh) 一种艺术设计用墙面涂沫装置
GB2386709B (en) Battery residual capacity estimation for electric vehicles
CN211700691U (zh) 一种滤波隔离装置的电源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