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430B1 -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430B1
KR101715430B1 KR1020127004843A KR20127004843A KR101715430B1 KR 101715430 B1 KR101715430 B1 KR 101715430B1 KR 1020127004843 A KR1020127004843 A KR 1020127004843A KR 20127004843 A KR20127004843 A KR 20127004843A KR 101715430 B1 KR101715430 B1 KR 10171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side covers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230A (ko
Inventor
후미아키 나카무라
다다노리 오야마
고우 마키
Original Assignee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0HVAC with raised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바닥 아래 공조에 이용되는 덕트 구조에 관하여, 덕트의 비용저감 및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덕트의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냉난방의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 아래 공간부에 배치된 덕트(3)내에 유통시키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덕트(3)는, 바닥 슬라브(1)의 상부에 부설되는 단열재(22)와, 평탄한 기판부(25), 이 기판부의 양 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굴곡된 상 플랜지부(24) 및 하 플랜지부(26)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단열재(22)의 상부에 상기 하 플랜지부(26)를 아래로 하여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6,6)(7,7)와, 하 플랜지부(26,26) 사이에 재치되어, 앵커 금구(50)로 바닥 슬라브(1)에 고정 부착되는 위치결정부재(10,11)와, 양 사이드 커버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부착구로 고정 부착되는 천판(8,9)을 갖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UNDERFLOOR AIR-CONDITIONING DUCT STRUCTURE}
본 발명은, 바닥 아래 공조(空調)에 이용되는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5에 나타내는 바닥 아래 공조용의 덕트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바닥 아래 공간을 이용하여 바닥 슬라브(80)의 상부에 원통 형상의 덕트(81)를 배치한 것이다. 이 덕트(81)는, 소정 위치에 구멍을 개설(開設)하여 분기(分岐)기구(82)를 장착하고, 여기에 분기관(84)을 부착하여 분류(噴流) 박스(86)와 연결하고 있다. 덕트(81)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는, 분류 박스(86)에 의해 바닥판(88)의 이면(裏面)에 내뿜어져 바닥 아래 공조를 행한다. 이 바닥 아래 공조 설비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덕트 공사가 포함되고, 이 경우에는 공조업자와 바닥 시공업자 간에 공사기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덕트 구조에 관련하여 이하와 같은 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덕트의 접합 구조는, 접합용의 코너부품의 양측부의 각 슬릿에 패널의 가장자리부를 각각 꽂아넣고, 그 다음으로, 코너부품의 양측부와 패널의 가장자리부를 스포트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덕트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짧은 작업시간으로 열 변형이 없고 또한 저비용으로 덕트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덕트는, 4장의 각 덕트 플레이트 상호간이 90도 회동(回動) 가능한 접속부를 통해 접속되어, 덕트 플레이트가 접힘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의 수송 효율이 좋고, 또한 현지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덕트는, 천정을 구성하는 천정판과, 이 천정판의 상면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레일에 개구측의 하단이 끼워 넣어지는 홈통 형상체로 구성되어, 천정판과 물받이통 형상체에 의해 통 형상 공간을 형성하여 덕트로 한 것으로, 이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고 천정과 동시에 시공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2002-31397 일본 공개특허 2003-114044 일본 공개특허 평5-1843
그렇지만, 상기 바닥 아래 공조용의 덕트에 대해서는, 바닥 아래의 좁은 공간내에서의 덕트 공사는, 스페이스가 적어 부품도 특수하게 되고, 또한 분류 박스를 설치시에는, 분기관을 설치하기 위한 덕트로의 구멍뚫기 작업, 및 복잡한 접속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의 공조업자가 시공을 행할 필요가 있고, 또한 수송시에는 덕트 부품의 부피가 커져 비용상승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덕트의 접합 구조는, 코너부품과 패널을 스포트 용접해서 접합하여 덕트를 제조하는 것이고, 또한 현장에서의 시공에 대해서도 덕트간의 연결작업 및 부품이 특수하기 때문에, 전문의 공조업자에게 의지하게 되어 비용도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예상된다.
특허문헌 2의 덕트는, 4장의 덕트 플레이트의 코너부를 특수한 형상으로 접속하는 구조로서, 현장에서의 덕트끼리의 연결 등의 시공 작업이 복잡함이 예상되고, 또한 자유도도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의 덕트는, 천정판의 상부에 배치한 ⊃자형 단면의 홈통 형상체에 의해서 덕트가 형성되기 때문에, 덕트의 용량을 변경하고 또한 덕트의 상부를 가공(분류노즐의 부착 등)하는 것이 곤란하여 자유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덕트의 비용저감 및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덕트의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난방의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 아래 공간부에 배치된 덕트(3)내로 유통시키고, 이 공조 공기를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거나 혹은 분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덕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3)는, 바닥 슬라브(1)의 상부에 부설되는 단열재(22)와, 평탄한 기판부(25), 이 기판부의 양 단부가 동일방향으로 굴곡된 상 플랜지부(24) 및 하 플랜지부(26)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열재(22)의 상부에 상기 하 플랜지부(26)를 아래로 하여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6,6)(7,7)와, 상기 하 플랜지부(26,26) 사이에 재치되어, 앵커 금구(金具,50)로 바닥 슬라브(1)에 고정 부착되는 위치결정부재(10,11)와, 상기 양 사이드 커버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부착구(fixing tool)로 고정 부착되는 천판(天板)(8,9)을 가지고, 덕트(3)의 단면 형상의 크기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6,6)(7,7)끼리의 간격, 및 천판(8,9)의 가로폭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바꿀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상기 양 사이드 커버(6,6)(7,7)의 각 하 플랜지부(26,26)의 상부 사이에 저판(110,111)을 배치하고, 이 바닥판의 상부에 상기 위치결정부재(10,11)를 배치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상기 천판(8,9)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부에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는 분류 노즐(18)을 부착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6,6)(7,7) 기판부에 형성된 구멍부에 도입 덕트(120)의 일단부를 부착하고, 이 도입 덕트의 타단부에 부착한 분류 노즐(118)의 상단부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고정하여, 이 분류 노즐(118)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단열재, 기판부와 상하 플랜지부를 갖는 형상을 이루어 단열재의 상부에 하 플랜지부를 아래로 하여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하 플랜지부 사이에 재치(載置)되고 앵커 금구로 바닥 슬라브에 고정 부착되는 위치결정부재, 및 양 사이드 커버의 상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천판을 갖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덕트의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전문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현장에서는 바닥 시공업자만으로 바닥부 및 덕트의 양방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시공 공정의 일원화가 도모되어, 공사기간 조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바닥 아래 공조공간의 레이아웃, 덕트의 배치 형태 및 송풍 용량을 현장에서 조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현장에 적합한 덕트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전용 부품을 삭감할 수 있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양 사이드 커버의 각 하 플랜지부의 상부 사이에 바닥판을 배치하고, 이 바닥판의 상부에 위치결정부재를 배치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덕트의 4면이 커버되어 내구성 및 기밀성이 더 좋아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천판에 구멍부를 형성하여 분류 노즐을 부착한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덕트로의 분류 노즐의 부착이 간단하고 시공성도 뛰어나며, 또한 분류 노즐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바닥 아래 공간이 낮은 저상(低床) 플로어에의 대응도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사이드 커버의 기판부로부터 도입 덕트를 통하여 바닥판의 이면에 고정된 분류 노즐에 의해, 공조 공기를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분류 노즐의 부착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부분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입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예에 의한 덕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부분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덕트 구조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바닥 슬라브(1)에 배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를 형성하는 덕트(3)는, 여기에서는 주(主) 덕트(2), 및 이 주 덕트(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分岐) 덕트(4)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 덕트(2)는,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6,6), 천판(8), 위치결정부재(10), 조정부재(12) 및 보강금구(14) 등을 갖는다. 상기 분기 덕트(4)에 대해서도,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7,7), 천판(9), 위치결정부재(11) 및 조정부재(13)를 갖고, 노즐 고정판(16)을 더 갖는다.
상기 노즐 고정판(16)은 천판(9)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고, 이 노즐 고정판(16)에는 분류 노즐(18)이 부착된다. 또한, 주 덕트(2)와 분기 덕트(4)의 연결부의 코너부에는 L자형 단면의 접속금구(2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덕트(3)는, 사이드 커버(6,7)와 천판(8,9)에 의해, 덕트내의 송풍로의 측부 및 상부의 벽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3)는 바닥 슬라브(1)의 상부에 부설한 시트 형상의 단열재(22)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해서, 덕트(3)의 하부면은 단열재(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6,7)는, 장방형상의 강판을 ⊃자형상 단면으로 굴곡 성형한 것이다. 이 사이드 커버(6,7)는, 기판부(25)의 양 단부가 직각으로 굴곡된 상 플랜지부(24) 및 하 플랜지부(26)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주 덕트(2)의 사이드 커버(6)와, 분기 덕트(4)의 사이드 커버(7)는 동일 형상(동일 단면)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천판(8,9)은 장방형상의 강판이다. 여기에서는 주 덕트(2)의 천판(8)은, 분기 덕트(4)의 천판(9)보다 가로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 구조에서는, 덕트(3)내의 공동(空洞)을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송풍량에 따라서, 천판(8,9)의 폭의 크기를 조정하여 공동(空洞)을 확대 축소하고, 다른 사이드 커버 등은 공용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송풍량을 확보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10,11)는, 측면부 및 저면부(30)로 이루어지는 ⊃자형 단면의 가늘고 긴 강재(鋼材)이다. 상기 보강금구(14)에 대해서도, 측면부 및 저면부(32)로 이루어지는 ⊃자형 단면의 가늘고 긴 강재이다. 이 위치결정부재(10,11)는, 사이드 커버(6,7)를 압압 고정하는 동시에 덕트(3)의 폭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상기 조정부재(12,13)는, 가늘고 긴 판재의 양 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굴곡된 협지편(挾持片,34,34)이 형성된 강재이다. 이 조정부재(12,13)는, 대향하게 배치된 양 사이드 커버의 폭을 일정하게 조정한다.
상기 노즐 고정판(16)은, 장방형상의 강판의 양측을 하방으로 굴곡 형성한 것으로, 천판부(36)와 플랜지부(38,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천판부(36)의 중앙에는, 분류 노즐(18)을 부착하는 원형의 구멍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류 노즐(18)은, 공기가 통과하는 원통 형상의 기부(基部,42)의 상부에, 직경이 서서히 확대된 방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사부(44)의 선단부는, 소정간격으로 절취된 방사구(放射口,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열재(22)로서는, 밀폐성인 관점에서 독립 발포계의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이용한다.
아울러, 덕트(3)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강재 이외에 현장의 환경 등에 따라 스테인리스재 혹은 알루미늄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주로 사이드 커버(6,7)와 천판(8,9)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그대로 현장으로 반송된 후, 현장에서 덕트(3)로 조립된다. 이들 사이드 커버(6,7) 및 천판(8,9) 등은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반송이 용이하고, 또한 덕트(3)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시공 작업도 용이하다.
이와 같이 상기 덕트 구조는, 접속부 시공에 전용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덕트(3)를 형성하는 각 부재는 용이하게 현장에서의 가공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현장 가공에 의해 접속을 행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부재끼리는 비스 고정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접속을 행할 수 있어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공사는, 덕트 공사업자를 대신하여 바닥 공사업자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한 덕트(3)의 현장에서의 시공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건물의 바닥 아래 공조를 행하는 실내의 바닥 슬라브(1)(여기서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단열재(22)를 부설한다.
다음으로 주 덕트(2)의 조립을 위해, 소정의 길이의 두 개의 사이드 커버(6,6)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이때, 각 사이드 커버(6,6)의 하 플랜지부(26)가 대향하도록 하고, 각 하 플랜지부(26)를 단열재(22)의 상부에 두어, 기판부(25)가 세워 설치되는 상태로 배치한다. 이로써, 각 사이드 커버(6,6)의 상 플랜지부(24,24)도 대향 상태로 된다.
또한 주 덕트(2)의 배치시, 분기 덕트(4)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에는, 분기 덕트(4)의 단면 형상의 크기로 사이드 커버(6)끼리의 간격을 벌려 둔다. 이 간격은, 이 개소에 분기 덕트(4)의 단부(端部)가 조금 돌입(突入) 가능하고, 또한 양자 사이가 간극없이 연결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아울러 이 연결 부위의 다른 형태로서, 주 덕트(2)의 사이드 커버(6)의 기판부(25)를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분기 덕트(4)의 단면 형상의 크기와 같은 정도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양 사이드 커버(6,6)의 하부 간에 걸쳐 상기 조정부재(12)를 배치한다. 이 조정부재(12)는, 양 협지편(34,34)을 각각 사이드 커버(6,6)의 기판부(25)에 맞닿도록 배치하여, 사이드 커버(6,6)끼리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 조정부재(1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재(10)를 그 측면부를 위로 하여, 양 사이드 커버(6,6) 사이에 배치하고, 이 위치결정부재(10)의 저면부(30)의 각 단부를, 각각 좌우의 각 하 플랜지부(26,26)의 상부에 재치한다. 이 위치결정부재(10)는, 상기 조정부재(12)의 상부에 겹쳐지는 상태로 배치된다. 아울러, 위치결정부재(10)의 저면부(30) 및 조정부재(12)에는, 미리 고정 부착을 위한 구멍부를 개설(開設)해 둔다.
그리고 위치결정부재(10)는, 저면부(30)를 앵커 금구(50)(앵커 플러그)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조정부재(12)와 함께 바닥 슬라브(1)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주 덕트(2)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6,6)끼리가 대향한 상태로 단열재(22)의 상부에 세워 설치로 고정된다. 이 위치결정부재(10)는, 사이드 커버(6,6)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내측으로부터 양자 간의 간격을 결정한다. 이 위치결정부재(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사이드 커버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대향하는 양 사이드 커버(6,6)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천판(8)을 배치하고, 비스(52)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천판(8)을 상 플랜지부(24)에 고정한다. 아울러 이때,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드 커버(6)의 상 플랜지부(24)와 천판(8) 사이에 개스킷재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천판(8)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금구(14)를 상 플랜지부(24) 사이에 걸치게 하고, 비스(52)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양측 상 플랜지부(24)에 고정한다. 이 보강금구(14)는, 중간부를 비스(52) 등으로 천판(8)에 고정한다. 이 보강금구(14)는, 미리 비스(52) 등을 이용하여 천판(8)에 고정해 두어도 좋다. 천판(8)끼리의 접합부에 대해서도, 양자를 겹쳐 비스(52)로 고정한다.
한편, 상기 분기 덕트(4)의 조립에 대해서도, 주 덕트(2)의 조립과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의 두 개의 사이드 커버(7)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시키고, 각 하 플랜지부(26)를 단열재(22)의 상부에 두며, 기판부(25)가 세워 설치되는 상태로 하여 배치한다.
상기 주 덕트(2)와 이 분기 덕트(4)의 연결 부위는, 분기 덕트(4)의 단부를 주 덕트(2)의 사이드 커버(6)의 기판부(25)끼리의 사이로부터 내부로 돌입한 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조정부재(13)를 배치하고 양 협지편(34,34)으로 사이드 커버(7,7)를 끼우는 상태로 하여 간격을 조정하며, 위치결정부재(11)를 양 하 플랜지부(26,26)의 상부 사이에 배치하고, 이 위치결정부재(11)를 앵커 금구(50) 등을 이용하여 조정부재(13)와 함께 바닥 슬라브(1)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분기 덕트(4)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7,7)끼리가 대향된 상태에서 단열재(22)의 상부에 세워 설치로 고정된다. 이 위치결정부재(1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사이드 커버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대향하는 양 사이드 커버(7,7)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천판(9)을 배치하고, 비스(52)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천판(9)을 상 플랜지부(24)에 고정한다. 또한, 주 덕트(2)와 분기 덕트(4)의 연결부의 코너부에는 접속금구(20)를 비스(52) 등을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 접속금구(20)에 의해, 주 덕트(2)와 분기 덕트(4) 사이를 간극이 없는 상태로 접속한다.
또한 분기 덕트(4)의 일부에는, 상기 천판(9)을 대신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노즐 고정판(16)을 배치한다. 이 노즐 고정판(16)을 배치하는 개소는, 천판(9)끼리의 사이에 필요한 간격을 띄워 둔다. 노즐 고정판(16)은, 좌우의 플랜지부(38,38)에서 각 사이드 커버(7,7)의 기판부(25)를 끼우는 상태로 부착하고, 천판부(36)의 양 단부를 각각 사이드 커버(7,7)의 상 플랜지부(24)에 비스(52) 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사이드 커버(7)의 상 플랜지부(24)와 노즐 고정판(16) 사이에 개스킷재를 개재시켜도 좋다. 그리고, 노즐 고정판(16)의 구멍부(17)에 분류 노즐(18)의 기부(4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꽂아 넣어 부착한다. 이때, 분류 노즐(18)의 기부(42)에 링 스프링 등을 개재시켜, 분류 노즐(18)의 높이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한다. 아울러, 상기 천판(9)에 노즐 고정용의 구멍부를 형성하고, 이 구멍부에 분류 노즐(18)을 부착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좋다.
도 3은, 상기 덕트(3)를 분기 덕트(4)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의 바닥부에는, 바닥 슬라브(1)에 설치된 바닥 지지각(支持脚,56)의 상부의 받이부(58)에 바닥판(60)을 부설하여 바닥면(61)을 형성한다. 이 바닥부에는, 바닥 슬라브(1)와 바닥판(60) 사이에 바닥 아래 공간부(62)가 형성되어, 여기에 덕트(3)로서 주 덕트(2) 및 분기 덕트(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덕트(3)의 시공 후, 계속해서 바닥부의 시공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분기 덕트(4)의 상부에 배치된 분류 노즐(18)은, 그 방사부(44)가 바닥판(60)의 이면부에 위치한다. 이 분류 노즐(18)은, 방사부(44)의 방사구(46)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의 바닥판(60)의 이면을 향해서 공조 공기를 내뿜어 바닥 아래 및 바닥 위(실내)의 공조를 행한다.
도 4는, 상기 덕트(3)를 바닥 아래 공간부(62)에 배치한 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주 덕트(2)를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좌우의 각 주 덕트(2)로부터 분기된 분기 덕트(4)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주 덕트(2)에는 공조기기(64)가 연결되어, 난방, 냉방 등의 공조 공기를 송출한다. 상기 분기 덕트(4)는, 양측을 각각 주 덕트(2)에 연결하여 쌍방으로부터 공조 공기를 보냄으로써, 분기 덕트(4)의 각 분류 노즐(18)로부터 균일하게 공조 공기가 내뿜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체육 시설과 같은 큰 공간을 비롯하여, 사무실, 학교, 점포, 나아가서는 주택 등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사이드 커버와 천판을 기본으로 한 간단한 구조를 채용했으므로, 덕트의 조립이 용이하고 전문적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현장에서는 바닥 시공업자만으로 바닥부 및 덕트의 양쪽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시공 공정의 일원화가 도모되어, 공사기간 조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고, 비용삭감에도 기여한다. 또한, 시공 공정의 일원화에 의해, 바닥 아래 공조의 스페이스의 레이아웃 및 덕트의 배치 형태의 자유성을 높일 수 있어 현장의 요구에 적격(適格)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특별한 전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을 삭감할 수 있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덕트에 대해서는, 천판의 가로폭의 사이즈를 조정함으로써, 송풍 용량을 현장에서 조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시공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현장에 적합한 덕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덕트로의 분류 노즐의 부착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뛰어나고, 또한 덕트 형태의 자유도 및 분류 노즐의 높이 조정에 의해 바닥 아래 공간이 낮은 저상 플로어에도 대응 가능하고 자유성도 뛰어나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 덕트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덕트에 저판(底板)이 추가된 점 및 분류 노즐의 부착 구조가 상이하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를 형성하는 덕트(103)는, 주 덕트(102) 및 이 주 덕트(10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 덕트(104)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 덕트(102)는,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6,6), 천판(8), 위치결정부재(10), 저판(110), 조정부재(12) 및 보강금구(14) 등을 갖는다. 상기 분기 덕트(104)에 대해서도,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7,7), 천판(9), 위치결정부재(11), 저판(111) 및 조정부재(13)를 갖고, 또한 도입 덕트 부착판(116)을 갖는다.
상기 저판(110,111)은 장방형상의 강판이다. 여기에서는 주 덕트(102)의 저판(110)은, 분기 덕트(104)의 저판(111)보다 가로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 구조에서는, 덕트(103)내의 공동을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송풍량에 따라서, 천판(8,9) 및 저판(110,111)의 폭의 크기를 조정하여 공동을 확대 축소하고, 다른 사이드 커버 등은 공용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송풍량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덕트(103)는, 사이드 커버(6,7)와 천판(8,9) 및 저판(110,111)에 의해, 덕트내의 송풍로의 측부, 상부 및 하부의 사방의 벽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03)는 바닥 슬라브(1)의 상부에 부설된 시트 형상의 단열재(22)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덕트(103)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강재 이외에 현장의 환경 등에 따라서 스테인리스재 혹은 알루미늄재 등의 금속원,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노즐(118)은, 중앙에 공기의 도입구를 갖는 중공 원판 형상의 기판부(142), 및 이 상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방사부(144)를 갖고, 이 방사부(144)의 상단부 근방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개구된 방사구(1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사부(144)의 상단부에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좌우에 고정부(147)를 갖는 상판부(14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도입 덕트(120)는, 코일 스프링에 불연성의 시트재를 씌워 부착한 것으로 자유로이 굴곡 가능한 플렉시블 덕트이며, 분기 덕트(주 덕트) 등으로부터 공조 공기를 도입하는 덕트이다.
상기 덕트(103)는, 주로 사이드 커버(6,7), 천판(8,9) 및 저판(110,111)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그대로 현장에 반송된 후, 현장에서 덕트(103)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덕트 구조는, 접속부 시공에 전용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덕트(103)를 형성하는 각 부재는 용이하게 현장에서의 가공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장 가공에 의해 접속을 행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공사는, 덕트 공사업자를 대신하여 바닥 공사업자가 시공함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의 현장에서의 시공 순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순서와 대략 동일하고, 여기에서는 주로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실내의 바닥 슬라브(1)에 단열재(22)를 부설하고, 이 위에, 주 덕트(2)의 조립을 위해 소정 길이의 두 개의 사이드 커버(6,6)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또한 상하 플랜지부를 대향시켜 배치한다.
그리고, 양 사이드 커버(6,6)의 하부 사이에 걸쳐서 상기 조정부재(12)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또한, 저판(110)을 양 사이드 커버(6,6) 사이에 배치하고, 그 양 단부를 각각 좌우의 각 하 플랜지부(26,26)의 상부에 재치한다.
또한, 상기 저판(110)의 상부에 상기 위치결정부재(10)를 배치한다. 이 위치결정부재(10)는, 양 사이드 커버(6,6) 사이에 걸쳐, 또한 상기 조정부재(12)의 상방에 저판(110)을 사이에 두고 겹쳐지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위치결정부재(10)의 저면부(30)를, 앵커 금구(50)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저판(110), 조정부재(12)와 함께 바닥 슬라브(1)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대향하는 양 사이드 커버(6,6)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천판(8)을 배치하고, 비스(52) 등의 고정 부착구를 이용하여 천판(8)을 상 플랜지부(24)에 고정한다. 또한, 천판(8)의 상부에 보강금구(14)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분기 덕트(104)의 조립에 대해서도, 주 덕트(102)의 조립과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의 두 개의 사이드 커버(7,7)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이들 하부에 조정부재(13)를 배치하여 사이드 커버(7,7)간의 간격을 조정한다.
또한 저판(111)을, 양 사이드 커버(6,6)사이에 배치하고, 그 양 단부를 각각 좌우의 각 하 플랜지부(26,26)의 상부에 재치한다.
또한, 상기 저판(111)의 상부에 상기 위치결정부재(11)를 배치하고, 이 위치결정부재(11)의 저면부(30)를 앵커 금구(50)를 이용하여 저판(111), 조정부재(13)와 함께 바닥 슬라브(1)에 고정한다. 그리고, 대향하는 양 사이드 커버(7,7)의 상 플랜지부(24,24) 사이에 천판(9)을 배치하고 고정한다.
또한 분기 덕트(104)의 사이드 커버(7)에 대해서, 그 기판부(25)의 소정 위치(미리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다)에 도입 덕트 부착판(116)을 비스 등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이 도입 덕트 부착판(116)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의 도입구(117)에 도입 덕트(120)를 연결한다. 이 도입 덕트(120)의 선단부에는, 분류 노즐(118)이 부착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덕트(103)를 분기 덕트(104)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의 바닥부에 부설된 바닥판(60)의 이면(63)에 상기 분류 노즐(118)을 부착한다.
이 분류 노즐(118)은, 그 상판부(148)에 설치한 고정부(147)에 비스 등의 고정 부착(119)을 이용하여 바닥판(60)의 이면(63)에 고정된다. 이 분류 노즐(118)은, 방사부(144)의 복수의 방사구(146)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의 바닥판(60)의 이면(63)을 향해 공조 공기를 내뿜어 바닥 아래 및 바닥 위(실내)의 공조(복사)를 행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덕트의 조립이 용이하고 전문적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현장에서는 바닥 시공업자만으로 바닥부 및 덕트의 양쪽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시공 공정의 일원화가 도모되어, 공사기간 조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비용 삭감에도 기여한다. 또한, 시공 공정의 일원화에 의해, 바닥 아래 공조의 스페이스의 레이아웃 및 덕트의 배치 형태의 자유성을 높일 수 있어 현장의 요구에 적격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특별한 전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분류 노즐의 부착 위치를 비교적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주 덕트, 분기 덕트)의 단면을 직사각형상으로 했지만, 이는 그밖에, 성형 용이한 얇은 금속판 혹은 합성수지판 등을 이용함으로써 단면을 사다리꼴 형상, 혹은 마름모 형상 등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1 : 바닥 슬라브
3 : 덕트
6, 7 : 사이드 커버
8, 9 : 천판
10, 11 : 위치결정부재
18 : 분류 노즐
22 : 단열재
25 : 기판부
24 : 상 플랜지부
26 : 하 플랜지부
50 : 앵커 금구

Claims (4)

  1. 냉난방의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 아래 공간부에 배치된 덕트내로 유통시키고, 이 공조 공기를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거나, 혹은 분출구를 통해 실내로 내뿜는 공조 덕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바닥 슬라브의 상부에 부설되는 단열재와,
    평탄한 기판부, 이 기판부의 양 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굴곡된 상 플랜지부 및 하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상기 하 플랜지부를 아래로 하여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와,
    상기 하 플랜지부 사이에 재치(載置)되어, 앵커 금구(金具)로 바닥 슬라브에 고정 부착되는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양 사이드 커버의 상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부착구로 고정 부착되는 천판(天板)을 가지고,
    상기 덕트의 단면 형상의 크기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끼리의 간격, 및 상기 천판의 가로폭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사이드 커버의 각 하 플랜지부의 상부 사이에 저판(底板)을 배치하고, 이 저판의 상부에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부에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는 분류 노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기판부에 형성한 구멍부에 도입 덕트의 일단부(一端部)를 부착하고, 이 도입 덕트의 타단부(他端部)에 부착된 분류 노즐의 상단부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고정하여, 이 분류 노즐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판의 이면에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KR1020127004843A 2009-07-31 2010-07-29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KR101715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9721 2009-07-31
JP2009179721 2009-07-31
PCT/JP2010/062779 WO2011013743A1 (ja) 2009-07-31 2010-07-29 床下空調ダクト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30A KR20120041230A (ko) 2012-04-30
KR101715430B1 true KR101715430B1 (ko) 2017-03-10

Family

ID=4352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843A KR101715430B1 (ko) 2009-07-31 2010-07-29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10036B2 (ko)
KR (1) KR101715430B1 (ko)
WO (1) WO2011013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28B1 (ko)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782343B1 (ja) * 2019-08-09 2020-11-11 三井ホーム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の施工方法、空調ユニットおよび空調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7385A (ja) * 1999-07-15 2001-01-30 Tokai Waamu Kk 空調配管用ダクト
JP4236620B2 (ja) * 2004-08-31 2009-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空調ダク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5958Y2 (ja) * 1975-06-14 1983-08-13 大阪瓦斯株式会社 ソウフウダクト
JPS571242U (ko) * 1980-06-02 1982-01-06
JPH051843A (ja) * 1991-06-04 1993-0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ダクト
JP2626362B2 (ja) * 1991-11-05 1997-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変風量ダンパ装置
JP2523261Y2 (ja) * 1993-06-18 1997-01-22 日本ジャケット株式会社 配管保護ダクトの接続装置
JPH11210205A (ja) * 1998-01-28 1999-08-03 Nitto Boseki Co Ltd 床吹き出し方式の空調構造
JP3452875B2 (ja) 2000-07-14 2003-10-06 北上鉄工所有限会社 ダクトの固定構造
JP2003114044A (ja) 2001-10-05 2003-04-18 Babcock Hitachi Kk ダク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7385A (ja) * 1999-07-15 2001-01-30 Tokai Waamu Kk 空調配管用ダクト
JP4236620B2 (ja) * 2004-08-31 2009-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空調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10036B2 (ja) 2012-08-29
JPWO2011013743A1 (ja) 2013-01-10
WO2011013743A1 (ja) 2011-02-03
KR20120041230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2616A1 (en) H-shaped boot-to-register cover mounting adapter
KR101715430B1 (ko) 바닥 아래 공조 덕트 구조
JP2018119738A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2021179262A (ja) 給気制御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6908876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102221522B1 (ko) 작업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공조덕트를 갖는 공조 시스템
JPH1073310A (ja) 多機能カセット型空調ユニット
US11402121B2 (en) Insulated register box with boot rail adaptor
JP6777885B2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US10648695B2 (en) Insulated register box with boot rail adaptor
JP5317515B2 (ja) 換気システム
US20220275967A1 (en) Insulated register box assembly having radius clip disc
JP7071444B2 (ja) 空調システムに使用する送風パネル装置
JPH0618841U (ja) ダクト兼用天井パネルの連結構造
JP3878820B2 (ja) 換気装置
JP3874710B2 (ja) フロアパネル
JPH07109786A (ja) 梁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クト構造
JP5616726B2 (ja) 空調装置の取付構造、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WO2022209680A1 (ja) 取り付け金具、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放射空調装置
JP7143975B2 (ja) 空調チャンバ及び空調設備
JP3289402B2 (ja) ダクト兼用天井パネルの連結構造
JP5965209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機器設置構造
JP6228437B2 (ja) 建物の空調設備
JP2022061143A (ja) 空調システム
JP2021092335A (ja) 空調用分岐チャン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