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63B1 -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063B1
KR101503063B1 KR1020080064063A KR20080064063A KR101503063B1 KR 101503063 B1 KR101503063 B1 KR 101503063B1 KR 1020080064063 A KR1020080064063 A KR 1020080064063A KR 20080064063 A KR20080064063 A KR 20080064063A KR 101503063 B1 KR101503063 B1 KR 10150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platform
movable
vehicle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93A (ko
Inventor
끌라우드 뿌졸
Original Assignee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09000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3/00Tramwa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a lowering device for a part of the floo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측면(3) 사이에서 연장하는 출입용 플랫폼(4)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1)으로서,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은 측면 출입문(2)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용 플랫폼(4)은 적어도 하나의 승객 영역(6, 6')과 접하며 플레이트(5)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5)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 위치할 때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출입용 플랫폼(4)과 높이(Qi; i = 0, 1, 2, ..., n)를 갖는 철도 플랫폼(27) 사이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은 어떤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서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승객 영역(6, 6')과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수단(11,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 차량, 출입용 플랫폼, 가동식 플레이트, 출입문, 승객 영역

Description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RAILWAY VEHICLE AND DEVICE FOR ACCESSING SAID VEHICLE}
본 발명은 두 개의 측면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인접한 출입 플랫폼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출입 플랫폼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다양한 높이의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가동식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런 차량은 특허 출원 DE199149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 출원은 가동식 플레이트와 객실의 바닥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위치를 갖는 가동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하고 있다. 가동식 플레이트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객실의 바닥의 높이와는 다른 높이의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식 플레이트가 수직방향으로 변위될 때, 가동식 플레이트와 가동식 플레이트에 인접한 승객 영역의 바닥 사이에서 차량 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이런 차량은 가동식 플레이트와 인접한 승객 영역의 바닥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될 때 승객에게 위험을 부여하는 단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이들 단차부로 인 해,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가동식 플레이트에 진입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이 진입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의 나머지 부분으로 진입할 수 없으며, 이런 사람은 차량의 나머지 부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출입 플랫폼의 가동식 플레이트가 객실의 바닥과 동일한 평면 내에 재배치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플레이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종래 기술의 차량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도움 없이 모든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트랙이 굴곡되어 있는지 또는 굴곡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에 따라 역 내의 트랙의 경사가 변한다. 부가적으로, 차륜의 마모 및 차량 현가 장치의 압축은 차량의 하강 및 경사를 유발한다. 이들 변수를 고려하여, 수직방향 가동식 플레이트는 철도 플랫폼에 대해 더 크거나 더 작은 경사도를 갖는 난수적 위치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철도 플랫폼의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의 함수로서 차량으로부터 철도 플랫폼까지의 횡방향 거리가 변한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도움 없이 기차에 출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차량으로의 출입 영역과 기차 사이에 남겨진 공간은 각각 75mm, 바람직하게는 50mm 미만의 수평 및 수직 성분을 가져야만 한다. 이런 거리는 외부적 도움 없이 휠체어의 작은 바퀴가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종래 기술의 차량은 가동식 플레이트와 철도 플랫폼 사이에 남겨진 공간이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도움 없이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으로 항상 출입할 수 있게 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출입 플랫폼로부터 승객 영역으로의 양호한 출입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승객 영역으로의 독립적으로 출입성을 갖는 것을 보증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두 개의 측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출입 플랫폼를 포함하고, 측면 중 적어도 하나가 측방향 출입문을 포함하고, 출입 플랫폼는 적어도 하나의 승객 영역에 인접하고, 출입 플랫폼는 가동식 플레이트가 승차/하차 위치에 배치될 때,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높이(Qi)의 철도 플랫폼으로부터/철도 플랫폼으로, 출입 플랫폼에 진입하게/출입 플랫폼를 벗어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가동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며, 상기 차량은 승차/하차 위치(Ei) 중 어느 쪽에서든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상기 승객 영역과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 차량은 단독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취한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 통로 수단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와 승객 영역의 고정식 플로어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 통로 수단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식 플로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식 플로어이다.
- 가동식 플로어는 가동식 플레이트와 고정식 플로어 사이에 종방향 램프를 형성하도록 가동식 플레이트와 고정식 플로어에 결합된다.
- 상기 램프의 경사는, 가동식 플레이트가 승차/하차 위치(Ei)와 승차 위치(Ej) 사이에서 수직으로 변위 함에 따라 변동되고, 여기서 i는 j는 상이하다.
- 출입용 플랫폼은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조정 수단에 대향하여 높이(Qi)에 위치된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차량(1)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용이한 출입을 제공한다.
- 조정 수단은 가동식 플레이트와 측방향 출입문 사이에 연장하는 가동식 팰럿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식 팰럿은 대체로 수평한 종축을 중심으로 가동식 플레이트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 조정 수단은 가동식 팰럿과 철도 플랫폼 사이의 거리를 한정하기 위한 적절한 폐쇄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용 플랫폼을 포함하는 출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출입용 플랫폼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가 승차/하차 위치에 위치된 경우 높이(Qi)에 있는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출입용 플랫폼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가동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 승차/하차 위치(Ei)와 무관하게 승객 영역과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 사이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용 장치는 단독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취한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 상기 출입용 장치는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와 철도 플랫폼 사이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 통로 수단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와 승객 구역의 고정식 플로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식 플로어이고, 상기 가동식 플로어는 가동식 플레이트와 고정식 플로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용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철도 플랫폼을 감지하는 단계와,
- 상기 가동식 플로어와 조정 수단에 의해 형성된 램프가 8% 이하인, 출입용 장치의 가장 적합한 배열을 산출하는 단계와,
- 가동식 플레이트를 승차 위치(Ei)로 가져오는 단계와,
- 조정 수단이 출입용 플랫폼으로부터 철도 플랫폼으로 거리를 감소시키는 조정 위치에 철도 플랫폼에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수단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명세서의 기재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1)은 서로 대향하고 차량의 2개의 측벽(3, 3')에 위치되는 2개의 문(2, 2')을 포함한다.
차량은 출입문(2, 2')의 전체 폭에 걸쳐 종방향으로 그리고 2개의 측벽들(3, 3')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입용 플랫폼(4)을 포함하는 출입용 장치(26)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 1개의 측면(3)은 출입문(2)를 포함하며, 그 뒤에 플랫폼(4)이 연장된다.
플랫폼(4)은 수직으로의 가동식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수직으로의 가동식"은 플레이트가 차량의 새시(25)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5)는 출입용 플랫폼(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가동식 플레이트(5)는 2개의 조정 수단들(18, 18')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정 수단들(18, 18')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출입문(2, 2') 사이에서 각각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5)는 출입용 플랫폼(4)의 종방향 부분을 차지한다.
변동에 의해, 플레이트(5)는 출입용 플랫폼(4)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승객 영역들(6, 6')은 출입용 플랫폼(4)의 양측에 제공된다. 승객 영역들(6, 6')은 시트(9)뿐만 아니라, 화장실(10) 및 순환 구역(8, 8')을 포함하는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
승객 영역들(6, 6')은 종방향으로, 출입용 플랫폼(4)의 양측에 제공되는 통로 수단(11, 11')을 포함한다.
통로 수단(11, 11')은 각각 고정식 플로어(12, 12')에 결합된다. 고정식 플로어(12, 12')는 각각 승객 영역(6, 6') 내에서 출입용 플랫폼(4)의 양측에 배치된다.
통로 수단(11, 11')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 수단(11, 11')은 가동식 플로어이다.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각각과 고정식 플로어(12, 12')의 단부 사이에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동식 플로어(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고정식 플로어(12)의 단부와, 가동식 플레이트(5)의 제1 단부에서의 고정식 플로어(12)에 그리고 가동식 플레이트(5)와 결합된다. 가동식 플로어(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제2 단부에 대향하는 고정식 플로어(12')의 단부와, 가동식 플레이트(5)의 제2 단부에서의 고정식 플로어(12')에 그리고 가동식 플로어(5)에 결합된다.
"결합되는"은 가동식 플로어(11)에 의해 형성된 평면이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고정식 플로어(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면서 고정식 플로어(12) 및 가동식 플레이트(5)의 각각의 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이는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고정식 플로어(12')에 대한 가동식 플로어(1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관절 연결식 커플링, 볼 커플링 또는 탄성 커플링에 의해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고정식 플로어(12, 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링들은 가동식 플로어(11, 11')를 회전축(X1, X'1)을 중심으로 고정식 플로어(12, 12')에 대해 피봇시키고 회전축(X2, X'2)을 중심으로 가동식 플레이트(5)에 대해 피봇시키기에 적절하다.
축(x2 또는 x'2)은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5)의 단부를 따라 연장된다. 축(x1 또는 x'1)은 상기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에 결합되는 고정식 플로어(12 또는 12')의 단부를 따라 연장된다. 축(x'1 또는 x'2) 뿐만 아니라 축(x1 또는 x2)도 대체로 수평이고, 차량(1)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축(x2 또는 x'2)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축(x2 또는 x'2)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동시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변경예로서, 가동식 플로어(11)는 예를 들어 그들 사이에 활주식 커플링에 의해 고정식 플로어(12)에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동식 플로어(11)는 고정식 플로어(12)의 일 단부에 결합된 채로 고정식 플로어(12)의 아래로 활주할 수 있 다.
이하에서 더 정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로 수단(11 및 11')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가동식 플레이트(5)로부터 승객 영역(6 및 6')으로 또는 그 반대로 용이하게 출입하게 할 수 있는 통로 수단을 구성한다.
가동식 플레이트(5)와, 조정 수단(18 및 18')과, 통로 수단(11 및 11')을 구비하는 출입용 플랫폼(4)을 포함하는 출입용 장치(26)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다른 승객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승객 영역(6 및 6')과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기에 적절하다.
변경예로서, 차량(1)은 출입용 플랫폼(4)의 일 측 상에 배치되는 단지 하나의 승객 영역(6)을 포함한다. 이 구성으로, 차량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가동식 플레이트(5)와 승객 영역(6)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기에 적절한 단일 통로 수단(1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4)의 다른 측면은 차량(1)의 단부에 직접 결합된다.
다른 변경예에서, 차량은 두 개의 승객 영역(6 및 6') 중에서 통로 수단(11)을 구비하는 하나 만을 포함한다.
도2, 도3 및 도4는 도1에 도시된 절단 평면 II-II을 따라 취한 철도 차량(1)의 종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절단 평면 II-II은 차량(1)의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2는 가동식 플레이트(5)가 초기 위치(E0)에 있을 때 철도 차량(1)의 출입 용 장치(26)를 도시한다. 초기 위치(E0)에서, 가동식 플레이트(5)는 차량의 새시(25)에 대해 높이(he0)에 위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가동식 플레이트(5)는 출입용 플랫폼(4)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승객 영역(6 및 6')의 고정식 플로어(12, 12') 및 가동식 플로어(11, 11')와 동일평면이다.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0)에 있을 때,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Q1 미만의 높이(Q0)의 철도 플랫폼으로부터 도움을 받지 않고 차량에 출입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위치(E0)의 가동식 플레이트는 다음의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높이(Q0)의 철도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로, 또는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차량(1)이 높이(Q1)에 있는 철도 플랫폼(27)의 스테이션에 도착할 때, 가동식 플레이트(5)는 위치(E0)에 있다.
도3은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차 위치(E1)에 있는 철도 차량(1)을 도시한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Q0보다 큰 높이(Q1)의 철도 플랫폼(27)으로부터 그리고 철도 플랫폼으로 쉽게 승차/하차할 수 있도록, 가동식 플레이트(5)는 높이(he0)의 위치(E0)로부터 높이(he1)의 승차/하차 위치(E1)로 수직으로 변위되었다. 차량 의 새시(25)에 대한 가동식 플레이트(5)의 높이(he1)는 높이(he0)보다 크다.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차/하차 위치(E1)에 있을 때, 승객 영역(6 및 6')의 고정식 플로어(12 또는 12')의 부분들은 각각 동일평면이 아니다.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1)에 있을 때,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또는 12') 각각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는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경사져있다. 가동식 플로어(11, 11') 각각은 그것들이 결합되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단부와, 그것들이 결합되는 고정식 플로어(12 또는 12') 각각의 단부 사이에 하향 종방향 경사를 형성한다.
고정식 바닥(12 및 12') 사이의 가동식 플로어(11 및 11')에 의해 형성된 램프와 가동식 플레이트(5)는 각각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가동식 플레이트(5)로부터 고정식 바닥(12 및 12') 또는 이와 반대로 출입하도록 한다.
가동식 플레이트(5)로부터 고정식 바닥(12 및 12')으로 통로 수단을 형성하는 가동식 플로어(11 및 11')은 가동식 플로어(3)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차 위치(E1; i= 0, 1, 2, 3, ...r)에 있고 고정식 바닥 구역(12 및 12')과 동일 평면에 있지 않은 때에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가동식 플레이트(5)와 순환 구역(8)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장점이다.
도4는 철도 차량(1)의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2)에 있을 때의 출입용 장치(26)를 도시한다. 승차/하차 위치(E2)에서, 가동식 플레이트(5)는 차량의 새 시(25)에 대해 높이(he2)에 위치한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Q1보다 큰 높이 Q2의 철도 플랫폼(27)으로부터 차량으로 출입하도록 높이(he2)는 높이(he1)보다 크다.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2)에 있을 때,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바닥(12 및 12') 사이의 높이 차이는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1)에 있을 때보다 크며, 따라서, 가동식 플로어(11 및 11')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 램프는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1)에 있을 때보다 가파른 경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계단이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 형성되지 않고, 가동식 플레이트(5)로 출입하려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승객 구역(6 및 6')으로 출입가능한 위치(E0)에 있는 가동식 플레이트(5)를 기다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차량에 승차할 때 차량(1)의 승객들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승객 구역(6 또는 6')에 위치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가동식 플레이트(5)로 출입하기 이전에 고정식 바닥(12 및 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가동식 플레이트(5)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또한, 계단이 승객 구역(6 또는 6')의 고정식 바닥(12 및 12')과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 및 철도 차량의 다른 사용자들이 추락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은 관절식 커플링(x2 또는 x'2)에 의해 가동식 플레이트(5)에 결합되며, 축(x1 또는 x'1)의 관 절식 커플링에 의해 고정식 바닥(12 또는 12')에 결합된다.
가동식 플레이트(5)가 초기 승차/하차 위치(Ei)와 승차 위치(Ej; i는 j와 다름)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할 때,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은 축(x2 및 x1, 또는 x'2 및 x'1)의 주위에서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고정식 바닥(12 또는 12')에 대하여 피봇이동함으로써,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의 경사가 변화한다.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은 상기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정 수단(13 또는 13')을 포함한다.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의 경사 변화할 때,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은 예컨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바닥(12 또는 12') 사이의 영구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확장 구역(13 또는 13')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은 관절식 커플링 수단에 의해 가동식 플레이트(5)에 결합되고, 가동식 플레이트(5)가 수직으로 위치할 때 고정식 바닥(12 또는 12') 아래로 활주가능하다.
가동식 플로어 구역(11 및 11')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이러한 구역에서 이동하도록 충분히 넓은 것이 양호하다.
유리하게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승차 위치(Ei)의 높이가 얼마든 간에,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과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에 의해 결합된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고정식 플로어(12 또는 12')의 단부를 분리하는 길이(L)는, 항상 10% 미만, 양호하게는 8% 미만 및 특히 양호하게는 4% 내지 8%인 이러한 2개 단부 사이 에서 종방향 램프가 가동식 플로어(11 또는 11')에 의해 형성되기에 충분하다. 사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독립적인 이동은 경사가 작을 때 촉진된다.
도5 및 도6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도3 및 도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수직 평면(V-V)에 따른 차량의 횡방향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5에서, 조절 수단(18, 18')은 휴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출입용 플랫폼(4)은 조절 수단(18, 18')에 대향하여 위치된 선로 플랫폼(27)과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서 승객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합한 조절 수단(18, 18')을 포함한다. 조절 수단(18, 18')은 출입용 플랫폼(4)을 선로 플랫폼(27)으로부터 분리하는 수직 거리(n) 및/또는 수평 거리(m)를 제한함으로써 출입용 플랫폼(4)을 선로 플랫폼(27)에 보다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수단(18, 18')은 선로 플랫폼(27)과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의 통로를 형성한다.
조절 수단(18, 18')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측방향 출입문(2, 2')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 팰릿(19, 19')을 포함한다.
가동 팰릿(19, 19')은 면(2, 2')에 대향하여 위치된 선로 플랫폼(27)과 출입용 플랫폼(4) 사이의 수직 거리(n)를 조절할 수 있다.
가동 팰릿(19, 19')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수평 축(y, y') 주위로 가동식 플레이트(5)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축(y, y')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가동 팰릿(19, 19')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축(y, y')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팰릿(19, 19')의 선회는 가동 팰릿(19, 19')을 가동식 플레이트(5)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결합 수단은 관절식 또는 탄성 또는 선회형이다.
조절 수단(18, 18')은 측방향 출입문(2, 2')에 대향하여 배치된 선로 플랫폼(27)과 출입용 플랫폼(4) 사이의 갭을 막을 수 있는 폐쇄 수단(20, 20')을 포함한다. 폐쇄 수단(20, 20')은 측방향 출입문(2, 2')에 대향하여 배치된 선로 플랫폼(27)에 대한 출입용 플랫폼(4)의 수평 거리(m) 및 수직 거리(n)를 감소시킬 수 있다.
폐쇄 수단(20, 20')은 가동 팰릿(19, 19') 아래에 고정된다. 폐쇄 수단(20, 20')은 가동 팰릿(19, 19') 아래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와, 차량으로부터 돌출되어 차량(1)과 선로 플랫폼(27) 사이에서 차량 외부로 연장하는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폐쇄 수단(20, 20')은 차량(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가동 팰릿(19, 19')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그 후퇴 위치로부터 그 전개 위치로 이동한다.
도5 및 도6은 선로 플랫폼(27) 다음에 배치된 차량을 도시하며, 선로 플랫폼(27)은 측방향 출입문(2')에 대향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높이(Q1)를 갖는 선로 플랫폼(27)에 대향하여 위치된 조절 장치(18')의 작동만이 설명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이 개방되기 전에, 가동식 플레이트(5)는 적재/적하 위치(E1)에 있으며, 조절 장치(18')는, 가동 팰릿(19')이 가동식 플레이트(5)와 동일 평면이고 폐쇄 수단(20)이 완전히 가동 팰릿(19')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휴지 위치에 있다. 상기 위치에서, 출입용 플랫폼(4), 즉, 선로 플랫폼(27)에 대면하는 가동 팰릿(19')의 단부는 선로 플랫폼(27)으로부터 수평 거리(m) 및 수직 거리(n)에 위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차량에 들어오거나 차량을 떠날 수 있도록 문(22')이 개방되면, 조절 장치(18')는, 가동 팰릿(19')이 가동식 플레이트(5)에 대해 경사지고 폐쇄 수단(20')이 전개되어 가동 팰릿(19')의 연장부로서 배치되는 조절 위치에 있다.
출입용 플랫폼(4)은 선로 플랫폼(27)으로부터 수평 거리(m') 및 수직 거리(n')에 위치된다. 거리(n', m')는 거리(n, m)보다 작으며, 양호하게는 75 밀리미터 이하인데, 이는 선로 플랫폼(27)과 출입용 플랫폼(4) 사이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조정 수단(18')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철도 플랫폼(27) 사이에서 연장하는 횡단 램프를 형성한다.
가동식 플레이트(5)와 측면(3) 사이에 연장하는 조정 수단(18)은 출입용 플랫폼(27)에 대향하여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도5 및 도6에서 그 휴지 위치 내에 있다.
실시예에서, 조정 수단(18')은 가동식 플로어(12, 12')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위치(E0)에 대한 가동식 플레이트(5)의 수직 이동의 진폭을 제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식 플레이트(5)는 승객들이 철도 플랫폼(27)의 높이(Q1) 에서 차량(1)에 대해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높이(h1)보다 적은 샤시(25)에 대한 높이(h'1)에서 승차/하차 위치(E'1)에서 배치될 수 있다. 철도 플랫폼(27)과 출입용 플랫폼(4) 사이의 거리는 조정 수단(18')에 의해 감소된다.
이 실시예는, 가동식 플레이트(5)가 위치(E1)에 있는 상황에 대하여,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차 위치(E'1) 내에 있을 때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에 가동식 플로어(11, 11')에 의해 형성된 램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면서 철도 플랫폼(27)의 높이(Q1)와 출입용 플랫폼(4) 사이에 승객이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장점을 갖는다.
승차/하차 위치(E0) 내에 배치된 가동식 플레이트(5)를 갖는 차량(1)에 대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접근 및 나감과, 차량(1)이 소정 높이(Q1)에서 철도 플랫폼(27)을 갖는 스테이션에서 멈출 때 차량(1) 내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을 촉진하는 방법을 이제 기술할 것이다.
차량(1)이 소정 스테이션에서 멈출 때, 출입용 장치(26)의 위치설정은 작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 수단은 출입문에 밀접한 측면 상의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된 푸시-버튼을 포함한다. 푸시-버튼은 감소된 거동이 불편한 사람 또는 임의의 다른 승객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입용 장치(26)의 위치 설정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차량의 드라이버의 캐빈 내에 배치된 원거리 제어 또는 제어 장치이며, 이것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 의해 그리고 차량(1)의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출입용 장치(26)의 위치 설정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내장형 컴퓨터(도시 생략)에 대한 출입용 장치(26)의 위치설정을 위한 명령을 보내고, 이것은 아래에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시킨다.
차량(1)은 철도 플랫폼(27)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24)을 포함한다. 검출 수단(24)은, 예를 들어, 적외선 빔, 카메라 또는 레이저이다.
출입용 장치의 작동을 위한 명령이 내장형 컴퓨터(28)에 보내질 때, 검출 수단(24)은 철도 플랫폼(27)을 검지하고 철도 플랫폼(27)으로부터 플랫폼(4)을 분리하는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기(25)로 정보를 전송한다. 계산기(25)는 철도 플랫폼(27)과 승객 영역(6, 6') 사이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최적 이동을 허용하도록 출입용 장치(26)의 최상의 구성을 계산한다.
출입용 장치(26)의 최상의 배열은 가동식 플레이트(5)의 수직 위치와 조정 수단(18, 18')의 위치가 출입용 플랫폼(4)으로부터 철도 플랫폼(27)까지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되고, 가동식 플레이트(5) 및 가동식 플로어(11, 11')에 의해 형성된 램프가 8%를 초과하지 않는 절충안이다.
양호하게, 조정 수단(18')에 의해, 그리고 더욱 정확하게는 이동식 팰릿(19') 및 폐쇄 수단(20')에 의해 형성된 램프의 기울기는 8%를 초과하지 않는다.
철도 플랫폼(27)에 대향하는 문(2')은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하차할 수 있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부 리프(22')를 포함한다. 하부 리프(23')는 상부 리프(22') 알로 연장된다. 하부 리프(23')는 조정 장치(18')가 조정 위치로 위치 선정하도록 차량의 상부 리프(22')와 차체 사이의 빈 공간을 남기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수평 종축을 중심으로 피벗하기에 적합하다.
연산기(25)는 기내 탑재 컴퓨터에 출입용 장치의 최선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동시에, 출입용 장치(26)의 최선의 배치를 연산할 때, 연산기(25)는 조정 수단(20')의 연장이 자유롭게 공간을 남겨두도록 문(2')의 하부 리프(23')가 낮아지게 지시한다.
폐쇄 수단이 전개된 위치 내로 도입될 때, 폐쇄 수단은 차량과 철도 플랫폼 사이에서 차량으로부터 돌출하면, 기내 탑재 컴퓨터(28)는 차량이 트랙 상에서 이동하고 있을 때 조정 장치(20')가 전개되지 않도록 후퇴 정보와 연산기(25)로부터의 유입된 정보를 조합한다.
이는 조정 장치(20')가 철도 플랫폼(27)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기내 탑재 컴퓨터(28)는 승차 위치(E1)에 가동식 플레이트(5)를 위치시키기 위한고 조정 위치에 조정 수단(18')을 두기 위한 방식으로 가동식 플레이트(5 구동 수단 및 철도 플랫폼(27')에 대향하는 조정 수단(18')을 작동시킴으로써 출입용 장치(26)의 위치 선정을 지시한다.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수직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수단(미도시)은, 예를 들어 공압식 수단, 유압식 수단 또는 전기식 수단이다.
물론, 객실(11)은 가동식 플레이트(5)를 차량의 일 단부에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차량에 또한 적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고정식 플로어(12)는, 예를 들어 차량의 상호 순환 구역 또는 상기 단부 내에 위치된 플로어이다.
출입용 플랫폼(4)의 각각의 측부 상에 배치된 플로어들(12, 12')은 차량(1)의 섀시(25)에 대해 상이한 높이들로 연장하는 차량에 적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2는 차량(1)의 종방향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절단면(Ⅱ-Ⅱ)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1)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승차/하차 위치(E0)에 배치된 가동식 플레이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차량(1)의 종방향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절단면(Ⅱ-Ⅱ)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1)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승차/하차 위치(E1)에 배치된 가동식 플레이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용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차량(1)의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삭 평면(II-II)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1)의 종단면의 개략도이고, 위치(E2)에 배치되는 가동식 플레이트인 본 발명에 따른 출입용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평면(V-V)에 따른 차량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휴지 위치에서 철도 플랫폼으로부터의 차량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3 및 도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평면(V-V)에 따른 차량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조정 위치에서 철도 플랫폼으로부터의 차량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도 차량
2: 출입문
4: 출입용 플랫폼
5: 가동식 플레이트
6, 6': 승객 영역
11, 11': 통로 수단
12, 12': 고정식 플로어
18, 18': 조절 수단
27: 철도 플랫폼

Claims (12)

  1. 2개의 측면(3) 사이에서 연장하는 출입용 플랫폼(4)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1)으로서,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은 측면 출입문(2)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용 플랫폼(4)은 적어도 하나의 승객 영역(6, 6')과 접하며 가동식 플레이트(5)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 위치할 때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출입용 플랫폼(4)과 높이(Qi; i = 0, 1, 2, ..., n)를 갖는 철도 플랫폼(27) 사이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은 어떤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서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승객 영역(6, 6')과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수단(11,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수단(11, 11')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와 승객 영역(6, 6')의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수단(11, 11')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와 상기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식 플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12')에 연결되어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에 종방향 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하차 위치(Ei)와 승하차 위치(Ej) 사이에서 수직으로 변위될 때(i와 j는 상이함) 상기 램프의 기울기는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출입용 플랫폼(4)은 조절 수단(18, 18')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수단(18, 18')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조절 수단(18, 18')에 대향하여 놓인 높이(Qi; i = 0, 1, 2, ..., n)를 갖는 철도 플랫폼(27)으로부터 상기 차량(1)으로 승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18, 18')은 가동식 플레이트(5)와 측면 출입문(2, 2') 사이에서 연장하는 가동 팰릿(19, 19')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팰릿(19, 19')은 수평인 종축선(y, y')을 중심으로 가동식 플레이트(5)에 대해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18, 18')은 가동 팰릿(19, 19')과 철도 플랫폼(27) 사이의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폐쇄 수단(20,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9. 출입용 플랫폼(4)을 포함하는 출입 장치(26)로서, 상기 출입용 플랫폼(4)은 가동식 플레이트(5)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가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 위치할 때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출입용 플랫폼(4)과 높이(Qi; i = 0, 1, 2, ..., n)를 갖는 철도 플랫폼(27) 사이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 장치(26)에 있어서,
    상기 출입 장치(26)는 가동식 플레이트(5)의 어떤 승하차 위치(Ei; i = 0, 1, 2, ..., n)에서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승객 영역(6, 6')과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수단(11, 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와 철도 플랫폼(27)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조절 수단(18, 18')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수단(11, 11')은 상기 가동식 플레이트(5)와 승객 영역(6, 6')의 고정식 플로어(12, 12')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식 플로어이며, 상기 가동식 플로어(11, 11')는 가동식 플레이트(5)와 고정식 플로어(12, 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장치.
  12. 제10항에 따른 출입 장치(26)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철도 플랫폼(27)을 탐지하는 단계와,
    조절 수단(18, 18')과 가동식 플로어(11, 11')에 의해 형성된 램프의 기울기가 8%보다 작도록 출입 장치(26)의 최적 배열을 계산하는 단계와,
    가동식 플레이트(5)를 승하차 위치(Ei)로 이동하는 단계와,
    조절 수단(18, 18')이 출입용 플랫폼(4)으로부터 철도 플랫폼(27)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조절 위치에 적어도 철도 플랫폼(27)에 대향하여 위치된 조절 수단(18, 18')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장치의 위치 조절 방법.
KR1020080064063A 2007-07-02 2008-07-02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KR101503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4764A FR2918339A1 (fr) 2007-07-02 2007-07-02 Vehicule ferroviaire et dispositif d'acces audit vehicule
FR07/04764 2007-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93A KR20090004693A (ko) 2009-01-12
KR101503063B1 true KR101503063B1 (ko) 2015-03-16

Family

ID=3904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63A KR101503063B1 (ko) 2007-07-02 2008-07-02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8976B2 (ko)
EP (1) EP2011714B1 (ko)
JP (1) JP2009012760A (ko)
KR (1) KR101503063B1 (ko)
ES (1) ES2395573T3 (ko)
FR (1) FR2918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8339A1 (fr) * 2007-07-02 2009-01-09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et dispositif d'acces audit vehicule
US8457925B1 (en) * 2009-05-19 2013-06-04 Hunter Enginee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of vehicle wheel alignment measurements
DE102011000820B4 (de) * 2011-02-18 2012-09-06 Telair International Gmbh Frachtlade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Vielzahl von Frachtfördereinrichtungen
DE102013201356A1 (de) * 2013-01-29 2014-07-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nenfahrzeug
FR3003223B1 (fr) 2013-03-12 2015-04-10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pourvu d'un dispositif d'acces
US8967669B2 (en) 2013-05-24 2015-03-03 Champion Bus, Inc.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8936275B2 (en) 2013-05-24 2015-01-20 Champion Bus, Inc. Retractable steps for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10112541B2 (en) 2015-02-20 2018-10-30 Champion Bus, Inc. Low-floor drop fram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DE102016207263B3 (de) * 2016-04-28 2017-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Fahrzeu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US10196074B2 (en) * 2016-05-12 2019-02-05 Trinity Rail Group, Llc Railcar safety appliances
DE102017206495A1 (de) * 2017-04-18 2018-10-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iveaugleichen Einstiegs für unterschiedliche Bahnsteighöhen
DE102017217223A1 (de) * 2017-09-27 2019-03-28 Siemens Mobility GmbH Fahrzeug zur Personenbeförderung
US11787447B2 (en) 2019-03-31 2023-10-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CN112726436B (zh) * 2021-01-06 2022-09-06 江苏鑫环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式路面交通站台乘客用脚踏装置
CN113085905B (zh) * 2021-05-11 2022-06-14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站台通行***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630A (en) 1977-11-28 1981-06-02 Collins Industries, Inc. Automatic lift assembly
DE10113074A1 (de) * 2001-03-15 2002-09-19 Mbb Liftsystem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brücken von Niveauunterschieden
FR2873635A1 (fr) 2004-08-02 2006-02-03 Ceit Entpr S Soc Par Actions S Systeme de rampe d'acces a un quai pour materiel roulant, notamment ferroviaire
EP1787883A1 (en) * 2005-11-17 2007-05-23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ehicle with two level acces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034A (en) * 1956-09-27 1961-04-18 Harty Ralph Vincent Operating mechanism for cover device
US3006008A (en) * 1956-10-12 1961-10-31 Loomis Machine Company Dock board construction used as self adjusting bridge between truck and dock
US3730361A (en) * 1971-07-28 1973-05-01 Zink R Vehicle ramp
US3892088A (en) * 1973-05-03 1975-07-01 Warren O Fleenor Door mounting for cargo handling mechanism
US4016991A (en) * 1974-04-10 1977-04-12 Oldford William G Railway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4273498A (en) * 1979-11-07 1981-06-16 The Budd Company Railway car trap door lift
US4685860A (en) * 1983-12-23 1987-08-11 Mcfarland Robert E Apparatus for loading a wheelchair or similar object
US4559659A (en) * 1984-01-31 1985-12-24 Paralyzed Veterans Of America Power operated wheelchair ramp
US4616957A (en) * 1984-06-08 1986-10-14 Burrows Larry N Pipeline padding machine
DE3506723A1 (de) * 1985-02-26 1986-09-04 Kurt 3015 Wennigsen Alten Ueberfahrbruecke
JPS6259607U (ko) * 1985-10-03 1987-04-13
JPH0725304B2 (ja) * 1986-09-12 1995-03-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GB8716996D0 (en) * 1987-07-18 1987-08-26 Joloda Loading Systems Ltd Cargo space utilisation
US5006034A (en) * 1988-05-27 1991-04-09 Halliburton Company Lifting apparatus
DE4032892C1 (ko) * 1990-10-17 1992-04-02 Alten Geraetebau Gmbh, 3015 Wennigsen, De
US5165839A (en) * 1990-10-24 1992-11-24 Hogan Mfg. Wheelchair lift for railway cars
US5230288A (en) * 1990-11-29 1993-07-27 Renfe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swingable platform for wheelchair bound passengers
US5314290A (en) * 1991-10-04 1994-05-24 Lutz David E Cargo carrying vehicle having a movable bulkhead located therein
US5375962A (en) * 1992-05-15 1994-12-27 Hogan Mfg., Inc. Enclosed passenger lift suitable for use in a vehicle having a fixed passenger access step
FR2693421B1 (fr) * 1992-07-10 1994-08-19 Alsthom Gec Dispositif facilitant l'accès à un véhicule ferroviaire.
US5641262A (en) * 1996-01-17 1997-06-24 Woodbine Manufacturing Direct lift
DE19641800A1 (de) * 1996-10-10 1998-04-23 Hering Gmbh & Co Kg Verwaltung Modularer Bahnsteigbausatz
NL1005456C2 (nl) * 1997-03-06 1998-09-08 Harry Nijenhuis Management B V Spoorterminal voor containers en spoorwagon.
DE19803991C2 (de) * 1998-02-02 2002-01-31 Juergen Rauch Flexibles Bahnsteigtürensystem
US6105905A (en) * 1999-01-25 2000-08-22 Spence; Roy Railway gate system
DE19914965B4 (de) * 1999-04-01 2007-07-12 Alstom Lhb Gmbh Personen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CA2378914C (en) * 1999-07-08 2007-11-20 Aai Corporation Passenger rail car sliding door with high platform threshold
US6443072B2 (en) * 1999-07-22 2002-09-03 Tekdata Inc. Dual level access door system for railway vehicles
JP4130293B2 (ja) * 2000-05-19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FR2865700B1 (fr) * 2004-02-04 2006-05-05 Alstom Transport Sa Seuil de porte d'acces a l'interieur d'un vehicule ferroviaire.
US20050223933A1 (en) * 2004-03-19 2005-10-13 Patrick Crosbie Over-way platforms for transportation systems
US20080134930A1 (en) * 2006-12-07 2008-06-12 Drago Joseph J Train car compensator for platform gap spacing
FR2918339A1 (fr) * 2007-07-02 2009-01-09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et dispositif d'acces audit vehicule
FR2928601B1 (fr) * 2008-03-11 2011-09-09 Alstom Transport Sa Voiture de vehicule ferroviaire facilitant l'acces aux voyageurs a mobilite redu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630A (en) 1977-11-28 1981-06-02 Collins Industries, Inc. Automatic lift assembly
DE10113074A1 (de) * 2001-03-15 2002-09-19 Mbb Liftsystem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brücken von Niveauunterschieden
FR2873635A1 (fr) 2004-08-02 2006-02-03 Ceit Entpr S Soc Par Actions S Systeme de rampe d'acces a un quai pour materiel roulant, notamment ferroviaire
EP1787883A1 (en) * 2005-11-17 2007-05-23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ehicle with two level acces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0266A1 (en) 2009-04-09
US7908976B2 (en) 2011-03-22
KR20090004693A (ko) 2009-01-12
EP2011714A1 (fr) 2009-01-07
JP2009012760A (ja) 2009-01-22
ES2395573T3 (es) 2013-02-13
FR2918339A1 (fr) 2009-01-09
EP2011714B1 (fr)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063B1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RU2486088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облегченным доступом для пассажир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KR101582535B1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US7802337B2 (en) Retractable ramp
KR102204601B1 (ko)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CA2209087A1 (en) An improved movable ramp assembly
CN109070902B (zh) 列车平台定位安全***
US6599080B1 (en) Lif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20030056686A1 (en) Railcar designs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WO1999031324A1 (en) Access platform for wheelchairs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JP2764597B2 (ja)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JP3216922U (ja) 車両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KR20090037408A (ko) 통합형 승강장구조
JPH11210256A (ja) 機械式駐車設備の乗降装置
JPH0651418U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乗降装置
CZ2005744A3 (cs) Nástupní plošina
JP2009174195A (ja) 建物
CZ11403U1 (cs) Zařízení pro překlenutí výškového rozdílu mezi podlahou a výsuvnou deskou nájezdové ploši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