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280B1 - A spherical bearing - Google Patents

A spherical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280B1
KR101414280B1 KR1020140025265A KR20140025265A KR101414280B1 KR 101414280 B1 KR101414280 B1 KR 101414280B1 KR 1020140025265 A KR1020140025265 A KR 1020140025265A KR 20140025265 A KR20140025265 A KR 20140025265A KR 101414280 B1 KR101414280 B1 KR 10141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gaging
upper plat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륜
최동철
김학군
손경욱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2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ical support capable of being maintained which can easily limit the movements of a bridge deck according to a horizontal load when the bridge deck is moved and easily replace the bridge deck. The spherical support includes a connection plate which is connected to an upper plate and has a retaining protrusion for the connection plate formed on one side, a sliding part, a lower plate, and a side block. The spherical support can allow a worker to easily disassemble components when a detachable connection plate is applied to the upper plate and to easily replace the components because it can bear a very high load and a first fixing bolt is not lost even though a load is generate. The spherical support minimizes the size of the upper plate because the first fixing bolt which connects the upper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with each other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a horizontal load.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A spherical bearing}A spherical bearing that is easy to maintain < RTI ID = 0.0 >

본 발명은 교량 상판 거동시 수평하중에 따른 교량 상판의 거동 제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ic support which can easily perform a replacement operation while restricting the behavior of a bridge top plate according to a horizontal load when a bridge top plate is in motion.

일반적으로,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충격하중 등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고 그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로, 교량 구조물 전체의 내구성과 안전에 있어 구조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된다.In general, the bridge device is a device that transmits the impact load ac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o the lower structure and absorbs the impact, which is a structural element in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entire bridge structure.

이러한 교좌장치는 여러가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량 가설시 온도변화, 바람, 지지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교량 상판의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 수명을 보다 연장하고자 교량 상판과 교각 사이에 스페리칼 형의 교좌장치가 설치되고 있다.Recently, the bridge is installed by various devices and methods. In recent years, by absorb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wind, support shock, etc. or the horizontal force of the bridge top plate, the seismic function of the bridge is smoothly In order to extend the durability of the bridge, a spillway type survey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bridge top plate and the bridge.

상기한, 교좌장치의 보수 작업 또는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잭(JACK) 설치장소를 설정한 후 잭을 통해 교량을 인상한 다음 기존의 교좌장치를 해체한다. 그런다음 무수축 몰탈 깨기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신설 교좌장치 교체와 동시에 철근 배근 및 무수축 몰탈 타설 그리고 양생과정을 수행한 다음 교량의 인하 작업을 수행하고 연속해서 설치된 잭을 철거하게 되면 작업이 완료된다.In the above-described repair work or construction procedure, first, a jack is set up, a bridge is lifted through a jack, and then the existing coordinate apparatus is disassembled. Then, after performing the shrink-free mortar breaking work, after replacing the new quadrant device, the reinforcement and non-shrink mortar casting and curing process are performed, and then the bridge is lowered, and when the jack is continuously removed, do.

이와 같은 작업은, 주로 좁은 공간에서 시공되어지고 또한 공용중이어서 단시간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제약 요인이 많으므로 확실하고 안전한 보수 공법이 제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Such an operation is mainly performed in a narrow space, and since there are many constraints such as that the work must be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it is shared, a problem that a reliable and safe repair method should be presented has been pointed out.

이와 관련한 스페리칼형의 교좌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98506호(2005.10.06.),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로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The Spherical type bridge device related to this is filed and registered as "Spherical type bridge device for a bridge"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8506 (October, 2006).

이는, 교각에 매설되어지는 하답과 상판이 얹혀지는 상답의 사이에 베어링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불소수지판을 포함하는 고무패드가 고정부재인 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스페리칼 베어링이 설치된 것이 제시된 바 있다.It is proposed that a spherical bearing in which a rubber pad including a fluororesin plate is provided by a bolt as a fix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ace of the bearing plate and the lower face buried i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face of the upper plat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는, 고무패드의 마모시 고무패드 만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이드 블럭과 상판이 근접되어 위치됨에 따라 공구 등의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pheric type bridging apparatus has an advantage in that only the rubber pads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rubber pad is worn, but the side block and the upper plate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

또한, 상판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인상작업이 필요하나 철도교 도로 등 주행중인 차량에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어 하부 콘크리트의 블럭깨기 작업후 이를 해체하고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dismantle the roof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impression work, but it can cause a fatal accident to a running vehicle such as a railway bridge, so that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and replace the block after breaking the block of the lower concrete.

또한, 불가피하게 교량의 상판 구조물 변경에 따른 상답의 교체작업 등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드블럭을 해체한 후 상답을 분리시켜야 함에 따라 받침손상에 의해 교체가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inevitable to perform a replacement operation of an answer due to a change of a roof structure of a bridg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ide block after disassembling the side block.

즉, 교량 상판을 기존보다 넓게 시공하여야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상답으로 교체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답을 해체하고자하는 경우 사이드 블럭을 포함하여 주변 요소들을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bridge top plate is required to be wider than the existing bridge, it needs to be replaced with a corresponding countermeasure. In this case, if the countermeasures are to be dismantled, the surrounding elements including the side block must be dismantl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015호(2006.10.31.), "유지 보수 가능한 스페리칼형의 교좌장치"를 제안한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3015 (October 31, 2006) proposed a "maintenance-enabled Spherical-type coordinate system".

이 등록특허는 상판결합부재의 일측의 양 단부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This patent discloses a cas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upper plate engaging member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rough a fasten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regenerating apparatus.

특히, 탈, 부착 가능한 형태의 걸림부에는 키를 형성하고 상판결합부재에는 키홈을 형성해 정확한 위치에 걸림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Particularly, the key is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detachable type and the key groove is formed on the top plate engaging member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disposed at the correct posi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의 경우 탈, 부착 가능한 형태의 걸림부에 수평하중이 발생하였을 때에 체결구(볼트)의 전단력에 의존해 수평 하중력을 버티기 때문에 쉽게 탈락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in the detachable type latching part, the horizontal load is restrained depending on the shear force of the fastening bolt (bolt).

물론, 상기 등록특허에는 키홈 및 키가 있어 일부 수평하중력에 견딜 수 있을 수 있게 되지만, 이러한 키 및 키홈의 경우 수평하중력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이 아닌 걸림부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기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작용은 매우 미미하며, 따라서, 온전히 양 단에 설치된 체결구의 직경에 따른 전단응력을 통해 수평 하중을 지지하여야 한다.Of course,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has a key groove and a key, so that it can withstand some horizontal load gravity.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key and key groove, only the function for catching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part And the support for the load is very small and therefore the horizontal load must be supported by the shear stres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astener provided at both ends.

특히, 통상의 체결구(볼트)는 나사산 형성을 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용하고 있지 않기에 볼트의 직경을 더욱 크게 형성하여야 하고 따라서, 이와 결합하는 걸림부의 두께 및 상판결합부재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 그에 따른 운임비 및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a bolt is not used as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for forming a thread, the diameter of the bolt must be made larger,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coupling memb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a transportation cost and a work space are accordingly narrowed.

또한, 상술한 등록 특허의 경우 수평 하중력의 발생 이후 탈락이 걸림부가 보존되어 있다 할지라도 키 및 체결구의 망실로 인해 분해가 어려워 실제로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even if the latching portion is retained after the generation of the horizontal gravity force,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key and the fastener due to the netting of the fastener, so that the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the whole has to be repla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 플레이트에 탈, 부착 가능한 결합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부품 교체시 용이하게 분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ringe support which can be disassembled easily by replacing parts by applying an attachable plate to an upper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도 높은 하중의 발생시에도 이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 하중 발생시에도 제1 고정볼트의 망실이 발생하지 않아 부품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hygmallow support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because it can support the load even when a high load is generated and components of the first fixing bolt are not generated even when a load is generat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측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고정볼트가 수평 하중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상측 플레이트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hygmallow support which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upper plate by preventing the first fixing bolt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from being affected by the horizontal load .

본 발명은 상측 플레이트의 일측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을 형성한 결합 플레이트를 상측 플레이트에 탈,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일부 부품 교체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 latching ja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coupling plate having a latching jaw for the coupling plate formed on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lat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또한, 상측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상측 플레이트는 각각 결합턱과 결합홈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1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결합되어 있어, 수평하중의 발생시 결합턱과 결합홈이 수평하중에 대응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결합턱을 분리하는 방식의 스페리칼 받침 대비 볼트크기 조정에 따른 상측 플레이트 크기를 축소시켜 작업공간의 여유, 제작비용의 축소 및 수평하중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late coupled with the upper plate is fixedly coupled through the first fixing bolts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jaws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the coupling jaw and the coupling groove act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load, The size of the upper plate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size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work spa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burden due to the horizontal load.

아울러, 교량 상판 거동에 따른 수평 하중의 작용시 상측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있는 제1 고정볼트는 수평하중을 전혀 받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교량 상판 거동 이후에도 결합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탈착하여 파손된 부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xing bolt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in the horizontal load operation according to the bridge top plate behavior has no horizontal load at all, the coupling plate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even after the bridge top plate behavior, Is a useful invention that is easy to partly repl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상측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상측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ㅌ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sphygmallow support which can be easi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hygmallow support which is easy to maintai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upper plate and a coupl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upper plate and coupling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교량 상판(P) 하측의 솔플레이트(1)와 교각(S)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1,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a sole plate 1 and a pierce S on the lower side of a bridge upper plate P. [

우선, 상측 플레이트(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하중이 발생하는 방향의 일측으로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1)이 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1 and 2,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in a gener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latching protrusion 11 protruding outward at one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a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걸림턱(11)이 형성된 타측에는 걸림턱(11)과 마찬가지로 양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턱(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턱(13)이 형성된 부분의 측면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한 다수의 고정볼트 홈(14)이 형성되어 있다.A coupling protrusion 13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 o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1 is formed. A plurality of fixing bolt grooves 14 are formed.

다음으로, 결합 플레이트(20)는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하기 위해 상측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고정볼트 홈(14)과 대응하는 고정볼트 결합홀(24)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Next, the engaging plate 20 is formed with a fixing bolt groove 14 formed in the upper plate 10 and a fixing bolt engaging hole 24 corresponding thereto to engage with the upper plate 10.

따라서, 제1 고정볼트(B1)를 고정볼트 결합홀(24) 및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볼트 홈(14)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측 플레이트(10)에 결합 플레이트(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fixing bolt B1 is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fixing bolt fixing hole 24 and the threaded fixing bolt groove 14 so that the coupling plate 20 can be fixed to the upper plate 10 .

특히, 상술한 결합 플레이트(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볼트 결합홀(24)은 제1 고정볼트(B1)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다단형태의 깊은자리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bolt coupling hole 24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20 forms a multi-step deep groove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fixing bolt B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결합 플레이트(20)에는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합홈(23)이 구성된다.The coupling plate 2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 of the upper plate 10.

상기 결합턱(13)과 결합홈(23)은 교량의 수평 하중 발생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걸림턱(13)은 삼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결합홈(23)은 이를 감싸안을 수 있는 삼각형상의 홈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13 and the coupling grooves 23 ar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o support a horizontal load of the bridge when the bridge is generated. The corresponding coupling grooves 23 can surroun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수평 하중 발생시 하중을 원활히 견딜 수 있도록 도 3의 (a)와 같이 삼각형상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사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form any one of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A or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B so as to withstand the load when a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그리고 결합 플레이트(20)에는 결합홈(23)의 외측으로 상측 플레이트(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1)과 동일한 형태의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이 구성되어 있다.The coupling plate 20 is formed with a coupling plate 21 for coupling plate 2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plate 11 formed on the upper plate 10 outside the coupling groove 23.

따라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20)의 전체 길이는 상측 플레이트(10)의 일단의 걸림턱(11)에서 반대방향의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하고, 폭은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entire length of the coupling plate 2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10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1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engaging step (11) of the fastener element (10).

여기서, 상술한 결합 플레이트(20)는 상측 플레이트(1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이 결합 플레이트(20)와 상측 플레이트(10)가 결합하게 되면 종래의 상측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에,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과 결합 플레이트(20)의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 사이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된다.When the coupling plate 20 and the upper plate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plate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nventional upper plate. At this time, And an engaging groove 12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 11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1 of the engaging plate 20 of the engaging plate 20.

다음으로, 슬라이딩부(30)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10)의 하측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교량 상판(P)의 거동시 이를 흡수하면서 원활한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스페리칼 받침에 적용되는 형태면 족하다.Next, the sliding portion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 so that smooth movement can be achieved while absorbing the movement of the bridge upper plate P, Applicable form is sufficient.

다음으로, 하측 플레이트(40)는 상기 슬라이딩부(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홈(12)이 형성된 위치에 쐐기 결합홈(41a)을 포함하고 있는 한쌍의 쐐기(41)가 구성된다.The lower plate 4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portion 30 and is provided with a wedge engaging portion 12 at a position where the engaging groove 12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engaging plate 20 is formed. A pair of wedges 41 including the groove 41a are formed.

다음으로, 사이드 블록(50)은 하측 플레이트(40)의 쐐기(41)에 형성된 쐐기 결합홈(41a)과 대응하는 쐐기 결합홀(51a)을 포함하는 수직부(51)와 상기 수직부(51)에서 절곡되어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홈(12)에 배치되는 수평바(52)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side block 5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51 including a wedge coupling groove 41a formed in the wedge 41 of the lower plate 40 and a corresponding wedge coupling hole 51a, And a horizontal bar 52 which is bent at the lower plate 10 and is disposed in the latching groove 12 of the upper plate 10. [

따라서, 제2 고정볼트(B2)를 이용하여 하측 플레이트(40)의 쐐기(41)에 사이드 블록(50)을 체결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ide blocks 50 can be fastened to the wedge 41 of the lower plate 40 by using the second fixing bolts B2.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메이슨 플레이트(6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son plate 60 may be further added.

상기 메이슨 플레이트(60)는 하측 플레이트(40)의 하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과 메이슨 플레이트(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에 앵커바 체결볼트(61)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ason plate 60 is configured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The anchor bar fastening bolt 61 is fastened to the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lower plate and the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mason plate 60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특히, 상기 앵커바 체결볼트(61)가 위치하는 메이슨 플레이트(60)의 하측면에는 교각(S) 상부에 매립되는 내부가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앵커바(62)를 구성하고 있다.
Particularly, an anchor bar 6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son plate 60 where the anchor bar fastening bolts 61 are located, and is hollowed i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llar S in the hollow shap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1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P)과 교각(S) 사이에 형성되어 교량의 거동시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pheric support 100,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bridge upper plate P and the bridge pillar S as shown in Fig. 1 and serves as a bearing in the behavior of the bridge.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100)에서 수평방향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교량 상판(P)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상측 플레이트(10)가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horizontal load acts on the sphygmomanometer 100,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bridge upper plate P and the upper plate 10 connected thereto are moved in a direction Behavior is achieved.

그러면, 하측 플레이트(40)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41)와 연결된 사이드 블록(50)이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홈(12) 내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 또는 결합 플레이트(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 중 어느 하나와 사이드 블록(50)의 수평부(52) 일측이 맞닿게 되면서 거동을 제한시키도록 작용한다.Since the side block 50 connected to the wedge 41 formed on the lower plate 40 is fixed in the latching groove 12 of the upper plate 10,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52 of the side block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y one of the engaging protrusions 21 formed on the jaw 11 or the engaging plate 20 so as to restrict the movement.

이 중 결합 플레이트(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에 사이드 블록(50)의 수평부(52)가 맞닿을 경우 수평하중력은 상측 플레이트(10)의 결합턱(13)과 결합 플레이트(20)에 형성된 결합홈(23)이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수평 하중 발생에 따른 파손이 적게 발생함은 물론 수평하중이 높더라도 교량 상판(S)의 거동을 제한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horizontal portion 52 of the side block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1 for the coupling plate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20, the horizontal load is applied to the coupling jaw 13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coupling grooves 23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20, so that breakag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horizontal load is less, and even when the horizontal load is high, there arises a problem in limiting the behavior of the bridge upper plate S. .

즉,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하였던 등록특허에서와 같이 걸림부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였을 때와 대비하여 더 많은 수평 하중에 따른 교량 상판(S)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다.That i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imit the behavior of the bridge top plate S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loa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atch portion is formed in a detachable shape as in the registered patent mentioned in the prior art.

특히,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해 키 및 체결구를 통해 구성하여 걸림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키의 경우 걸림부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평하중이 발생하였을 때에 일부 하중을 받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지만, 결국에는 체결구의 전단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체결구의 직경의 확대 및 그로 인한 상측 결합부재의 크기 확대는 불가피하지만, 본 발명은 결합 플레이트(20)의 구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a key and a fastener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the engaging portion. In the case of the key, a configuration for holding the engaging portion, The diameter of the fastener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upper joining member is enl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engagement plate 20 ),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특히, 본 발명에서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20)를 결합하기 위한 제1 고정볼트(B1)는 앞서 설명한 상측 플레이트(10)의 결합턱(13)과 결합 플레이트(20)의 결합홈(23)이 수평하중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20)를 고정 결합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bolt B1 for join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engaging plate 20 is formed by joining the engaging protrusion 13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engaging groove 20 of the engaging plate 20, The upper plate 10 and the coupling plate 20 can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only because the upper plate 23 and the coupling plate 23 support the horizontal load.

한편,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100)은 슬라이딩부(30)의 파손시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20)를 체결하고 있는 제1 고정볼트(B1)의 체결을 해제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수월하다.In the meantime, when the sliding portion 30 is broken, the sphygmallow support 100, which can be easily main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bolt B1 fasten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coupling plate 20 Maintenance is easy because it only needs to be released.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고정볼트(B1)는 수평하중력을 전혀 받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교량 상판(S)의 거동 이후 슬라이딩부(30)의 망실이 발생하더라도 체결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fixing bolt B1 is constructed so as not to receive the horizontal loading force at all, the locking bolt B1 can be easily released .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B1 : 제1 고정볼트 B : 제2 고정볼트
10 : 상측 플레이트
11 : 걸림턱 12 : 걸림홈 13 : 결합턱 14 : 고정 볼트홈
20 : 결합 플레이트
21 :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 23 : 결합홈 24 : 고정볼트 결합홀
30 : 슬라이딩부
31 : 볼록턱
40 : 하측 플레이트
41 : 쐐기 41a : 쐐기 결합홈
50 : 사이드 블록
51 : 수직부 51a : 쐐기 결합홀 52 : 수평부
60 : 메이슨 플레이트
61 : 앵커바 체결볼트 62 : 앵커바
100 :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
B1: first fixing bolt B: second fixing bolt
10: upper plate
11: engaging jaw 12: engaging groove 13: engaging jaw 14: fixing bolt groove
20: engaging plate
21: engaging jaw for engaging plate 23: engaging groove 24: engaging hole for fixing bolt
30: Sliding part
31: convex jaw
40: Lower plate
41: Wedge 41a: Wedge coupling groove
50: Side block
51: vertical portion 51a: wedge coupling hole 52: horizontal portion
60: mason plate
61: anchor bar fastening bolt 62: anchor bar
100: Spherical support for easy maintenance

Claims (2)

일측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걸림턱(11)이 형성된 타측의 양 단에 형성된 결합턱(13)과, 상기 결합턱(13)이 형성된 측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 홈(14)으로 구성된 상측 플레이트(10);
제1 고정볼트(B1)에 의해 상측 플레이트(10)와 결합하도록 일측으로 고정볼트 홈(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볼트 결합홀(24)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상측 플레이트(10)의 결합턱(13)과 맞닿을 수 있도록 결합홈(2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3)의 외측으로는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 플레이트(20);
상기 상측 플레이트(10)의 하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30);
상기 슬라이딩부(30)와 맞닿도록 형성되되, 일측으로 쐐기 결합홈(41a)이 형성되어 있는 쐐기(41)를 포함하는 하측 플레이트(40);
제2 고정볼트(B2)에 의해 하측 플레이트(40)에 결합하도록, 하측 플레이트(40)의 쐐기(41)에 형성된 쐐기 결합홈(41a)과 대응하는 쐐기 결합홀(51a)을 형성하고 있는 수직부(51)와 상기 수직부(51)에서 절곡되어 상측 플레이트(10)의 걸림턱(11)과 결합 플레이트(20)의 결합 플레이트용 걸림턱(21)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12)에 배치되는 수평부(52)로 구성된 사이드 블록(50);
상기 하측 플레이트(40)의 하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된 메이슨 플레이트(60);
상기 하측 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과 상기 메이슨 플레이트(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에 앵커바 체결볼트(61)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10)의 결합턱(13)과 결합 플레이트(20)에 형성된 결합홈(23)은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페리칼 받침.
And a fixing bolt groove 14 formed at the side where the engaging jaw 13 is formed. The fixing bolt groove 14 is form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jaw 13, (10);
A fixing bolt coupling hole 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olt groove 14 on one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10 by the first fixing bolt B1, And an engaging groove 2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groove 23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jaw 13 of the upper plate 10, (20) on which a pair of guide plates (21) are formed;
A sliding portion 30 formed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 lower plate 40 including a wedge 41 formed to abut the sliding portion 30 and having a wedge coupling groove 41a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wedge engaging groove 41a formed in the wedge 41 of the lower plate 40 and the wedge engaging hole 51a corresponding to the wedge engaging groove 41a are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late 40 by the second fixing bolt B2. Is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12 formed by the engaging protrusions 11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21 of the engaging plate 20 of the engaging plate 20 bent at the upper portion 51 and the vertical portion 51 A side block 50 made up of a horizontal portion 52 which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portions 52;
A mason plate 60 configured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And is fastened to the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lower plate 40 and the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mason plate 60 with an anchor bar fastening bolt 61,
The coupling protrusion 13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coupling groove 23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20 are formed in either a triangular shape or a quadrangular shape, .
삭제delete
KR1020140025265A 2014-03-04 2014-03-04 A spherical bearing KR101414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65A KR101414280B1 (en) 2014-03-04 2014-03-04 A spherical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65A KR101414280B1 (en) 2014-03-04 2014-03-04 A spherical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280B1 true KR101414280B1 (en) 2014-08-06

Family

ID=5174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65A KR101414280B1 (en) 2014-03-04 2014-03-04 A spherical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28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822B1 (en) 2015-05-13 2016-03-14 유니슨이테크(주) Separate spherical bearings
KR101821185B1 (en) * 2017-04-20 2018-01-24 대경산업(주) Removable seuperikal bearing support for easy maintenance
CN114875781A (en) * 2022-01-07 2022-08-09 长沙理工大学 Function-controllable multi-state switching type friction swinging type seismic mitigation and isolation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58Y1 (en) * 2005-10-26 2006-01-10 이효수 Oilless bearing having a separable type top plate
KR100643015B1 (en) * 2006-04-24 2006-11-10 매크로드 주식회사 A pot bearing for bridge of spherical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58Y1 (en) * 2005-10-26 2006-01-10 이효수 Oilless bearing having a separable type top plate
KR100643015B1 (en) * 2006-04-24 2006-11-10 매크로드 주식회사 A pot bearing for bridge of spherical ty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822B1 (en) 2015-05-13 2016-03-14 유니슨이테크(주) Separate spherical bearings
KR101821185B1 (en) * 2017-04-20 2018-01-24 대경산업(주) Removable seuperikal bearing support for easy maintenance
CN114875781A (en) * 2022-01-07 2022-08-09 长沙理工大学 Function-controllable multi-state switching type friction swinging type seismic mitigation and isolation support
CN114875781B (en) * 2022-01-07 2023-08-15 长沙理工大学 Function controllable multi-state switching type friction pendulum type shock absorption and insulation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280B1 (en) A spherical bearing
KR200473182Y1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US20170016233A1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JP6545537B2 (en) Temporary support post and replacement method of seismic isolation device
KR101566918B1 (en) Jig device for lifting structure for changing or safety inspection for bridge seat in bridge and changing method for bridge seat using that
KR101471562B1 (en) Supporting apparatus with link type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057059B2 (en) Building raising method and building structure
KR101093573B1 (en) A spherical bridge bearing apparatus
KR101483071B1 (en) Earthquake isolation system against vertical negative reaction
KR102132970B1 (en) Temporary fixing apparatus for one-way bridge shoe and pre-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9124044A (en) Bridge bearing replacement method and bridge bearing structure
KR101607665B1 (en) Gang form fixture
JP6247041B2 (en) One-way movable bearing device for bridges
KR101051059B1 (en) Disk bearing for seismic isolation
KR101401548B1 (en) A bridge bearing
KR200474621Y1 (en) Earthquake isolation apparatus
KR200428509Y1 (en) Deck plate
KR20150110109A (en) Pulling up Locking Device of a Mold
KR100742974B1 (en) Shear supporting device of a bridge, and installation/s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JP4798625B2 (en) Movement restriction device
KR20150144155A (en)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bearing replacement and bridge bearing replacement thereof
KR101841479B1 (en) Bridge with seat device and repair method
JP6473426B2 (en) Fall bridge prevention structure
JP6377105B2 (en) Tension / traction material length adjuster
JP3581349B2 (en) Structure for mounting horizontal force buffer of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