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544B1 - 전기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544B1
KR101384544B1 KR1020140024857A KR20140024857A KR101384544B1 KR 101384544 B1 KR101384544 B1 KR 101384544B1 KR 1020140024857 A KR1020140024857 A KR 1020140024857A KR 20140024857 A KR20140024857 A KR 20140024857A KR 101384544 B1 KR101384544 B1 KR 10138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 connection
planar electrodes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주형
Original Assignee
길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주형 filed Critical 길주형
Priority to KR102014002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를 노출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자력에 의해 간단히 접속작동을 거쳐 간단한 반복적 가압 작동으로 전기적 접접과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여건에 따라 전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킨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작용의 반복으로 전원전달을 위한 접점과 접점이 해제되는 안전스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면에 전기 접점 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금속재 제1평면전극의 주변으로 금속재 제2평면전극이 이격되며 비 노출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부의 제1,2평면전극과 각각 대응하며 자력을 띄는 제3,4평면전극이 비 노출형태로 형성된 제2접속부가 전원 인가 대상물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측과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부의 단자를 내장형태로 형성하여 고의적 합선이나 습기로 인한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반복 가압 작동을 통해 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접속장치{Electrical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를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하며, 체결과 해체를 통한 전원의 제어방식을 간단한 반복적 가압 작동으로 전기적 접접과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전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전자 기기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공급받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콘센트에 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자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콘센트는 전력을 전자 기기에 제공하는 것으로, 벽 등에 매입되어 구성되기도하고, 멀티탭과 같이 다수 개의 콘센트 구비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하고, AC/DC 컨버터 또는 DC/DC컨버터 등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종래 플러그와 콘센트의 전원 연결 구조는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에 플러그가 설치되며, 플러그의 단부에 플러그 단자가 돌출된다. 그리고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도록 콘센트가 벽 등에 고정되며, 콘센트의 일면에 단자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홈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며, 이때 콘센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단자(미도시)에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어, 전자 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종래 플러그와 콘센트의 전원 연결 구조는 콘센트의 단자삽입홈에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를 삽입하여야 하는데, 어둡거나 비좁은 장소에서 플러그 단자를 단자삽입홈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의 단자삽입홈에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너무 꽉 끼게 삽입되었을 경우에는이를 다시 뽑기 위해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데, 매장 등에서와 같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자주 꼽고 뽑아야 하는 경우, 플러그를 뽑을 때마다 많은 힘이 소요되며, 이에 따른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플러그가 잘 뽑히지 않아, 플러그에 연결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경우, 케이블과 플러그의 연결부위가 단선되어, 화재의 위험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의 단자삽입홈과 플러그의 플러그단자가 너무 꽉끼게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다시 뽑기 위해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잘 뽑히지 않을 경우 플러그에 연결된 케이블을 잡아당겨 뽑는 경우도 발생하여 연결부위가 단선되는 위험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센트의 요홀에 플러그의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홈이 항상 개방되어 있어 어린이 등이 호기심으로 단자삽입홈에 도전성 물체를 삽입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삽입홈에 이물질을 삽입할 경우에는 플러그의 플러그단자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아울러, 어두운 상태에서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정확하게 삽입 접속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러그를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대기 전류를 지속적으로 소모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낭비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비 노출형으로 단자가 내장되어 부적합한 접속을 통한 합선이나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차단하며, 간단하게 접속과 해체가 가능하며 안전스위치의 기능으로 접속된 상태에서도 전원의 통전을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예방하며 표시등이 있어 어두운 상황에서도 정확한 접속이 원활히 가능하도록 개선된 전기접속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0993480 (전원 접속 기구) 2. 등록번호 10-1265584 플러그형 콘센트 커버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측과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부의 단자를 내장형태로 형성하여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반복 가압 작동을 통해 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측은 금속재 단자를 적용하고, 전원을 공급받는 측은 자석 단자를 적용하여 접점 작동이 간편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인가나 해제를 위해서 반드시 반복적 가압 작동을 시행하여 안전성 확보하고, 전원의 공급상태나 전원의 전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인가받는 접속부를 360°회전 가능하며, 전선의 방향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압작용의 반복으로 전원전달을 위한 접점과 접점이 해제되는 안전스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면에 전기 접점 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금속재 제1평면전극의 주변으로 금속재 제2평면전극이 이격되며 비 노출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부의 제1,2평면전극과 각각 대응하며 자력을 띄는 제3,4평면전극이 비 노출형태로 형성된 제2접속부가 전원 인가 대상물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제1접속부와 자력으로 접점하며 안전스위치를 가압하여 전기장에 의해 전원을 전달받고 재 가압으로 전원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측과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부의 단자를 내장형태로 형성하여 고의적 합선이나 습기로 인한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반복 가압 작동을 통해 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측은 금속재 단자를 적용하고, 전원을 공급받는 측은 자석 단자를 적용하여 자력에 의해 유도됨으로써 접점 작동이 간편지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전기인가나 해제를 위해서 반드시 반복적 가압 작동을 시행하여 안전성 확보하는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가능하며, 전원의 공급상태나 전원의 전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상여부와 사용 여부를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원을 인가받는 접속부를 360°회전 가능하며, 전선의 방향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여건에서 전선의 파손방지 및 공간활용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제1접속부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제2접속부와 제2접속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2접속부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제1,2접속부의 제1~4평면전극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2접속부와 제2접속몸체가 결합된 횡 단면도,
도 9는 제2접속부와 제2접속몸체가 결합된 종 단면도,
도 10은 표시등이 전기 인가 상태에서만 점등되도록 구성된 전기접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제1,2접속부가 통전을 위해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제1,2접속부의 접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제1,2접속부의 접접시 제1~4평면전극에 작용하는 자기장과 자기력선, 전기장과 전기력선을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제2접속부의 회전돌기부를 선회시켜 전선의 방향을 전환하는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접속장치는 안전스위치(10)와, 상기 안전스위치(10)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 노출형태의 제1,2평면전극(21)(22)을 형성하는 콘센트 기능을 수행하는 제1접속부(20), 상기 제1접속부(20)와 대응하는 비 노출형태의 제3,4평면전극(31)(32)을 형성하는 플러그 기능을 수행하는 제2접속부(30)로 전기접속장치(100)를 구성한다.
우선, 상기 안전스위치(10)는 가압작용의 반복으로 전원전달을 위한 접점과 접점이 해제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푸쉬스위치와 동일한 작동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안전스위치(10)는 푸쉬스위치의 형태로써 전방커버(40)와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후방커버(50)의 전방에 설치되는 몸체(11)의 후방측면으로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제1,2메인단자(12)(13)를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방커버(40)와 후방커버(50)는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끼움결합 방식을 살펴보면 전방커버(40)는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방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홈(43)이 형성되고, 후방커버(50)는 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단(52)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홈(4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53)가 외측으로 돌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방커버(40)와 후방커버(50)의 결합을 위한 열융착 방식의 경우에는 안전스위치(10) 및 제1접속부(20) 등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접촉하는 경계부분을 열융착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리나 교체 등의 관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끼움방식을 일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의 전방측면으로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과 각각 전원 전달을 위해 연결되는 제1,2서브단자(11a)(11b)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전면으로 제1접속부(20)가 결합되는 끼움단(14)이 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메인단자(12)(13)는 메인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1,2서브단자(11a)(11b)는 안전스위치(10)의 작동으로 몸체(11)의 내부에서 별도의 접점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연결 해제되며 제1,2메인단자(12)(13)로 공급되는 전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안전스위치(10)는 몸체(11)의 내부에 끼움단(14)이 가압되면 제1서브단자(11a)와 제1메인단자(12), 제2서브단자(11b)와 제2메인단자(13)가 각각 도면상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한 쌍의 접점단자에 의해 접점되는 동시에 접점을 유지하기 위해 걸림을 유지 작동하고, 끼움단(14)을 한번 더 가압하면 접점을 유지를 위해 걸림 작동이 해제되는 동시에 접점이 단락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부(20)는 안전스위치(10)의 전면에 전기 접점 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금속재 제1평면전극(21)의 주변으로 금속재 제2평면전극(22)이 이격되며 비 노출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면전극(21)은 중앙에 위치하며 원판 형태로 구성된 것이며 외주면 일측면에는 제1단자(21a)가 돌출형성되어 제1서브단자(11a)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제2평면전극(22)은 제1평면전극(21)과 이격된 상태로 주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원판 링 형태로 일측면에는 제2단자(22a)가 돌출형성되어 제2서브단자(11b)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은 전원 인가시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분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에 의해 감싸져 제1차폐부(2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차폐부(23)의 차폐부재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질을 이용하여 일 예로써 테프론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2평면전극(21)(22)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제1,2단자(21a)(22a)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접속부(20)의 후방면에는 후방커버(5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51)에 삽입되는 가이드바(24)를 도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51)와 가이드바(24)에 의해 제1접속부(20)에 가압력을 가하면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와 재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안내가이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1접속부(20)가 자유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커버(40)는 제1접속부(20)가 전후진하게 끼움되는 설치홀(41)의 주변으로 안전스위치(10)의 제1,2메인단자(12)(13)나 제1,2평면전극(21)(22)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시발광하거나 전원이 제1접속부(20)에 인가될 경우에 한해 발광하는 표시등(42)을 형성한다.
즉, 상기 표시등(42)은 면발광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며, 추가적으로 제1접속부(20)와 전기 접접을 위해 삽입되는 제2접속부(30)의 안내 기능을 위한 전방커버(4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설치홀(41)의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경사단(41a)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접속부(30)는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과 각각 대응하며 자력을 띄는 제3,4평면전극(31)(32)이 비 노출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각종 전기로 작동하는 가전제품이나 전기적 작동장치 및 기구 등의 전원 인가 대상물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3평면전극(31)은 중앙에 위치하며 원판 형태로 구성된 것이며 외주면 일측면에는 제3단자(31a)가 돌출형성되어 전원 인가 대상물과 연결되는 전선(36)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제4평면전극(32)은 제3평면전극(31)과 이격된 상태로 주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원판 링 형태로 일측면에는 제4단자(32a)가 돌출형성되어 전원 인가 대상물과 연결되는 전선(36)과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접속부(30)의 제3,4평면전극(31)(32)은 전원 인가시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분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에 의해 감싸져 제2차폐부(33)를 구성하는데, 상기 제2차폐부(33)의 차폐부재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질을 이용하여 일 예로써 테프론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3,4평면전극(31)(32)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제3,4단자(31a)(32a)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차폐부재(23)와 제2차폐부재(33)는 각각 제1,2평면전극(21)(22) 및 제3,4평면전극(31)(32)를 감싸게 되는데 양측면으로는 차폐부재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자기장과 자기력선, 전기장과 전기력선의 영향이 최소화하도록 하며, 상기 제1,2평면전극(21)(22)과 제3,4평면전극(31)(32)이 접하는 차폐부재의 앞 부분은 두께를 얇게 하여 제1평면전극(21)의 자기장과 자기력선, 전기장과 전기력선은 제3평면전극(31)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하며, 제2평면전극(22)의 자기장과 자기력선, 전기장과 전기력선은 제4평면전극(32)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2접속부(30)는 제2차폐부(33)가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제2접속몸체(3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차폐부(33)와 제2접속몸체(34)는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끼움결합 방식을 살펴보면 제2접속몸체(34)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방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홈(34a)이 형성되고, 제2차폐부(33)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외면을 따라 체결돌기홈(34a)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돌기(33a)가 외측으로 돌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차폐부(33)와 제2접속몸체(34)의 결합을 위한 열융착 방식의 경우에는 등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접촉하는 경계부분을 열융착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리나 교체 등의 관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끼움방식을 일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속몸체(34)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원형 홈 형태의 회전끼움부(35)에 끼움되며, 상기 제3,4평면전극(3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36)을 감싸며 수평에서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가능한 구 형태의 회전돌기부(37)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끼움부(35)는 상기 회전끼움부(35)는 내면에 다수개의 돌기홈(35a)이 규칙 또는 불규칙한 배치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일부분 몸체절개홀(35b)이 형성된 회전홈(35c)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홈(35c)에는 제2접속몸체(34)의 내부로 연통하여 홀이 형성되어 있어 전선(36)이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부(37)는 외면에 돌기홈(35a)과 대응하는 돌기(37a)가 규칙 또는 불규칙한 배치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전선홀(37b)과 연통되는 돌기절개홀(37c)이 형성된 회전볼(37d)을 구성한다.
즉, 상기 회전돌기부(37)의 회전볼(37d)은 회전끼움부(35)의 회전홈(35c)에 삽입되어 회전볼(37d)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접속부(20)에 제2접속부(30)가 자력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제2접속부(30)가 회전과 전선(36)의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20)는 후방커버(50)의 가이드(51)에 제1차폐몸체(11)의 가이드바(24)가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을 가능하나 회전하지 못하고, 제2접속부(30)는 제1접속부(20)에 자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360°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돌기부(37)의 방향 선회시 전선(36)은 몸체절개홀(35b)과 돌기절개홀(37c)로 삽입되어 회전돌기부(37)의 방향 선회작동에 방해되지 않으며 전선(36)의 끼임이나 꺾임 등을 방지하여 곡률형태로 구부러지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전기접속장치(100)는 제2접속부(30)를 제1접속부(20)와 자력으로 접점하며 안전스위치(10)를 가압하여 전기장에 의해 전원을 전달받고 재 가압으로 전원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접속장치(100)는 가정이나 회사 일반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제1접속부(20)는 콘센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며, 제2접속부(30)는 플러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상기 후방커버(50)의 전면으로 안전스위치(10)를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후방커버(5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단(54)을 설치대상부에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안전스위치(10)의 제1,2메인단자(12)(13)에 각각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가정용에서 사용되는 교류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일 예의 메인전선(16)을 후방커버(50)에 형성된 전선통과홀(50a)을 통해 삽입시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안전스위치(10)의 개수는 제1접속부(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한다.
이후, 상기 안전스위치(10)의 끼움단(14)을 제1접속부(20)의 제1차폐부(23) 후방면에 형성된 도면상 미도시한 끼움홈으로 삽입하여 견고하고 결합하는 동시에 가이드바(24)를 가이드(51)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안전스위치(10)의 제1,2서브단자(11a)(11b)와 각각 제1평면전극(21)의 제1단자(21a)와 제2평면전극(22)의 제2단자(22a)를 서브전선(25)으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커버(40)의 설치홀(41)을 통해 삽입되어 제1접속부(20)의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하며, 표시등(42)은 상시 발광작용을 원할 경우 안전스위치(10)의 제1,2메인단자(12)(13)에 연결하고, 제1접속부(20)로 전원 인가시에만 발광작용을 원할 경우에는 제1,2서브단자(11a)(11b)에 연결한 후 결합돌기홈(43)에 후방커버(50)의 결합돌기(53)가 삽입 끼움 되도록 결합하여 콘센트 기능을 위해 전/후방커버(40)(50), 안전스위치(10), 제1접속부(20)의 결합 및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상기 제2접속부(30)는 제3,4평면전극(31)(32)의 제3,4단자(31a)(32a)에 각각 전선(36)을 연결하는 동시에 회전돌기부(37)를 회전끼움부(35)에 삽입하여 체결한 후 제2차폐몸체(11)를 제2접속몸체(34)의 내부로 삽입하는 동시에 체결돌기(33a)를 체결돌기홈(34a)에 삽입하여 결합하여 제2접속부(30)의 조립을 통해 전기접속장치(100)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전기접속장치(100)는 메인전선(16)을 통해 제1,2메인단자(12)(13)로 전기를 공급하여 안전스위치(1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제2접속부(30)를 제1접속부(20)와 접속시키기 위해 근접하게 접근시키면 제3,4평면전극(31)(32)의 자력에 의해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에 붙으면서 자연스럽게 접점된다.
이때, 상기 제2접속부(30)는 전방커버(40)의 설치홀(41)의 테두리로 형성된 안내경사단(41a)을 따라 안내되는 특징과 자력에 의해 접점됨으로써 제1접속부(20)와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근접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등(42)이 상시 점등방식으로 발광될 경우 어두운 상태에서도 쉽게 제1접속부(20)의 위치를 파악하여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제1접속부(20)에 제2접속부(30)를 접점시킨 다음 제2접속부(30)를 제1접속부(20)가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면 안전스위치(10)의 몸체(11)에 설치된 도면상 미도시한 접접단자가 제1,2메인단자(12)(13)와 제1,2서브단자(11a)(11b)를 전기적으로 통전하게 접점하여 서브전선(25)을 통해 제1,2평면전극(21)(22)으로 전원이 전달된다.
이후, 상기 제1,2차폐부(23)(33)로 감싸진 상태에서도 자기장과 자기력선, 전기장과 전기력선에 의해 제1,2평면전극(21)(22)을 통해 제3,4평면전극(31)(32)으로 전기가 간단하게 통전된다.
아울러, 상기 표시등(42)이 전원인가시에 점등방식으로 발광될 경우 제2접속부(30)로 전기가 통전되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접속부(30)는 제1접속부(20)와 접점된 상태에서 제2접속몸체(34)를 360°회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사용 여건에 따라 전선(36)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데, 상기 제2접속몸체(34)를 회전시켜 전선(36)이 위치할 방향으로 몸체절개홀(35b)을 위치시킨 다음 회전돌기부(37)를 몸체절개홀(35b)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방향전환시켜 전선(36)의 방향을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어 가구나 제2접속부(30)가 설치되는 장소가 협소할 경우 사용 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부(37)를 회전시킬 경우 돌기(37a)가 회전끼움부(35)의 돌기홈(35a)에 삽입되어 변경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전기접속장치(100)의 사용을 해제할 경우 제2접속부(30)를 한번더 제1접속부(20)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안전스위치(10)의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단(14)이 돌출되면서 몸체(11)의 내부에서는 제1,2메인단자(12)(13)와 제1,2서브단자(11a)(11b)의 접점이 해제되어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에 전기가 차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기접속장치(100)의 전기 통전과 차단을 위한 가압, 재 가압 작동시 가이드바(24)가 가이드(51)를 따라 지지된 상태로 안내되어 흔들림 없이 작동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접속부(30)를 해체시킨 상태에서 제1접속부(20)를 가압하여 안전스위치(10)의 작동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더라도 제1,2평면전극(21)(22)이 제1차폐부(23)에 의해 감싸진 비 노출형태로 이루어져 전도체를 제1접속부(20)에 접촉시키더라도 통전되지 않아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2접속부(20)(30)는 제1,2차폐부(23)(33)에 의해 제1~4평면전극(21)(22)(31)(32)이 감싸진 비 노출형태로서 수분이나 이물질에 대한 쇼트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전기접속장치(100)는 전방커버(40), 후방커버(50), 안전스위치(10), 제1,2접속부(20)(30)등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고장에 의한 수리나 교체가 간단하여 관리유지비가 적게 소요되며 다른 전기접속장치(100)와 부품 호환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접속장치(100)는 제1,2접속부(20)(30)를 자력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10)를 통해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대기전력의 낭비적인 소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안전스위치 11 : 몸체
11a : 제1서브단자 11b : 제2서브단자
12 : 제1메인단자 13 : 제2메인단자
14 : 끼움단 15 : 스프링
16 : 메인전선
20 : 제1접속부 21 : 제1평면전극
21a : 제1단자 22 : 제2평면전극
22a : 제2단자 23 : 제1차폐부
24 : 가이드바 25 : 서브전선
30 : 제2접속부
31 : 제3평면전극 31a : 제3단자
32 : 제4평면전극 32a : 제4단자
33 : 제2차폐부 33a : 체결돌기
34 : 제2접속몸체 34a : 체결돌기홈
35 : 회전끼움부 35a : 돌기홈
35b : 몸체절개홀 35c : 회전홈
36 : 전선 37 : 회전돌기부
37a : 돌기 37b : 전선홀
37c : 돌기절개홀 37d : 회전볼
40 : 전방커버
41 : 설치홀 41a : 안내경사단
42 : 표시등 43 : 결합돌기홈
50 : 후방커버 51 : 가이드
52 : 테두리단 53 : 결합돌기
54 : 고정단 100 : 전기접속장치

Claims (9)

  1. 가압작용의 반복으로 전원전달을 위한 접점과 접점이 해제되는 안전스위치(10)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스위치(10)의 전면에 전기 접점 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금속재 제1평면전극(21)의 주변으로 금속재 제2평면전극(22)이 이격되며 비 노출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접속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과 각각 대응하며 자력을 띄는 제3,4평면전극(31)(32)이 비 노출형태로 형성된 제2접속부(30)가 전원 인가 대상물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2접속부(30)를 제1접속부(20)와 자력으로 접점하며 안전스위치(10)를 가압하여 전기장에 의해 전원을 전달받고 재 가압으로 전원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10)는 푸쉬스위치의 형태로써 전방커버(40)와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후방커버(50)의 전방에 설치되는 몸체(11)의 후방측면으로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제1,2메인단자(12)(1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전방측면으로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과 각각 전원 전달을 위해 연결되는 제1,2서브단자(11a)(11b)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11)의 전면으로 제1접속부(20)가 결합되는 끼움단(14)이 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20)의 제1,2평면전극(21)(22)은 전원 인가시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분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에 의해 감싸져 제1차폐부(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20)의 후방면에는 후방커버(5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51)에 삽입되는 가이드바(24)를 도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40)는 제1접속부(20)가 전후진하게 끼움되는 설치홀(41)의 주변으로 안전스위치(10)의 제1,2메인단자(12)(13)나 제1,2평면전극(21)(22)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시발광하거나 전원이 제1접속부(20)에 인가될 경우에 한해 발광하는 표시등(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30)의 제3,4평면전극(31)(32)은 전원 인가시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분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에 의해 감싸져 제2차폐부(33)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30)는 제2차폐부(33)가 끼움결합이나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제2접속몸체(34)를 형성하고,
    상기 제2접속몸체(34)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원형 홈 형태의 회전끼움부(35)에 끼움되며, 상기 제3,4평면전극(3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36)을 감싸며 수평에서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가능한 구 형태의 회전돌기부(3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끼움부(35)는 내면에 다수개의 돌기홈(35a)이 규칙 또는 불규칙한 배치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일부분 몸체절개홀(35b)이 형성된 회전홈(35c)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돌기부(37)는 외면에 돌기홈(35a)과 대응하는 돌기(37a)가 규칙 또는 불규칙한 배치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전선홀(37b)과 연통되는 돌기절개홀(37c)이 형성된 회전볼(37d)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20)에 제2접속부(30)가 자력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제2접속부(30)가 회전과 전선(36)의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KR1020140024857A 2014-03-03 2014-03-03 전기접속장치 KR10138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7A KR101384544B1 (ko) 2014-03-03 2014-03-03 전기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7A KR101384544B1 (ko) 2014-03-03 2014-03-03 전기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544B1 true KR101384544B1 (ko) 2014-04-11

Family

ID=5065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57A KR101384544B1 (ko) 2014-03-03 2014-03-03 전기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117A1 (ko) * 2017-10-26 2019-05-02 유학성 전원 접속이 가능한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66A (ko) *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CN101800385A (zh) 2010-03-24 2010-08-11 宁振江 磁力电连接器
KR101064637B1 (ko) 2010-07-21 2011-09-16 이권재 분리형 플러그형 어댑터
US20130295781A1 (en) 2010-09-07 2013-11-07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66A (ko) *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CN101800385A (zh) 2010-03-24 2010-08-11 宁振江 磁力电连接器
KR101064637B1 (ko) 2010-07-21 2011-09-16 이권재 분리형 플러그형 어댑터
US20130295781A1 (en) 2010-09-07 2013-11-07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117A1 (ko) * 2017-10-26 2019-05-02 유학성 전원 접속이 가능한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62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US9413113B2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KR101052854B1 (ko) 매설용 지중송전선 커넥터
JP6229705B2 (ja) 差込みプラグ
KR20090037737A (ko) 안전콘센트
US8536820B2 (en) Modular electric socket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384544B1 (ko) 전기접속장치
KR200394084Y1 (ko)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MX2015005159A (es) Dispositivos electricos modificados.
KR101683422B1 (ko) 서로 다른 구경의 소켓의 조합이 가능한 소켓 조립체
KR20170104852A (ko) 슬라이드 콘센트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EP3118944B1 (en) Socket with improved contact assembly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WO2016002107A1 (ja) 配線器具
KR20160104406A (ko)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한 콘센트
WO2009001116A3 (en) Electrical socket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101681825B1 (ko)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CN215008830U (zh) 一种导电能力强的轨道插座
CN219610908U (zh) 一种插座的***检测机构及插座
KR20120040369A (ko) 전원 연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