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370B1 - 배전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370B1
KR101271370B1 KR1020120019596A KR20120019596A KR101271370B1 KR 101271370 B1 KR101271370 B1 KR 101271370B1 KR 1020120019596 A KR1020120019596 A KR 1020120019596A KR 20120019596 A KR20120019596 A KR 20120019596A KR 101271370 B1 KR101271370 B1 KR 10127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ixed
roller
switchboard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도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스코 filed Critical (주)도스코
Priority to KR102012001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제목] 배전반 제조 시스템
[구성] 본 발명은 배전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100% 수작업에 의존하던 시스템을 거의 자동화에 근접하도록 개량 및 진보를 시킴으로써 생산성과 작업성, 작업효율이 탁월하게 향상됨과 아울러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거의 완벽하게 소멸되어 품질의 최고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소멸되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Figure R1020120019596
배전반

Description

배전반 제조 시스템{A SWITCHBOARD PRODU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제 1 샤틀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1을 기준한 제 2 샤틀 및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1을 기준한 턴-테이블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1을 기준한 제 1 틸팅장치와 제 2 틸팅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 에서 제 1 틸팅장치 만을 확대한 평면도.
도 7은 도 1을 기준하여 제 3 틸팅장치와 제 5 틸팅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 에서 제 3 틸팅장치만을 확대한 평면도.
도 9는 도 1을 기준하여 제 5 틸팅장치와 제 6 틸팅장치를 확대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제 5 틸팅장치만을 확대한 평면도.
도 11은 도 1을 기준하여 이동식 틸팅장치와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 고정식 롤러 컨베어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이동식 틸팅장치만을 확대한 평면도.
도 13과 도 14는 제 1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15와 도 16은 제 2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17과 도 18은 제 3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19와 도 20은 제 4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21과 도 22는 제 5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23과 도 24는 제 6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25는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의 개략적인 구조와 제 1 샤틀의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26과 도 28은 이동식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참고도.
도 27은 도 26의 부분 확대도.
도 29는 도 28의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배전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100% 수작업에 의존하던 시스템을 거의 자동화에 근접하도록 개량 및 진보를 시킴으로써 생산성과 작업성, 작업효율이 탁월하게 향상됨과 아울러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거의 완벽하게 소멸되어 품질의 최고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소멸되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배전반은, 육상과 해상의 산업설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장치로써 대형의 사이즈와 중형 그리고 소형의 사이즈로 분류가 되고, 배전반 1개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최소 2개 이상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켜서 연결한(열반 식) 배전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배전반은 전부 철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소형이라고 하여도 그 중량이 통상 100Kg을 초과하며 중형으로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그 중량은 수 백Kg을 넘나드는 수준이 된다.
그런데, 배전반의 내부에는 최소 수 십 개 이상의 부품부터 수 백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야 하는데,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전반 조립 시스템은 호이스트와 대차를 이용한 채 전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숫자의 작업인원이 투입되는 상태에서 무거운 배전반을 호이스트로 인양하여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작업대 위에 놓은 후 부품을 조립하고, 다시 배전반을 호이스트로 인양하여 눕힌 후 작업대 위에 놓고 부품을 조립하여야 하며, 직립된 배전반의 높은 위치에 조립될 부품은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조립하여야 하고, 특히 2개 이상(통상 20 개 이하)의 배전반을 볼트와 너트로 연결을 시킨 열반식 배전반을 생산하여야 할 때에는 그 연결된 배전반의 크기가 매우 크고 길며 엄청난 하중이 나가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더욱 까다롭고 위험하며 작업능률이 저조하여 결국 고품질화 및 생산단가 절감을 추구하기가 어려운 현실에 놓여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재래식이고 수작업에 의존하는 배전반 제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의 자동화에 가까운 배전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샤틀과 제 2 샤틀이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6) 및 상기 레일(6)의 양쪽 끝 부분에 직립 고정된 제 1 포스트(2)와 제 2 포스트(4);
상기 제 1 포스트(2) 상에서, 제 2 포스트(4)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 그리고 상기 제 2 포스트(4) 상에서 제 1 포스트(2)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와;
상기 레일(6)을 타고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휘일(16)이 휘일 고정쇠(15)에 의하여 사방에 고정된 채, 제 1 주행제어장치(12)에 의해 통제가 되도록 하고,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11)가 조립되며, 제 1 버팀대(13)의 위에는 상기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채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1 반사판(14)을 가지는 제 1 샤틀(10)과;
상기 레일(6)을 타고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휘일(16)이 휘일 고정쇠(15)에 의하여 사방에 고정된 채, 제 2 주행제어장치(12a)에 의해 통제가 되도록 하고,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11a)가 조립되며, 제 2 버팀대(13a)의 위에는 상기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채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2 반사판(14a)을 가지는 제 2 샤틀(10a)과;
상기 제 1 포스트(2)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며 부품 조립을 위한 배전반을 제 1 샤틀(10)로 공급시키기 위한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와;
레일(6)을 기준하여 상기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부품 조립을 위해 배전반을 대기시킬 수 있는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들과;
상기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와 이웃하는 위치에 다수 형성된 함몰공간(G7) 안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25), 상기 베이스 판(25) 상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교차 연결된 링크(29), 상기 링크(29)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판(25a), 상기 베이스 판(25)의 브라키트(28)에 하단부가 조립된 제 7 실린더(26), 제 7 실린더(26)에 조립된 채 상기 링크(29)에 단부가 조립되는 제 7 피스톤로드(27)로 되는 리프트장치의 상판(25)에 고정된 채, 자체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21)를 가지며,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받은 배전반을 상하로 이동시켜 가면서 부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들과;
상기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의 근접한 위치에 각각 직립 고정이 되며, 장치의 상하 작동용 버튼(23)과 작업종료신호버튼(24)이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제어장치(22)들과;
자체 내장된 모타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는 로울러(31)를 가지고 링-기어(34)에 맞물린 피니언(33)을 구동시키는 감속모타(32)로 되며, 레일(6)을 기준하여 상기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들의 반대쪽에 설치된 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받은 배전반의 수평 위치를 180° 바꾸어서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 다시 되돌려 주기 위한 턴-테이블(30)과;
상기 턴-테이블(30)의 좌우에 설치되며, 배전반의 부품조립 대기를 위하여 머물도록 할 수 있는 제 2 대기 롤러 컨베어(500)들과;
상기 제 2 포스트(4)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을 통해 부품조립이 종료된 대형 배전반(W)을 공급받는 제 1 컨베어(7) 와;
상기 제 1 컨베어(7)로부터 공급되는 대형의 배전반(W)을 직립으로 받아서 안착시키는 로울러(42)를 가지는 제 1 롤러 컨베어(41), 상기 제 1 롤러 컨베어(4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을 제 2 컨베어(7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44)가 장치된 제 1-1 롤러 컨베어(43), 상기 제 1 롤러 컨베어(4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4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1 피스톤로드(47)를 가지며 함몰공간(G)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4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1 롤러 컨베어(41)와 제 1-1 롤러 컨베어(4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1 실린더(46), 상기 함몰공간(G)에 고정된 고정쇠(4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롤러 컨베어(4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49)으로 된 제 1 틸팅장치(40)와;
상기 제 1 틸팅장치(40)의 제 1-1 롤러 컨베어(43) 위에 얹힌 배전반(W)을 눕힌 채 받아서 제 2 틸팅장치(5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컨베어(7a)와;
상기 제 2 컨베어(7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대형의 배전반(W)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51), 상기 인수 컨베어(5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52), 상기 지지대(52)에 고정된 지지쇠(5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2 피스톤로드(55)를 가지며 함몰공간(G1)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5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51)와 지지대(5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2 실린더(54), 상기 함몰공간(G1)에 고정된 고정쇠(5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5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57)으로 된 제 2 틸팅장치(50)와;
상기 제 2 포스트(4)와 제 1 컨베어(7) 사이에 설치되며 소형의 배전반(W1)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세운 채 받아서 제 5 틸팅장치(80)로 공급하는 제 5 컨베어(9)와;
상기 제 5 컨베어(9)로부터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직립으로 안착시키는 로울러(82)를 가지는 제 5 롤러 컨베어(81), 상기 제 5 롤러 컨베어(8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제 6 컨베어(9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84)가 장치된 제 5-1 롤러 컨베어(83), 상기 제 5 롤러 컨베어(8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8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5 피스톤로드(87)를 가지며 함몰공간(G4)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8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5 롤러 컨베어(81)와 제 5-1 롤러 컨베어(8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5 실린더(86), 상기 함몰공간(G4)에 고정된 고정쇠(8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5 롤러 컨베어(8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89)으로 된 제 5 틸팅장치(80)와;
상기 제 5 틸팅장치(80)의 제 5-1 롤러 컨베어(83) 위에 얹힌 배전반(W1)을 눕힌 채 받아서 제 6 틸팅장치(9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6 컨베어(9a)와;
상기 제 6 컨베어(9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91), 상기 인 수 컨베어(9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1)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92), 상기 지지대(92)에 고정된 지지쇠(9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6 피스톤로드(95)를 가지며 함몰공간(G5)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9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91)와 지지대(9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6 실린더(94), 상기 함몰공간(G5)에 고정된 고정쇠(9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9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97)으로 된 제 6 틸팅장치(90)와;
상기 레일(6)을 기준으로 한 채 제 5 컨베어(9)와 대칭의 위치에 고정되고,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세워져서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제 3 틸팅장치(6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어(8)와;
상기 제 3 컨베어(8)로부터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직립으로 안착시키는 로울러(62)를 가지는 제 3 롤러 컨베어(61), 상기 제 3 롤러 컨베어(6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제 4 컨베어(8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64)가 장치된 제 3-1 롤러 컨베어(63), 상기 제 3 롤러 컨베어(6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6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3 피스톤로드(67)를 가지며 함몰공간(G2)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6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3 롤러 컨베어(61)와 제 3-1 롤러 컨베어(6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3 실린더(66), 상기 함몰공간(G2)에 고정된 고정쇠(6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3 롤러 컨베어(6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69)으로 된 제 3 틸팅장치(60)와;
상기 제 3 틸팅장치(60)의 제 3-1 롤러 컨베어(63) 위에 얹힌 배전반(W1)을 눕힌 채 받아서 제 4 틸팅장치(7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4 컨베어(8a)와;
상기 제 4 컨베어(8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71), 상기 인수 컨베어(7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1)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72), 상기 지지대(72)에 고정된 지지쇠(7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4 피스톤로드(75)를 가지며 함몰공간(G3)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7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71)와 지지대(7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4 실린더(74), 상기 함몰공간(G3)에 고정된 고정쇠(7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7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77)으로 된 제 4 틸팅장치(70)와;
상기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옆에 형성된 함몰공간(G6)의 바닥에 고정되는 레일(6a)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휘일(116)이 휘일 고정쇠(115)에 의해 사방으로 고정된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101)의 측면에 고정된 제 3 반사판(118), 상기 제 3 반사판(118)과 대향하도록 함몰공간(G6)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 3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117)와, 제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되는 배전반(W)을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를 거친 후 세운 채 받아서 안착시키는 로울러(105)가 장치되며 프레임(101) 상의 고정쇠(102)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축(103)에 의해 지지되는 제 7 롤러 컨베어(104),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받아오기 위한 로울러(107)가 장치된 제 7-1 롤러 컨베어(106), 상기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제 7-1 롤러 컨베어(106)를 연결하는 보강대(108)에 고정된 지지봉(112)에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7 피스톤로드(111)를 가진 채, 하단부는 브라키트(109)에 조립되며 상기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제 7-1 롤러 컨베어(106)를 직각으로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제 7 실린더(110), 상기 제 7 실린더(110)에 유압동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는 유압동력공급장치(113), 상기 프레임(101) 상에 고정되며 프레임(101)의 정밀한 주행을 통제하기 위한 주행제어장치(114)로 된 이동식 틸팅장치(100)와;
상기 이동식 틸팅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배전반(W)을 눕힌 채 받아서 안착시키기 위한 로울러(301)가 장치되고, 공급받은 배전반(W)을 눕혀 둔 채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들과;
상기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의 근접한 위치에 각각 직립 고정이 되며, 작업종료신호버튼(303)이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제어장치(302)들과;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를 통해 공급시킬 배전반의 종류를 입력시키고, 배전반의 종류별로 거쳐야 할 장치를 지정하며, 열반을 시켜야 할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 제 1 샤틀(Shuttle)과 제 2 샤틀(Shuttle)의 위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이동식 틸팅장치(100)의 위치를 제어하며,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와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와 제 3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를 통제하는 등의 시스템 전반에 걸쳐 장치의 모든 동작의 통제와 제어, 라인의 이상 유무 감지를 통해 경보발생 및 이상이 발생된 라인 또는 장치의 가동 중지, 시스템 전체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통제 및 관리 등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 제어장치 (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피기로 하는 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롤러 컨베어와 제 1 컨베어부터 제 6 컨베어 그리고 제 2 틸팅장치와 제 4 틸팅장치, 제 6 틸팅장치에 사용되는 인수 컨베어는 모타가 내장형으로 되어 있고 체인연결식에 의해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도면에는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도 이미 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치이고 그 기술도 공지가 된 것이므로 이 역시 기술적으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임과 아울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통의 센서 기술에 대해서도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사용 요령을 설명하면, 도장작업까지 종료가 된 배전반 하우징을 종류별로 완성을 시킴과 동시에 또는 이들을 보관시키고 있다가 부품을 모두 조립하여 출하를 하여야 할 경우, 먼저 대형의 배전반(W)으로 가정하고 부품 조립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모델의 배전반(W)이 생산되어야 할 숫자가 시스템 제어장치(1)의 화면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이 되면 관리자는 책임자와 협의를 하여 입력된 정보가 맞는 것인지를 확인한 후 입력된 정보가 이상이 없을 경우 승인 또는 진행 명령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식 트로리 또는 지게차 또는 기타의 수단을 통해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를 통해 첫 번째의 배전반(W)이 직립된 채 진입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샤틀(10)은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앞에 정확 하게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샤틀(10)이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앞에 정확하게 정지하여 대기할 수 있게 되는 이유는,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에서 레이저 빔이 조사되고 이는 제 1 샤틀(10)의 제 1 반사판(14)까지 도달하여 반사가 되며, 이와 같이 레이저 빔이 상기 제 1 반사판(14)까지 도달하였다가 반사가 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제 1 샤틀(10)이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앞에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전반(W)은 제 1 샤틀(10)의 로울러(11)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샤틀(10) 위로 이동이 되고, 제 1 샤틀(10)의 중앙에 배전반(W)이 오게 되면 그 즉시 로울러(11)가 정지되며, 그 즉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 앞으로 제 1 샤틀(10)이 이동하여 상술한 요령에 따라 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고, 연이어 제 1 샤틀(10) 및 제 1 샤틀(10)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의 로울러(21)도 작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전반(W)은 가장 첫 번째의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에 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즉시 제 1 샤틀(10)은 다시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 앞으로 이동하여 두 번째의 배전반(W)을 받게 되는데, 두 번째의 배전반(W) 또는 세 번째의 배전반(W)을 받아서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로 이동시켜 대기시키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스위치 제어장치(22)의 상하 작동용 버튼(23)을 조작하여 배전반(W)을 싣고 있는 로울러(21) 어셈브리를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가장 편리하고 안전한 위치 및 자세에서 자신이 조립을 할 부품을 조립하게 되며, 할당된 부품의 조립이 종료되면 로울러(21) 어셈브리를 가장 위쪽으로 상승시켜서(원래의 위치) 작업종료신호버튼(24)을 누르게 되고, 그 즉시 제 1 샤틀(10)은 첫 번째의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 앞으로 이동하여 1차 부품 조립이 종료된 배전반(W)을 받아서 두 번째의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로 이동을 시키며, 연이어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 위에 대기 중인 배전반(W)을 첫 번째의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로 이동을 시켜서 앞선 예와 같이 1차 부품의 조립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계속되는데, 이를 다시 살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로 배전반(W)을 차례로 이동시켜서 부품을 차례대로 조립시키도록 하고, 이때 배전반(W)의 위치를 180° 변화시킨 후 부품을 조립하여야 할 때는 제 1 샤틀(10) 또는 제 2 샤틀(10a)을 이용하여 배전반(W)을 턴-테이블(30)로 이동시킨 후 180° 위치 변화를 시키고 다시 제 1 샤틀(10) 또는 제 2 샤틀(10a) 위로 받아서 다음의 부품을 조립하여야 할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로 이동을 시키게 되는데, 도 1을 기준하여 볼 때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에서 턴-테이블(30)의 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제 1 샤틀(10)이 배전반(W)의 이송을 담당하고, 턴-테이블(30)에서 제 1 컨베어(7)의 앞쪽까지는 제 2 샤틀(10a)이 배전반(W)의 이송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을 밝힌다.
한편, 위와 같이 직립이 된 상태에서 배전반(W)에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 배전반(W)을 눕혀 놓은 상태에서 부품을 조립하여야만 가 장 능률적이고 합리적일 때가 있는데, 이러할 경우에는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를 통해 공급된 배전반(W)을 제 1 샤틀(10)이 받아서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 앞으로 이동을 하고,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의 로울러(201)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전반(W)이 이동식 틸팅장치(100)의 제 7 롤러 컨베어(104)의 로울러(105) 위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제 1 샤틀(10)이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 앞에 정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동식 틸팅장치(100)는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 앞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됨은 당연한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위와 같이 배전반(W)이 이동식 틸팅장치(100)의 제 7 롤러 컨베어(104) 위로 이동이 되면 그 즉시 제 7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도 26의 상태에서 도 28의 상태처럼 배전반(W)을 눕혀서 제 7-1 롤러 컨베어(106)의 로울러(107)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데, 제 7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제 7 피스톤로드(111)가 탈출하면 힌지 축(103)에 의해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제 7-1 롤러 컨베어(106)는 직각으로 위치 변화가 되어 결국 도 28과 같이 되는 것임은 당연하다.
이어서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의 로울러(301) 위로 배전반(W)을 눕힌 채 이동을 시켜서 해당 부품의 조립을 마친 후 스위치 제어장치(302)의 작업종료신호버튼(303)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역순에 따라 눕혀 져 있는 배전반(W)은 다시 제 7-1 롤러 컨베어(106) 위로 이동을 하고 다시 제 7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제 7 피스톤로드(111)를 원위치시키면 도 26과 같이 배전반(W)이 직립되며, 이는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를 다시 거쳐 제 1 샤틀(10)로 이동되고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첫 번째의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로 이동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배전반(W)에 부품의 조립이 종료가 되면 제 2 대기 롤러 컨베어(500) 위에 부품 조립이 종료된 배전반(W)을 대기시킴과 아울러 관리자가 배전반(W)의 열반 숫자를 입력하면(예: 3-피스 타입) 제 2 샤틀(10a)은 제 2 대기 롤러 컨베어(500) 위의 배전반(W)을 차례로 실어서 제 1 컨베어(7) 위로 이동을 시키고, 제 1 컨베어(7)에 실려서 이동되는 배전반(W)은 도 13과 같이 제 1 틸팅장치(40)의 제 1 롤러 컨베어(41) 위로 직립된 채 이동이 되며, 제 1 실린더(46)의 작동에 의해 탈출하는 제 1 피스톤로드(47)의 작용에 의하여 결국 도 14와 같이 제 1-1 롤러 컨베어(43)가 직각으로 위치가 변화되어 배전반(W)은 눕혀지게 된다.
이어서 제 1-1 롤러 컨베어(43)의 작동과 동시에 제 2 컨베어(7a)가 작동하여 눕혀져 있는 배전반(W)을 제 2 틸팅장치(50)로 이동을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된 배전반(W)은 도 16과 같이 인수 컨베어(51) 위로 얹히게 되는 바, 이상과 같은 요령에 따라 합계 3개의 배전반(W)이 인수 컨베어(51) 위에 도착하게 되면 작업자는 3개의 배전반(W)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고정을 시키게 된다.
여기서 통상의 배전반의 네 귀퉁이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미리 형성이 되어 있어서 최소 2개 이상으로 열반 조립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밝히며, 열반 조립식이 아닐 경우 상기 배전반(W)은 하나씩 단독으로 생산된다.
이상과 같이 3개의 배전반(W)이 열반 조립이 되어 한 몸을 이루게 되고, 미도시된 작업완료 버튼을 누르게 되면 즉시 제 2 실린더(54)와 제 2 피스톤로드(55) 의 작용에 의하여 도 15와 같이 배전반(W)은 지지대(52) 위에서 다시 직립이 되며, 지게차를 이용하여 열반 조립된 배전반(W)을 들어서 도어 조립 및 검사 장소로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틸팅장치(50)와 제 4 틸팅장치(70), 제 6 틸팅장치(90)에는 열반 조립이 종료되면 작업완료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이며 본 발명의 다른 장치를 통해 작업종료신호버튼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므로 별도로 도면을 통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 소형의 배전반(W1)을 생산하여야 할 경우를 간단히 살피면, 이 역시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를 통해 제 1 샤틀(10)로 공급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를 통해 순차적으로 부품의 조립이 종료가 되는데, 소형의 배전반(W1)의 경우 이동식 틸팅장치(100)를 사용하는 예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턴-테이블(30)도 빈번하게 사용되지는 않는다.
즉, 소형의 배전반(W1)의 경우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를 통해 부품의 조립이 거의 종료가 되고, 이들은 대형의 배전반(W)이 몇 개가 조립이 된 열반 조립식이 아닌 한 개씩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반면, 크기가 작아서 거의 열반 조립이 된 채 사용이 된다. 따라서 제 2 샤틀(10a)을 통해 제 3 컨베어(8) 또는 제 5 컨베어(9)로 배전반(W1)을 공급하고 이를 제 3 틸팅장치(60)와 제 5 틸팅장치(80)를 통해 눕혀서 제 4 컨베어(4a)와 제 6 컨베어(9a)로 이동을 시키며, 제 4 틸팅장치(70)와 제 6 틸팅장치(90)의 인수 컨베어(71)(91) 위로 정해진 개수만큼 모아서 열반 조립을 한 다음 지지대(72)(92) 위로 직립시켜서 지게차로 이동을 시키 게 된다.
한편, 소형의 배전반(W1)의 열반 조립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대칭형으로 제 3 컨베어(8)와 제 5 컨베어(9) 그리고 제 3 틸팅장치(60)와 제 5 틸팅장치(80), 제 4 컨베어(8a)와 제 6 컨베어(9a), 제 4 틸팅장치(70)와 제 6 틸팅장치(90)를 구비시킨 이유는, 대형의 배전반의 숫자에 비하여 소형의 배전반의 숫자가 더 많으며 소형의 배전반이 생산 속도가 대형의 배전반에 비하여 빠르기 때문에 완성품의 배출도 비례적으로 신속히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소형의 배전반(W1)의 열반 조립까지의 공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3 틸팅장치(60)와 제 5 틸팅장치(80) 그리고 제 4 틸팅장치(70)와 제 6 틸팅장치(90)의 각 세부 동작을 부호를 인용하며 일일이 설명하지 않은 것은 제 1 틸팅장치(40)와 제 2 틸팅장치(50)의 동작과 부호만 다를 뿐 작용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실험한 결과, 동일한 배전반의 생산 숫자를 기준으로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작업을 통해 대형 또는 소형의 배전반들을 생산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속도가 300% 정도 상승됨과 아울러 생산단가도 20% 정도 감소되며 작업자의 안전도가 크게 상승하고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동시에 탁월하게 상승하게 되며, 불량의 발생율이 거의 제로에 도달할 수 있고 품질의 고급화가 가능한 등의 매우 우수한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형의 배전반은 물론 소형의 배전반 생산에 이르기까지 거의 자동화에 가까운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 전부 수작업에 의 존하는 배전반 제조 시스템과 비교할 때 생산성과 작업성, 작업효율의 측면에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탁월하게 진보된 효과가 있으며, 안전한 작업을 도모할 수 있고 생산단가의 하락으로 경쟁력이 크게 상승되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 1 샤틀과 제 2 샤틀이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6) 및 상기 레일(6)의 양쪽 끝 부분에 직립 고정된 제 1 포스트(2)와 제 2 포스트(4);
    상기 제 1 포스트(2) 상에서, 제 2 포스트(4)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 그리고 상기 제 2 포스트(4) 상에서 제 1 포스트(2)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와;
    상기 레일(6)을 타고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휘일(16)이 휘일 고정쇠(15)에 의하여 사방에 고정된 채, 제 1 주행제어장치(12)에 의해 통제가 되도록 하고,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11)가 조립되며, 제 1 버팀대(13)의 위에는 상기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채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3)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1 반사판(14)을 가지는 제 1 샤틀(10)과;
    상기 레일(6)을 타고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휘일(16)이 휘일 고정쇠(15)에 의하여 사방에 고정된 채, 제 2 주행제어장치(12a)에 의해 통제가 되도록 하고,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11a)가 조립되며, 제 2 버팀대(13a)의 위에는 상기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채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5)를 향하여 고정되는 제 2 반사판(14a)을 가지는 제 2 샤틀(10a)과;
    상기 제 1 포스트(2)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며 부품 조립을 위한 배전반을 제 1 샤틀(10)로 공급시키기 위한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와;
    레일(6)을 기준하여 상기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부품 조립을 위해 배전반을 대기시킬 수 있는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들과;
    상기 제 1 대기 롤러 컨베어(400)와 이웃하는 위치에 다수 형성된 함몰공간(G7) 안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25), 상기 베이스 판(25) 상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교차 연결된 링크(29), 상기 링크(29)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판(25a), 상기 베이스 판(25)의 브라키트(28)에 하단부가 조립된 제 7 실린더(26), 제 7 실린더(26)에 조립된 채 상기 링크(29)에 단부가 조립되는 제 7 피스톤로드(27)로 되는 리프트장치의 상판(25)에 고정된 채, 자체 내장된 모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로울러(21)를 가지며,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받은 배전반을 상하로 이동시켜 가면서 부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들과;
    상기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의 근접한 위치에 각각 직립 고정이 되며, 장치의 상하 작동용 버튼(23)과 작업종료신호버튼(24)이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제어장치(22)들과;
    자체 내장된 모타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는 로울러(31)를 가지고 링-기어(34)에 맞물린 피니언(33)을 구동시키는 감속모타(32)로 되며, 레일(6)을 기준하여 상기 상하 작동식 롤러 컨베어(20)들의 반대쪽에 설치된 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받은 배전반의 수평 위치를 180° 바꾸어서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 다시 되돌려 주기 위한 턴-테이블(30)과;
    상기 턴-테이블(30)의 좌우에 설치되며, 배전반의 부품조립 대기를 위하여 머물도록 할 수 있는 제 2 대기 롤러 컨베어(500)들과;
    상기 제 2 포스트(4)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을 통해 부품조립이 종료된 대형 배전반(W)을 공급받는 제 1 컨베어(7) 와;
    상기 제 1 컨베어(7)로부터 공급되는 대형의 배전반(W)을 직립으로 받아서 안착시키는 로울러(42)를 가지는 제 1 롤러 컨베어(41), 상기 제 1 롤러 컨베어(4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을 제 2 컨베어(7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44)가 장치된 제 1-1 롤러 컨베어(43), 상기 제 1 롤러 컨베어(4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4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1 피스톤로드(47)를 가지며 함몰공간(G)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4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1 롤러 컨베어(41)와 제 1-1 롤러 컨베어(4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1 실린더(46), 상기 함몰공간(G)에 고정된 고정쇠(4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롤러 컨베어(4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49)으로 된 제 1 틸팅장치(40)와;
    상기 제 1 틸팅장치(40)의 제 1-1 롤러 컨베어(43) 위에 얹힌 배전반(W)을 눕힌 채 받아서 제 2 틸팅장치(5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컨베어(7a)와;
    상기 제 2 컨베어(7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대형의 배전반(W)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51), 상기 인수 컨베어(5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52), 상기 지지대(52)에 고정된 지지쇠 (5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2 피스톤로드(55)를 가지며 함몰공간(G1)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5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51)와 지지대(5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2 실린더(54), 상기 함몰공간(G1)에 고정된 고정쇠(5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5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57)으로 된 제 2 틸팅장치(50)와;
    상기 제 2 포스트(4)와 제 1 컨베어(7) 사이에 설치되며 소형의 배전반(W1)을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세운 채 받아서 제 5 틸팅장치(80)로 공급하는 제 5 컨베어(9)와;
    상기 제 5 컨베어(9)로부터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직립으로 안착시키는 로울러(82)를 가지는 제 5 롤러 컨베어(81), 상기 제 5 롤러 컨베어(8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제 6 컨베어(9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84)가 장치된 제 5-1 롤러 컨베어(83), 상기 제 5 롤러 컨베어(8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8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5 피스톤로드(87)를 가지며 함몰공간(G4)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8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5 롤러 컨베어(81)와 제 5-1 롤러 컨베어(8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5 실린더(86), 상기 함몰공간(G4)에 고정된 고정쇠(8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5 롤러 컨베어(8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89)으로 된 제 5 틸팅장치(80)와;
    상기 제 5 틸팅장치(80)의 제 5-1 롤러 컨베어(83) 위에 얹힌 배전반(W1)을 눕힌 채 받아서 제 6 틸팅장치(9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6 컨베어(9a)와;
    상기 제 6 컨베어(9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91), 상기 인수 컨베어(9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1)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92), 상기 지지대(92)에 고정된 지지쇠(9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6 피스톤로드(95)를 가지며 함몰공간(G5)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9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91)와 지지대(9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6 실린더(94), 상기 함몰공간(G5)에 고정된 고정쇠(9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9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97)으로 된 제 6 틸팅장치(90)와;
    상기 레일(6)을 기준으로 한 채 제 5 컨베어(9)와 대칭의 위치에 고정되고, 제 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세워져서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제 3 틸팅장치(6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어(8)와;
    상기 제 3 컨베어(8)로부터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직립으로 안착시키는 로울러(62)를 가지는 제 3 롤러 컨베어(61), 상기 제 3 롤러 컨베어(6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제 4 컨베어(8a)로 눕혀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64)가 장치된 제 3-1 롤러 컨베어(63), 상기 제 3 롤러 컨베어(61)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쇠(65)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3 피스톤로드(67)를 가지며 함몰공간(G2)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68)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제 3 롤러 컨베어(61)와 제 3-1 롤러 컨베어(63)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3 실린더(66), 상기 함몰공간(G2)에 고정된 고정쇠(69a)에 의해 지지되며 제 3 롤러 컨베어(61)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69)으로 된 제 3 틸팅장치(60)와;
    상기 제 3 틸팅장치(60)의 제 3-1 롤러 컨베어(63) 위에 얹힌 배전반(W1)을 눕힌 채 받아서 제 4 틸팅장치(7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4 컨베어(8a)와;
    상기 제 4 컨베어(8a)로부터 누운 채 공급되는 소형의 배전반(W1)을 받아서 최소 2개 이상 열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인수 컨베어(71), 상기 인수 컨베어(71)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최소 2개 이상 열반된 배전반(W1)을 직립시켜 지게차가 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72), 상기 지지대(72)에 고정된 지지쇠(73)와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4 피스톤로드(75)를 가지며 함몰공간(G3)의 바닥에 고정된 브라키트(76)에 하단부가 조립된 채, 인수 컨베어(71)와 지지대(72)를 직각으로 위치 이동을 시켜주는 제 4 실린더(74), 상기 함몰공간(G3)에 고정된 고정쇠(77a)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72)의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 축(77)으로 된 제 4 틸팅장치(70)와;
    상기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의 옆에 형성된 함몰공간(G6)의 바닥에 고정되는 레일(6a)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휘일(116)이 휘일 고정쇠(115)에 의해 사방으로 고정된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101)의 측면에 고정된 제 3 반사판(118), 상기 제 3 반사판(118)과 대향하도록 함몰공간(G6)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 3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117)와, 제1 샤틀 또는 제 2 샤틀로부터 공급되는 배전반(W)을 브릿지용 롤러 컨베어(200)를 거친 후 세운 채 받아서 안착시키는 로울러(105)가 장치되며 프레임(101) 상의 고정쇠(102)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축(103)에 의해 지지되는 제 7 롤러 컨베어(104),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직각으로 고정되며 배전반(W1)을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받아오기 위한 로 울러(107)가 장치된 제 7-1 롤러 컨베어(106), 상기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제 7-1 롤러 컨베어(106)를 연결하는 보강대(108)에 고정된 지지봉(112)에 끝 부분이 조립되는 제 7 피스톤로드(111)를 가진 채, 하단부는 브라키트(109)에 조립되며 상기 제 7 롤러 컨베어(104)와 제 7-1 롤러 컨베어(106)를 직각으로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제 7 실린더(110), 상기 제 7 실린더(110)에 유압동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는 유압동력공급장치(113), 상기 프레임(101) 상에 고정되며 프레임(101)의 정밀한 주행을 통제하기 위한 주행제어장치(114)로 된 이동식 틸팅장치(100)와;
    상기 이동식 틸팅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배전반(W)을 눕힌 채 받아서 안착시키기 위한 로울러(301)가 장치되고, 공급받은 배전반(W)을 눕혀 둔 채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들과;
    상기 고정식 롤러 컨베어(300)의 근접한 위치에 각각 직립 고정이 되며, 작업종료신호버튼(303)이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제어장치(302)들과;
    배전반 공급용 롤러 컨베어(700)를 통해 공급시킬 배전반의 종류를 입력시키고, 배전반의 종류별로 거쳐야 할 장치를 지정하며, 열반을 시켜야 할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 제 1 샤틀(Shuttle)과 제 2 샤틀(Shuttle)의 위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이동식 틸팅장치(100)의 위치를 제어하며, 제 1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와 제 2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와 제 3 레이저 빔 조사 및 거리측정장치를 통제하는 등의 시스템 전반에 걸쳐 장치의 모든 동작의 통제와 제어, 라인의 이상 유무 감지를 통해 경보발생 및 이상이 발생된 라인 또는 장치의 가동 중지, 시스템 전체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통제 및 관리 등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 제어장치(1)로 구성된 것을 특징 하는 배전반 제조 시스템.
KR1020120019596A 2012-02-24 2012-02-24 배전반 제조 시스템 KR10127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96A KR101271370B1 (ko) 2012-02-24 2012-02-24 배전반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96A KR101271370B1 (ko) 2012-02-24 2012-02-24 배전반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370B1 true KR101271370B1 (ko) 2013-06-07

Family

ID=4886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596A KR101271370B1 (ko) 2012-02-24 2012-02-24 배전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0480A (zh) * 2016-05-25 2016-07-27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断路器灭弧室可拆解组装工装
CN110176731A (zh) * 2019-06-26 2019-08-2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潜望型多功能摄录一体绝缘拉杆及其使用方法
KR102167754B1 (ko) 2020-07-02 2020-10-19 윤경상 자동제어설비 및 배전반의 자동 제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19A (ja) * 1993-08-25 1995-03-10 Toei Denki Kk 筐体製造方法および筐体
JP2006246547A (ja)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0625B1 (ko) 2008-05-26 2009-01-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19A (ja) * 1993-08-25 1995-03-10 Toei Denki Kk 筐体製造方法および筐体
JP2006246547A (ja)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0625B1 (ko) 2008-05-26 2009-01-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0480A (zh) * 2016-05-25 2016-07-27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断路器灭弧室可拆解组装工装
CN105810480B (zh) * 2016-05-25 2018-01-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断路器灭弧室可拆解组装工装
CN110176731A (zh) * 2019-06-26 2019-08-2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潜望型多功能摄录一体绝缘拉杆及其使用方法
KR102167754B1 (ko) 2020-07-02 2020-10-19 윤경상 자동제어설비 및 배전반의 자동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23035U (zh) 一种舱段整修及对接转运装置
JP5279347B2 (ja) 片持架設用移動作業車の油圧制御システム
CN206599402U (zh) 移动式多层升降平台
KR101271370B1 (ko) 배전반 제조 시스템
CN109577676A (zh) 一种悬挑梁智能拆卸装置及其拆卸方法
CN109941654A (zh) 大尺寸薄钢板存储用立体式仓库及操作方法
JP2016088709A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JP2015101440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CN202827587U (zh) 一种移梁台车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RU103506U1 (ru) Линия для сборки и сварки боковой стены полувагонов
CN104925721B (zh) 应用于罐箱的自动翻转装置
WO2020042683A1 (zh) 一种工业机器人检修维护装置
CN210557520U (zh) 挖掘机上车架自动从备料流水线转运至装配线的装置
CN102999000B (zh) 用于智能卸砖机的安全监测装置
JP2019206423A (ja) 揚重雇、及び、その楊重雇を用いた重量物の楊重運搬方法
CN210024185U (zh) 钢箱型梁自动化制造生产***
CN112548473B (zh) 小批量白车身柔性化多角度翻转工装
CN209939591U (zh) 大尺寸薄钢板存储用立体式仓库
CN212799260U (zh) 基于液压提升器的转炉汽包吊装装置
CN212559137U (zh) 一种可移动式多维位置调整机构
CN210710412U (zh) 一种行车过跨装置
CN106223626A (zh) 一种用于钢结构安装的定位装置
CN101381057A (zh) 一种大型门式起重机
CN202170231U (zh) 移动式拔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