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533B1 -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533B1
KR101213533B1 KR1020120067817A KR20120067817A KR101213533B1 KR 101213533 B1 KR101213533 B1 KR 101213533B1 KR 1020120067817 A KR1020120067817 A KR 1020120067817A KR 20120067817 A KR20120067817 A KR 20120067817A KR 101213533 B1 KR101213533 B1 KR 10121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ernatant
storage tank
tank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오 filed Critical 김종오
Priority to KR102012006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나 음폐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하면서 슬러지를 분해하여 슬러지 케이크를 최소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된 하수나 음폐수를 필터로 여과하여서 배출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의 특징은 하수슬러지 또는 음폐수의 원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1차 처리수를 생성하고, 1차 처리수의 생성시 발생된 거품을 액화시키며 1차 처리수를 원수에 피드백시키는 전처리조(100)와;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침전시키는 침전조(200)와; 침전조(200)의 침전수에서 침전된 침전수를 제공받아 질소물질을 2차 처리하고 2차 처리수를 전처리조(100)로 다시 제공하는 침전수처리조(300)와; 침전조(200)의 상등수와 외부로부터 오존을 제공받아 상등수의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처리하여 3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상등수처리부(400)와; 상등수처리부(40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수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SEWAGE SLUDGE AND FOOD LEAKAGE WATER}
본 발명은 하수나 음폐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하면서 슬러지를 분해하여 하수나 음폐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환경문제는 런던협약이나 교토의정서처럼 지역적인 문제가 아닌 범 자구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모든 산업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미 선진국에서는 일찍부터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는 방편으로 엄격한 환경기준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점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하수나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정수처리에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는 일반 오ㆍ침출수와는 달리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고 음폐수 성상 또한 식용유, 일반유기물, 세제등을 포함하고 있어 분석이 불가능할 정도의 고농도로서 분해가 잘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지 않아 전량 해양투기에 의존하거나 인근 하수처리장과 연계 처리하는데, 해양 투기는 2006년 해양오염방지법 개정에 따라 금지되며, 인근 하수처리장과의 연계처리의 경우에 고농도의 음폐수로 인하여 하수처리장에 과부하로 작용하여 하수처리장 증설문제를 발생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수나 음폐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하면서 슬러지를 분해하여 하수나 음폐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는, 하수슬러지 또는 음폐수의 원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1차 처리수를 생성하고, 1차 처리수의 생성시 발생된 거품을 액화시키며 1차 처리수를 원수에 피드백시키는 전처리조(100)와;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침전시키는 침전조(200)와; 침전조(200)의 침전수에서 침전된 침전수를 제공받아 질소물질을 2차 처리하고 2차 처리수를 전처리조(100)로 다시 제공하는 침전수처리조(300)와; 침전조(200)의 상등수와 외부로부터 오존을 제공받아 상등수의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처리하여 3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상등수처리부(400)와; 상등수처리부(40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수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처리조(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조(110)와; 원수저장조에 저장된 원수와 외부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아 원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1차 처리수로 생성하는 제1이젝터(130)와; 제1이젝터(130)를 통해 생성된 2차 처리수를 제공받아 1차 처리수와 기포를 분리하고, 분리된 1차 처리수를 원수저장조(110)로 배출하는 기포분리기(140); 및 기포분리기(140)에서 분리된 거품을 제공받아 거품을 기체와 액체로 분리시켜 분리된 액체를 원수저장조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액분리기(150)는, 고압의 공기가 제공되는 에어공급부(151)와; 기포에서 분리된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배출관(152); 및 기포에서 배출된 액체를 원수저장조(110)로 배출하는 액체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침전조(200)는,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가 채워지도록 외벽과 천정 및 바닥으로 구성되되, 바닥이 처리된 유입된 1차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모이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수저장조(210)와; 침전수저장조(210)에 원수저장조(110)의 원수를 공급하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천정에 일단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원수저장조(110)에 타단이 설치하는 1차 처리수공급부(220)와;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에서 일단이 바닥에서 이격되고 타단이 1차 처리수공급부(220)를 감싸면서 침전수저장조(210)의 천정에 설치되어 1차 처리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1차 처리수를 바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211)과; 침전수저장조(21)의 내부에서 상부에 설치하며 침전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등수배출부(230); 및 상등수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를 상등수저장조(410)에 안내하도록 상등수배출부(230)와 상등수저장조(410)에 양단이 설치되는 상등수안내관(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등수배출부(230)는, 상등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넘치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3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32)로 이루어진 상등부포집부(240)와; 상등부포집부(240)에 포집되는 상등수를 침전수저장조(2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수평부재(231)의 상부에서 외측면을 관통되게 설치되는 연결부(250); 및 연결부(25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에서 모여지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5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52)로 이루어진 상등수이송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슬러지처리조(300)는 질소성분을 제거하는 무산소존(310)과; 미생물을 증식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정화존(320)과; 천정에서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산소존(310)의 상등수만 통과시켜 생물학적정화존(320)으로 공급시키는 제1격벽(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무산소존(310)은 일측에 침전수배출부(212)에 연결되어 침전수를 공급하는 침전수공급관(301)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타단이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천정에 설치된 제2격벽(31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등수처리부(400)는, 상등수이송부(250)의 상등수안내관(253)이 일측에 연결되어 침전조(200)의 상등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상등수저장조(410)와; 상부에 상등수저장조(410)에 연결된 상등수흡입관(421)과 상등수이송펌프(422)를 통해 상등수를 공급받고, 측면으로 오존을 공급받아 상등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3차 처리수로 배출하는 제2이젝터(420)와; 제2이젝터(4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2이젝터(420)에서 배출된 3차 처리수를 저장하면서 용해되지 않은 오존기포를 3차 처리수에서 분리시키는 오존기포분리기(4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여과수단(440)은, 모래층으로 이루어지며 오존기포분리기(43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1차여과조(441)와; 활성탄층으로 이루어지며 1차여과조(441)에서 여과된 여과수에서 미세슬러지를 여과하는 2차여과조(44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는 하수나 음폐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하면서 슬러지를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젝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액분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등수배출수단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는 전처리조(100), 침전조(200), 침전수처리조(300), 상등수처리부(400)를 포함한다.
전처리조(100)는 하수슬러지 또는 음폐수의 원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살균시 발생되는 거품을 액화하기 위한 것으로, 원수저장조(110), 원수이송부(120), 제1이젝터(130), 기포분리기(140) 및 기액분리기(150)를 포함한다.
원수저장조(1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된 함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유입부(1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처리된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부(102)가 형성된다
원수이송부(120)는 원수저장조(110)의 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원수저장조(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입관(121), 제1이젝터(130)에 연결되는 공급관(122) 및 흡입관(121)과 공급관(122)의 사이에 연결되어 원수저장조(110)의 원수를 제1이젝터(130)로 공급되도록 펌핑하는 전처리펌프(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처리펌프(123)가 작동되는 경우 원수저장조(110)의 원수가 흡입관(121)을 통해 관류되면서 제1이젝터(130)로 공급된다.
제1이젝터(130)는 원수이송부(120)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를 살균하도록 원수에 오존을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이젝터는 공급관(122)의 끝단이 연결되며 상부의 경부가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축소관(131)과 축소관(131)의 하부에 위치하며 경부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확대관(133) 및 축소관(131)과 확대관(133)의 사이에 위치하며 오존이 유입되는 오존유입부(13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공급관(122)을 통해 제1이젝터(130)로 유입되는 원수는 축소관(131)의 축소경부를 통과할 때 유속이 매우 빨라지게 되어 순간적으로 진공현상(임계현상)이 발생되면서 오존유입부(132)로 유입되는 오존을 강하게 흡입, 혼합한다. 그 후, 확대관(133)을 통과한 오존수는 점점 확대되는 경부를 통과하면서 강한 유속이 압력으로 바뀌어 원수에 혼합된 오존이 가압 용해되면서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게 된다.
기포분리기(140)는 제1이젝터(13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1이젝터(130)에서 배출된 1차 처리수가 저장되며, 원수의 유기물질 등이 오존에 의해 반응하여 분해되면서 생성된 다량의 거품을 1차 처리수와 분리시킨다. 즉, 유기물질은 오존에 의해 분해되면서 약 10배정도의 거품을 생성하게 된다.
기포분리기(140)의 상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을 기액분리기로 이송하기 위한 거품안내관(14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1차 처리수를 원수저장조(110)로 다시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포분리기(140)에 의하여 제1이젝터(130)에서 원수와 오존이 용융되면서 유기물질의 산화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과 1차 처리수를 분리하게 된다. 즉, 기포분리기(140)에서 생성되어 1차 처리수의 상부로 위치하는 거품은 상부로 계속 밀리면서 거품안내관(141)을 통해 기액분리기(150)로 제공되고, 하부의 1차 처리수는 배출관(142)을 따라 다시 원수저장조(110)로 보내 원수의 오염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다.
기액분리기(150)는 거품안내관(141)에 의해 이송되는 거품에 공기를 제공하여서 거품에서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거품을 분해하는 에어공급부(151)와, 분리된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배출관(152) 및 분리된 액체를 배출하는 액체배출관(153)을 포함한다.
에어공급부(151)는 기액분리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강한 압력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기액분리기(150)로 유입된 거품을 날려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에어공급부(151)는 거품안내관(14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공급부는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다.
기체배출관(152)은 에어에 의하여 거품에서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면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기액분리기(150)의 상단 일단이 설치된다. 기체배출관(152)의 일측에는 기포와 함께 이동되는 액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54)과, 기체에 포함된 악취를 필터링하는 정화필터(1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필터(155)는 활성탄을 이용하는 활성탄필터로 구성되거나 촉매의 산화작용을 촉진시켜서 악취를 제거하는 촉매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액체배출관(153)은 기액분리기(150)에서 분리된 액체가 원수저장조(110)로 공급되도록 일단이 기액분리기(150)의 하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원수저장조(1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기액분리기(150)는 거품을 기체와 액체로 분리되고, 분리된 기체를 필터(155)에서 필터링 되어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분리된 액체가 액체배출관(153)을 통해 원수저장조(110)로 공급되어 원수의 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조는 오염농도가 높은 하수슬러지 또는 음폐수의 원수를 반복적으로 오존으로 처리하여 오염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유기물질의 분해시 발생되는 거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침전조(200)는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되어 오염농도가 저감된 처리수가 채워져서 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으로, 침전수저장조(210), 1차 처리수공급부(220), 상등수배출부(230)를 구비한다.
침전수저장조(210)는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가 채워지도록 외벽과 천정 및 바닥으로 구성되되, 바닥이 처리된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모이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침전수저장조(210)는 상광하협의 깔때기형태로 형성되는 바닥에 슬러지가 모여지게 된다.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에는 일단이 바닥에서 이격되면서 각각의 타단이 침전수저장조(21)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벽(211)이 형성된다. 가이드벽(211)은 1차 처리수공급부(220)에서 배출되는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1차 처리수를 침전수저장조(210)의 바닥으로 안내한다. 또한, 침전수저장조(210)의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부(212)가 형성된다.
1차 처리수공급부(220)는 일단이 침전수저장조(210)의 배출부(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침전수저장조(210)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송펌프(221)를 통해 원수저장조(110)의 1차 처리수를 침전수저장조(210)로 공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등수배출부(230)는 침전수저장조(2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벽(211)들에 의해 안내되는 침전된 1차 처리수에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등수배출부(230)는 상등부포집부(240), 연결부(250) 및 상등수이송부(260)로 이루어진다.
상등부포집부(240)는 상등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넘치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3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등부포집부(240)는 침전수저장조(210)에 1차 처리수가 순차적으로 채워지면서 침전된 상태에서 수직부재(232)를 넘는 깨끗한 상등수만 포집할 수 있다.
상등수배출부(230)는 상등부포집부(240)에 포집되는 상등수를 침전수저장조(2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수평부재(231)의 상부에서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등수배출부(230)는 수평부재(231)의 하부면과 같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등수이송부(260)는 상등수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에서 모여지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6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6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등수이송부(260)는 수평부재(261)와 수직부재(262)가 서로 연결되어서 단면의 형상이 'L'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되므로, 상등수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모여지면서 공기중의 산소가 공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고 우천시에 빗물이 혼합되어 희석될 수도 있다.
또한, 상등수이송부(260)는 상등수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를 상등수저장조(410)에 안내하도록 상등수배출부(230)와 상등수저장조(410)에 연결되는 상등수안내관(263)을 구비한다. 이때, 상등수저장조(410)가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등수안내관(263)이 수직이나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상등수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상등수가 용이하게 상등수저장조(4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전조(200)는 침전수저장조(210)를 이용하여 전처리조(100)에서 1차 처리된 처리수를 제공받아 슬러지가 저감된 상등수만을 별도로 상등수처리부(4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침전수저장조(210)에서 침전된 침전수는 침전수배출부(212)를 통해 침전수처리조(300)로 공급된다.
한편, 침전수처리조(300)는 침전조(200)에서 침전된 침전수를 제공받아 2차 처리하고, 2차 처리수를 전처리조(1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잔류되는 침전수에서 고형물이 분리되어 질소가 제거되도록 일측에 무산소존(310)을 형성하며, 상등수에 미생물을 증식시켜서 생물학적으로 정화처리 되도록 타측에 생물학적정화존(320)을 구비한다. 무산소존(310)과, 생물학적정화존(320)는 제1격벽(330)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격벽(330)은 천정에서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산소존(310)의 상등수만 통과시켜 생물학적정화존(320)으로 공급시킨다.
무산소존(310)는 침전수에 산발효액 등을 첨가하는 경우 침전수에서 고형물이 분리되어 침전수에 포함된 인, 질소 등을 분해처리하는 탈질과정을 거침으로써 질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무산소조(310)는 일측에는 침전수배출부(212)에 연결되어 침전수를 공급하는 침전수공급관(301)이 연결된다. 무산소조에 공급되는 침전수는 침전수펌프(302)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산소존(310)의 내부에는 타단이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천정에 설치된 제2격벽(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격벽(311)에 의하여 무산소존(310) 내부로 공급된 침전수는 제2격벽(311)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 무산소조(310)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생물학적정화존(320)은 미생물을 증식시켜서 제1격벽(330)을 넘어서 공급된 침전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정화처리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생물학적정화존(320)의 일측에는 미생물이 증식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321)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공급기(321)는 외부의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22)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공급기(321)는 생물학적정화존(320)의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수처리조(300)는 무산소조(310) 및 생물학적정화존(320)을 통해 처리된 2차 처리수를 전처리조(100)로 공급하는 처리수공급수단(3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수공급수단(340)은 일단이 생물학적정화존(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수저장조(110)에 연결된 처리수공급관(341)과 처리수공급관(341)에 연결되어 2차 처리수가 공급하는 처리수펌프(342)로 구성된다. 따라서, 미생물에 의해 처리된 2차 처리수는 전처리조(100)의 원수저장조(110)로 재공급되어 원수의 오염농도를 저감시켜 처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등수처리부(400)는 침전조(200)의 상등수를 제공받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등수저장조(410), 제2이젝터(420), 오존기포분리기(430), 여과장치(440)를 포함한다.
상등수저장조(410)는 상등수이송부(260)의 상등수안내관(263)이 일측에 연결되어 침전조(200)의 상등수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제2이젝터(420)는 상부에 상등수저장조(410)에 연결된 상등수흡입관(421)과 상등수이송펌프(422)를 통해 상등수를 공급받고, 측면으로 오존을 공급받아 상등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3차 처리수로 배출한다.
오존기포분리기(430)는 제2이젝터(4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2이젝터(420)에서 배출된 3차 처리수를 저장하면서 용해되지 않은 오존기포를 3차 처리수에서 분리시킨다. 오존기포분리기(430)는 일측 상부에 분리된 오존기포를 배출하기 위한 오존배출부(431)가 형성되며, 오존배출부에 활성탄 등의 배오존부(4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존기포분리기(430)에 의하여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오존기포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장치(440)는 오존기포분리기(43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3차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여과하는 1차여과조(441), 2차여과조(442)로 이루어진다.
1차여과조(441)는 여과수펌프(443)에 의해 펌핑되어 공급받아 3차 처리수에서 슬러지를 여과한다. 여기서, 1차여과조(441)는 슬러지가 걸러지는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등수는 1차여과조(441)의 모래층을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므로 슬러지가 모래층에 걸러지게 되어서 여과된다.
2차여과조(442)는 1차여과조(441)에서 여과된 여과수에서 미세슬러지를 여과한다. 여기서, 2차여과조(442)는 미세슬러지가 걸러지는 활성탄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여과된 여과수는 활성탄층을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므로 미세슬러지가 활성탄층에 걸러지면서 한 번 더 여과된다.
여과수배출관(450)은 2차여과조(442)에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여과통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다.
이와 같이, 상등수는 1차여과조(441)와 2차여과조(442)에 의해 연속적으로 여과되어서 슬러지와 미세슬러지가 걸러지게 되므로 깨끗한 물을 외부로 방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처리조 110 : 원수저장조
120 : 원수이송부 130 : 제1이젝터
140 : 기포분리기 150 : 기액분리기
200 : 침전조 210 : 침전수저장조
220 : 1차 처리수공급부 230 : 상등수배출부
240 : 상등부포집부 250 : 연결부
260 : 상등수이송부 300 : 침전수처리조
310 : 무산소조 320 : 생물학적정화존
330 : 제1격벽 340 : 처리수공급수단
400 : 상등수처리부 410 : 상등수저장조
420 : 제2이젝터 430 : 오존기포분리기
440 : 여과장치 441 : 1차여과조
442 : 2차여과조

Claims (10)

  1. 하수슬러지 또는 음폐수의 원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1차 처리수를 생성하고, 1차 처리수의 생성시 발생된 거품을 액화시키며 1차 처리수를 원수에 피드백시키는 전처리조(100);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침전시키는 침전조(200);
    침전조(200)의 침전수에서 침전된 침전수를 제공받아 질소물질을 2차 처리하고 2차 처리수를 전처리조(100)로 다시 제공하는 침전수처리조(300);
    침전조(200)의 상등수와 외부로부터 오존을 제공받아 상등수의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처리하여 3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상등수처리부(400);
    상등수처리부(40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수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처리조(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조(110);
    원수저장조에 저장된 원수와 외부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아 원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1차 처리수로 생성하는 제1이젝터(130);
    제1이젝터(130)를 통해 생성된 2차 처리수를 제공받아 1차 처리수와 기포를 분리하고, 분리된 1차 처리수를 원수저장조(110)로 배출하는 기포분리기(140); 및
    기포분리기(140)에서 분리된 거품을 제공받아 거품을 기체와 액체로 분리시켜 분리된 액체를 원수저장조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액분리기(150)는
    고압의 공기가 제공되는 에어공급부(151);
    기포에서 분리된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배출관(152); 및
    기포에서 배출된 액체를 원수저장조(110)로 배출하는 액체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기체배출관(152)의 일측에는 배출되는 기체에 포함된 악취를 필터링하는 정화필터(1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침전조(200)는
    전처리조(10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가 채워지도록 외벽과 천정 및 바닥으로 구성되되, 바닥이 처리된 유입된 1차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모이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수저장조(210);
    침전수저장조(210)에 원수저장조(110)의 원수를 공급하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천정에 일단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원수저장조(110)에 타단이 설치하는 1차 처리수공급부(220);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에서 일단이 바닥에서 이격되고 타단이 1차 처리수공급부(220)를 감싸면서 침전수저장조(210)의 천정에 설치되어 1차 처리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1차 처리수를 바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211);
    침전수저장조(21)의 내부에서 상부에 설치하며 침전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등수배출부(230); 및
    상등수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를 상등수저장조(410)에 안내하도록 상등수배출부(230)과 상등수저장조(410)에 양단이 설치되는 상등수안내관(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등수배출부(230)는
    상등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넘치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3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32)로 이루어진 상등부포집부(240);
    상등부포집부(240)에 포집되는 상등수를 침전수저장조(2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수평부재(231)의 상부에서 외측면을 관통되게 설치되는 연결부(250); 및
    연결부(25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에서 모여지도록, 침전수저장조(21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수평부재(251)와 수평부재에서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52)로 이루어진 상등수이송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러지처리조(300)는
    질소성분을 제거하는 무산소존(310);
    미생물을 증식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정화존(320);
    천정에서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산소존(310)의 상등수만 통과시켜 생물학적정화존(320)으로 공급시키는 제1격벽(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무산소존(310)은 일측에 침전수배출부(212)에 연결되어 침전수를 공급하는 침전수공급관(301)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타단이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천정에 설치된 제2격벽(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등수처리부(400)는
    상등수이송부(250)의 상등수안내관(253)이 일측에 연결되어 침전조(200)의 상등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상등수저장조(410);
    상부에 상등수저장조(410)에 연결된 상등수흡입관(421)과 상등수이송펌프(422)를 통해 상등수를 공급받고, 측면으로 오존을 공급받아 상등수에 오존을 용해시켜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3차 처리수로 배출하는 제2이젝터(420);
    제2이젝터(4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2이젝터(420)에서 배출된 3차 처리수를 저장하면서 용해되지 않은 오존기포를 3차 처리수에서 분리시키는 오존기포분리기(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수단(440)은
    모래층으로 이루어지며 오존기포분리기(430)에서 분리된 3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1차여과조(441);
    활성탄층으로 이루어지며 1차여과조(441)에서 여과된 여과수에서 미세슬러지를 여과하는 2차여과조(4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KR1020120067817A 2012-06-25 2012-06-25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KR10121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17A KR101213533B1 (ko) 2012-06-25 2012-06-25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17A KR101213533B1 (ko) 2012-06-25 2012-06-25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533B1 true KR101213533B1 (ko) 2012-12-20

Family

ID=4790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17A KR101213533B1 (ko) 2012-06-25 2012-06-25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5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502B1 (ko) * 2016-07-14 2017-06-28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음폐수 처리 공정 시스템
EP3480171A1 (en) 2017-11-03 2019-05-0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50474A (ko) 2017-11-03 2019-05-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음폐수 처리 시스템
KR102540706B1 (ko) 2022-01-28 2023-06-07 이순걸 음식물류폐기물의 오염원 무배출 공정을 적용한 디스크 건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19B1 (ko) 2010-12-30 2011-04-1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총인〔t-p〕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기존 침전지 개량형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19B1 (ko) 2010-12-30 2011-04-1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총인〔t-p〕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기존 침전지 개량형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502B1 (ko) * 2016-07-14 2017-06-28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음폐수 처리 공정 시스템
EP3480171A1 (en) 2017-11-03 2019-05-0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50477A (ko) 2017-11-03 2019-05-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음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20190050474A (ko) 2017-11-03 2019-05-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음폐수 처리 시스템
KR102540706B1 (ko) 2022-01-28 2023-06-07 이순걸 음식물류폐기물의 오염원 무배출 공정을 적용한 디스크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117B1 (ko) 복합 고도정수처리 장치
RU25301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213533B1 (ko)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KR20120005857A (ko)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20539B1 (ko) 수처리장치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101210536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101598007B1 (ko) 마이크로 버블 고액분리장치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CN202898140U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
KR101204395B1 (ko) 하.폐수의 처리장치
EP2822901B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RU273605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дренажных и надшламовых вод промыш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и объектов размещения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отребления
RU6259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8473348A (zh) 通过氧化处理废水的方法和设备
JP2008000705A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KR101499777B1 (ko) 침전조와 폭기조 일체형 수질정화시스템
KR101155134B1 (ko) 삼상 분리 방식의 수중 황화수소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CN102874965B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
WO2016174562A2 (en) Dissolved ozone floatation effluent treatment system
JP2014147859A (ja) 血水排水処理システム
RU274099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дренажных и надшламовых вод промыш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и объектов размещения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отребления
KR102312754B1 (ko) 세라믹 분리막의 막여과 공정과 오존 산화반응 공정이 결합된 일체형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