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86B1 -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86B1
KR101173286B1 KR1020120052504A KR20120052504A KR101173286B1 KR 101173286 B1 KR101173286 B1 KR 101173286B1 KR 1020120052504 A KR1020120052504 A KR 1020120052504A KR 20120052504 A KR20120052504 A KR 20120052504A KR 101173286 B1 KR101173286 B1 KR 10117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ggregat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Original Assignee
(주)예당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당환경 filed Critical (주)예당환경
Priority to KR102012005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회수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망의 상부에서 이동되면서 큰골재는 전방으로 배출되고, 망을 통과한 작은골재는 하판으로 낙하되어 하판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스크린장치와; 상기 하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작은골재를 배출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망의 배출측 하부에 구비되어 스크린장치에서 배출 낙하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강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부와; 상기 스크린장치의 배출측의 전방에 구비되며, 바람과 함께 이물질 및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골재가 내부로 유입되어 중량차에 의해 중량이 무거운 잔골재는 후방 수직배출닥트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은 전방 수직배출닥트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하는 분리 선별닥트와;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잔골재를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A sorting and collection device for fine aggrega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회수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철근류, 토사 및 이외에 재개발 현장에서 작업 여건상 분리가 불가능한 폐기물의 발생량은 연간 수천만 톤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그대로 버리지 않고, 건설폐기물을 파쇄시켜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골재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건설폐기물의 처리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수집된 건설폐기물을 크라샤 등의 파쇄기에 의해 1차로 파쇄 시킨다. 다음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낙하시키면서 전자석에 의해 고철을 분리 회수한다. 다음 파쇄 된 건설폐기물을 진동 스크린에 투입하여 큰 골재로 구성된 건설폐기물과 작은 골재로 구성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고, 배출되는 큰 골재로 구성된 건설폐기물에 송풍 바람을 불어주어 건설폐기물들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모래와 같이 세립한 골재) 및 이물질을 분리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고철을 제거한 다음,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폐기물에서 입자가 큰 재생골재를 얻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 중, 송풍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모래 등의 잔골재가 이물질과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의 처리 공정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고가인 잔골재가 이물질과 함께 취합된 후 버려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고가인 재생 잔골재를 전혀 회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847472호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2008. 07. 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회수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잔골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 회수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되어 낙하된 큰골재를 물로 세척하여 바로 재생 골재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바람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망의 상부에서 이동되면서 큰골재는 전방으로 배출되고 망을 통과한 작은골재는 하판으로 낙하되어 하판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스크린장치와, 상기 하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작은골재를 배출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망의 배출측 하부에 구비되어 스크린장치에서 배출 낙하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강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부와, 상기 스크린장치의 배출측의 전방에 구비되며 바람과 함께 이물질 및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골재가 내부로 유입되어 중량차에 의해 중량이 무거운 잔골재는 후방 수직배출닥트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은 전방 수직배출닥트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하는 분리 선별닥트와,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잔골재를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린장치의 하부와 상기 분리 선별닥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장치의 전방에서 낙하되는 큰골재를 세척하여 배출하고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에서 낙하되는 이물질과 부유된 이물질을 회수 배출하는 세척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선별닥트는, 상기 송풍부와 마주보게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이 막혀 있으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람 통과닥트와; 상기 바람 통과닥트 하부의 후방과 전방에 구비된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와 전방 수직배출닥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람 통과닥트는, 후방의 개방부가 넓고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 선별닥트는,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 사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후,전방 수직배출닥트 사이의 통과 공간의 단면적을 조정하는 통과 단면적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통과 단면적 조정부는,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의 상부에 양측이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어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횡방향 차단판과, 상기 양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방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장홀과, 상기 횡방향 차단판의 양측 후방에 상기 원호형 장홀에 관통되게 구비된 돌출 나사축과, 양측에 돌출 나사축에 체결되는 양측의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 사이의 상부는, 이물질이 전방 수직배출닥트로 마찰 없이 투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 선별부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배출되는 큰골재를 세척 탈수시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탈수 스크린장치와; 상기 수조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수조의 상부에 부상된 이물질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쓰레기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 선별닥트의 전방 상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물 분사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 분사관과 수조의 사이에는 펌프가 구비된 물 공급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하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이물질 배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부는, 수조의 하부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배출관과, 상기 반원형 배출관의 타측에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서 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조의 내부에 채워져 침수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수 스크린장치의 배출측에는, 세척되고 탈수된 큰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장치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이 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은 잔골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잔골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 회수함으로써, 필요한 크기의 잔골재만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된 큰골재를 물로 세척하여 바로 재생 골재로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큰골재의 세척 공정을 필요 없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바람에 포함된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별 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별 회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별 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선별 회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망(11)의 상부에서 이동되면서 큰골재는 전방으로 배출되고, 망(11)을 통과한 작은골재는 하판(12)으로 낙하되어 하판(12)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스크린장치(1)와; 상기 하판(12)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판에서 낙하되는 작은골재를 배출하는 제1 컨베이어(2)와; 상기 망(11)의 배출측 하부에 구비되어 스크린장치(1)에서 배출 낙하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강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부(3)와; 상기 스크린장치(1)의 망(11) 배출측의 전방에 구비되어 바람과 함께 이물질 및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골재를 분리 회수하는 분리 선별닥트(4)와; 상기 스크린장치(1)의 하부와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척 선별부(6)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장치(1)는, 진동되지 않는 방식과 바이브레이터(13)에 의해 진동이 되는 방식의 두 가지 타입이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이브레이터(13)가 장착된 진동 스크린장치(1)를 도시하였다.
상기 송풍부(3)는, 외부의 설치되는 컴퓨레셔(미도시됨)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불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관과, 관의 전방에 상향지게 다수로 구비되는 송풍노즐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3)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후방 개방부로 분사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과 함께 이물질 및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골재가 내부로 유입되어 중량차에 의해 중량이 무거운 잔골재는 후방 수직배출닥트(42)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은 전방 수직배출닥트(43)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제적으로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상기 송풍부(3)와 마주보게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이 막혀 있으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람 통과닥트(41)와; 상기 바람 통과닥트(41) 하부의 후방과 전방에 구비된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42)와 전방 수직배출닥트(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스크린장치(1)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세척 선별부(6)를 구성하는 수조(61)에 연결된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는 회수되는 잔골재와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이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람 통과닥트(41)는, 후방의 개방부가 넓고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잔골재와 이물질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상부는, 이물질이 전방 수직배출닥트(43)로 마찰 없이 투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3)에서 강한 바람이 발생되면, 상기 망(11)에서 배출되는 큰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와 이물질이 분리 선별닥트(4)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래 등의 잔골재가 강한 바람으로 인해 분리되어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 상기 분리 선별닥트(4)로 유입된 잔골재는 이물질보다 중량이 큼으로써, 바람과 함께 상기 분리 선별닥트(4)로 유입되어 통과되는 과정에서 후방 수직배출닥트(42)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반대로 상기 잔골재보다 중량이 작은 먼지, 토분, 종이조각, 비닐조각 등의 이물질은 바람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동되어 전방 수직배출닥트(43)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다시말해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42)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중량이 큰 모래 등의 잔골재가 유입되어 배출되고,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에는 폐기되는 먼지, 토분, 종이조각, 비닐조각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42)에서 배출된 잔골재는, 후방 수직배출닥트(42)의 하부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5)를 통해 배출되어 재활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은 잔골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통과 공간의 단면적을 조정하는 통과 단면적 조정부(44)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통과 단면적 조정부(44)는,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통과 공간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더 회수하거나, 입자가 큰 잔골재만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통과 단면적 조정부(44)는,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의 상부에 양측이 힌지축(442)을 통해 고정되어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횡방향 차단판(441)과, 상기 양측의 힌지축(442)을 중심으로 후방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장홀(443)과, 상기 횡방향 차단판(441)의 양측 후방에 상기 원호형 장홀(443)에 관통되게 구비된 돌출 나사축(444)과, 양측에 돌출 나사축(444)에 체결되는 양측의 너트(44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양측에 구비된 너트(445)의 조임과 풀음을 통해 상기 횡방향 차단판(441)의 경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횡방향 차단판(441)의 기울기를 크게하면, 작은 입자의 잔골재를 후방 수직배출닥트(42)로 회수할 수 있다. 반대로 횡방향의 차단판의 기울기를 작게하면, 필요한 큰 입자의 잔골재만을 후방 수직배출닥트(42)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선별 회수장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잔골재을 크기에 따라 선별 회수함으로써, 필요한 크기의 잔골재만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척 선별부(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장치(1)의 하부와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크린장치(1)의 전방에서 낙하되는 큰골재를 세척하여 배출하고,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에서 낙하되는 이물질과 부유된 이물질을 회수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선별부(6)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61)와; 상기 수조(61)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배출되는 큰골재를 세척 탈수시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탈수 스크린장치(62)와; 상기 수조(6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수조(61)의 상부에 부상된 이물질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쓰레기 이송컨베이어(63)를; 포함한다.
상기 탈수 스크린장치(62)의 배출측에는, 세척되고 탈수된 큰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8)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탈수 스크린장치(62)는, 전방이 수조(61)에 채워진 물에 침수되어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진동에 의해 큰골재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작동을 한다. 그런데 상기 탈수 스크린장치(62)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쓰레기 이송컨베이어(63)는, 후방이 수조(61)에 채워진 물에 침수되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쓰레기 회수용 돌출격판이 구비된 컨베이어의 이동을 통해 쓰레기를 회수하는 작동을 한다. 그런데 상기 쓰레기 이송컨베이어(63)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조(61)는, 하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이물질 배출부(611)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배출부(611)는, 수조(61)의 하부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배출관(612)과, 상기 반원형 배출관(612)의 타측에 연장된 배출관(613)과, 상기 배출관(613)의 타측에서 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조(61)의 내부에 채워져 침수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6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장치(1)에서 선별된 큰골재가 탈수 스크린장치(62)에 유입되어 후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선별된 큰골재를 물로 세척하여 바로 재생 골재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큰골재의 세척 공정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전방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물 분사관(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 분사관(45)과 수조(61)의 사이에는 펌프(71)가 구비된 물 공급관(7)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전방인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의 상부에 물 분사관(45)을 구비함으로써, 송풍바람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작은 입자에 물을 뿌려줌에 따라,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스크린장치
11 : 망
12 : 하판
13 : 바이브레이터
2 : 제1 컨베이어
3 : 송풍부
4 : 분리 선별닥트
41 : 바람 통과닥트
42 : 후방 수직배출닥트
43 : 전방 수직배출닥트
44 : 통과 단면적 조정부
441 : 횡방향 차단판, 442 : 힌지축,
443 : 원호형 장홀, 444 : 돌출 나사축,
445 : 너트
45 : 물 분사관
5 : 제2 컨베이어
6 : 세척 선별부
61 : 수조
611 : 이물질 배출부, 612 : 반원형 배출관,
613 : 배출관, 614 : 스크류 컨베이어
62 : 탈수 스크린장치
63 : 쓰레기 이송컨베이어
7 : 물 공급관
71 : 펌프
8 : 제3 컨베이어

Claims (12)

  1.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망(11)의 상부에서 이동되면서 큰골재는 전방으로 배출되고 망(11)을 통과한 작은골재는 하판(12)으로 낙하되어 하판(12)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스크린장치(1)와, 상기 하판(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작은골재를 배출하는 제1 컨베이어(2)와, 상기 망(11)의 배출측 하부에 구비되어 스크린장치(1)에서 배출 낙하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강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부(3)와, 상기 스크린장치(1)의 배출측의 전방에 구비되며 바람과 함께 이물질 및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골재가 내부로 유입되어 중량차에 의해 중량이 무거운 잔골재는 후방 수직배출닥트(42)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은 전방 수직배출닥트(43)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하는 분리 선별닥트(4)와,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4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잔골재를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5)와, 상기 스크린장치(1)의 하부와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장치(1)의 전방에서 낙하되는 큰골재를 세척하여 배출하고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에서 낙하되는 이물질과 부유된 이물질을 회수 배출하는 세척 선별부(6)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상기 송풍부(3)와 마주보게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이 막혀 있으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람 통과닥트(41)와, 상기 바람 통과닥트(41) 하부의 후방과 전방에 구비된 상기 후방 수직배출닥트(42)와 전방 수직배출닥트(43)를 포함하며;
    상기 바람 통과닥트(41)는 후방의 개방부가 넓고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 선별닥트(4)는,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통과 공간의 단면적을 조정하는 통과 단면적 조정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단면적 조정부(44)는,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의 상부에 양측이 힌지축(442)을 통해 고정되어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횡방향 차단판(441)과,
    상기 양측의 힌지축(442)을 중심으로 후방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장홀(443)과,
    상기 횡방향 차단판(441)의 양측 후방에 상기 원호형 장홀(443)에 관통되게 구비된 돌출 나사축(444)과,
    양측에 돌출 나사축(444)에 체결되는 양측의 너트(4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전방 수직배출닥트(42)(43) 사이의 상부는,
    이물질이 전방 수직배출닥트(42)로 마찰 없이 투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선별부(6)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61)와;
    상기 수조(61)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배출되는 큰골재를 세척 탈수시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탈수 스크린장치(62)와;
    상기 수조(6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수직배출닥트(43)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수조(61)의 상부에 부상된 이물질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쓰레기 이송컨베이어(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선별닥트(4)의 전방 상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물 분사관(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 분사관(45)과 수조(61)의 사이에는 펌프(71)가 구비된 물 공급관(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61)는,
    하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이물질 배출부(6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부(611)는,
    수조(61)의 하부 전방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배출관(612)과,
    상기 반원형 배출관(612)의 타측에서 연장된 배출관(613)과,
    상기 배출관(613)의 타측에서 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조(61)의 내부에 채워져 침수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6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탈수 스크린장치(62)의 배출측에는,
    세척되고 탈수된 큰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장치(1)는,
    바이브레이터(13)에 의해 진동이 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52504A 2012-05-17 2012-05-17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173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04A KR101173286B1 (ko) 2012-05-17 2012-05-17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04A KR101173286B1 (ko) 2012-05-17 2012-05-17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286B1 true KR101173286B1 (ko) 2012-08-10

Family

ID=4688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04A KR101173286B1 (ko) 2012-05-17 2012-05-17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2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4885A (zh) * 2013-12-31 2015-02-04 石河子开发区天佐种子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分体式自动风力筛选机
CN104624489A (zh) * 2015-01-30 2015-05-20 国家电网公司 一种沙石筛分装置
CN106269512A (zh) * 2016-08-07 2017-01-04 桐城市神墩环卫保洁有限公司 一种垃圾筛选装置
CN110216070A (zh) * 2019-06-20 2019-09-10 张程程 多功能粮食脱糠除杂分离机
CN116493095A (zh) * 2023-04-10 2023-07-28 大冶市紫乾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球磨机钢锻筛分设备
KR102572992B1 (ko) * 2022-10-04 2023-08-31 (주)이한산업 흡입-송풍 병용식 순환골재 선별 시스템
CN117884210A (zh) * 2024-03-14 2024-04-16 安徽建工三建集团有限公司 一种低碳建筑施工用材料回收利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88A (ja) * 1998-03-04 1999-09-14 Komatsu Ltd 廃棄物選別装置
KR200264696Y1 (ko) 2001-10-15 2002-02-20 홍성평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
KR100495406B1 (ko) * 2002-12-31 2005-06-13 박노일 건축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801966B1 (ko) * 2006-07-10 2008-02-12 (유)천변토건환경 살수처리장치가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골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88A (ja) * 1998-03-04 1999-09-14 Komatsu Ltd 廃棄物選別装置
KR200264696Y1 (ko) 2001-10-15 2002-02-20 홍성평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
KR100495406B1 (ko) * 2002-12-31 2005-06-13 박노일 건축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801966B1 (ko) * 2006-07-10 2008-02-12 (유)천변토건환경 살수처리장치가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골재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4885A (zh) * 2013-12-31 2015-02-04 石河子开发区天佐种子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分体式自动风力筛选机
CN104624489A (zh) * 2015-01-30 2015-05-20 国家电网公司 一种沙石筛分装置
CN106269512A (zh) * 2016-08-07 2017-01-04 桐城市神墩环卫保洁有限公司 一种垃圾筛选装置
CN110216070A (zh) * 2019-06-20 2019-09-10 张程程 多功能粮食脱糠除杂分离机
KR102572992B1 (ko) * 2022-10-04 2023-08-31 (주)이한산업 흡입-송풍 병용식 순환골재 선별 시스템
CN116493095A (zh) * 2023-04-10 2023-07-28 大冶市紫乾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球磨机钢锻筛分设备
CN116493095B (zh) * 2023-04-10 2023-11-17 山西高米麦恩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球磨机钢锻筛分设备
CN117884210A (zh) * 2024-03-14 2024-04-16 安徽建工三建集团有限公司 一种低碳建筑施工用材料回收利用装置
CN117884210B (zh) * 2024-03-14 2024-05-31 安徽建工三建集团有限公司 一种低碳建筑施工用材料回收利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86B1 (ko)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1805768B1 (ko)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CN213288109U (zh) 一种环保型建筑施工用建筑垃圾回收装置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20080005046A (ko)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847472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20060084085A (ko)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689796B1 (ko)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30019778A (ko)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329222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