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503B1 -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503B1
KR101068503B1 KR1020100027369A KR20100027369A KR101068503B1 KR 101068503 B1 KR101068503 B1 KR 101068503B1 KR 1020100027369 A KR1020100027369 A KR 1020100027369A KR 20100027369 A KR20100027369 A KR 20100027369A KR 101068503 B1 KR101068503 B1 KR 10106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paranasal
present
close contact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찬
Original Assignee
송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찬 filed Critical 송기찬
Priority to KR102010002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수술용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수술 후 외력을 받더라도 시술부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시술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부비강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성형수술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에 위턱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을 방지하도록 송곳니의 치근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Implants for Paranasal Augmentation}
본 발명은 성형수술용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성형수술 후 외력을 받더라도 시술부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시술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경향과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기준이 점점 달라지면서 외과적 수술을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수술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대인들은 사회생활에 따른 자신감을 회복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 및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안면윤곽수술 중 하나인 일명 귀족수술이라 불리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을 통하여 코 옆에 주름이 생기거나 콧볼 주위의 함몰로 인해 입이 돌출되어 보이는 것을 적당히 돋우어 보완 및 교정함으로써 한결 세련되고 입체적이면서 생기 있고 어려보이는 얼굴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비강 주위 융기술은 입안 절개를 통해 실리콘, 고어텍스, 메드포어 등의 소재로 형성된 보형물을 입술과 코 주변의 근육들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법이 가장 널리 시술되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보형물의 일례로써 뾰족한 끝 부분이 하방으로 휘어진 화살촉 형상을 갖는 등록디자인 제0457247호가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형물은 인체에 삽입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턱 송곳니가 있는 치조부에 보형물(1)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인체의 위턱 송곳니는 앞니나 작은 어금니에 비하여 치근이 매우 길고 얼굴 전방으로 돌출된 인체 해부학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시술 후 보형물(1)이 이에 영향을 받아 인체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면서 다소 어색한 느낌 및 이물감을 일으키는 데다 음식을 씹는 등 턱관절 및 얼굴 근육을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그 시술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있지 못하고 자유로이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보형물(1)은 송곳니의 치근에 의해 약간 들뜬 상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주변조직과 제대로 융화되지 못하여 이상적인 안면윤곽을 얻을 수 없고, 이렇게 되면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잦은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되면서 시큰거리는 현상은 물론 심지어 골흡수(파괴)에 의한 골소실이 유발되는 등 성형 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보형물을 제거 또는 교체하는 재수술을 받아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성형수술 후 외력을 받더라도 수술부위에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작용이 없는 부비강 주위 용기술용 보형물을 개발하고자 부단히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체의 부비강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성형수술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에 위턱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을 방지하도록 송곳니의 치근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된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는 그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착면의 내측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이 용이하도록 관통구멍이 다수 형성된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위턱 송곳니만의 독특한 인체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체의 부비강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면 중 송곳니의 치근과 대향하는 부분에 송곳니의 치근에 대응하는 형태의 간섭방지홈을 형성함으로써, 시술 위치에 자연스럽고 긴밀하게 대응 말착되면서 안정적으로 자리잡힌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보형물이 시술 후 몸속에서 자유로이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간섭방지홈에 의해 위턱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이 방지되므로 송곳니의 치근부위와 잦은 마찰로 인한 시큰거리는 현상이나 골흡수에 의한 골소실 등의 수술 후 성형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부비강 주위 용기술용 보형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인체의 두개골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을 나타낸 형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로써,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 (d)는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인체의 얼굴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바라보는 면을 정면으로 할 때 판판하고 얄팍하면서 넓게 생긴 납작궁 세모형의 몸체가 측면의 뾰족하게 모난 부분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휘어진 마치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뾰족한 모 반대쪽의 다른 두 모난 부분을 연결하는 면은 인체의 콧볼에 대응하도록 호형으로 자연스럽게 라운딩되어 있다.
즉, 보형물(10)의 외형을 삼각형 형태로 볼 때 인체의 콧볼에 대응하는 변과 바닥면을 이루는 변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을 이루는 나머지 한 변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체의 근조직 등에 밀착되는 배면에는 인체의 부비강 주위에 밀착되도록 밀착면(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면(11)의 하부, 즉 위턱 송곳니의 치근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을 방지하도록 위턱 송곳니의 치근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13)이 인체의 치조부와 잇몸을 향해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간섭방지홈(13)은 보형물(10)을 배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내심에 해당하는 가상의 중심점으로부터 그 하부 가장자리의 가운데에서 양측으로 1/2 범위 안에 역'U' 자형, 아치형, 돔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면(11)의 테두리는 인체에 삽입된 상태가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착면(11)의 내측, 즉 보형물(10)의 몸체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이 용이하도록 전후로 관통되게 소정크기의 관통구멍(1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15)을 통해 삽입수술 후 피하결체조직 등이 차오르면서 보형물(10)이 자유로이 유동 및 시술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액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게 되어 혈액순환 저하 및 림프순환 장애로 인해 코 주위가 붉게 달아오르는 홍조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통구멍(15)은 밀착면(11)의 표면 및 그 반대쪽 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다수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깊이나 폭, 직경, 모양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 등을 위하여 사용하며 이물감이 없고 인체 적합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외력에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여 변형되는 성질을 갖는 의료용 고형 실리콘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실리콘의 외면에는 생체적합성이 아주 뛰어나면서 사람의 피부와 흡사한 쿠션감이나 탄력성있는 감촉을 제공하는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발포용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소재가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ePTFE는 피브릴(fibril)의 미세구조에 의해 특성화된 고도의 다공성 물질로써, 인체 내에 삽입한 경우 미세한 구멍을 통해 인체의 조직이 자라 들어가 밀착되고, 또한 불투명하므로 밝은 곳 등에서 투영되어 보이지 않고 피부가 붉어지거나 변색되지 않으며,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 등의 성형 후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시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높이가 낮아지지 않도록 하므로 형태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ePTFE는 의료용 실리콘의 표면으로부터 1mm ~ 5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고어텍스나 미세 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매드포어 등 인체에 안전하면서 변질 및 파손되지 않는 다양한 물질 및 소재를 채택 적용하여 만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인체의 코 양측의 부비강 주위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수술용 메스 등으로 인체의 송곳니에 대응하는 부분을 일일이 조각하는 불편함 없이도 환자의 뼈 및 치근 모양과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면윤곽의 매끈하고 부드러운 곡선미가 연출되어 환자의 수술 후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11)에 형성된 간섭방지홈(13)이 부비강 주위의 송곳니(C) 치근부위 잇몸에 자연스럽고 긴밀하게 대응 밀착되어 위턱 송곳니(C)의 치근부위 잇몸을 감싼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기존의 보형물이 자유로이 유동되거나 밀리는 한계점을 극복하여 외력을 받더라도 시술 위치에서 이탈됨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형물(10)은 송곳니(C)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이 간섭방지홈(13)에 의해 최소화되므로 송곳니(C)의 치근부위 잇몸과 잦은 마찰로 인한 시큰거리는 현상이나 골흡수에 의한 골소실 등과 같은 성형수술 후 부작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례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보형물
11: 밀착면
13: 간섭방지홈
15: 관통구멍

Claims (3)

  1. 인체의 부비강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성형수술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에 위턱 송곳니의 치근부위 잇몸과 접촉간섭을 방지하도록 송곳니의 치근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는 그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내측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이 용이하도록 관통구멍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KR1020100027369A 2010-03-26 2010-03-26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KR10106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69A KR101068503B1 (ko) 2010-03-26 2010-03-26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69A KR101068503B1 (ko) 2010-03-26 2010-03-26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503B1 true KR101068503B1 (ko) 2011-09-28

Family

ID=4495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69A KR101068503B1 (ko) 2010-03-26 2010-03-26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901A (en) 1988-06-28 1990-11-13 Binder William J Plastic surgery implant
US5413600A (en) 1993-05-19 1995-05-09 Mittelman; Harry Nasal-labial implant
US20070067041A1 (en) 2005-09-16 2007-03-22 Kotoske Thomas G Inflatable facial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901A (en) 1988-06-28 1990-11-13 Binder William J Plastic surgery implant
US5413600A (en) 1993-05-19 1995-05-09 Mittelman; Harry Nasal-labial implant
US20070067041A1 (en) 2005-09-16 2007-03-22 Kotoske Thomas G Inflatable facial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463Y1 (ko) 코 인공 삽입물
US4790849A (en) Malar implant and method of inserting the prothesis
Constantinides et al. Malar, submalar, and midfacial implants
US20170189147A1 (en)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001168U (ko) 코 보형물
Mantri et al.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bilateral auricular deformity
RU2489113C2 (ru) Верхнечелюстной протез-обтуратор
JP2007125113A (ja) 化粧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59611Y1 (ko) 턱 성형용 보형물
KR102117415B1 (ko)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KR101068503B1 (ko)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KR200425370Y1 (ko) ePTFE 소재를 코팅한 실리콘 보형물
KR100290528B1 (ko) 코 인조삽입물
KR101051014B1 (ko) 미세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33447Y1 (ko) 경량 실리콘 보형물
Seals Jr et al. Intranasal prostheses, splints, and stents
KR200395980Y1 (ko) 융비술용 코보형 세트
JP200431348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Dipoyono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the Missing Bulbus Oculi Due to Eye Enucleation (Fabricated and Non-Fabricated)
CN215688770U (zh) 一种眉弓假体
CN212853682U (zh) 一种正畸用隐形牙套假牙空泡成形钳
CN215192625U (zh) 一种鼻整形手术植入物
CN220938243U (zh) 鼻整形用假体
CN117204980A (zh) 一种海豚型隆鼻假体
KR200389126Y1 (ko) 코 인공 삽입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