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041B1 -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041B1
KR101024041B1 KR1020080080795A KR20080080795A KR101024041B1 KR 101024041 B1 KR101024041 B1 KR 101024041B1 KR 1020080080795 A KR1020080080795 A KR 1020080080795A KR 20080080795 A KR20080080795 A KR 20080080795A KR 101024041 B1 KR101024041 B1 KR 10102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ood
vertical member
retaining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224A (ko
Inventor
이동흡
손동원
김외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8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0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친환경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시공이 편리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가공 조립한 후, 시공현장에서는 단순히 연결, 결합하여 벽체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은, 목재로 형성된 단위목재블록과 연결블록이 좌·우로 연결되고,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단위목재블록은 전면수직부재와 후면수직부재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전면에 상부전면횡부재, 중앙전면횡부재 및 하부전면횡부재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중앙전면횡부재는 상기 전면수직부재보다 좌,우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와 하부좌측사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와 하부우측사선부재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삼각기둥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은 전면수직부재와 후면수직부재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전면 상, 하부에 상부전면횡부재 및 하부전면횡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와 하부좌측사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와 하부우측사선부재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목재옹벽, 단위목재블록, 연결블록, 좌측마감블록, 우측마감블록

Description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WOODEN WALL WITH PREFABRICATED WOODEN TRIGONAL PRISM BLOCK}
본 발명은 목재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경사지의 사면 또는 계단식 시설물을 시공하여, 자연적으로 주변의 식생이 도입되어 옹벽의 틈 사이로 자라게 녹화함으로써 시멘트 부산물질 등과 같은 공해물질에 의하여 환경이 파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삼각기둥형상의 목재블록을 미리 조립하여 현장에서 상호 연결하여 벽체를 이룸으로써 시공이 편리하도록 하는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도(林道)나 보도 등의 작업도로를 개설하는 공사 및 도로공사, 하안공사, 공원의 계단식 화목식재공사에 있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용으로 절개지의 사면에 석축옹벽,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옹벽 등 다양한 방법의 옹벽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 등은 중량물인 파쇄된 석축용 돌을 사용하거나 양생되지 않는 콘크리트 반죽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공사가 어렵고 공기(工 期)가 길뿐 아니라 이들 종래의 옹벽은 주로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통기성이 불량하여 옹벽 내부와 외부의 생물단절이 일어나며, 투수성이 불량하여 배면토압이 걸리는 등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시공에 어려움이 있고, 현장 특성에 맞도록 형태를 변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경사지의 사면 또는 계단식 시설물을 시공하는 것으로서, 시멘트 부산물질 등과 같은 강알칼리성의 물질에 의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적으로 주변의 식생이 도입되어 옹벽의 틈 사이로 식물이 자라도록 녹화함으로써 주위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경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공장에서 미리 삼각기둥형으로 조립된 단위목재블록을 현장에서 상호 연결하여 벽체를 이룸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은, 목재로 형성된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좌·우로 연결되고,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A)에 있어서, 상기 단위목재블록(1)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에 상부전면횡부재(21), 중앙전면횡부재(23)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는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보다 좌,우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삼각기둥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2)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 상, 하부에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결합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번갈아가며 좌, 우로 연결되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지되, 막힌줄눈 쌓기로 하여 복수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 간에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번갈아가며 좌, 우로 연결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되어지고, 상기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의 상부전면횡부재(21)의 상단에 상단연결재(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와 상부전면횡부재(21), 중앙전면횡부재(23) 및 하부전면횡부재(22)의 사이에 식생매트(M)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재옹벽(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는 좌측마감블록(3) 및 우측마감블록a(4) 또는 우측마감블록b(4')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목재옹벽(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블록(2')이 추가로 설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경사지의 사면 또는 계단식 시설물을 시공하는 것으로, 공해물질에 의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인 경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소재인 목재를 미리 공장에서 조립하여 삼각기둥형 단위목재블록을 제작한 후 시공현장에서 결체하여 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정적인 삼각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토압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목재옹벽의 상단에 관목을 식재하여 화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생태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목재블록이 포함되어 시공된 목재옹벽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목재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록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목재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별명에 따른 조립식 목재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A)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목재블록들이 좌·우로 연결되고 상부로 적 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미리 공장에서 목재들을 알맞은 크기 및 형태로 제작한 후 이들을 조립하여 목재블록을 미리 제작함으로써 시공설치현장에서는 현장 상황에 알맞은 목재블록들을 선택하고 조립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A)에 이용되는 조립식 목재블록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위목재블록(1)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에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먼저 조립된다. 그리고, 현장에서 중앙전면횡부재(23)가 조립되는데, 그 간격은 횡부재의 지름만큼 틈을 두고 일정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는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보다 좌,우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블록(2)의 전면수직부재(1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와 동일한 높이에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룬 2쌍의 조립체가 상, 하부에 위치하는 삼각기둥형상으로 결합된다.
각 부재 간의 결합에는 직결나사못, 스크류, 볼트, 와이어 또는 철사 등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서는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간부에 흙과 돌을 채워 그 공극으로 투수가 되도록 하여 옹벽 내부와 외부의 생물종이 연결되며 배면 토압이 걸리지 않아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옹벽 내부와 외부의 생물종이 연결되며 생태계의 자연적 순환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록(2)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 상, 하부에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결합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선조립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번갈아가며 좌, 우로 연결되어 목재옹벽(A)이 형성되어진다.
도 4 내지 도 6은 좌측마감블록(3) 및 우측마감블록a(4), 우측마감블록b(4')를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마감블록(3)은 목재옹벽(A) 좌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지고, 우측마감블록a(4) 및 우측마감블록b(4')는 목재옹벽(A)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지는 것으로서, 우측마감블록의 경우 연결되는 목재블록이 연결블록(2)인 경우 우측마감블록a(4)가 설치되고, 연결되는 목재블록이 단위목재블록(1)인 경우 우측마감블록b(4')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마감블록(3)과 우측마감블록a(4)는 단위목재블록(1)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지되, 중앙전면횡부재(23)의 일측이 전면수직부재(11)(11')보다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연결블록(2)의 전면수직부재(11)(11')에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 및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의 사이에 중앙좌측사선부재(33) 및 중앙우측사선부재(33')가 추가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마감블록b(4')도 상기 우측마감블록a(4)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지되, 중앙전면횡부재(23)의 길이가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 길이의 반 정도로 형성되어 일측이 전면수직부재(1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를 이면에서 고정시켜 주도록 전면수직부재(11)(11')와 나란한 방향으로 보강연결재(11")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보강연결재(11")는 상하로 적층시 다른 목재블록의 전면수직부재(11)(11')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를 제한하게 되는데, 그 길이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결합시 상부로는 상부전면횡부재(21) 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하부로는 하부전면횡부재(22) 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재(11")는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를 이면에서 고정시켜 주도록 이웃하는 중앙전면횡부재(23)와 나란한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목재블록(1) 및 연결블록(2)도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 및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의 사이에 중앙좌측사선부재(33) 및 중앙우측사선부재(33')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조립식 목재블록을 이루는 개별 부재들은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원주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단면 또는 다각단면으로 형성되는 각재목 또는 다각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조립식 목재블록은 콘크리트 옹벽 등에 비하여 경량이며 취급과 운반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목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기간 중 탄소를 계속해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삭감에도 기여하며, 분해 시 유독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한 물질일 뿐 아니라 음이나 진동, 충격의 흡수성 또한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목재블록들로 연결, 결합된 목재옹벽(A)의 시공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최하단의 좌측에 좌측마감블록(3)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마감블록(3)의 우측으로 연결블록(2)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좌측마감블록(3)의 중앙전면횡부재(23)의 돌출부 이면이 상기 연결블록(2)의 전면수직부재(11)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블록(2)의 우측으로 단위목재블록(1)과 또 다른 연결블록(2)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단위목재블록(1)의 중앙전면횡부재(23)의 좌측 돌출부 이면이 상기 연결블록(2)의 전면수직부재(11')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위목재블록(1)의 중앙전면횡부재(23)의 우측 돌출부 이면이 상기 또 다른 연결블록(2)의 전면수직부재(11)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상호 번갈아가며 연결되어지며, 마지막으로 우측 가장자리에 우측마감블록a(4) 및 우측마감블록b(4')이 설치되어지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에 연결되는 목재블록이 연결블록(2)인 경우 우측마감블록a(4)가 설치되고, 연결되는 목재블록이 단위목재블록(1)인 경우 우측마감블록b(4')가 설치된다.
최하단이 설치되어진 후, 그 상부에 최하단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식 목재블록들이 설치되어지는데, 하단의 목재블록들과 서로 엇갈려 막힌줄눈 쌓기로 적층되어진다.
이 때, 하단의 전면수직부재(11)(11')의 상측 전면에 상단의 하부전면횡부재(22)의 이면이 맞닿도록 적층되어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좌측마감블록(3) 및 우측마감블록a,b(4)(4')의 측면에 중앙좌측사선부재(33) 및 중앙우측사선부재(33')가 추가로 설치된 연결블록(2')을 18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 설치함으로써 목재옹벽(A)을 더욱 안정적으로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A)은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공원 등의 화목식재 기 초공사, 임도나 보도 등의 작업도로 개설 시 흙막이, 절토면과 성토면의 옹벽, 중소 하천의 호안, 하상공사, 완경사 비탈면의 틀재, 옥상 공원, 식재화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연결각도를 용이하게 변경시켜 직선구간, 곡선구간 등에 따라 그 시공형태를 달리할 수 있고, 벽체를 수직으로 세워 시공하거나 15%정도 기울여서 시공할 수도 있으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적층시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해 뒤로 후퇴되도록 적층하여 계단형이 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계단형으로 시공되는 경우 목재블록들이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상부전면횡부재(21)의 상단에 상기 상부전면횡부재(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단연결재(5)가 설치되어 전면수직부재(11)(11')와 직결나사못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삼각기둥형상의 목재블록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부에 흙이나 잡석이 채워지도록 흙채움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 때, 전면수직부재(11)(11')와 상부전면횡부재(21), 중앙전면횡부재(23) 및 하부전면횡부재(22)의 사이에 식생매트(M)가 설치되어 흙채움 시 흙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좌측마감블록(3)의 전면수직부재(11) 및 후면수직부재(12)와 상부좌측사선부재(31), 중앙좌측사선부재(33), 하부좌측사선부재(32)의 사이, 그리고 우측마감블록a,b(4)(4')의 전면수직부재(11') 및 후면수직부재(12)와 상부우측사선부재(31'), 중앙우측사선부재(33'), 하부우측사선부재(32')의 사이에도 식생매트(M) 가 설치되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매트(M)로는 야자매트 등과 같은 식물성 매트 또는 수지재의 매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나아가 볏짚, 보리짚, 밀짚 또는 나무섬유재 등으로 구성된 식생매트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제조시 원하는 식물의 종자가 함께 내재된 씨드(Seed) 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흙채움되어진 목재옹벽(A)의 상부면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관목식재(6)가 될 수 있고, 기타 안전하게 시설되는 목재옹벽(A)의 경우, 게시판, 동상, 시비 등으로 하는 장식용 시설물들도 시설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목재옹벽(A)의 하단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배수로(7)가 설치되고, 하단 후면에는 횡방향으로 유공관(8)이 설치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우수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계단형으로 시공되는 경우에도 각층의 공간부에 흙채움을 하고 각층마다 관목식재(6)를 하여 계단식 화단을 만들 수 있다.
아울러 미도시하였지만, 계단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벽체를 수직으로 형성시킨 후, 관목식재 대신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상부우측사선부재(31')의 상단에 상단연결재(5)를 추가로 설치하여 계단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A)은 친환경소재인 간벌재와 같은 목재를 시공이 편리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가공 조립한 후, 시공현장에서는 단순히 연결, 결합하여 벽체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목재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록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목재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A : 목재옹벽 1 : 단위목재블록
11, 11' : 전면수직부재 12 : 후면수직부재
21 : 상부전면횡부재 22 : 하부전면횡부재
23 : 중앙전면횡부재 31 : 상부좌측사선부재
32 : 하부좌측사선부재 31' : 상부우측사선부재
32' : 하부우측사선부재 2 : 연결블록
3 : 좌측마감블록 4, 4' : 우측마감블록a, b
5 : 상단연결재 6 : 관목식재
7 : 배수로 8 : 유공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목재로 형성된 단위목재블록(1)과 연결블록(2)이 좌·우로 연결되고,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A)에 있어서,
    상기 단위목재블록(1)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에 상부전면횡부재(21), 중앙전면횡부재(23)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중앙전면횡부재(23)는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보다 좌,우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삼각기둥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2)은 전면수직부재(11)(11')와 후면수직부재(12)가 삼각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의 전면 상, 하부에 상부전면횡부재(21) 및 하부전면횡부재(22)가 결합되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좌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좌측면에 상부좌측사선부재(31)와 하부좌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수직부재(11')의 우측면과 후면수직부재(12)의 우측면에 상부우측사선부재(31')와 하부우측사선부재(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전면수직부재(11)(11')와 상부전면횡부재(21), 중앙전면횡부재(23) 및 하부전면횡부재(22)의 사이에 식생매트(M)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옹벽(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는 좌측마감블록(3) 및 우측마감블록a(4) 또는 우측마감블록b(4')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옹벽(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블록(2')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20080080795A 2008-08-19 2008-08-19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102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95A KR101024041B1 (ko) 2008-08-19 2008-08-19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95A KR101024041B1 (ko) 2008-08-19 2008-08-19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24A KR20100022224A (ko) 2010-03-02
KR101024041B1 true KR101024041B1 (ko) 2011-03-23

Family

ID=4217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795A KR101024041B1 (ko) 2008-08-19 2008-08-19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0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950A (ja) * 1998-04-01 1999-10-19 Koshii Mokuzai Kogyo Kk 擁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950A (ja) * 1998-04-01 1999-10-19 Koshii Mokuzai Kogyo Kk 擁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24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615B1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809104B1 (ko) 생태환경 복원을 위한 수변방틀
JP2004141123A (ja) 緑化可能な自立構造物
KR101024041B1 (ko) 조립식 목재삼각기둥블록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1207347B1 (ko)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02294713A (ja) 木材パネル、土留部材および木材固定工法
JP4227356B2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WO2018012986A1 (en) Free-standing module-based wall construction for retaining wall, fence, noise-deflection wall, windbreak or similar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100840155B1 (ko) 간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및 비탈면 보강용 앵커시스템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942250B1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0941783B1 (ko) 이동고정식 사계절녹화 방음벽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JP2001226992A (ja) 土留ブロック
KR102155824B1 (ko)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200419606Y1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100777944B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402897Y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
JP2781166B2 (ja) 土工用木製カプセル、及びこれを用いた土木施工法
KR200289866Y1 (ko) 저목식재블럭
KR20050118070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JP2001220726A (ja) 河川用木工沈床、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平行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