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83B1 -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383B1
KR100959383B1 KR1020080042230A KR20080042230A KR100959383B1 KR 100959383 B1 KR100959383 B1 KR 100959383B1 KR 1020080042230 A KR1020080042230 A KR 1020080042230A KR 20080042230 A KR20080042230 A KR 20080042230A KR 100959383 B1 KR100959383 B1 KR 10095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conductive layer
antenna
presen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348A (ko
Inventor
윤영중
장기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24Polarising devices; Polarisation filters 
    • H01Q15/242Polarisation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01Q13/025Multimode horn antennas; Horns using higher mode of propagation
    • H01Q13/0258Orthomode ho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4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horn or slot aerials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동일한 형태의 격자 셀들이 배열되고, 상기 격자셀들 각각은 이방성을 갖는 도형의 형태를 띠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편파 변환 수단에 비하여 소형화,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원하는 형태의 편파를 효과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편파, 편파 변환, 주파수 선택적 평면

Description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Transmission type polarization converter and polarization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선택적 평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를 이용한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파(Polarization, Polarized wave)란, 전자기파의 시간에 따른 전계의 진동방향 또는 전자기파가 전계의 진동 방향으로 치우친 파를 말한다. 전계의 진동 방향이 선형인 파를 선형 편파(Linear Polarization)라고 하며, 전계가 진동하고 있는 면을 편파면이라고 한다. 편파면이 다른 두 선형 편파를 합성하면 일반적으로 타원 편파(Elliptical polarization)가 된다. 특히 위상이 π/2 다르고 진폭이 같으며 편파면이 서로 직각인 두 선형 편파가 합성될 때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가 된다. 편파는 이동 통신, 위성 통신, RFID 등을 포함하여 전파가 이용되는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선형 편파를 원형 편파 또는 타원 편파로 변환하거나 그 역의 변환을 하는 장치, 그리고 원하는 특정 형태의 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파 변환 장치 혹은 편파 발생 장치 는 소형화하기 어렵고 원하는 편파를 원하는 형태로 효과적으로 변환하거나 생성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메타 물질이란 자연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로, 기존 기술들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서 근래에 주목받고 있다. 주파수 선택적 평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은 이러한 메타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 등방성을 가지는 특정 모양의 격자 셀들을 주기적으로 배열함에 따라 주파수 선택적인 투과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주파수 선택적 평면은 공간 상에 설치하여 대역 통과 혹은 대역 차단과 같은 공간 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선택적 평면을 이용하여 소형화, 경량화를 꾀하고 원하는 형태의 편파를 효과적으로 변환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는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동일한 형태의 격자 셀들이 배열되고, 상기 격자셀들 각각은 이방성을 갖는 도형의 형태를 띠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 십자 형태, T자 형태, 또는 ㄱ자 형 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격자 셀들 각각에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핀 다이오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에 입사되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편파된 두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위상차는 임의의 주파수에서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층에 입사되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편파된 두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크기는 임의의 주파수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동일한 형태의 격자 셀들이 배열되고, 상기 격자셀들 각각은 이방성을 갖는 도형의 형태를 띠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 및 상기 도전층에 인접하게 위치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나선형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는 선형 편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 십자 형태, T자 형태, 또는 ㄱ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격자 셀들 각각에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핀 다이오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형 편파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도형의 일 선분과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에 의하면, 주파수 선택적 평면을 이용하여 기존의 편파 변환 수단 및 편파 발생 수단에 비하여 소형화,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원하는 형태의 편파를 효과적으로 변환하거나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는, 주파수 선택적 평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를 이용하여 선형 편파(Linear Polarization)를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 또는 타원 편파(elliptical polarization)로 변환하거나, 원형 편파 또는 타원 편파를 선형 편파로 변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격자 셀들이 배열되어 있는 도전층(210)과, 도전층(2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220)을 구비한다.
도전층(210)은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금속 합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층(210)을 이루는 격자 셀들은 이방성(anisotropy)을 갖는 도형,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이격되어 이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격자셀들 각각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에서 선형 편파가 원형 편파 또 는 타원 편파로 변환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선형 편파를 가지고 +z 방향으로 진행하는 입사파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1
가 다음 수학식에 따라 표현된다고 가정하자.
[수학식 1]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2
상기 수학식 1은 -z 쪽에서 +z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자파를 나타낸다. 여기서,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3
는 x축 방향의 단위 벡터를,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4
는 y축 방향의 단위 벡터를, k는 파수(wave number)를, E0는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입사파가 투과형 편파 변환기를 통과한 후의 투과파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5
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표현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6
여기서, θx 및 θy는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편파된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위상을,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7
는 z축 방향의 단위 벡터를, |T|는 투과 계수의 크기를 나타낸다.
투과형 편파 변환기가 편파 의존적인 투과 계수 위상, 예를 들어 θx=45°, θy=-45°를 가질 때, 상기 수학식 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3]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8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08032452019-pat00009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0
는 서로 직교하는 벡터이다. 그리고 이 두 벡터는 j, 즉 90°의 위상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수학식 3에 의한 투과파는 원형 편파가 된다.
도 2는 θx, θy가 각각 45°, -45°일 때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위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특정 주파수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위상의 차이가 9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선형 편파는 원형 편파로 변환되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선형 편파는 타원 편파로 변환될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에서 단위 격자 셀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시된 임피던스 구조에서 커패시턴스 성분은 도전층(210)의 이웃하는 격자들 간의 근접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인덕턴스 성분은 회로의 루프 구조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커패시턴스 성분(C)과 인덕턴스 성분(L)으로 인한 표면 임피던스 Zs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1
그리고 투과 계수 T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5]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2
여기서,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3
는 자유 공간에서의 전자파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표면 임피던스, 일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크기 및 투과 계수 위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면 임피던스는 등가 회로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투과 계수 및 투과 계수의 위상은 등가 회로, 시뮬레이션 및 측정 값에 따른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격자 셀 모양의 이방성으로 인해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크기 및 위상의 주파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파로서 원형 편파를 얻고자 하는 경우, x축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위상과 y축 방향의 투과 계수 위상의 차가 운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에서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원형 편파를 얻고자 한다면 투과 계수 크기 역시 운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에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 5에서, 가령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4
라 하면, 투과 계수 T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6]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5
이때,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6
,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7
가 성립하게 된다. 이 경우, 투과 계수의 크기는 -3[dB]로서, 감쇄 특성이 나타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에서, x축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투과 계수 위상과 투과 계수 크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42GHz 주파수에서 x축과 y축의 투과 계수의 위상차가 90°이고, 투과 계수 크기는 x축과 y축이 -3[dB]로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하는 편파 변환 특성을 얻기 위한 조건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여, 직사각형의 일 선분의 방향 중 하나인 x축 방향과 입사파의 편파면과의 각을 φ라 하자. 이때 선형 편파를 가지고 +z 방향으로 진행하는 입사파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8
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표현된다.
[수학식 7]
Figure 112008032452019-pat00019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편파된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위상을 각각 θx 및 θy, 투과 계수의 크기를 T, 투과형 편파 변환기를 통과한 후의 투과파
Figure 112008032452019-pat00020
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표현된다.
[수학식 8]
Figure 112008032452019-pat00021
여기서, θx 및 θy를 각각 45°, -45°를 대입하면 상기 수학식 8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9]
Figure 112008032452019-pat00022
상기 수학식 9에 따른 투과파의 축비(axial ratio, AR)를 구하면 다음 수학식과 같다.
[수학식 10]
Figure 112008032452019-pat00023
상기 수학식 10에 기초하여, 몇 개의 각도에 따른 축비 및 그에 따른 편파 특성을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φ(degree) φ(rad/π) AR(>1) AR[dB] 편파 특성
0 0.000 LP(horizontal)
26.6 0.148 2.00 3.01 EP
30 0.167 1.73 2.39 CP
45 0.250 1.00 0.00 CP
60 0.333 1.73 2.39 CP
63.4 0.352 2.00 3.01 EP
90 0.500 LP(vertical)
상기된 표 1을 참조하면, φ가 0°, 90°일 때 선형 편파가, 26.6°<φ<63.4°에서는 원형 편파가, 0°<φ≤26.6°, 63.4°≤φ<90°일 때 타원 편파가 얻어진다. AR[dB] 기준으로 3dB 이하에서 원형 편파가 얻어진다. 따라서 φ, 즉 격자 셀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일 선분의 방향과 입사파의 편파면 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편파 특성을 가지는 투과파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도전층을 이루는 격자 셀들의 모양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위 격자 셀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단위 격자 셀은 이방성의 형태를 가진다. 격자 셀의 모양는 직사각형 형태 외에도 십자(+) 형태, T자 형태, ㄱ자 형태 등 이방성을 가지는 다른 여러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는, 도 1에 관하여 설명된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도전층 상단에 안테나(230)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230)로 다이폴 안테나를 채용하였으나, 안테나(230)는 그 외에도 모노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나선형 안테나 등 다른 형태의 안테나를 채용할 수 있다.
다이폴 안테나(230)에서 선형 편파가 발생하면, 도전층(210) 및 유전체층(220)을 통과한 후 원형 편파 또는 타원 편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전층(210)과 다이폴 안테나(230) 간의 거리는 운용되는 파장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폴 안테나(230)와 격자 셀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편파 특성을 가지는 편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만일 원형 편파를 발생시키고자 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폴 안테나(230)와 격자 셀의 방향이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면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6에 관하여 설명된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도전층 상단에 다이폴 안테나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 역시 다이폴 안테나 대신에 모노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나선형 안테나 등 다른 형태의 안테나를 채용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위 격자 셀에 선형 편파가 입사할 때 투과파의 형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입사파(K), 전계(E) 및 자계(H)의 방향을 가지는 선형 편파가 입사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8b는 시뮬레이션 결과 얻어지는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입사 측 공간에는 선형 편파인 입사파와 단위 격자 셀로부터 반사된 파가 중첩되어 타원 편파를 이루고 있으며, 투과 측 공간에는 원형 편파가 생성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 또는 편파 발생 장치를 이루는 단위 격자 셀의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단위 격자 셀이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이격되어 이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핀 다이오드(PIN diode)(330)가 설치된다.
핀 다이오드는 양단에 인가되는 DC 전압에 따라 내부 저항이 바뀌어 초고주파 스위치의 기능을 한다. 즉, 핀 다이오드의 양단에 정방향 DC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를 흘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핀 다이오드(330)를 이용하여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투과 특성을 편파 방향에 따라 차단 특성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x축 방향만 투과 특성이 유지되고 y축 방향은 전자기파가 차단되는 특성을 가질 때, x+y 방향의 입사파는 x 방향으로만 투과가 되어 x 축 방향의 선형 편파인 투과파가 얻어진다. 즉, 입사된 선형 편파와 편파면이 다른 선형 편파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x축, y축 방향으로 설치된 핀 다이오드(330)로 스위칭을 함으로써 x축 방향의 선형 편파, y축 방향의 선형 편파, 원형 편파, 타원 편파 등 투과파의 편파면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 또는 편파 발생 장치는, 광대역 원형 편파 특성이 요구되는 RFID 리더기 등에 채용될 수 있으며, 원형 편파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편파 변환 또는 발생 수단에 비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선형 편파를 원형 편파 또는 타원 편파로 변환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역으로 원형 편파 또는 타원 편파가 입사되는 경우 이를 선형 편파로 변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 계수 위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에서 단위 격자 셀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표면 임피던스, 일 방향에 대한 투과 계수 크기 및 투과 계수 위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에서, x축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투과 계수 위상과 투과 계수 크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파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위 격자 셀에 선형 편파가 입사할 때 투과파의 형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편파 변환기 또는 편파 발생 장치를 이루는 단위 격자 셀의 구성이다.

Claims (13)

  1.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동일한 형태의 격자 셀들이 배열되고, 상기 격자셀들 각각은 이방성을 갖는 도형의 형태를 띠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편파 변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셀들 각각에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핀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편파 변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입사되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편파된 두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위상차가 임의의 주파수에서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편파 변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입사되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편파된 두 입사파에 대한 투과 계수의 크기가 임의의 주파수에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편파 변환기.
  7.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자파 투과형을 가지는 동일한 형태의 격자 셀들이 배열되고, 상기 격자셀들 각각은 이방성을 갖는 도형의 형태를 띠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일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 및
    상기 도전층에 인접하게 위치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셀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둘러싸는 윈도우 형태의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나선형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발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선형 편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발생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셀들 각각에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핀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편파 발생 장치.
  13. 제7항 내지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도형의 일 선분과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발생 장치.
KR1020080042230A 2008-05-07 2008-05-07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KR10095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30A KR100959383B1 (ko) 2008-05-07 2008-05-07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30A KR100959383B1 (ko) 2008-05-07 2008-05-07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48A KR20090116348A (ko) 2009-11-11
KR100959383B1 true KR100959383B1 (ko) 2010-05-24

Family

ID=4160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30A KR100959383B1 (ko) 2008-05-07 2008-05-07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2575B (zh) * 2018-09-06 2024-03-22 北京大学 弹性波偏振***
KR102273336B1 (ko) * 2019-08-26 2021-07-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용 전자파 흡수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111403921A (zh) * 2019-11-18 2020-07-1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线极化波任意极化角度转换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421A (ja) * 2005-05-02 2006-11-09 Nippon Hoso Kyokai <Nhk> 偏波変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421A (ja) * 2005-05-02 2006-11-09 Nippon Hoso Kyokai <Nhk> 偏波変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48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bakhshikenari et al. A comprehensive survey on “Various decoupling mechanisms with focus on metamaterial and metasurface principles applicable to SAR and MIMO antenna systems”
Alibakhshikenari et al. Mutual-coupling isolation using embedded metamaterial EM bandgap decoupling slab for densely packed array antennas
Wei et al. Mutual coupling reduction by novel fractal defected ground structure bandgap filter
Zhu et al. Linear-to-circular polarization conversion using metasurface
Goussetis et al. Tailoring the AMC and EBG characteristics of periodic metallic arrays printed on grounded dielectric substrate
Abadi et al. Wideband linear-to-circular polarization converters based on miniaturized-element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Feng et al. A dual-wideband and high gain magneto-electric dipole antenna and its 3D MIMO system with metasurface for 5G/WiMAX/WLAN/X-band applications
Zhang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SIW cavity backed dual-band antennas with a dual-mode triangular-ring slot
Yang et al. A novel compact electromagnetic-bandgap (EBG) structure and its applications for microwave circuits
Barbuto et al. Horn antennas with integrated notch filters
Costa et al. On the bandwidth of high-impedance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Nova et al. Filter-antenna module using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cavities
US8742999B2 (en) Antenna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multiple radio signals with different radiation characteristics
JP4435217B2 (ja) アンテナ装置
Chowdhury et al. Analysis of a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with broadside radiation coupled with simple microstrip feeding
JP2008147763A (ja) Ebg構造
Samantaray et al. A modified fractal‐shaped slotted patch antenna with defected ground using metasurface for dual band applications
JP2010200309A (ja) 近接型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機
JP5908486B2 (ja) Mimoアンテナシステム
Yang et al. Design method for low-profile, harmonic-suppressed filter-antennas using miniaturized-element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Hu et al. Linear-to-circular polarization converters with both E-field and H-field hybrid responses
KR100959383B1 (ko) 투과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Yang et al. A circularly polarized horn antenna based on an FSS polarization converter
KR100973700B1 (ko) 반사형 편파 변환기 및 편파 발생 장치
Bertin et al. Switched beam antenna employing metamaterial-inspired radi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