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072B1 -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072B1
KR100619072B1 KR1020050028070A KR20050028070A KR100619072B1 KR 100619072 B1 KR100619072 B1 KR 100619072B1 KR 1020050028070 A KR1020050028070 A KR 1020050028070A KR 20050028070 A KR20050028070 A KR 20050028070A KR 100619072 B1 KR100619072 B1 KR 10061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rtridge
image forming
unit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갑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072B1/ko
Priority to US11/274,206 priority patent/US75328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개시된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일면을 가압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용지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와, 피드롤러와 종동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피드롤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 및 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화상형성부로 인입되도록 카트리지부를 피드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조립 과정에서 카트리지부와 피드롤러의 평행도를 조절하여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용지를 정렬시키는 과정이 줄어들게 되므로 용지의 선단이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가 고속화되어 용지가 빠른 속도로 이송되더라도 용이하게 정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렬, 레지스트레이션, 화상형성장치

Description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Regist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카트리지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카트리지부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적재부 20......픽업롤러
30.........구동롤러 40......피드롤러
50.........화상형성부 70......레지레버
71.........접촉부 72......간섭부
73.........센서아암 81......솔레노이드
82.........아암 90......토션 스프링
95.........카트리지부 100.....레지스트레이션 장치
110........프레임 120.....조절수단
122........조절부재 122A....회전부
122B.......간섭부 130.....간섭부
150, 155...센서부 160.....힌지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조립시 용지의 선단을 정렬시키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장치(registration device)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픽업롤러(1)에 의해 적재부(5)로부터 픽업된 용지(P)는 피드롤러(3)로 인입된다. 피드롤러(3)는 용지(P)를 화상형성부(4)의 인쇄속도에 맞추어 이송시킨다. 적재부(5)로부터 피드롤러(3)에까지 용지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용지(P)의 사행(skew)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지(P)의 사행은 화상형성장치의 조립시 피드롤러(3)와 화상형성부(4)의 평행도가 뒤틀어지게 조립된 경우 더욱 심하게 발생된다.
좋은 품질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용지의 사행(P)을 바로잡는 정렬 과정이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정렬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용지(P)가 피드롤러(3)까지 이송되는 동안에 피드롤러(3)는 용지(P)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역회전)된다. 그러면, 용지(P)의 선단이 피드롤러(3)에 도달되더라도 용지(P)는 피드롤러(3)에 막혀서 이송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픽업롤러(1)가 계속 회전되면, 용지(P)의 강성에 의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가 둥그스름하게 휘어지면서 그 선단이 피드롤러(3)에 가지런히 정렬된다. 그런 다음, 피드롤러(3)가 정회전되면서 용지(P)를 인쇄수단(4)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화상형성장치의 조립시 피드롤러(3)와 화상형성부(4)의 평행도가 비틀어지게 조립된 경우 피드롤러(3)가 역회전하면서 용지(P)를 정렬시키게 되므로 정렬시간이 많이 투입되어 고속 인쇄가 어려워진다. 둘째, 상기와 같이 피드롤러(3)와 화상형성부(4)의 평행도가 비틀어지게 조립되면 용지(P)의 사행이 크게 발생되므로, 피드롤러 (3)가 역회전되는 동안에 용지(P)의 선단을 손상시킴으로써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정렬을 위하여 피드롤러(3)를 역회전시키다가 정지한 후에 다시 정회전시키는 것은 피드롤러(3)의 관성으로 인하여 결코 용이한 일이 이니며, 피드롤러(3)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에도 큰 부하를 주게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가 빨라질수록 피드롤러(3)를 정/역회전시키기는 더 어려워진다. 이 경우에는 역회전되는 피드롤러(3)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줄이고 정지시킨 후에 다시 정회전시키면서 피드롤러(3)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올리는 감속 및 가속 과정이 도입될 수 있지만, 감속 및 가속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넷째, 고속으로 인쇄를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피드롤러(3)를 정/역회전시켜 용지(P)를 정렬시킬 시간적 여유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는: 용지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상기 용지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 및 상기 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피드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이송되는 상기 용지 사이에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상기 브라켓은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부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섭부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간섭부는 각각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간섭부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부재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상기 용지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 및 상기 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피드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을 갖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이송되는 상기 용지 사이에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상기 브라켓은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부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섭부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카트리지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간섭부는 각각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간섭부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부재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는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나,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부(10), 적재부(10)로부터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0), 픽업롤러(20)로부터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front end)의 사행(skew)을 방지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장치(100)를 구비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장치(100)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픽업롤러(20)와 피드롤러(40) 사이에 배치되어 용지(P)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drive roller, 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50)는 용지(P)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51)를 구비한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헤드이다. 이와 달리 용지(P)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그 하방에 마련된 노즐부(51)로부터 용지(P)에 잉크액적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가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용지(P)는 화상형성부(50)로 이송되기 전에 정렬되어야 하므로, 용지(P)를 정렬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는 이송되는 용지(P)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구동롤러(30)나 피드롤러(40)를 용지(P)를 정렬시키기 위한 레지롤러(registration roller)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픽업롤러(20)와 화상형성부(50) 사이에 별도의 롤러를 설치하여 이를 레지롤러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롤러(30)를 레지롤러(registration roller)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은 구동롤러(30)와, 용지의 선단(Front end)을 정렬하는 정렬위치와 용지의 이송을 허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레지레버(70)와, 레지레버(70)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액츄에이터의 일 예인 솔레노이드(81), 및 센서(81)를 구비한다. 레지레버(70)는 구동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지레버(70)는 접촉부(71)와, 간섭부(72), 및 센서아암(73)을 구비한다. 접촉부(71)는 구동롤러(30)로 인입되는 용지(P)의 선단에 접촉된다. 간섭부(72)는 솔레노이드(81)가 아암(82)과 간섭되는 것으로서, 간섭부(72)와 아암(82)의 간섭 여부에 따라 레지레버(70)의 개방위치로의 회동이 선택적으로 허용된다. 센서(80)는 센서아암(73)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레지레버(70)가 정렬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센서(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83)와 수광부(84)를 구비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지레버(70)가 초기위치에 위치될 때에 센서아암(73)은 발광부(83)와 수광부(84) 사이에 위치되어 발광부(83)에서 수광부(84)로 향하는 광의 경로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사행(skew)이 난 용지(P)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접촉부(71)는 용지(P)의 선단이 구 동롤러(30)로 인입되기 전에 차단한다. 용지(P)의 선단이 접촉부(71)에 접촉되면, 레지레버(70)가 용지(P)에 밀려서 개방위치(미도시) 쪽으로 약간 회동된다. 이때, 센서아암(73)은 발광부(83)와 수광부(84) 사이에 위치되어 광경로를 차단한다. 센서아암(73)에 의해 광이 차단되므로 수광부(84)의 출력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고, 제어부(미도시)는 레지레버(70)가 정렬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간섭부(72)는 솔레노이드(81)의 아암(82)과 접촉되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픽업롤러(20)가 계속 회전되어 사행된 상태의 용지(P)의 선단부의 일측부가 접촉부(71)를 밀더라도 레지레버(70)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접촉부(71)에 먼저 도달된 용지(P)의 선단의 일측부의 강성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점선(A) 모양으로 용지(P)가 약간 구부러지고, 용지(P)의 반대쪽 선단부가 접촉부(71)에 접촉될 때까지 용지(P)는 계속 이송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용지(P)는 접촉부(71)에 가지런히 정렬된다. 이와 같이 용지(P)가 정렬되는 동안에 솔레노이드(81)의 아암(82)은 간섭부(72)에 접촉되어 레지레버(70)가 개방위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정렬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81)에 전류가 공급되고, 아암(82)은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72)로부터 회피된다. 픽업롤러(20)가 계속 회전되어 용지(P)가 접촉부(71)를 밀면 레지레버(70)는 개방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렬이 완료된 용지(P)는 피드롤러(40)와 종동롤러(41) 사이로 인입되고, 화상형성부(50)는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토션 스프링(90)은 상기와 같이 회동되는 레지레버(70)를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카트리지부(95)를 화상형성장치에 조립한 후 용지(P)를 인쇄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에 의해 용지(P)의 선단부를 정렬한 상태에서 화상형성부(50)로 이송시키면 된다. 하지만,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가 조립시서로 경사지게 조립된다면(정렬이 되지 않은 채로 조립된다면), 용지(P)의 이송시마다 용지(P)의 사행(skew)를 보정해야하므로 인쇄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부(95)의 조립시나 교체시(예를 들어, 화상형성부(50)의 교체시)에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의 위치를 바로 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화상형성부(50)로 인입되는 용지(P)의 사행이 발생되지 않도록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레지스트레이션 장치(100)는 용지(P) 선단(front end)의 사행(skew)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드롤러(40)와, 피드롤러(40)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95), 및 카트리지부(95)를 피드롤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120, 도 4 참조)을 구비한다.
피드롤러(40)는 용지(P)의 일면을 가압하여 용지(P)를 화상형성부(50)로 이송시킨다.
카트리지부(95)는 이송되는 용지(P)를 기준으로 피드롤러(40)와 반대되는 쪽에 설치되며, 용지(P)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41)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5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부(50)에는 용지(P)가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용지(P)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51)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51)에서 토출되는 잉크에 의해 용지(P)에 화상이 형성된다.
종동롤러(41)는 피드롤러(40)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를 이송시킨다. 화상형성부(50)에는 노즐부(51)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화상형성부(5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 등이 구비되어 있다. 챔버나, 토출수단, 유로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부(95)는 화상형성부(50)와 종동롤러(41)가 설치되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화상형성부(50)와 종동롤러(41)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프레임(110)에 조립되며, 후술하는 조절부재(122)의 간섭시 프레임(110)의 움직임에 구속되어 프레임(110)과 함께 이동된다.
카트리지부(95)와 이송되는 용지 사이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30)이 더 구비된다. 카트리지부(95),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프레임(110)은 브라켓(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일 점(16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브라켓(130)에 결합된다. 즉, 카트리지부(95)는 브라켓(130)에 힌지결합(160)되며, 후술하는 조절수단(120)에 의해 용지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의 조립시, 용지의 사행(skew)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리지부(95)의 노즐부(51)와 피드롤러(40)의 평행도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즉, 용지의 사행(skew)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리지부(95)의 조립시나 교체시 노즐부(51)와 피드롤러(40)의 평행도를 고려하여 조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절수단(120)은 용지(P)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화상형성부(50)로 인입되도록 카트리지부(95)를 피드롤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킨다. 즉, 조절수단(120)은 카트리지부(95)의 일측을 간섭하여 노즐부(51)와 피드롤러(40)의 평행도를 맞춘다. 상기 조절수단(120)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카트리지부(95)를 회동시키게 된다. 일 실시예로, 조절수단(120)은 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에 카트리지부(95)를 간섭하여 회전시키는 조절부재(122)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절부재(122)는 브라켓(1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122A)와, 회전부(122A)에서 카트리지부(95)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간섭부(122B)를 구비한다. 회전부(122A)는 브라켓(130)에 마련된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122A)의 회전시 카트리지부(95)의 일측을 간섭하여 카트리지부(95)를 브라켓(130)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간섭부(122B)는 회전부(122A)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부(122B)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간섭부(122B)는 타원기둥형의 캠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간섭부(122B)의 일측에는 조절부재(122)를 소정의 방 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홈(123)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카트리지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130)에는 조절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카트리지부(95)의 회전량, 즉 프레임(110)의 회전 변위를 나타내는 눈금들이 표시되어 있다. 조절부재(122)의 회전부(122A)는 고정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므로, 조절홈(123)을 회전시키면 회전부(122A)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된 간섭부(122B)가 회전운동을 하며 프레임(110)의 일측을 간섭한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힌지부(16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절부재(122)를 회전시켜 카트리지부(95)의 노즐부(51)와 피드롤러(40)의 평행도를 맞춘 후 고정부재(129)를 이용하여 프레임(110)을 브라켓(130)에 고정시킨다. 이때, 프레임(110)에 마련된 고정홈(128)은 프레임(110)이 회동될 수 있게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프레임(110)의 회전 동작, 즉 카트리지부(95)의 회전 동작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센서부(150, 155)는 카트리지부(95)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을 감지하여 용지(P)의 사행(skew)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 센서부(150, 155)는 진행하는 용지(P)의 양측 선단부(FE1, FE2)의 경로에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용지(P)가 이송되면서 양측 선단부(FE1, FE2)가 액츄에이터를 각각 간섭한다. 이때, 용지(P)가 사행되는 경우 양측 선단부(FE1, FE2)가 액츄에이터를 간섭하는 순간이 각각 다르며, 이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용지(P)의 사행(skew)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부(FE1, FE2)에 광을 조사하여 투과되는 광의 양이나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지하여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다. 투과되는 광의 양을 이용해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용지(P)의 일면 쪽에 발광부를 설치하고 용지(P)의 반대면 쪽에 수광부를 설치하여 수광부로 입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하여 용지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지하여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하는 '광반사 방식 포토센서'를 사용하여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부(150, 155)는 용지(P)의 폭방향으로 양측 단부쪽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용지(P)를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즉, 센서부(150, 155)는 이송되는 용지(P)의 양측 단부(FE1, FE2)가 진입되는 순간의 시간 차이을 감지하여 용지(P)의 사행을 감지한다. 센서부(150, 155)는 이송되는 용지(P)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51, 156)와,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152, 157)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의 일측 선단(FE1)이 센서부(155)로 진입된다. 용지(P)의 일측 선단(FE1)이 센서부(155)로 인입됨에 따라 수광부(157)로 수광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를 감지하여 용지(P)의 일측 선단이 센서부(155)로 진입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용지(P)의 타측 선단(FE2)이 센서부(150)로 진입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지(P)의 타측 선단이 센서부(150)로 진입되는 순간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P)의 일측 선단(FE1)이 진입되는 순간과 용지(P)의 타측 선단(FE2)이 진입되는 순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하면 용지(P)가 사행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 155)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부(95)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50, 155)는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부(50)의 다음에 배치되었으나, 센서부(150, 155)의 배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 155)는 피드롤러(40)의 앞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카트리지부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절수단(120)은 구동원과,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구동원은 조절부재(122)의 일측에 동력을 전달하여 조절부재(122)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킨다. 제어부는 센서부(150, 155)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조절부재(122)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센서부(150, 155)에 의해 감지된 정렬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조절부재(122)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절부재(122)는 카트리지부(95), 즉 프레임(110)의 일측을 간섭하여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에 의한 카트리지부(95)와 피드롤러(40)의 정렬 방법을 설명한다.
적재부(10)에 적재된 용지(P)를 픽업롤러(20)에 의해 픽업한 후 센서부(150, 155)를 이용해 용지(P)의 사행 정도를 체크한다. 센서부(150, 155)에 감지된 용지(P)의 사행 정도가 허용 오차의 범위 내이면 문제되지 않지만, 허용 오차의 범위 밖인 경우에는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이때, 용지(P)의 사행 정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감지할 수도 있고, 또는 이송되는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여 사행된 정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용지(P)가 사행되는 정도를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용지(P)가 사행되는 경우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이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키는 방법과, 센서부(150, 155)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원을 이용해 자동으로 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수동으로 보정시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키면 힌지부(160)를 중심으로 하여 카트리지부(95), 즉 프레임(110)이 회전된다. 자동으로 보정시에는 별도의 구동원이나 모터를 이용하여 틀어진 만큼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22)의 일측이 카트리지부(95), 즉 프레임(110)을 간섭하여 프레임(11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C1은 회전부(122A)의 중심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C2는 간섭부(122B)의 중심을 나타낸다. 또한, S는 C1과 C2 사이의 거리, 즉 간섭부(122B)가 회전부(122A)에 대해 편심된 정도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조절부재(122)를 반시계(CCW)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2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도 8b에서 점선은 이동되기 전의 카트리지부(95), 즉 프레임(110)의 위치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키면 큰 원, 즉 회전부(122A)는 브라켓(1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서 C1을 기준점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이때, 위에 있는 작 은 원, 즉 간섭부(122B)는 회전부(122A)에 대해 편심되어 있으므로 간섭부(122B)의 중심(C2)은 C1을 기준점으로 하여 원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간섭부(122B)의 외측면이 카트리지부(95), 즉 프레임(110)을 간섭하여 프레임(110)을 힌지부(160, 도 4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오차를 보정한 후 다시 용지(P)를 픽업하여 용지(P)의 사행이 제대로 보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대로 보정이 된 경우 고정부재(129)를 이용해 카트리지부(95)를 브라켓(130)에 고정시키면 되고, 제대로 보정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오차를 보정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카트리지부(95)의 조립시나 교체시(예를 들어, 화상형성부(50)의 교체시), 화상형성부(50)로 인입되는 용지(P)의 사행이 발생되지 않도록 카트리지부(95)를 적절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조립 과정에서 카트리지부와 피드롤러의 평행도를 조절하여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용지를 정렬시키는 과정이 줄어들게 되므로 용지의 선단이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가 고속화되어 용지가 빠른 속도로 이송되더라도 용이하게 정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용지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상기 용지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 및
    상기 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피드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이송되는 상기 용지 사이에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상기 브라켓은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부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섭부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간섭부는 각각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간섭부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부재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9. 용지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상기 용지의 타면을 지지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부; 및
    상기 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피드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수단;을 갖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이송되는 상기 용지 사이에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와 상기 브라켓은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부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카트리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카트리지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섭부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간섭부는 각각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간섭부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부재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28070A 2005-04-04 2005-04-04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1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0A KR100619072B1 (ko) 2005-04-04 2005-04-04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274,206 US7532852B2 (en) 2005-04-04 2005-11-16 Regist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0A KR100619072B1 (ko) 2005-04-04 2005-04-04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072B1 true KR100619072B1 (ko) 2006-08-31

Family

ID=3706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070A KR100619072B1 (ko) 2005-04-04 2005-04-04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32852B2 (ko)
KR (1) KR100619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3734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223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및 화상형성장치와, 스캐너의 화상 보정 방법
JP5553587B2 (ja) * 2009-12-09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5858724B2 (ja) * 2011-10-21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151B2 (ja) * 1990-02-23 1999-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可動部材位置決め機構
JPH082043A (ja) 1994-06-17 1996-01-09 Oki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の自動給紙装置
JPH08324834A (ja) 1995-05-29 1996-12-10 Toshiba Corp 給紙装置及び光学的文字読取装置
JP3768578B2 (ja) * 1996-01-0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斜行補正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86385A (ja) 1996-09-19 1998-04-07 Hitachi Koki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10202971A (ja) 1997-01-22 1998-08-04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EP0936077B1 (en) * 1998-02-12 2004-12-22 Seiko Epson Corporation Platen mechanism, a printing device with the platen mechanis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device
US6189991B1 (en) * 1998-08-14 2001-02-20 Eastman Kodak Company Compensating for receiver skew and changing resolution in ink jet printer
US20020033874A1 (en) * 1999-04-08 2002-03-21 Paul Aubin Thermal printhead with memory
US6533268B2 (en) 2001-07-27 2003-03-18 Xerox Corporation Printer sheet lateral registration and deskewing system
JP3863064B2 (ja) * 2002-05-28 2006-12-2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プリンタ
KR100524047B1 (ko) 2003-06-19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큐 검출기능을 구비한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8656B1 (ko) * 2004-02-26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7249903B2 (en) * 2004-11-29 2007-07-31 Astro-Med, Inc. Assembly for feeding a continuous roll of web material to a sheet fed prin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3734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883304B1 (ko) * 2012-01-13 2018-07-31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양면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1163A1 (en) 2006-10-05
US7532852B2 (en)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509B2 (en) Paper sens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machine
US7549635B2 (en) Paper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7584960B2 (en) Regist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9093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9072B1 (ko)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1026128A (ja) シートの位置合わせ装置
JP2019099380A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搬送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6763288B2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EP3415451B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4207066B2 (ja) 記録装置
JP2006193317A (ja) 用紙反転装置及びこの用紙反転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244680B1 (ko) 멀티 패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9073347A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0428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63202A (ko) 레지스트레이션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19099383A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26203A (ja) 記録位置補正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8074612A (ja) 被記録媒体搬送装置、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JP2019001657A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329109B1 (en) Vacuum shuttle with stitch and roll capabilities
US20060017212A1 (en) Paper feed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7037745B2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US7367659B2 (en) Ink jet printer alternately utilizing a pair of in cartridges
JP200703100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