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093B1 -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093B1
KR100565093B1 KR1020040095905A KR20040095905A KR100565093B1 KR 100565093 B1 KR100565093 B1 KR 100565093B1 KR 1020040095905 A KR1020040095905 A KR 1020040095905A KR 20040095905 A KR20040095905 A KR 20040095905A KR 100565093 B1 KR100565093 B1 KR 10056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trusion
auxiliary
forming apparatus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하
양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093B1/ko
Priority to US11/282,616 priority patent/US74091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가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출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삽입하도록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한다.
따라서, 노광유닛과 감광체간의 진직도 및 평행도 관리가 용이하며, 색 중첩 및 색 구현의 정확성이 확보되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위치 결정부 국부 면의 공차 관리로 고정프레임을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전사유닛을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감광체 고정수단, 화상형성장치, 위치 결정부, 가이드 돌출부, 가이드레일

Description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of assembling photoreceptors}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본체프레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사유닛을 결합한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사유닛을 결합한 고정프레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돌출부와 가이드레일의 결합 설명도.
도 6은 도 5의 A부의 상세도.
도 7은 도 5의 B부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K,10Y,10M,10C...현상유닛 12...대전기
17a,17b,17c,17d...현상롤러 20a,20b...노광유닛(LSU)
30a,30b...감광체 40...전사유닛
41a,41b...제 1 전사롤러 42...중간전사벨트
43a,43b...중간전사벨트 구동롤러 44...텐션롤러
51...급지카세트 52...급지롤러
53...레지스트롤러 60...정착유닛
70...폐토너 저장부 80...배지롤러
90...배지부 100...인쇄유닛
200...제 2 전사롤러 300...본체프레임
310...가이드레일 400...고정프레임
410a...주가이드 돌출부 410b...보조가이드 돌출부
430...전사유닛결합부 431...결합홈
500...잠금부재 600...주위치 결정부
700...보조위치 결정부 S...용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감광체와 노광유닛을 포함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와 노광유닛의 진직도, 평행도 등의 조립공차 관리를 단순화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을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노광유 닛,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유닛, 용지를 적재하고 공급하는 급지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현상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면을 따라 색상별로 정해진 위치에 장착된다. 노광유닛은, 복수의 감광체와 규정된 평행도 및 진직도를 유지하도록 조정되면서, 본체프레임에 각각 조립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에 각각 조립된 후 본체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된다. 복수의 현상유닛과 노광유닛에 대하여 감광체 각각의 설치 위치가 조립 기준점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각 유닛을 본체프레임에 조립시에 칼라화상의 색 중첩(Registration) 일치와 균일한 색상 구현, 색 밴딩 방지 등을 위하여, 현상유닛, 노광유닛, 감광체 상호간의 조립위치는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이 때, 복수의 감광체를 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하면, 감광체 상호간의 설치 간격, 광 주사 방향의 평행도, 초점거리, 진직도 등의 조립 공차 관리가 매우 어렵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복수의 감광체를 본체프레임에서 각각 교체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조립지그(jig)의 유무에 상관없이 소정 위치에 감광체를 조립/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 공차 관리가 용이하도록 가이드부를 형성한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복수의 감광체가 일체로 조립되는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유닛이 일체로 본체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는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가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화상형성장치 본체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출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여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에 록킹시키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주가이드 돌출부와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를 다점 지지하는 주위치 결정부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1점 지지하는 보조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는, 각각 4개의 노광유닛과 감광체를 구비하는 싱글패스(single pass)방식, 각각 1개의 노광유닛과 감광체를 구비하는 4패스(4 pass)방식, 각각 2개의 노광유닛과 감광체를 구비하는 2패스(2 pass) 방식으로 분류되며,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유닛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인쇄유닛(10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유닛(10C, 10M, 10Y, 10K), 감광체, 노광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을 포함한다. 전사유닛은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중간전사벨트, 감광체의 토너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사롤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2패스 방식의 인쇄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2 개의 노광유닛(20a,20b)과, 2 개의 감광체(30a,30b)와, 4 개의 현상유닛(10K,10Y,10M,10C)과, 전사유닛(40)과, 정착유닛(60)과, 급지유닛을 구비한다.
제2감광체(30b) 주위에는 옐로우(Y:yellow)용 현상유닛(10Y)과, 시안(C:cyan)용 현상유닛(10C)이 배치되고, 제 2 전사롤러(200)에 가깝게 위치한 제1감광체(30a) 주위에는 마젠타(M:magenta)용 현상유닛(10M)과, 블랙(K:black)용 현상유닛(10K)이 배치된다.
각 노광유닛(20a,20b)은 옐로우(Y:yellow),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각 감광체(30a,30b)로 주사하여 감광체(30a,30b)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20a,20b)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를 채용한다.
각 현상유닛(10K,10Y,10M,10C)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현상롤러(17a,17b,17c,17d)를 포함하고,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한다. 현상롤러 (17a,17b,17c,17d)는 토너를 각 감광체(30a,30b)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한다. 현상롤러(17a,17b,17c,17d)에는 토너를 각 감광체(30a,30b)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토너층 규제부는 현상롤러(17a,17b,17c,17d)의 외주면에 부착된 토너의 높이를 규제하고, 토너를 소정의 극성으로 마찰대전시킨다.
감광체(30a,30b)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각 감광체(30a,30b)는 대전기(12)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각 노광유닛(20a,20b)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그 외주면에 형성한다. 각 감광체(30a,30b) 외주의 노출된 면은 중간전사벨트(42)와 대면된다.
중간전사벨트(42)의 일 측면은 각 감광체(30a,30b)에, 타 측면은 각 감광체(30a,30b)를 마주보는 제 1 전사롤러(41a,41b)에 연접하게 설치된다. 중간전사벨트(42)는 각 감광체(30a,30b)와 제 1 전사롤러(41a,41b) 사이를 경유하여 텐션롤러(44)에 의해 장력조절되면서 무한궤도를 순환한다. 제 1 전사롤러(41a,41b)에는 각 감광체(30a,30b)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30a,30b)와 제 1 전사롤러(41a,41b)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로 옮겨진다.
제 2 전사롤러(200)는 용지(S)가 통과하는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중간전사벨트 구동롤러(43a)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전사롤러(200)에는 중간전 사벨트(42)로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중간전사벨트(42)와 제 2 전사롤러(20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정착유닛(60)은 히트롤러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는 히트롤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80)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부(90)에 적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2노광유닛(20b)은 옐로우(Y:yellow)를 제2감광체(30b)에, 제1노광유닛(20a)은 마젠타(M:magenta)에 대응하는 광을 제1감광체(30a)에 주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제2감광체(30b)가 회전하면서 상기 정전잠상이 현상유닛(10Y)에 접근하면, 현상유닛(10Y)의 현상롤러(17d)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옐로우(Y:yellow) 색상의 토너가 제2감광체(30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옐로우(Y:yellow)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회전하는 제2감광체(30b)에 형성된 옐로우(Y:yellow)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에 접근하면, 제 1 전사롤러(41b)의 전사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옐로우(Y:yellow)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에 전사되면서, 중간전사벨트(42)는 제1감광체(30a) 쪽으로 계속해서 이송된다. 제1감광체(30a)의 외주면에서 상술한 단계를 거쳐 마젠타(M:magenta) 색상의 토너화상이 현상되고, 제1감광체(30a)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2)로 중첩 전사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벨트(42)에 옐로우(Y:yellow)와 마젠타(M:magenta) 색상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면, 중간전사벨트(42)는 1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시안(C:cyan),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처 중간전사벨트(42)에 중첩 전사된다. 상기와 같이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모두 중간전사벨트(42)에 중첩적으로 전사되면, 상기 토너화상은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는 급지롤러(52)에 의하여 급지카세트(51)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용지(S)는 레지스트롤러(53)에 의해 정렬되어 중간전사벨트 구동롤러(43a)와 제 2 전사롤러(200) 사이를 통과한다. 중간전사벨트(42)에 형성된 칼라 토너화상의 선단이 중간전사벨트 구동롤러(43a)와 제 2 전사롤러(200) 접점에 도달하는 시기와 동기되어 용지(S)의 선단이 도착한다.
용지(S)가 중간전사벨트(42)와 제 2 전사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면, 제 2 전사롤러(200)에 인가된 전사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중간전사벨트(42)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급지유닛은, 급지카세트(51), 급지롤러(52)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51)에는 용지를 적재한다. 급지롤러(52)는 급지카세트(5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레지스트롤러(53)는 픽업된 용지가 중간전사벨트 구동롤러(43a)와 제 2 전사롤러(200)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를 정렬한다. 용지의 이동경로는 급지카세트(51), 급지롤러(52), 제 2 전사롤러(200), 정착유닛(60), 배지롤러(80)의 순서이다.
비정상 동작 상태에서 발생한 용지 잼(jam)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전사유닛(40)과 감광유닛을 상방향으로 분리하여 용지의 이동경로를 노출시킨다. 현상유닛은 화상형성장치의 횡방향으로 분리되어 용지의 이동경로가 노출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용지의 이동경로가 노출되면 간편하게 용지 잼(jam)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사유닛(40)과 감광체를 장착하는 고정프레임은 화상형성장치의 상방향으로 조립/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방향으로 분리되고 하방향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은 인쇄유닛(100)이 2패스 방식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다양한 인쇄유닛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본체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사유닛을 결합한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돌출부와 가이드레일의 결합 설명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프레임(300)의 중앙부에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0)에는 감광체를 장착한 고정프레임(400)이 삽입된다. 가이드레일(310)은 잠금부재(500)와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고정프레임(400)을 본체프레임(300)의 소정위치에 고정한다.
감광체 고정수단은, 복수의 감광체가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감광체가 고정프레임(400)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복수의 감광체 상호간의 조립 공차는 상기 고정프레임(400)에 복수의 감광체를 장착하는 공정에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400) 등의 조립부재를 사용하여 카트리지 형식으로 복수의 감광체를 본체프레임(300)에 설치하면, 본체프레임(300)에 감광체 각각을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 공차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측면에는 가이드 돌출부(410a,410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는 감광체 회전축의 단부에 마련된다.
가이드 돌출부가 감광체 회전축과 동심축 상에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 돌출 부의 중심좌표가 감광체 회전축의 중심좌표와 일치하므로, 조립공차 관리에 유리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감광체 회전축과는 별도로 고정프레임(4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주가이드 돌출부(410a)와 보조가이드 돌출부(410b)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300)의 가이드레일(310)은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주위치 결정부(600)와 보조위치 결정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410a)가 주위치 결정부(600)에 결합되면, 고정프레임(400)을 본체프레임(300)에 조립/분리하는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고정프레임(400)의 유동이 구속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위치 결정부(600)는 주가이드 돌출부(410a)와 2점 이상에서 접촉하고, 주가이드 돌출부(410a)를 다점 지지하는 형상이라야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주위치 결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 단부의 V 자 형상의 면을 포함하여, 상기 주위치 결정부가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를 4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410b)가 가이드레일(310)에 삽입되면,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410b)는 가이드레일(310)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310)과 접촉한다. 상기 보조위치 결정부(700)는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보조가이드 돌출부(410b)와 한 점에서 접촉하는 가이드레일(310)의 국부 면이다.
고정프레임(400)의 설치 좌표가 2 축 상에서 결정된다고 할 때, 주위치 결정부(600)는 고정프레임(400) 일 단부의 2 축 좌표를 모두 결정하고, 보조위치 결정부(700)는 고정프레임(400) 타 단부의 1 축 좌표를 결정하며, 잠금부재(500)가 상기 위치 결정부를 가압하여 고정프레임(400)을 본체프레임(300)에 고정한다.
잠금부재(500)가 상기 위치 결정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410b)는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양 측면 사이의 간극에서 주가이드 돌출부(410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가이드레일(310) 전체 면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주위치 결정부(600) 및 보조위치 결정부(700)의 치수 공차를 국부적으로 관리하면 고정프레임(40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보조위치 결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 측면이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와 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위치 결정부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1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일 측면에는 잠금부재(500)를 설치한다. 상기 잠금부재(500)는 가이드 돌출부를 위치 결정부에 록킹시킨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상기 주위치 결정부 및 보조위치 결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감광체가 장착된 고정프레임(400)은, 가이드레일(310)에 삽입되고, 소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410a)는 주위치 결정부(600)에 안내될 때까지 상기 잠금부재(500) 등과 접촉 간섭 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와 잠금부재 사이의 간극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의 외경은 보조가이드 돌출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유닛(40)은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로 1차 전사한다. 전사유닛의 제 1 전사롤러는 감광체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일정한 닙을 유지하면서 대향된다. 전사유닛의 정확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전사유닛은 각 감광체와 소정의 조립공차를 유지해야 한다. 고정프레임(400)을 본체프레임(300)으로 조립/분리시에 전사유닛을 상기 고정프레임(400)과 일체로 본체프레임(300)에 조립/분리할 수 있다면 조립 공차 관리에 유리하다.
따라서, 전사유닛을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전사유닛결합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전사유닛이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감광체 고정수단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유닛결합부(430)는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C 자 형상의 결합홈(431)이고, 상기 전사유닛의 일 단부가 상기 결합홈(4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431)의 개구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복수의 감광체를 소정 간격으로 고정프레임에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노광유닛이 장착된 본체프레임에 조립하여, 노광유닛과 감광체간의 진직도 및 평행도 관리가 용이하며, 색 중첩 및 색 구현의 정확성이 확보되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별도의 조립수단 없이도 잠금부재 등의 단순부품에 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이 조립/분리되고, 가이드레일 전체 면이 아닌 위치 결정부 국부 면의 공차 관리로 상기 고정프레임을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세째, 전사유닛이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된다.
네째, 감광체와 전사유닛을 화상형성장치의 상방향으로 조립/분리하여 용지 잼 제거 및 부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복수의 감광체가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화상형성장치 본체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출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여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에 록킹시키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주가이드 돌출부와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를 다점 지지하는 주위치 결정부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1점 지지하는 보조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주위치 결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 단 부의 V 자 형상의 면을 포함하여,
    상기 주위치 결정부가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를 4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보조위치 결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 측면이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와 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위치 결정부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1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를 상기 주위치 결정부 및 보조위치 결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보조가이드 돌출부와 잠금부재 사이의 간극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기 주가이드 돌출부의 외경은 보조가이드 돌출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는 감광체 회전축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본체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단부에 형성된 C 자 형상의 결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의 개구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2개의 감광체를 장착하는 2패스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5905A 2004-11-22 2004-11-22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6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905A KR100565093B1 (ko) 2004-11-22 2004-11-22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282,616 US7409176B2 (en) 2004-11-22 2005-11-21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hotosensitive body f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905A KR100565093B1 (ko) 2004-11-22 2004-11-22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093B1 true KR100565093B1 (ko) 2006-03-30

Family

ID=3646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905A KR100565093B1 (ko) 2004-11-22 2004-11-22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09176B2 (ko)
KR (1) KR1005650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3660A (ja) 1986-09-17 1988-04-04 Fujitsu Ltd 半導体装置
KR940013299A (ko) 1992-11-17 1994-06-25 임창생 단일 고전압 전극과 가속전원을 공유하는 정전형(Electrostatic) 다중 입자가속기
JP3323649B2 (ja) 1994-07-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93898B1 (ko) 1996-12-26 2004-03-19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복사기의 현상기 착탈장치
US6157797A (en) * 1997-12-04 2000-12-0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rotatable image carrier and writ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3617389B2 (ja) * 1999-11-02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JP2001209294A (ja) * 2000-01-25 2001-08-03 Hitachi Ltd 画像形成装置
JP3638112B2 (ja) * 2000-03-03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050531A (ja) * 2001-05-29 2003-02-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74691B2 (ja) 2001-10-0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438735B1 (ko) 2002-09-03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395008B2 (en) * 2003-02-24 2008-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hotorecepto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10182A1 (en) 2006-05-25
US7409176B2 (en)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088B2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KR100516086B1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584617B1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RU2442205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0608067B1 (ko) 감광드럼 및 이를 구비한 현상 카트리지와 화상형성장치
JP4850335B2 (ja) 画像形成装置
JP4378016B2 (ja) 画像形成装置
US6654583B2 (en) Developing apparatus
US109965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developer container each having an engagement portion
JP200034747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組み立て方法
KR100565093B1 (ko)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1632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entrance of toner from a light guiding member side into a light source
US6298203B1 (en) Developing apparatus featuring suppressed devia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developer bearing member and a developer regulator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apparatus
JP201817350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39518A (ja) 画像形成装置
JP428072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05059B2 (ja) 画像形成装置
CA2360463C (e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having a belt conicity reducing assembly
JP3131426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74960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8154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3042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03882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278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3123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