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250B1 - 진동자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250B1
KR100221250B1 KR1019960055501A KR19960055501A KR100221250B1 KR 100221250 B1 KR100221250 B1 KR 100221250B1 KR 1019960055501 A KR1019960055501 A KR 1019960055501A KR 19960055501 A KR19960055501 A KR 19960055501A KR 100221250 B1 KR100221250 B1 KR 10022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king table
lock member
lock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19A (ko
Inventor
히로하루 기타우라
Original Assignee
야마무라 가 쯔미
세코 클록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무라 가 쯔미, 세코 클록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무라 가 쯔미
Publication of KR97002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8/00Mechanisms for setting frequency
    • G04B18/08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1/00Locking or holding devices for pendulums, chimes, or the like, for use during transport
    • G04B41/005Locking or holding devices for pendulums, chimes, or the like, for use during transport holding and locking of the pendulum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진동대에 직접 손을 진동하지 않고 진동대를 로크할 수 있는 진동자 장치를 제공하는것.
[해결수단]
진동대(4)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3)에 상기 진동대(4)의 로크ㆍ해방을 행하는 로크부재(10)가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부재에는 외장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손잡이부(10h)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진동자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시계의 장식 진동자 등의 구동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진동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자 장치에 있어서는 시계기계체 프레임(지지체) 상면에 진동대를 지지하기 위한 V형의 에지가 설치되어 있고, 진동대에는 상기 에지에 장착되는 V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V홈이 장착된 상태로 진동대가 에지상에서 좌우로 요동하도록 구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진동대에는 걸림클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클릭이 결합가능한 걸림클릭핀이 진동대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형성되어 있고, 반송시 등 진동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 상기 걸림클릭과 걸림 클릭판을 결합하여 진동대의 요동을 로크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공고 평 5-40471호 공보).
또한, 진동대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진동대의 통상의 요동범위에서 일탈한 위치에 맞는 부분에는, 진동대의 일부에 형성된 피걸림부를 걸림클릭가능한 걸림클릭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걸림부와 길럼클릭부재가 걸림클릭함으로써, 피걸림부가 밀어 올리고 진동대의 V홈이 지지체의 에지로부터 이탈하여 진동대의 요동을 로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용공고 소 61-36950로 공보).
그리고 또한, 진동대의 요동지점부근의 측변부에서 아암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진동대가 통상의 요동각도 이상으로 요동해 버릴 때에 상기 아암의 단부가 접촉하는 받침부가 진동대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형성되어 있고, 아암의 단부가 받침부에 접촉할 때는 진동대가 아암의 단부를 지점으로서 변위함, 이것에 의해서 진동대의 V홈이 지지체의 에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이탈한 상태에서 로크수단(걸림클릭과 정지클릭)에의해 진동대를 로크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실용공고 소 62-47106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어느 것이나 진동대의 요동을 로크한 상태에 있어서는 진동대의 V 홈이 지지체의 에지로부터 이탈하여 유지되므로, 에지의 손상ㆍ마모를 방지할 수 있지만.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위한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제 1항∼제 3항의 종래 기술에 공통하고 있는 것은 진동대의 요동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이 상호 스냅피트적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부재(예를 들면 걸림클릭과 걸림클릭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진동대의 로크 및 그 해방을 위한 조작은, 진동대를 직접 손으로 잡고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대 로크 및 그 해방을 행하기에는 시계의 이면덮개를 땔 필요가 있어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위한 조작이 번거롭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진동자 장치는 진동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에, 상기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행하는 로크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로크부재에는 외장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위한 조작은 외장케이스 밖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고, 또한 진동대를 직접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어서 진동대에 필요 이상의 힘이 들지 않고, 로크수단이 파손되거나 혹은 진동대의 V홈, 지지체의 에지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전자적으로 구동되는 진동대가 지지체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진동자 장치로서, 지지체에는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행하는 로크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부재에는 외장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재와 지지체에는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와 해방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위치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로크부재가 로크위치에 있을 때에 진동대와 로크부재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가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가 받침부에 결합한 로크상태에 있을 때는, 진동대는 지지체의 지지부에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한 장식이 부착된 시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로크부재가 해방위치에 있는 상태의 진동자 장치의 배면도.
제4도는 로크부재가 로크위치에 있는 상태의 진동자 장치의 배면도.
제5도는 진동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지지체 3b : 지지부(에지)
3j : 위치결정핀(위치유지수단) 4 : 진동대
4J : 결합부(핀) 4K : 받침부
10 : 로크부재 10g : 받침부
10h : 조작손잡이부 10k : 결합부(핀)
20 : 외장케이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진동자 장치를 적용한 가동장식이 부착된 시계의 일례를 도시한다. 시계 테두리(1)의 전면측의 거의 중앙부(시각표시부 T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진동자 장치에 의하여 상시 좌우로 요동구동되는 방울(링) 형상을 모방한 장식(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식(2)의 하방에는, 4개의 인형으로 구성되는 장식체 D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 정시가 되면 상기 4개의 인형이 원반을 돌리는 동작을 보이도록 되어 있다.
진동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테두리(1)의 배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등의 부착수단에 의해서 지지체(3)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체(3)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신하는 U자 형상부(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U자 형상부(3a)의 상면에는 그 상단이 에지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부(3b,3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대(4)의 상단부에는 개구(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4a)를 수평방향으로 연신하는 요동중심체(4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요동중심체(4b)의 양단부에는 지지부(3b,3b)와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V홈(4c,4c)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V홈(4c,4c) 사이에는 취출정지부(4d)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출정지부(4d)를 지지부 (3b,3b)의 사이에 끼워넣고 있다. 따라서, 진동대(4)는 통상이 요동각도 이상으로 요동되지 않는 한, 도 2의 오른쪽 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3)의 최상부에는 요동중심체(4b)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아치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치부(3c)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둥근 괄호형상부(3d,3d)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진동대(4) 개구(4a)의 하변 상면에는, U자 형상부(3a)의 하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침부(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부(4e)의 상면에는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둥근괄호형상볼록부(4f,4f)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아치부(3c)와 요동중심체(4b)의 간극 및 U자 형상부(3a)와 같이 침부(4e)와의 간극은 실질적으로 같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대(4)의 상부에는 장식부착구멍(4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착구멍(4g)에는 도 1에 도시한 장식(2)의 배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부착부(2a)가 시계테두리(1)를 관통하여 스냅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식(2)은 시계테두리(1)의 전면측에서 진동대(4)와 일체로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대(4)의 좌측쪽에는 탄성아암(4h)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3)의 배면좌방에는 상기 탄성아암(4h)이 접촉가능한 돌출부(3e)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대(4)가 통상의 요동각도 이상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상기 탄성아암(4h)이 돌출부(3e)에 접촉하는 치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동대 (4)는 항상 통상의 요동각도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대(4)의 하단부에는 혀부(4i)가 연출(延出)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혀부(4i)는 지지체(3)의 하부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L자 형상의 규제부(3f) 내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있고, 상기 규제부(3f)에 의해 진동대(4) 하단부이 전후방향도(도2의 오른쪽 방향)의 진동을 규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대(4)의 하방부에는 철제의 요크 (5)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요크(5)에 영구자석(6)이 흡착유지되어 있다. 지지체(2)의 하방부의 영구자석(6)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보빈레스타입의 코일(7)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2)의 중앙부에는 회로기판(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8)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패턴에, 코일(7)이 코일끝이 접속되어 있다. 회로기판(8)에는 또한 진동자구동회로(아트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등의 회로소자(9)가 장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투입되어 회로기판(8)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로 진동대(4)를 조금만 좌우로 움직이면 영구자석(6)은 코일(7)의 앞쪽을 가로지르게 된다. 영구자석(6)이 코일(7)의 앞쪽을 가로지를 때마다 코일(7)에 유기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유기 전력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영구자석(6)을 반발 또는 흡인하여 진동대(4)에 요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반복에 의해서 진동대(4)는 지지부(3a,3b)를 지점으로서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 (3)에는 진동대(4)의 요동을 로크ㆍ해방하기 위한 로크부재(10)가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3) 배면의 오른쪽 위 각의 구석부에는오목부(3g)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3g) 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주부(3h)에 로크부재(10)의 링형상부(10a)를 끼워넣고 있다. 또한, 원주부(3h)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클릭(3i,3i)에 로크부재(10)의 링 형상부(10a)의 내부구멍(10b)이 스냅적으로 걸려있다. 따라서 로크부재(10)는 그 링형상부(10a)를 중심으로 하여 지지체(3)의 앞면에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부재(10)에는 로크부재(10)자신의 요동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2개의 둥근괄호형상 슬릿(10c, 10d)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슬릿(10c) 내에는 지지체(3)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결정판(3j)을 끼워넣고 있다. 상기 2개의 슬릿(10c, 10d)을 구분하는 둥근괄호형상 아암부(10e)는 그 양단부(근본부)가 가늘고, 그 밖의 부분은 굵게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10c)은 그 양단부에서 위치 결정핀(3g)의 직경과 같은 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핀(3g) 및 슬릿(10c, 10d)에 의해 로크부재(10)를 해방위치(도3)와 로크위치(도 4)에 위치유지하기 위한 위치유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로크부재(10)를 제3도에 도시하는 해방위치에서 왼쪽방향으로 요동하면 슬릿(10c)의 좌단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결정핀(3j)이 아암부(10e)를 슬릿(10d)측으로 구부리면서 슬릿(10c) 내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릿(10c)의 우측단부에 위치하여 로크부재(10)가 도 4에 도시하는 로크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부재(10)의 좌측변에는 받침부(10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0g)는 로크부재 (10)가 로크위치(도 4)에 있을 때에 진동대(4)의 배면에 돌출형성 되어 있는 결합부(핀)(4j)와 결합가능하다. 또 받침부(10g)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대(4)가 통상의 요동각도 내에 있는 한, 받침부(10g)는 핀(4j)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10)의 오른쪽 하방에는 상기 로크부재(10)를 요동조작하기 위한 조작손잡이부(10h)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손잡이부(10h)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의 이면덮개인 외장케이스(20)의 슬릿(20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사용자는 진동대(4)에 손을 진동하지 않고, 로크부재(10)를 요동조작하여 진동대(4)를 로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진동대(4)를 실제로 로크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0)가 그 링형상부(10a)를 중심으로 하여 최고 오른쪽위치(해방위치)에 있을 때는, 진동대(4)의 핀(4j)과 로크부재(10)의 받침부(10g)와는 떨어져 있으며, 진동대(4)는 그 요동중심체(4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부재(10)를 도 3에 도시하는 해방위치에서 왼쪽방향으로 요동하면, 슬릿(10c)의 좌단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결정핀(3j)이 아암부(10e)를 슬릿(10d) 측으로 구부리면서 슬릿(10c) 내를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로크부재(10)의 받침부(10g)가 진동대(4)의 핀(4j)과 결합하여 이것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진동대(4)가 도 3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지지부(3b,3b)와 V 홈(4c, 4c)과의 결합이 이탈한다. 로크부재(10)가 또한 왼쪽방향으로 요동함에 따라 위치결정핀(3j)이 슬릿(10c)의 우측단부에 위치하여, 로크부재(10)가 도 4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에 유지되며, 진동대(4)가 최상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요동중심체(4b)의 상면이 아치부(3c)의 하면의 둥근 괄호형상볼록부(3d, 3d)에 접촉(점접촉)하고 또한, 침부(4e)의 상면의 한쌍의 둥근 괄호형상볼록부(4f, 4f)가 U자 형상부(3a)의 하면에 접촉(점접촉)하여, 진동대(4)가 수직상태로 요동불능하게 로크된다. 또 받침부(10g)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대(4)가 통상의 요동각도내에 있는 한, 받침부(10g)는 핀(4j)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가능하고, 예를 들면, 진동대(4)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도(임의의 위치에 있어서도)항상 진동대(4)를 바르게 로크할 수 있다.
또, 도 4의 상태(진동대(4)가 로크된 상태)에서도 도 3의 상태(진동대(4)가 요동 자유로운 상태)와 같이 진동대(4)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혀부(4i)는 지지체(3)의 하부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규제부(3f) 내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있고, 진동대(4)하단부의 도 2 오른쪽 방향의 진동이 규제되어 있다.
진동대(4)의 로크를 해방하기 위해서는 로크부재(10)를 도 4에 도시하는 로크위치에서 도 3에 도시하는 해방위치에 오른쪽방향으로 요동되면, 진동대(4)는 그 자유자재로 자연낙하하여 지지부(3b)와 V홈(4c) 이 결합하여 진동대(4)는 요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로크부재(10)의 좌측변에 형상의 받침부(10g)를 형성하여 진동대(4)의 배면에 상기 받침부(10g)와 결합하는 결합부 (핀)(4j)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대(4)의 배면에 형상의 받침부(4k)를 형성하여 로크부재(10)의 좌측변에 상기 받침부(4k)와 결합하는 결합부(핀)(10k)를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지지체(3)에 상단이 에지형상을 이루는 지지부(3b)를 형성하여, 진동대(4)에 상기 지지부(3b)와 결합하는 V홈(4c, 4c)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진동대(4)에 하단에 에지형상을 이루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지지체(3)에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V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은 형태로 실시되어 이하에 기재된 것 같은 효과가 있다.
진동대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에 진동대의 로크ㆍ해방을 행하는 로크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부재에는 외장케이스를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진동대에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 로크부재를 이동조작하여 진동대를 로크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동대에 필요 이상의 힘이 드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로크수단인 클릭이나 핀이 손상할 우려가 없다(제1항).
로크부재와 지지체에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와 해방위치에 위치유지하는 위치 유지수단을 구비하면, 로크부재의 정지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진동대의 요동의 해방 및 로크를 확실히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제 2항).
로크부재가 로크위치에 있을 때에, 진동대와 로크부재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가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진동대의 요동 로크를 확실히 안정하게 할 수 있다.(제3항)
결합부가 받침부와 결합한 로크상태에 있을 때, 진동대는 지지체의 지지부에서 떨어지도록 하면, 로크상태에서 지지부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부가 손상하여 마모될 염려가 없다(제4항).
받침부를 형상으로 형성하면, 진동대가 통상의 요동각도내에 있는 한 상기 받침부는 결합부와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가능하며, 언제라도 진동대를 소정으 위치에 정확하게 로크할 수 있다.(제5항).

Claims (5)

  1. 전자적으로 구동되는 진동대(4)가 지지체(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진동자 장치로서, 지지체(3)에는 진동대(4)의 로크ㆍ해방을 행하는 로크부재(1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부재(10)에는 외장케이스(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손잡이부(10h)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와 지지체(3)에는 상기 로크부재(10)를 로크위치와 해방위치에 위치유지하는 유지유지수단(3j)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가 로크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진동대(4)와 로크부재(10)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4j)가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10g)에 걸어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j)가 상기 받침부(10g)와 결합한 로크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진동대(4)는 상기 지지체(3)의 지지부(3b)에서 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장치.
KR1019960055501A 1995-11-17 1996-11-15 진동자 장치 KR100221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99552 1995-11-17
JP7299552A JPH09145856A (ja) 1995-11-17 1995-11-17 振り子装置
JP95-299552 199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19A KR970026019A (ko) 1997-06-24
KR100221250B1 true KR100221250B1 (ko) 1999-09-15

Family

ID=1787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501A KR100221250B1 (ko) 1995-11-17 1996-11-15 진동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26443A (ko)
JP (1) JPH09145856A (ko)
KR (1) KR100221250B1 (ko)
CN (1) CN1080900C (ko)
GB (1) GB2307315B (ko)
HK (1) HK1008355A1 (ko)
TW (1) TW3078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5118A1 (en) * 2002-06-20 2003-12-25 Hsin-Chiung Lai Clock assembly with movable ornaments
US7128465B2 (en) * 2004-06-01 2006-10-31 Daren Webster Clock shaped like a musical instrument
CH709905A2 (fr) * 2014-07-21 2016-01-29 Dominique Renaud Sa Pivot à lame.
CN104958907B (zh) * 2015-06-30 2021-01-26 邢皓宇 摆动玩具
JP1560351S (ko) * 2015-12-28 2016-10-11
JP1561128S (ko) * 2015-12-29 2016-10-17
JP1560353S (ko) * 2015-12-29 2016-10-11
USD809937S1 (en) * 2016-03-08 2018-02-13 Rhythm Watch Co., Ltd. Clo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4898A (en) * 1937-01-19 1938-05-11 Junghans Geb Ag Pendulum locking device for clocks
DE7809694U1 (de) * 1978-04-01 1978-07-13 Kienzle Uhrenfabriken Gmbh, 7220 Schwenningen Pendelvorrichtung bei einem Uhrwerk
DE3323420C2 (de) * 1983-06-29 1986-10-16 Joseph Kieninger Uhrenfabrik GmbH, 7209 Aldingen Schlagwerksuhr mit Vorrichtung zum Abschalten des Schlagwerkes
US4829495A (en) * 1987-03-18 1989-05-09 Seikosha Co., Ltd. Pendulum device for clocks
JP2915642B2 (ja) * 1991-08-06 1999-07-05 株式会社アペックス 回転角検出機構
JPH06136950A (ja) * 1992-10-26 1994-05-17 Daicel Chem Ind Ltd コンクリート型枠用剥離剤
JPH06247106A (ja) * 1993-02-22 1994-09-0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US5446704A (en) * 1995-01-23 1995-08-29 Chen; Ching-Ti Structure of c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7835B (ko) 1997-06-11
KR970026019A (ko) 1997-06-24
CN1080900C (zh) 2002-03-13
CN1157947A (zh) 1997-08-27
HK1008355A1 (en) 1999-05-07
GB9623918D0 (en) 1997-01-08
GB2307315B (en) 2000-04-19
JPH09145856A (ja) 1997-06-06
GB2307315A (en) 1997-05-21
US5926443A (en) 199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250B1 (ko) 진동자 장치
US4869703A (en) Driving mechanism for an animated toy
CA2403037C (en) Room lamp fixing structure
JP2002346250A (ja) 回転式電気かみそり
JPS6231896Y2 (ko)
KR920007224Y1 (ko) 진자장치
JPH10283885A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JPS5840713B2 (ja) 振子付電池作動型時計装置
JP2001124873A (ja) 時計の電源及び電子回路を電気接続するための装置
KR20010051109A (ko) 스위치장치
KR100261000B1 (ko)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JPH09304551A (ja) 揺動飾り装置
JP4773316B2 (ja) 振り子装置
JP2869350B2 (ja) 時計体の振り子固定構造及びその係止機構
JPH0516956A (ja) 蓋体の取付構造
JPH0526553Y2 (ko)
JP3612678B2 (ja) 時計の飾りガンギ装置
JPH11172971A (ja) 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JPS5824338Y2 (ja) 無接点マイクロスイツチ
JP2597616B2 (ja) スイッチ
JPS6111664Y2 (ko)
JP4469197B2 (ja) 押しボタン装置
JPH0512789Y2 (ko)
JP2002164030A (ja) 計時器の電力源と電子回路とを電気的に接続する装置
JP3532096B2 (ja) 振り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